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안질환 분야 주요 동향

  • 등록일2024-12-11
  • 조회수758
  • 분류산업동향 > 기타 > 기타

 

 

안질환 분야 주요 동향

[보건산업브리프 Vol. 423]

 

◈ 목차

  • I.배경

  • II.주요국 동향

  • III.안질환 분야 시장동향

  • IV.주요 안질환별 기술동향

  • V.종합 및 시사점

 

 

◈본문

I. 배경

  • 세계적으로 22억 이상의 사람들이 시각 관련 문제를 겪고 있으며, 인구, 사회적 구조변화로 시각 장애를 유발하는 안질환 환자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1) 
    (인구 고령화) 최근의 주요 시각 관련 문제와 실명 원인은 “노화(Aging)”로 고령화 시대에 따라 환자 수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
    ※ 백내장, 노안, 녹내장, 나이관련 황반변성은 50세 이상에서 발병률이 증가
    ※ (나이관련 황반변성 유병률) (45~49세) 4.2% → (50~59세) 6.6% → (60~69세) 11.6% → (70~79세) 19.5% → (80~84세) 27.1%
    (생활습관의 변화) 실외활동 감소, 체위(신장 증가) 변화, 디지털기기 사용 증가 등으로 젊은 층을 중심으로 근시도 빠른 속도로 증가중이며, 이 중 10~20%에 해당하는 고도 근시는 합병증으로 황반변성이나 망막박리·녹내장 등을 동반2),3). 또한 당뇨병과 고혈압 등 만성질환의 증가도 시각장애 환자 수 증가의 원인으로 작용 


[그림 1] 나이 관련 황반변성과 녹내장 예측[그림 2] 근시와 고도근시 예측  

* 출처 : World report on vision, WHO, 2019 

(시각장애의 원인) 굴절 이상과 백내장 등 예방·치료가 가능한 질환과 나이 관련 황반변성, 당뇨망막병증, 녹내장 등 예방·치료기술 개발이 필요한 질환으로 구분
※ (시각장애를 유발하는 안질환 환자 수) 근시(Myopia) 26억 명, 노안(Presbyopia) 18억 명, 나이관련 황반변성(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1.96억 명, 당뇨망막병증(Diabetic retinopathy) 1.46억 명, 녹내장(Glaucoma) 0.76억 명1)

  • 우리나라도 실명 유발 3대 안질환(당뇨망막병증, 녹내장, 황반변성)의 환자 수 증가 추세4) 
    * 당뇨망막병증, 황반변성 환자 수 : (’13) 41만 7,562명 → (’22) 80만 3,959명 
    * 녹내장 환자 수 : (’16) 80만 8,012명 → (’20) 96만 4,812명(국민보험공단)
    - 50세 이상의 환자가 약 80%를 차지하며 최근에는 40대 환자도 증가하고 있음5)
    - 근시 또한 젊은 층의 80~90%를 차지하며 급속한 증가 추세3),4)

[그림 3] 우리나라 3대 실명질환 환자 수 (’15년~’19년) * 출처 : ’20.8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 재가공

[그림 4] 아시아 지역 근시 유병률 증가 추세 *출처 : Holden BA et al, Ophthalmology 2016


- 실명을 유발할 수 있는 망막박리, 망막혈관폐쇄 등 응급 안질환 또한 증가 추세에 있으며, 특히 망막박리의 경우 근시와 관련이 있어 고령층뿐만 아니라 20대에서도 발병률이 높음6),7)
* 망막박리 환자 수 : (’10) 5만 3,148명→ (’21) 10만 6,855명
* 망막혈관폐쇄증 환자 수 : (’17) 6만 311명→ (’22) 7만 6,000명 (국민건강보험심사평가원) 우리나라 안질환 관련 진료비는 '21년 기준 3조 9,360억 원으로 22개 질병 분류 중 10위를 차지했으며, 신경계 질환(3조 4,867억 원)보다 상위임8)

- 특히 실명 유발 안질환은 노령층에서 발병률이 높고, 완치가 아닌 지속 관리·치료가 필요한 질환이므로 노령층의 경제적 부담으로 작용 시각의 상실은 개인 삶의 질 저하뿐만 아니라 생산성 상실로 각 나라의 경제적 부담으로 작용9)

(개인과 가족의 삶의 질) 일상 독립 활동 제한, 직업 선택의 어려움, 진료비 부담, 돌봄 부담, 낙상 및 골절 발생도 증가, 인지능력 저하

(사회적 부담) 생산성 저하, 사회적 고립, 우울과 불안 및 자살 위험성 증가
※ (국내 사회적 비용부담) 녹내장 2조 9,997억 원/ 나이관련 황반변성 6,043억 원/ 고혈압 3조 8,357억 원/ 당뇨병 3조1,558억 원으로 고혈압과 당뇨만큼이나 사회적 손실이 큰 질환10)
※ (노동력 상실률) 양안 실명 92-96%, 두 다리 절단 67-81%, 관상동맥질환 45-57% (대한의학회 기준)

  • 본 보고서에서는 안질환에 대한 전반적인 현황을 제공하여 초고령화, 디지털 시대에 증가하는 실명 유발 안질환에 대비하기 위한 국내의 노력에 대해 제고해 보고자 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