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이슈 2015-454호]
.
만원어치 약 팔고 연구비는 달랑 백원
일부 제약사 R&D투자 인색...국내 제약회사들의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R&D) 투자 규모가 글로벌 업체의 투자 수준에 크게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3월 신약 개발업체의 특허권을 강화하는 내용의 ...
국내뉴스 | 2015-04-22
책임저자 논문 증가 10년새 3편뿐… 質的 성장 못해
[3대 과학저널 한국인 논문 분석]최근 10년 332편 첫 전수조사.. [프리미엄 리포트]책임저자 논문 증가 10년새 3편뿐… 質的 성장 못해..한국인 과학자가 세계 3대 과학저널에 최근 10년간 게재한 논문 수는 총 3...
국내뉴스 | 2015-04-20
.
중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2014년 의약품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인허가 및 시장정보 I
출처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4년 의약품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인허가 및 시장정보 I I. 기획개요II. 중국제1장 의약품 인허가 제도제2장 등록 절차제3장 시장 정보제4장 시장 진출제5장 보험급여제도...
터키, UAE, 러시아-2014년 의약품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인허가 및 시장정보 II
출처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4년 의약품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인허가 및 시장정보 II - 터키, UAE, 러시아 I. 기획개요II. 터키제1장 의약품 인허가 제도제2장 등록 절차제3장 ...
EU, 미국, 몽골-2014년 의약품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인허가 및 시장정보 III
출처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4년 의약품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인허가 및 시장정보 III - EU, 미국, 몽골 I. 기획개요II. 유럽 제1장 의약품 인허가 제도 제2장 등록 절차 제3...
민간육종연구지원투자의 효과 거양을 위하여
출처 : 농엄기술실용화재단 민간육종연구지원투자의 효과 거양을 위하여 (사) 한국종자연구회 고문 윤진영 정부는 외국품종 의존도가 높은 작물의 우리 품종 자급율을 향상하고 종자 산언을 수출지향적으로 육성하는 목...
IBM-애플ㆍJ&Jㆍ메드트로닉, 의료 빅데이터 제휴
IBM-애플ㆍJ&Jㆍ메드트로닉, 의료 빅데이터 제휴 IBM이 의료 데이터의 수집, 분석, 활용 등과 관련하여 애플과 제휴를 발표. 양사는 이미 iOS 기기 기반의 기업용 앱 개발 및 단말기 판매 분야에서 제휴하...
Market Dynamics of the Point-of-Care Diagnostics (POCD) Field
Market Dynamics of the Point-of-Care Diagnostics (POCD) Field A Data-Based Quantitative Approach to Providing Characteristi...
CIS·러시아 의약품 시장 진출 전략수립 및 정보구축
출처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CIS·러시아 의약품 시장 진출 전략수립 및 정보구축 Part 1. CIS·러시아 의약품 정보 구축 제1장 연구배경 제2장 CIS·러시아 국가별 의약품 시장...
2014년 식품산업 분석 보고서
출처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4년 식품산업 분석 보고서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서 발간한 '2014년 식품산업 분석 보고서' 입니다. [목 차] 제1장 식품산업 주요지표 ...
2014년 보건산업 국제경쟁력 분석 - 경영성과 편
출처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4년 보건산업 국제경쟁력 분석 - 경영성과 편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서 발간한 '2014년 보건산업 국제경쟁력 분석[경영성과편]'보고서 입니다. ...
이탈리아, 신개념 바이오 소비 증가
출처 : KOTRA & globalwindow.org 이탈리아 소비 트렌드, 신개념 바이오 소비 증가 - 2013년 전체 화장품 판매 1.25% 감소…천연화장품 판매는 2.8% ...
미국, 새로운 STEM 분야 육성 지원 계획 발표
미국은 ‘스템 교육(STEM)’을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스템은 과학(S), 기술(T), 공학(E), 수학(M)의 줄임말이다. □ 오바마 대통령은 2015년 백악관 과학 박람회에서 STEM분야 육성 지원을 위한 2.4억 달러 이...
암의 발생 및 진행 과정에서 EMT를 규정하는 조절 네트워크
출처 : BRIC 암의 발생 및 진행 과정에서 EMT를 규정하는 조절 네트워크 송경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요약문상피간엽이행(EMT, epithelial to mesenchymal transition)...
박막 캔틸레버 어레이 센서를 이용한 질병 진단기 설계 및 구현
[초 록]커패시턴스 용량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박막 Si3N4 캔틸레버 센서 어레이를 이용한 질병진단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시스템은 32 비트 RISC 프로세서, 메모리, 버스, 통신용 IP, ADC, LCD ...
