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이슈 2016-512호]
.
15대 유망 의료기기 업체
BioINwatch(BioIN+Issue+Watch): 16-41 15대 유망 의료기기 업체 ◇ 미국의 생명과학 정보제공 업체인 피어스바이오텍(FierceBiotech)이 15대 유망 의료기기 업체(2015 Fierce 15 Medical Device Companise)를 선정하...
.
.
[2016-06-15] 美 ‘세포치료제’ 10년 로드맵 발표
산-학-관 컨소시엄 출범, 세계적 우위 확보 전략..미국이 산업계-학계-정부 간 협력을 통해 세포기반 치료법에서 세계적 우위를 점하려는 노력을 구체화하고 있다. 미국 조지아공대는 미 표준기술연구원(NIST)이 지원하는 컨소시엄이 세...
[2016-06-17] 韓, 신약 개발 첨병 간세포 中에 수출 쾌거
아시아 최초 상용화…약용식물연구소에 5년간 13억 원 규모 판매韓, 신약 개발 첨병 간세포 中에 수출 쾌거..국내 연구팀이 모든 장기로 분화할 수 있는 인간의 전분화능 줄기세포로 만든 간세포를 아시아 최초로 상용화해 해외 시장에 진출...
[2016-06-13] [美동부 바이오밸리의 기적]①한국의 200배‥돈 넘치는 美 바이오
한해 70조원 투자..15년만에 최대 호황..美동부 매사추세츠주 메카로..일자리·성장 이끌어..필립 A. 샤프 교수(72)는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암연구센터의 산증인이다. 그는 1974년부터 40년을 이곳에서 연구했다. 샤프 ...
.
.
.
美 원격건강관리 시장, 높은 성장 전망으로 진출 노력 필요
주요국의 ICT 융합 의료산업 전략 및 시사점
독일의 의료기기 비즈니스의 현황
미국 바이오제약 산업의 거시경제적 기여도 분석
[Licensing Story_큐리언트] Q203 라이센싱 스토리
4차 산업혁명과 보건산업 패러다임의 변화
[BIO Industry Analysis] 신흥 치료기업의 투자동향
생물다양성 위협 외래생물 관리 기술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한국의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방역대책 및 대응현황
데이터 및 임상정보의 공유를 촉진하기 위해 새롭게 착수된 Genomic Data Commons
일본 제약·바이오분야 최신 정책 및 제도 동향
2015년 지역과학기술산업스코어보드
Conditional KO 마우스 제작법과 관련 동향
탄저균 바이오마커의 고감도 검출을 위한 현장진단용 바이오광센서 개발
.
.
[미래창조과학부] 암 치료에 필수적인 오토파지(자가포식) 조절 신호 최초 규명
암 치료에 필수적인 오토파지(자가포식) 조절 신호 최초 규명- 오토파지의 신호 조절을 통한 신개념 치료제 개발 가능성 열어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는 생존에 필수적인 오토파지*(자가포식...
[미래창조과학부] 다양한 항생제를 대량생산 할 수 있는 가능성 열려
다양한 항생제를 대량생산 할 수 있는 가능성 열려 - 세계최초 방선균으로부터 항생제 생산 유전자 발현‧조절 기작 규명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지능형바이오 시스템 설계 ...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산업, 중국 서부내륙 진출 공략
보건의료산업, 중국 서부내륙 진출 공략- 한국 의료기관, 중국 쓰촨성 의료관광 업체와 환자 유치 양해각서, 계약 총 22건 체결 – □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6월 15일 중국 쓰촨성(四川省) 청두시...
[식품의약품안전처] 식약처, 첨단바이오의약품 개발지원을 위한 밀착상담 제공
식약처, 첨단바이오의약품 개발지원을 위한 밀착상담 제공 - 정부지원 R&D 연구과제별 전담 컨설턴트 운영 -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손문기)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정부 R&D 과제의 연...
[보건복지부] 보건산업 수출 4년 간 2배로 늘었다
보건산업 수출 4년 간 2배로 늘었다 - 제약·화장품 등 고속 성장, 미래 주력 성장산업으로의 가능성 열어 - - 지난해 대통령의 중동·중남미·중국 등 순방 계기 진출 가속화 - □ 보건복지부(장관 ...
[미래창조과학부] 2016년 상반기 사업 및 기관 평가 결과 발표
2016년 상반기 사업 및 기관 평가 결과 발표 - 평가결과 차년도 예산 및 사업개선 등에 반영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2016년 상반기에 실시한 ‘국가연구개발 성과평가’ 결...
.
대전광역시 유성구 과학로 125(어은동) | 전화 : 042-879-8377(8382) | 관리자:
bioin@kribb.re.kr
COPYRIGHT(C) 2014 By Biotech Policy Research Center.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