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이슈 2015-448호]
.
BT뉴스
바이오시밀러 이후 ‘베터’가 뜬다
‘이제는 바이오다’ - 하] 수익성 높아 업계 관심 ↑ … “연구성과 불확실” 우려도..바이오시밀러 시장의 본격적인 변화가 시작됐다. ‘바이오시밀러’란 생물의 세포나 조직 내 존재하는 물질을 이용해 제조하는 바이오의약품의 복제약을...
국내뉴스 | 2015-03-03
맞춤 치료제·복제약 봇물…`바이오 노믹스` 르네상스
인간게놈 지도 완성 '생명공학기술 시대' 열려...글로벌 유전자 치료제 시장 연간 65% 성장세..혁신신약 R&D 가속… 희귀·난치병 극복 눈앞... 2015~2020 `골든타임`…신산업이 열린다. 제2의 전성기 맞은 의료...
국내뉴스 | 2015-03-02
.
부처현황/성과
정책 BIO's Venture Funding of Therapeutic Innovation Report
 Venture Funding of Therapeutic InnovationA Comprehensive Look at a Decade of Venture Funding of Drug R&D by David Thomas,...
정책 2015년 의약품 정책설명회 발표 자료
  ■14년 제조, 수입, 유통관리 결과 및 평가 ●약사감시체계 혁신 ▣ 국제수준의 GMP 관리체계로 전환, 유통안전 사각지대 점검강화 ○ 국내 제조소 GMP 현장실사 (’13) 55 ⇒ (’14) 96개소 * 사전·사...
정책 저성장에 대응하는 일본의 과학기술혁신정책 변화와 정책적 시사점
  현재 우리나라 경제는 구조적인 저성장 시대로 진입하면서, 이에 대한 적응과 대비가 필요한 시점이다. 그동안 우리나라 혁신정책은 과학기술을 경제발전의 도구와 요소로서 이해하고 자금, 인력 등 요소투입 중심의 전략을 실행하면서...
정책 의료서비스산업 수입관리제도 및 해외시장동향 (II)
1. 배경 및 필요성 ○ 최근 고부가가치의 국제의료서비스시장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국경을 초월한 의료서비스의 이용이 최근 세계 의료서비스 시장의 동향임 ○ 우리나라 의료서비스 수준이 선진국 수...
정책 의료기기 수출기업 현황 분석(최근 5년)
 출처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산업브리프 Vol.160 [의료기기 수출기업 현황 분석(최근 5년)] 입니다. Ⅰ 분석배경 ● 정부는 의료기기 산업 육성을 위한 다양한 정책(2011, 2014)...
정책 유럽 제약산업의 히든 챔피언 - 벨기에 플란더스
출처 : KOTRA & globalwindow.org 유럽 제약산업의 히든 챔피언 - 벨기에 플란더스      김연희 벨기에 플란더스무역투자진흥공사 서울사무소 투자상무관  &...
정책 의약품산업 수입관리제도 및 해외시장 동향 (X)
  출처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의약품산업 수입관리제도 및 해외시장 동향 (X)   1. 배경 및 필요성1.1 배경◦의약품산업을 포함한 보건산업(Health Industry)은 ...
정책 의료기기산업 수입관리제도 및 해외시장 동향 (X)
  출처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1. 배경 및 필요성 1.1 배경◦의료기기산업을 포함한 보건산업(Health Industry)은 의료기술(MT), 정보통신기술(IT), 생명과학기술(BT), 나노기술(...
정책 日, 치매 환자 급증으로 주목받는 상품
 출처 : KOTRA & globalwindow.org   日, 치매 환자 급증으로 주목받는 상품 - 2025년 고령자 3명 중 1명이 치매 위험군 - - 휴머노이드 로봇, GPS 부착 신발 등 활약 기대...
정책 美 2014년 10대 기술혁신 의료기기 선정
 출처 : KOTRA & globalwindow.org    - 성인병 및 만성질병 치료제품이 다수 차지 - - 벤처투자가가 투자한 제품으 향후 시장 변화 예상돼 -   미국 의료기기...
정책 파울러자유아메바 감염에 의한 원발성 아메바성 뇌수막염의 최근 동향
출처 : 질병관리본부 주간건강과질병  파울러자유아메바 감염에 의한 원발성 아메바성 뇌수막염의 최근 동향Status of Primary Amoebic Meningoencephalitis Caused by Naegleria fo...
