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주요국의 연구개발과 혁신 동향
- 등록일2025-07-16
- 조회수439
- 분류기술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5-07-02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연구개발#혁신
주요국의 연구개발과 혁신 동향
AAAS 최근 자료 기반 분석
◈본문
지난 30년간 전 세계 R&D 투자는 약 세 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 1992년 7,720억 달러였던 투자가 2023년에는 2조 7,000억 달러를 넘어섰습니다. R&D 투자가 가장 많은 국가는 미국이며, 중국이 그 뒤를 빠르게 추격하고 있습니다. 한국과 이스라엘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R&D 투자 비중이 높아, 과학과 혁신에 강한 집중을 보이는 국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은 연구 인력 증가율은 다소 둔화되었지만, 국제특허(PCT) 출원 건수에서 꾸준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 총 23,849건으로 세계 4위를 기록했으며, 전년 대비 7% 증가해 주요국 중 유일하게 지속적인 증가를 나타냈습니다.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한국은 R&D의 양적 성장뿐 아니라 질적 경쟁력까지 확보할 수 있는 전략적 대응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
- BioINwatch 줄기세포 치료에 승부를 건 일본, 세계 최초의 iPSC 치료제 승인 기대 2025-05-28
- BioINpro [2025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상)] 바이오파운데이션모델: 2025년 주목해야 할 차세대 바이오 혁신 기술 2025-05-19
- BioINwatch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은 혁신적 발견을 이끄는 연구방법과 분석기술에 관한 내용 2025-05-08
- BioINwatch 2050년을 대비한 일본 과학기술 정책, 문샷형 R&D 2025-02-25
- BioINwatch 바이오신약 개발을 혁신할 AI 단백질 언어 모델 2025-02-14
동향
- 기술동향 디지털바이오 혁신을 이끄는 AI 기반 바이오 데이터분석 플랫폼 2025-07-15
- 정책동향 미국의 산업혁신정책 변화와 우리나라 혁신전략 시사점 2025-07-02
- 정책동향 OECD 진단을 통해 본 한국 임무지향 혁신정책의 발전 과제:「과학기술 기반 사회문제해결 종합계획」을 중심으로 2025-06-16
- 제도동향 혁신과 생명공학: 아실로마 50주년, LMO 규제의 과거·현재·미래(2025-15) 2025-06-11
- 정책동향 트럼프 행정부 2기의 과학기술혁신 어젠다: 경제-안보 트릴레마 극복을 위한 한국의 과제 2025-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