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 2013.10.7]
알레르기 유발 면역세포 내 단백질 기능 규명
□
연 구 결 과 개 요 1. 연구배경 알레르기 반응의 주요원인 면역세포인 비만세포는 알레르겐 자극에 의해 히스타민, 단백분해 효소 등이 함유된 과립을 분비하는 탈과립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 등을 분비하는 반응이 일어난다. 이러한 물질들에 의해 피부 가려움증, 점막 분비의 증가 및 염증반응 등 다양한 알레르기 증상이 일어나게 된다. 프로히비틴은 Band-7 family에 속하는 단백질로 미토...
.
RNA 이용한 신약 연구개발에 새 날개
■ 유럽 과학자들 일반인 462명 RNA 구조 발표..아직 비밀에 싸인 DNA보다 염기서열 정보 전달하는 메신저인 RNA에 주목..난치병 치료제 개발 박차 1990년 시작된 인간 게놈 프로젝트가 최종 완성본을 발표한 2006년 직후 인류는 생명공학이 난치병의 고통에서 해방시켜줄 거...
국내뉴스 | 2013-10-07
간(肝) 줄기전구세포 증폭 기술 개발..日 오사카대학대학원약학연구과 연구진
2013-10-07
건국대 연구팀, 알레르기 유발 면역세포 내 단백질 기능 규명
2013-10-07
Nano-Dissection Identifies Genes Involved in Kidney Disease
2013-10-07
Stem cells repair traumatic brain injury by building a “biobridge”
2013-10-07
한국, 노벨과학상 타려면 '패러다임 전환 연구'해야
2013-10-07
삼성전자 -구글, 차세대 바이오 최대 라이벌?
2013-10-07
글로벌 신약개발 위한 인프라 병목 요인에 대한 단상
2013-10-07
RNA 이용한 신약 연구개발에 새 날개
2013-10-07
줄기세포치료제로 돈 번 국내 첫 벤처 될 것
2013-10-07
뇌졸중, 줄기세포로 고친다
2013-10-07
.
[정책]
패러다임 전환형(Paradigm-Shifting) 과학 연구와 노벨상
2013-10-07
[기술]
A sharper sense of smell
2013-10-07
[산업]
창조경제 관점에서 본 의료기기산업 혁신 방안
2013-10-04
[기술]
[국내외 연구실소개] Laboratory of Microbiology
2013-10-04
.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감염병센터 "범부처 감염병대응...
동부팜한농(주) 훈증제실험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신경과학연구단
한국바이오연구조합
차세대바이오그린21사업 2014년도 신규과제 공모
2014년 국가농업 R&D 어젠다 연구개발사업 신규과제 ...
분당서울대병원 개원기념심포지엄: Vascular agin...
2013 인체유래검체거점센터 심포지엄 “인체유래물 은행,...
.
받는 분
받는 분 이메일
추천인
추천인 이메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과학로 125(어은동) | 전화:042-897-8376~7 | 관리자:
bioin@kribb.re.kr
COPYRIGHT(C) 2013 By Biotech Policy Research Cente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