정책 생체방어펩타이드의 대량생산 및 실용화에 대한 최근 연구동향
출처 : 지능형 바이오시스템 설계 및 합성 연구단    생체방어펩타이드의 대량생산 및 실용화에 대한 최근 연구동향          &...
정책 미생물 전기생합성을 위한 지지체 개발 동향
    미생물 전기생합성을 위한 지지체 개발 동향 한양대학교 김동립 교수   환경오염 문제의 주체이며 점점 그 양이 고갈되어 가고 있는 화석연료에 대한 대체 노력이 한창인 가운데 microb...
.
기업소개
2015년 주목해야할 5대 바이오업체(2)
  [바이오 이슈 모니터링: 15-14] 2015년 주목해야할 5대 바이오업체(2)   ◇ 미국 금융투자 자문 웹사이트인 모틀리 풀(Moltley Fool)에서 발표한 ‘2015년 주목해야할 5...
이슈모니터링 | 2015-03-04
의료기기 시장의 ‘가치고객’ 공략 비즈니스 모델
  [바이오 이슈 모니터링: 15-13] 의료기기 시장의 ‘가치고객’ 공략 비즈니스 모델    ◇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서 발간한 ‘의료기기 시장 “가치고객” 공략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1...
이슈모니터링 | 2015-03-02
단백질 발현 조절을 통한 통풍 치료의 길 열려
   - 대사질환 유발 핵수용체를 이용해 난치성 염증질환 치료를 증명한 첫 사례 -   □ 국내 연구진이 단백질(고아 핵수용체* SHP**)의 발현을 조절...
연구성과 | 2015-03-03
진균을 치료하는 항생제 내성과정 규명
- 에이즈, 암 환자 등 면역력 약한 사람에게 발병되는 칸디다증 효과적 치료 가능 -   □ 국내 연구진이 진균을 치료하는 항생제(아졸계*)에 대한 내성과정을 규명하...
연구성과 | 2015-03-02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3월 수상자 신세현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3월 수상자 신세현 교수- 생체모사와 정밀분석기술 마이크로칩에 접목, 혈전증 조기진단기술 개발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정...
각부처의 정책 | 2015-03-06
정부-기업 공동개발 항암신약, 美 제약회사에 기술수출
정부-기업 공동개발 항암신약, 美 제약회사에 기술수출항암신약개발사업단(주관연구기관: 국립암센터)과 한미약품 공동개발 결실 보건복지부(장관 문형표)는 국가연구개발사업(R&D) 지원을 통해 정부와 민간기업이 공...
각부처의 정책 | 2015-03-05
제31회 KIMES 계기, 병원-의료기기기업 간담회 개최
국내 의료기기산업 육성방안 찾아나 선다. * KIMES(Korea International Medical & Hospital Equipment Show) - 주최 : 의료기기공업협동조합, 의료기기산업협회,...
각부처의 정책 | 2015-03-05
특허청, 특허에서 찾은 미래 유망 먹거리 공개
- ’14년 국가 특허전략 청사진 최종보고서 발간 -  (농림수산식품, 부품, 신재생에너지, 해상·항공 수송, LED·광 등 5대 산업분야)    특허청(청장 김영민)은 농림수산식품, 부품...
각부처의 정책 | 2015-03-05
한국 보건의료, 제약 및 의료기관 사우디 진출 합의
 - 3.3(화) 한-사우디 보건장관 회담을 개최, 의료기관 위탁운영 및 건강보험 경험과 지식 공유 등 보건의료 전반으로 협력 확대방안 논의 -   □ 박근혜 대통령 중동순방 계기에 사우디를 방문...
각부처의 정책 | 2015-03-04
창조비타민 프로젝트 ’15년 1차 과제 발표
 - 과학‧ICT의 창의적 활용으로 공공분야 핵심 사회현안 해결 주력 -- 무인기(드론) 활용, 스마트 신병훈련소‧가축 축사 관리 등 14개 사업, 177억원 -   □ 지난해 2월 박근혜 대통령은...
각부처의 정책 | 2015-03-04
식약처, 시험·검사기관 신뢰도 강화 노력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정승)는 식품·의약품분야 시험·검사의 신뢰성을 높이고 시험·검사 성적서의 위·변조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록관리시스템 도입 의무화 등을 내용으로 하는 「식품·의약품...
각부처의 정책 | 2015-03-03
.
대전광역시 유성구 과학로 125(어은동) | 전화:042-879-8377 | 관리자:bioin@kribb.re.kr
COPYRIGHT(C) 2014 By Biotech Policy Research Center. All Rights Reserved. 메일수신거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