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K-R&D 이니셔티브, 대한민국을 다시 움직이다
- 등록일2025-10-29
- 조회수152
- 분류정책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5-10-22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K-R&D#이니셔티브
- 첨부파일
K-R&D 이니셔티브, 대한민국을 다시 움직이다
KISTEP InI Vol.54 / Autumn 2025
◈ 목차
InI Keypoint
이재명 정부 K-R&D 이니셔티브: 2026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안)
R&D Insight
중국 바이오산업의 급부상과 정책 시사점
2024년 지역 R&D 실태조사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KISTEP, 개도국 과학기술 혁신을 비추는 등대: KISTEP-ISTIC STI 교육·훈련 프로그램
R&D Inside
리서치 브리프 국내 거주 외국인 연구자의 성장과 정착을 위한 과제와 정책제언
리서치 브리프 기반 창업 육성을 위한 정부 R&D 지원 전략
이슈 브리프 과불화화합물(PFAS) 규제 동향 및 대응 전략
리서치 브리프 R&D투자 효율성 제고를 위한 대형 연구개발사업 관리체계 개선 방안
R&D Inspire
그린 수소: 삶이 먼저일까, 달걀이 먼저일까
KISTEP News
KISTEP 주요 소식
R&D Infographic
2025년 IMD 세계경쟁력 분석
◈본문
■ 이재명 정부 K-R&D 이니셔티브: 2026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안)
지난 8월 22일, 2026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안)은 새 정부의 R&D 비전을 담아 “이재명 정부 K-R&D 이니셔티브”로 발표되었다. 2026년도 주요 R&D 예산안 규모는 전년 대비 21.4% 증가한 30조 1천억 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이며, 특히 기술주도 성장과 모두의 성장을 위해 10대 핵심 분야에 재원을 집중 투자한다.
본고에서는 “진짜성장”을 위한 핵심 열쇠로서 연구개발(R&D)의 중요성과 성장의 마중물로서 정부의 과감한 R&D 투자 필요성을 염두에 두고 마련된 2026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안)의 전체 모습을 소개한다.
01. 2026년 주요 R&D 예산의 전체 모습
우리나라는 꾸준한 연구개발 투자를 통한 과학기술 발전으로 제조업 등 주력산업의 토대를 마련하고, 수출 강국, ICT 강국으로 초고속 성장의 토대를 이루어 왔다. 1989년 4M DRAM 반도체 개발로 반도체 강국으로 우뚝 섰고, 1994년 CDMA 세계 최초 상용화로 ICT 강국을 실현하였으며, 이후에도 디스플레이, K-방산까지 기술력을 통해 우리나라 산업의 도약을 이끌어 왔다.
하지만 최근 우리나라의 잠재성장률은 빠른 속도로 둔화하고 있다. 이는 생산성 하락과 성장동력 확보 미흡에 따른 장기적인 구조적 문제로 지적된다. 대내적으로 불리한 여건을 극복해야 하는 한편, 첨단 기술에 막대한 투자를 쏟아부으며 글로벌 주도권을 차지하려는 치열한 경쟁에 대응해야 한다. 그 어느 때보다도 R&D 투자 환경의 예측 가능성과 산업계의 위축된 R&D 투자 심리 회복을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정부의 마중물 투자가 절실한 상황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다음글
- 첨단바이오포커스 제58호
-
이전글
- 2025년 9월 바이오안전성 주요뉴스
지식
- BioINwatch 미국 과학 가속화 프로젝트 (ASAP, American Science Acceleration Project) 2025-07-22
- BioINwatch 「국가 바이오기술 이니셔티브 법안」, 미국 상·하원 초당적 발의 2025-06-30
- BioINwatch 미국, 바이오제조 역량 가속화를 위한 2차 후속 조치 발표 2024-08-27
- BioINwatch 종양 형성 과정에서의 줄기세포 상태 변화를 활용한 새로운 암 치료 전략 2024-06-25
- BioINwatch CZI(챈 주커버그 이니셔티브), 단일세포 연구를 지원할 빅데이터 분석용 무료 오픈소스 툴 개발 2024-05-07
동향
- 정책동향 [산업기술 동향워치 2024년 15호] 글로벌 바이오 제조 정책 동향 2024-09-05
- 산업동향 [보고서] [이슈 브리핑] 의약품 공급망 이니셔티브에 속속 가입하는 다국적기업 2024-08-12
- 기술동향 [합성생물학 월간동향] 합성생물학 연구의 조직적 변화: 상향식 접근법을 발전시키는 이머징 이니셔티브 2024-06-17
- 제도동향 [글로벌 산업정책·기술·시장동향] 워싱턴DC Weekly Brief 1월 - 美 NSTC의 바이오경제 이니셔티브를 위한 데이터 비전, 필요성 및 액션 보고서 2024-01-26
- 기술동향 미국 PCAST, '제 7차 국가 나노기술 이니셔티브(NNI) 평가보고서' 발간 2023-10-10


KISTEP+InI+Vol.54++Autumn+2025.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