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이슈 2016-499호]
.
[BioINdustry No.101] 한국의 CRO 시장 현황 및 전망
[BioINdustry No.101]한국의 CRO 시장 현황 및 전망 ※ 본 보고서의 내용은 Frost&Sullivan에서 발간한 ‘The South Korean 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Market(2015.8)’ 보고서를 참고로 생명공학정책연구...
액체 생체검사(Liquid Biopsy)를 이용한 암 진단
BioINwatch(BioIN+Issue+Watch): 16-17액체 생체검사(Liquid Biopsy)를 이용한 암 진단 ◇ 최근 영국, 스웨덴, 일본 등 연구팀에서 액체 생체검사(Liquid biopsy)*를 이용한 암 진단기술의 연구결과를 발표함에 ...
2015 정부 BT 정책 보도자료 모음집
[목 차] Ⅰ. 부처 업무보고/계획 2015년 업무보고 미래창조과학부 등 5개 부처, '역동적인 혁신경제'산업통상자원부 등 5개 부처, 2015년 합동 업무보고농림축산식품부 「농업의 미래성장산업화」세부 실천계획 업무...
.
.
[2016-03-11] 인공지능에만 33조 쏟아부은 '구글의 힘'
이세돌 0 - 2 알파고.."이세돌, 패착 없었는데 역부족"..정부, 이제서야 AI지원 나서.. 한국, AI에 20년간 500억…중국 바이두 연 투자액 7분의 1..산업부, 부랴부랴 현황 점검 1996년 2월1...
[2016-03-08] 재계, 미래 먹거리 ‘바이오’… 본격 드라이브
삼성·SK·LG·GS 등 국내 대표기업들이 바이오 융복합사업 진출계획을 잇달아 밝히며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기존 사업이 포화에 이른 상황에서 ‘고성장 유망사업’은 바이오 분야라는 판단을 내렸기 때문이다. 정부도 부처별 정책을 총괄하...
[2016-03-07] 바이오 컨트롤타워 출범, 신약 개발 속도 낸다
국내 바이오 관련 정책을 총괄할 ‘바이오 특별위원회’가 신설된다. 미래부 1차관이 위원장 맡아..부처 실장급+전문가 20명 구성정부는 최근 열린 제11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에서 이 같은 방안을 확정했다고 6일 발표했다. 미래창조과학부...
.
.
.
[K-브리프] 2016년 제01호 2014년 신약개발 정부 R&D 투자 포트폴리오 분석
국가 과학기술 성과 50년, 미래 50년
위암 표적치료제 개발을 위한 도전
미 국립보건원은 광자 계수 CT 스캐너를 환자에게서 최초로 사용
중간 또는 심각한 시력상실을 동반하는 당뇨성 황반부종에는 Eylea가 Avastin보다...
NIH 연구진들은 5가지 종류의 암에서 공유되는 충격적인 게놈 상의 특징을 확인
미토콘드리아 DNA 합성생물학 연구 동향
임신 및 발달하는 태아에서 Zika 연구를 위한 연구방법 모색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단백질이 새로운 염증 치료를 암시
천연물신약 개발 동향과 글로벌신약 개발을 위한 전략
장내 미생물과 그와 관련된 질환의 연구 동향
[경기바이오인사이트 제14호]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동향 및 미래전망 등
고령사회에 대응하는 빅데이터 연계 및 사업화 - 화장품
캐나다, 의료기기 시장 진출방안
영국의 유전체 산업
2014 화장품 제조 · 유통 조사
로봇산업의 국내외 동향 및 전망
유전자 분석법을 통한 식품 사용원료 진위 판별 지침서
항암제 가교자료 면제를 위한 가이드라인
.
.
[미래창조과학부] 정부, 바이오 컨트롤타워 설치
“정부, 바이오 컨트롤타워 설치” -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산하 ‘바이오 특별위원회’ 신설 - □ 정부는 3월 3일 제11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위원장 : 국무총리, 이장무 민간위원) 심의를 통해 「바...
[보건복지부] 복지부, 미래형 맞춤치료 등 정밀의료 산업화를 위해 「정밀의료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한다
복지부, 미래형 맞춤치료 등 정밀의료 산업화를 위해「정밀의료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한다 대통령 연두업무보고 후속조치로「정밀의료 연구개발 추진위원회」구성 및 1차 회의 개최(3.8) 보건복...
[식품의약품안전처] 유전자 분석 식품원료 진위 판별법 개발
유전자 분석 식품원료 진위 판별법 개발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승희)는 부당 이득을 취할 목적으로 육안으로 구별하기 어려운 원료를 사용한 불량식품을 적발하기 위하여 2015년 식품 원료 ...
[보건복지부] 식중독 원인균 진단 키트 개발
식중독 원인균 진단 키트 개발 식중독 집단발생 시 신속진단에 기여 □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기석)는, 학교나 군부대 등에서 많이 발생하는 식중독 집단발생의 원인병원체를 신속히 규명하고 확...
.
대전광역시 유성구 과학로 125(어은동) | 전화 : 042-879-8377(8382) | 관리자:
bioin@kribb.re.kr
COPYRIGHT(C) 2014 By Biotech Policy Research Center.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