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뉴스
국외 언론사에 보도된 관련 뉴스와 기사를 담고 있습니다.[25.07.17.목] 음악 치료 접근법이 치매 환자의 불안·고통을 완화할 수 있다
- 등록일시2025-07-17 09:36
- 조회수93
- 분류 BT종합
-
출처
Medical news 외
- 원문링크
-
키워드
#치매 #파킨슨병 #클로로톡신 #해양 온난화 #당뇨병
- 첨부파일
[25.07.17] 국외뉴스 현황
* 해당 번역은 자동 구글번역을 이용하였습니다.
1. Medical news
Music therapy approach can ease distress in dementia patients
음악 치료 접근법이 치매 환자의 불안·고통을 완화할 수 있다
영국 연구진은 NHS 치매 병동에 음악 치료 프로그램을 시범 도입해 환자의 삶의 질과 정서적 고통을 완화하는 긍정적 효과를 확인하였다. 상주 음악 치료사가 개인별 음악 돌봄 계획을 시행한 결과, 정신약물의 안전한 대안으로 평가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월 2,025파운드의 저비용으로 운영 가능해 확장성 높은 모델로 제시된다.
2. ScienceDaily
Dogs can detect Parkinson’s years before symptoms-with 98% accuracy
개는 파킨슨병 증상이 나타나기 수년 전부터 98%의 정확도로 감지할 수 있다
훈련된 개들이 피부 피지에서 파킨슨병 환자 특유의 냄새를 감지할 수 있음이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브리스톨대·맨체스터대·의료탐지견 재단이 공동 수행했으며, 민감도는 최대 80%, 특이도는 최대 98%로 나타났다. 이는 파킨슨병 조기진단을 위한 비침습적이고 저비용의 새로운 바이오마커 기반 진단 가능성을 보여준다.
3. BioRxiv
Does chlorotoxin target matrix metalloproteinase-2 in glioblastoma?
클로로톡신은 교모세포종에서 MMP-2를 표적으로 하는가
교모세포종은 MMP-2를 과발현하여 주변 조직을 침습하며, 이를 억제하는 것이 치료의 핵심 전략으로 여겨진다. 전갈 유래 클로로톡신(Ctx)과 그 유도 펩타이드는 MMP-2의 촉매 부위가 아닌 다른 부위에 안정적으로 결합하며 세포 이동을 억제하지만, MMP-2의 효소 활성 자체는 억제하지 않는다. 이 결과는 Ctx가 MMP-2의 비촉매 부위에 알로스테릭하게 결합하여 종양 세포 이동을 차단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4. Phys.org
Warming oceans a turn-off for female Critically Endangered sharks
해양 온난화는 멸종 위기 암컷 상어들의 번식 흥미를 떨어뜨리는 요인
기후변화로 인한 해양 온난화가 멸종 위기종인 암컷 엔젤상어의 짝짓기 행동을 억제하며 번식지 방문을 감소시키고 있다. 이로 인해 수컷과 암컷의 번식 시기 불일치가 발생하며, 종의 보전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카나리아 제도는 이 종의 주요 서식지로, 지속적인 장기 생태 모니터링과 보호 대책이 시급하다는 것이 연구진의 결론이다.
5. SciTechDaily
New Study Exposes Hidden Heart Risk for Women With Diabetes
새로운 연구가 당뇨병을 앓는 여성에게 숨어 있는 심장 질환 위험을 밝혀냈다
레스터대학교 연구팀은 제2형 당뇨병 여성의 46%에서 심혈관 미세혈관 기능장애(CMD) 징후가 발견되어, 남성보다 거의 두 배 높은 비율임을 밝혔다. 모든 참가자는 증상이 없었지만 MRI 분석을 통해 조기 심장 손상의 경고 신호가 여성에게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여성은 체중, 남성은 혈압이 주요 위험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성별에 따른 맞춤형 예방 전략 수립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6. Bioengineer
Mitochondria Reveal Roots of Sleep Pressure
미토콘드리아가 수면 압력의 근원을 밝혀냈다
호기성 대사의 진화는 고효율 에너지 생산을 가능케 하여 복잡한 신경계의 출현을 이끌었고, 이로 인한 대사 부담이 수면의 진화를 촉진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특히 미토콘드리아의 전자 흐름 저항성과 관련된 분자적 차이가 수면 시간과 피로감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수면의 기원은 대사 조절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7. Nature
‘Landmark’ study: three-person IVF leads to eight healthy children
획기적인 연구: 세 사람의 유전자를 활용한 체외수정으로 8명의 건강한 아이가 태어났다
영국에서 세 사람의 유전자를 활용한 미토콘드리아 기증 체외수정으로 태어난 8명의 아이가 현재 건강하게 자라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이 기술은 병을 유발하는 미토콘드리아 DNA의 유전을 막기 위해 수정란의 핵을 건강한 공여 난자에 이식하는 방식으로, 일부 사례에서는 병든 미토콘드리아의 소량 동반이 확인되었다.
