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 능 | 검색식 예 |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 (기계 | machine)) |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TI:(나노 & 기계) |
ㅣ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된 문서 검색 | 예1) TI:(줄기세포 | 면역) |
~ | ~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TI:(황금 ~ 백금) |
(BioIN + Essay) : 바이오 정보를 심층적으로 조사하여 자료 제공
홈 > 지식IN > BioINsay
OECD BIO POLICY REVIEW |
||||||||||||||||||||
---|---|---|---|---|---|---|---|---|---|---|---|---|---|---|---|---|---|---|---|---|
|
||||||||||||||||||||
? OECD BIO POLICY REVIEW 지속가능한 바이오경제를 위한 정책과제
(Meeting Policy Challenges for a Sustainable Bioeconomy)
Ⅰ. 서론
Ⅱ. 주요 내용
1. 바이오경제 개념의 확장?
2. 바이오매스의 지속 가능성?
3. 바이오리파이너리 모델과 정책?
4. 바이오기반 소재 생산과 화석연료 대체
Ⅲ. 시사점
◆? (개요)? OECD는? 해당? 보고서를? 통해? 지속가능한? 바이오경제로의? 세대 전환을 통해 환경?사회적 위기 극복이 가능함을 말하여, 국제적 차원의 정책 체계 마련을 위한 정책과제를 제안함
□ (바이오경제) 기후변화 및 석유자원 고갈 등 환경?사회적 위기의 대응책으로 바이오연료, 리파이너리 등이 부상하며 바이오기반 경제 시대가 도래
※ 바이오경제란, 바이오기반 제품?공정의 잠재가치를 활용하여 국가를 위한 새로운 성장과 시민 복지를 추구하는 종합적인 경제 활동(OECD, 2006)
ㅇ 바이오매스는 미래 에너지의 주요 탄소원으로 각광받고 있어 식량-에너지 안보 간 딜레마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바이오매스의 지속가능성* 확보가 필수
* 사회적?생태학적인 피해를 일으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경제적으로 활용 가능한 지속적인 발전이 가능한 기술?
- ① 바이오매스 생산 토지의 활용, ② 농업 및 임산업 유래 바이오매스의 보다 효율적인 사용 등에 의해 바이오매스의 지속성 좌우
ㅇ? 다양한? 기구?기관? 등에서? 바이오리파이너리*를? 정의하고? 있으며,? 그 원료의? 종류에? 따라? 분류되고? 특히? 생물폐기물(Biowaste)을? 활용한 바이오리파이너리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
* 바이오리파이너리란, 시장성 있는 제품 및 에너지 생산을 위한 바이오매스의 지속가능한 처리 과정 (IEA, Bioenery Task 42 Biorefinery, 2012)?
-? 사탕수수,? 전분,? 식물성? 유지? 및? 목질섬유소(펄프)? 분야가? 상업화 단계이며, 해조류(지질)? 및 바이오가스 분야는 아직 실험적 단계?
- 사탕수수 등 초기의 전분계 바이오매스 원료의 한계 등에 따라 유기 폐기물*을 탄소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
* 농업폐기물, 동물성 지방, 임업 잔류물, 산업폐가스, 음식물쓰레기 및 도시고체폐기물 등
ㅇ 바이오기반 생산기술의 발전으로 바이오리파이너리의 잠재력이 증가 하며 석유화학원료를 대체하고자 하는 움직임 확대?
- 대사공학과 합성생물학 등 바이오경제의 핵심기술을 활용하여 상업적 대량생산을 위한 기술 장벽 해결 가능?
- 더불어 산업바이오 분야 인력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선진국의 경우 직접적인 산업바이오 분야 교육?훈련을 위한 대학교 교과과정 등 신설?
- 스웨덴, 프랑스, 영국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자동차, 항공산업 등에서 화석연료를 바이오연료 등으로 대체할 계획을 속속 발표
□? (시사점)? 지속가능한? 바이오경제? 구축을? 위해? 공급?수요? 측면을? 아우르는 기술혁신, 투자유인 등의 정책 프레임워크 설정 필요
ㅇ (바이오매스) 바이오매스는 미래의 주요 탄소원이자 동시에 식량 자원이므로 식량-바이오매스 산업 간 균형 조절 통한 바이오매스의 지속성 확보 필요?
ㅇ (바이오리파이너리) 특히 유기성폐기물 활용에 대한 유연한 관리 규정 및 바이오매스 원료의 확보?수집?운반에 대한 환경비용과 경제성 평가 필요?
ㅇ (바이오소재) 다양한 바이오기반 소재별 기술성숙도(TRL, Technology Readiness Level)에 따른 유연한 투자 포트폴리오 및 산업 맞춤형 인력 양성 정책 마련 필요 ? ...................(계속) ? ☞ 자세한 내용은?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 ? ? |
친구에게 이 자료를 추천하기
백서/홍보물 | Biotechnology in Korea 2021 | 2021-02-23 |
국외뉴스 | Down syndrome research biobank launched | 2021-02-23 |
국외뉴스 | Explainable AI for decoding genome biology | 2021-02-19 |
국외뉴스 | Pfizer, Verily-backed Alzheimer's biotech Cortexyme hit by FDA partial hold over liver toxicity | 2021-02-17 |
BioINsay | 2020년 하반기 BioINwatch Collection | 2021-02-10 |
BioINsay | 2020년 BioINpro 모음집 | 2021-02-10 |
BioINsay | 2020년 BioINdustry 산업동향 보고서 | 2021-02-10 |
국외뉴스 | EU finalises order for 300 million more Pfizer/BioNTech COVID-19 shots | 2021-02-10 |
국외뉴스 | MS study pegs the gut microbiome as a potential source of the disease | 2021-02-10 |
산업동향 | [BIO ECONOMY BRIEF] RNAi 치료제 개발 동향 | 2021-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