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이슈 2016-501호]
.
글로벌 희귀의약품 시장 현황 및 전망
BioINwatch(BioIN+Issue+Watch): 16-20 글로벌 희귀의약품 시장 현황 및 전망 ◇ 글로벌 제약산업 분석기업인 미국 이벨류에이트 파마(EvaluatePharma)가 ‘2015 희귀의약품 보고서(Orphan Drug Report 2015)’를...
.
.
[2016-03-21] 국내 연구진, 줄기세포 분화재생능력 유지 비결 밝혀내
국내 연구진이 혈액-줄기세포를 마음대로 깨우고 재울 수 있는 획기적인 원천기술을 밝혀냈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김효수 교수팀이 주도하고 생명과학부 백성희 교수가 공동 연구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에서 골수에 존재하는 혈액세포...
[2016-03-23] "올해 말까지 범부처 바이오 R&D 투자 전략 마련" 제1회 바이오특위 개최
정부가 바이오 분야 연구개발(R&D) 투자의 선택과 집중을 강화하기 위한 ‘바이오 R&D 투자 포트폴리오’를 올해 말까지 마련한다. 또 바이오 분야 연구 및 산업 현장의 규제를 선진국 수준으로 개선해 나가기로 했다.정부는 22일...
[2016-03-25] 국내 바이오산업 연평균 성장률 9.3%
국내 바이오산업이 꾸준히 성장하는 가운데, 바이오의약품이 전체 수출을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바이오협회는 2014년 국내 바이오산업 총수출 규모는 3조 3천987억 원으로, 전년보다 7.4% 증가했다. 수입은 1조 4천6억 원으로 1...
.
.
.
2015년 의료기기산업 분석 보고서
2015년 제약산업 분석보고서
웨어러블을 통한 美 뷰티시장의 진화
덴마크 병원서 일회용 의료용품 바람이 분다
2014 의료기기 제조·유통 조사
2014년 의약품·의료기기 연구개발 실태조사
중동지역 의료기기 시장동향 및 진출방안
타투, IT 만나 바이오웨어러블(Biowearable)로 탄생하다!
[보건산업브리프 Vol.209] 중국 화장품 시장 동향
종양 관련 대식세포: 기전부터 치료까지
인공지능 및 인지 컴퓨팅 기술 동향
쥐에서 경험 정보에 근거한 의사결정을 위한 회로의 확인
혈관질환과 알츠하이머병 간의 분자적인 관련성의 해독
빅데이터 기반 정밀의학, 의학의 패러다임을 바꾸다
보건복지70년사
인공지능 기술 발전이 가져올 미래 사회 변화
KISTEP이 바라본 우리사회 삶의 만족과 사회적 신뢰를 향상시켜줄 10대 미래유망기술
.
.
[미래창조과학부] 고위험 동맥경화반 조기 진단기술 개발
고위험 동맥경화반 조기 진단기술 개발 조기 정밀진단으로 심혈관 질환 사망률 감소 기대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는 “급성 심근경색 및 심장마비를 유발하는 고위험 동맥경화반을 조기에 진단...
[미래창조과학부] 혈당 측정 정확도를 높인 당뇨패치 기술 개발
혈당 측정 정확도를 높인 당뇨패치 기술 개발 다기능 그래핀 소자와 코팅을 입힌 미세약물침 활용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산하 기초과학연구원(IBS,원장 김두철)은 그래핀 소자로 만든 다기능 ...
[보건복지부, 미래창조과학부] 줄기세포가 분화재생능력을 유지하는 비결을 찾다!
줄기세포가 분화재생능력을 유지하는 비결을 찾다! - 서울대병원 김효수 교수 연구팀, 최상위 혈액-줄기세포의 선별 방법 개발 -- 백혈병, 악성빈혈 등 골수기능 부전증 치료제 개발 및 골수이식 성공...
[교육부] 항암제 부작용으로 인한 탈모 치료제 개발 연구모델 제시
항암제 부작용으로 인한 탈모 치료제 개발 연구모델 제시- 인체모낭 이식 쥐를 통해 항암제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최초 규명 - ◇ 권오상 교수팀, 피부과학 분야 세계적 학술지 ‘저널 오브 인베스티게이...
[미래창조과학부] 제1회 바이오특별위원회 개최
제1회 바이오특별위원회 개최 - 바이오 분야 문제해결을 위한 핵심 아젠다 논의 - □ 정부는 3월 22일, 오송 첨단의료복합단지에서 「제1회 바이오특별위원회(위원장 : 홍남기 미래부 1차관, 이하 바...
[보건복지부] 지카바이러스 환자 DNA 염기서열 확인 완료
지카바이러스 환자 DNA 염기서열 확인 완료현재 브라질 등에서 유행하는 지카바이러스와 99% 이상 일치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기석) 국립보건연구원에서는 국내 첫 지카바이러스 유입 환자(43...
[보건복지부] 보건의료 기술이전전담부서(TLO),R&D 기술사업화와 창업 견인
보건의료 기술이전전담부서(TLO),R&D 기술사업화와 창업 견인 출범 3년차 보건의료 TLO 협의체 823억원 기술이전 성과 도출 및 ‘바이오코리아 2016’(3월 30일∼4월 1일)에서 글로벌 기술홍보 추진...
[미래창조과학부] 미래부, 탄소저감 차세대 원천기술개발에 2016년 568억원 투자
미래부, 탄소저감 차세대 원천기술개발에 2016년 568억원 투자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기술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10대 기후기술* 중 탄소저감분야의 차세대 원천기술...
.
대전광역시 유성구 과학로 125(어은동) | 전화 : 042-879-8377(8382) | 관리자:
bioin@kribb.re.kr
COPYRIGHT(C) 2014 By Biotech Policy Research Center.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