8. Neuroscience
How Your Brain Strings Words Together
당신의 뇌가 어떻게 단어들을 연결하여 문장을 구성하는가
UC샌프란시스코 연구팀은 말하기를 위한 복잡한 근육 움직임이 브로카 영역이 아닌 중간 전중심이랑에서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부위는 음절이 복잡할수록 활발히 반응하며, 자극 시 발화 오류가 나타나 말 실행의 핵심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언어장애 이해와 보조 소통 장치 개발, 언어 기능 보존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9. BioRxiv
Comparison of state-of-the-art -correction coding for sequence-based DNA data storage
작은 뇌 영역이 우리의 삶의 사건을 구분하고 기억하는 방식 조율
기존 DNA 데이터 저장용 코덱들의 성능을 공정하고 표준화된 실험 조건에서 비교한 결과, 문헌에서 흔히 사용되는 합성 기반 벤치마크는 실제 성능을 제대로 구분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주요 실험 변수를 반영한 종합 벤치마크를 통해 현실적인 조건에서의 성능을 평가하고, 최대 43 EB/g 수준의 저장 밀도를 기존 코덱으로 구현하였다.
10. Phys.org
Jumping spider's visual trickery can fool AI
깡충거미의 시각적 속임수는 인공지능도 속일 수 있다
UC 연구팀은 수컷 점프 거미가 포식자인 말벌을 시각적으로 모방해 암컷의 주의를 끌고 구애를 시도한다는 가설을 AI 알고리즘을 통해 검증하였다. AI는 특정 거미 종들을 말벌로 오인할 정도로 시각적 유사성이 높았으며, 이는 거미가 암컷의 감각 체계를 이용한 ‘감각 착취’ 전략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11. GEN
Gut Microbiota Metabolite Could Point to Atherosclerosis Diagnostics, Therapeutics
장내 미생물 대사물이 죽상동맥경화증 진단 및 치료의 단서가 될 수 있다
스페인 CNIC 연구팀은 장내 미생물이 생성하는 대사산물인 이미다졸 프로피오네이트가 죽상동맥경화증의 초기 단계에서 혈중에 나타나며, 질환의 조기 진단 지표가 될 수 있음을 밝혀냈다. ImP는 콜레스테롤 수치 변화 없이도 면역 반응을 유도해 동맥 내 플라크 형성을 촉진하며, 특히 I1 수용체를 통해 염증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12. Neuroscience
How Eye Contact Builds Connection
어떻게 눈맞춤이 인간 간의 연결을 형성하는가
플린더스대 연구팀은 사람과 로봇 모두에게서 '물체 보기–눈맞춤–다시 물체 보기'라는 시선 순서가 도움 요청의 신호로 가장 효과적임을 밝혀냈다. 이러한 시선 행동은 사람들에게 명확한 사회적 의도를 전달하며, 인간-로봇 상호작용에서도 동일하게 인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사회적 로봇 설계, 비언어 소통 교육, 청각장애인·자폐인의 커뮤니케이션 지원에 실질적 기여를 할 수 있다.
13. Medical news
New study tracks how living in an agrihood impacts resident health
애그리후드에 거주하는 것이 주민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추적 조사
텍사스 A&M대 연구팀은 실제 농장을 중심으로 조성된 주거지 '애그리후드'가 주민의 식습관, 신체 활동, 건강 지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추적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235에이커 규모의 인디고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혈압, 콜레스테롤, 피부 카로티노이드 등 대사 건강 지표와 사회적 연결감까지 평가할 예정이다.
14. Bioengineer
Imidazole Propionate: Key Driver and Target in Atherosclerosis
이미다졸 프로피오네이트: 죽상동맥경화증의 주요 유발 인자이자 치료 표적
연구팀은 장내 미생물 대사산물인 이미다졸 프로피오네이트(ImP)가 I1 수용체를 통해 mTOR 경로를 활성화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를 유도함으로써 죽상동맥경화를 촉진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I1 수용체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해당 유전자를 침묵시킬 경우 ImP에 의한 염증 반응과 p-S6 인산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15. Medical news
Common medications impact gut microbiome and promote pathogen growth
일반적인 약물들이 장내 미생물군에 영향을 미치고 병원균의 성장을 촉진한다
튜빙겐대 연구팀은 항생제가 아닌 일반적인 약물들도 장내 미생물군을 교란시켜 살모넬라와 같은 병원균의 증식을 촉진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 53종의 흔한 약물을 분석한 결과, 약 3분의 1이 유익균을 억제하고 병원균에는 영향을 주지 않아 장내 균형이 무너지고 감염에 취약한 환경이 조성되었다. 연구진은 약물 개발 시 치료 효과뿐만 아니라 장내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