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dustry

(BioIN + Industry) : 바이오 산업별 시장현황 및 전망정보 제공

원격 환자 모니터링 기술

  • 등록일2011-02-17
  • 조회수11838
  • 분류서비스 > 바이오서비스

[BioINdustry-No.28] 원격 환자 모니터링 기술

(Remote Patient Monitoring Technology)

 

※ 이 내용은 Frost&Sullivan, Remote Patient Monitoring Technologies-A Strategic

   Assessment(2010. 9), North American Home Health Care and Disease 

   Management Markets for Remote Patient Monitoring(2009. 6), Reimbursement

   Trends for the Remote Patient Monitoring Sector(2009. 12), Patient Monitoring-

   Business in Saturated Markets(2009. 12), European Remote Patient Monitoring

   Market(2010. 9)를 요약·발췌한 내용임 

 

 □ 원격 환자 모니터링(RPM) 기술 개관

   ○ 원격 환자 모니터링이란 IT 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떨어진 장소에 있어도 의료정보를

        전송할 수 있어, 환자가 어느 시간에 어느 장소에 있든지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제공받을

        수 있음
   ○ 여러 종류의 만성 질환(암, 당뇨질환, 천식, 만성폐쇄성질환, 수면장애, 심부전 등)을 앓고 있는

        환자를 관리할 수 있고, 동시에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및 정보제공이 가능해 의료서비스의 질을

        획기적으로 제고할 수 있음. 점점 고령화되어가는 인구를 고려할 때, 원격 환자 모니터링 기술은

        매우 유망한 툴(tool)임
   ○ 원격 환자 모니터링 기술은 헬스케어와 IT가 융합된 기술 분야이며, 최근 보건의료 제품, 기기,

        그리고 서비스 공급자사이 핵심 분야로 부상함
      - 초기에는 건강 사보험사(MCO: Managed Care Organisation)들만 원격 환자 모니터링을

         도입했으나, 이제는 차세대 통합 전달 시스템 기관, 홈 헬스(Home Health) 관련 기관, 질환

         관리 회사(Disease Management Organisation), 보건의료 관련 정부 산하 연구소 등이 이

         기술시장에 개입하고 있음
   ○ 원격 환자 모니터링 기술을 활용시 얻는 혜택으로는 셀프 모니터링으로 인한 의료비용 감소

        효과, 임상 효율성 증대, 개인 건강 관련 정보 보완 가능, 원활한 데이터 관리 기술 등임 


   ○ 주요 관련 기술 분류
      - 센서: 혈당, 혈압, 헤모글로빈 A1c, 몸무게, 심장박동률, SpO2 등 관리
      - 원격 모니터링 허브: 싱글 인터페이스, 멀티 인터페이스, 오픈 플랫폼 등
      - 데이터 커뮤니케이션 기술: 블루투스, 이동통신 네트워크, Wi-Fi, 인터넷 
      - 모니터링 기술: 간호 콜 센터, physician software, 웹사이트 로그인, PDA, 스마트폰 등


 
[그림1] U 헬스(환자모니터링) 기술 분야


출처 : Frost&Sullivan(2009. 12),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재구성
 

 


   ○ 주요국의 원격 환자 모니터링 기술 시장

      - 미국
        : 거대한 헬스케어 시장이며, 만성질환 환자의 증가로 원격 환자 모니터링 기술 산업이

          활성화되고 있음. 틈새시장에 진입해야 성공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임 
      - 영국
        : 정부가 헬스케어-IT 분야에 대규모 투자를 하고 있으며, 만성질환 환자가 많아 원격기술

          모니터링에 대한 수요 높음
      - 프랑스
        : ’08년부터 전자 건강 기록(Electronic Health Record) 의무화를 시작함
      - 독일
        : e-헬스케어 및 의료정보 디지털화에 대규모 투자를 하고 있는데 비해,  중간규모의 시장

          경쟁자 구조를 가지고 있음
      - 베네수엘라
        : 안데스지역을 중심으로 헬스케어 부분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공공부문에서 이 분야로

          투자하는 규모를 증가시키고 있는 추세임
      - 브라질 및 멕시코
        : 라틴아메리카의 대표적인 헬스케어 시장이며, 매년 관련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음
      - 오스트레일리아
        : 헬스케어-IT 분야에 정부의 중점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e-헬스케어 및 의료정보

          디지털화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 소수의 시장 경쟁자 구조
      - 인도
        : 중동과 동남아시아의 허브(hub)이며, 저렴한 운영비 및 노동비로 대규모 헬스케어 시장을

          이루고 있음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