유전변이 특성을 고려한 당뇨예측 연구 확대
출처 : 질병관리본부 주간건강과질병 유전변이 특성을 고려한 당뇨예측 연구 확대Expanding the Prediction Model for Type 2 Diabetes Using the Genetic Risk ...
.
미국 NIH의 인간태반프로젝트
[바이오 이슈 모니터링: 15-26] 미국 NIH의 인간태반프로젝트 ◇ 미국 NIH는 지난 2015. 2월 인간태반프로젝트(Human Placenta Project, HPP)에 4,150만달러를 투자하...
이슈모니터링 | 2015-04-23
삼성·애플·구글 ICT 기반 헬스케어 사업 경쟁
[바이오 이슈 모니터링: 15-25] 삼성·애플·구글 ICT 기반 헬스케어 사업 경쟁 ◇ 국내외 ICT 대기업인 삼성·애플·구글 등은 ICT 역량을 기반으로 개인 맞춤형 건강관...
이슈모니터링 | 2015-04-20
배아줄기세포의 전분화능을 조절하는 새로운 단백질 발견
배아줄기세포의 전분화능을 조절하는 새로운 단백질 발견 폰틴 단백질 역할 규명, 줄기세포 재생의학 연구의 새로운 단초 제시 ...
연구성과 | 2015-04-22
스테로이드 호르몬에 의한 유전자 발현 조절 메커니즘 규명
스테로이드 호르몬에 의한 유전자 발현 조절 메커니즘 규명 글루코코르티코이드에 의한 면역 활동 억제 기전 밝혀내 □...
연구성과 | 2015-04-22
웨어러블 기기용 초민감형 스마트 섬유 센서 개발
웨어러블 기기용 초민감형 스마트 섬유 센서 개발 - 무선 드론 조종 장갑 시연에 성공, 웨어러블 기기의 의복화&n...
연구성과 | 2015-04-21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핵심기술개발 전략 이행계획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에너지 신산업 및 핵심 기술개발 전략」 이행계획 발표- ’17년까지 총 4조 6천억원 시장, 14,000개 일자리 창출 -- ’20년까지 선진국 대비 기술 ...
각부처의 정책 | 2015-04-23
페루 과학기술단지 구축·운영 협력 MOU 체결
미래부, 창조경제의 아이콘 연구개발특구 모델 해외 수출- 페루 과학기술단지 구축·운영 협력 양해각서(MOU) 체결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는 한국형 과학단지 모델(K-STP(Kore...
각부처의 정책 | 2015-04-23
제조업혁신 3.0의 핵심! 임베디드 SW & 웨어러블
제조업혁신 3.0의 핵심! 임베디드 SW & 웨어러블 - 산업부, 2015 임베디드 SW & 웨어러블 컨퍼런스 개최 -□ ‘정보기술(이하 IT)·소프트웨어(이하 SW)...
각부처의 정책 | 2015-04-22
페루 위생선진국에 한국 등록 합의, 의약품 수출 촉진 전망
페루 위생선진국에 한국 등록 합의, 의약품 수출 촉진 전망 페루 위생선진국에 한국 등록 합의, 의약품 수출 촉진 전망콜롬비아·페루 보건부와도 보건의료협력 MOU·협력약정 체결 등 성과박근혜 대통령 중남미 순...
각부처의 정책 | 2015-04-22
인체에서 분해되는 인체 구성 원소로만 이루어진 금속 재질의 골절합용 나사 세계 최초 허가
- 식약처 허가도우미 제도로 제품 개발부터 허가까지 소요 기간 단축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승희)는 골절된 뼈에 삽입되어 뼈를 붙여주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인체에서 녹아 분해되는 인체 구성 원소로만 ...
각부처의 정책 | 2015-04-21
미래성장동력 특위,「미래성장동력 종합실천계획」확정
미래성장동력 특위,「미래성장동력 종합실천계획」확정- 플래그십프로젝트 발굴 확대, 미래성장동력 특허분석 등 추진키로 - □ 정부는 4.17(금) 오후, 손 욱 미래성장동력 특별위원회 위원장 ...
각부처의 정책 | 2015-04-21
.
대전광역시 유성구 과학로 125(어은동) | 전화:042-879-8377 | 관리자:
bioin@kribb.re.kr
COPYRIGHT(C) 2014 By Biotech Policy Research Center.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