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 2016.10.26]
BT뉴스
국내 연구진, 유도만능줄기세포로 난치 질환 원인 규명
25-HC 물질, 뇌 염증 유발 확인 국내 연구진이 역분화줄기세포(iPS,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이용해 난치성 신경질환인 ‘부신백질이영양증’이 유발하는 뇌 염증 원인을 처음으로 밝혔다. 국내 연구...
국내뉴스 바로가기
인체조직은행 시설기준 및 인체조직 안전...
대학가도 ‘헬스케어’ 바람
걸음마 수준 바이오산업…'세제 지원·...
GE헬스케어 센터 개소..‘인천송도 바이오...
마크로젠·LG생건, 유전자 분석 서비스
국외뉴스 바로가기
New method of estimating biodiversity based on ...
Flawed analysis casts doubt on years of evoluti...
Large Tumors Destroyed by Innate/Adaptive Immun...
FDA Approves Keytruda as First-Line Treatment o...
Exploiting Evolution to Combat Malaria Mosquito...
BT동향/정책/성과
인공지능을 활용한 헬스케어 R&D 현황
BioINwatch(BioIN+Issue+Watch): 16-73 인공지능을 활용한 헬스케어 R&D 현황 ◇ 국내에도 IBM사의 왓슨 포 온콜로지(Watson for Oncology)가 도입되면서 인공지능에 대한 기대와 ...
페루(Peru) 의약품 시장 진출정보
출처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산업브리프 Vol.221 페루(Peru) 의약품 시장 진출정보 Ⅰ 최근동향 가. 의약품 시장 동향페루 의약품 시장 규모는 2015년 기준 약 15.6억불(약 1조 7천억원)로 평가되...
아프리카 농업 현대화 및 시사점
출처 : KOTRA 아프리카 농업 현대화 및 시사점 [요 약] □ 아프리카 농업 시장 동향◦(규모) 농업은 아프리카 전체 GDP의 32%를 차지하는 최대 산업◦(잠재력) 전 세계 미개척 경지 중 60%가 사하라...
의약품의 약리학적 평가기법
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의약품의 약리학적 평가기법 [주요 내용] 의약품의 약리학적 평가기법 (고혈압치료제) 의약품의 약리학적 평가기법 (우울증치료제) 의약품의 약리...
MUCOVAD (MUCOSAL VACCINES, ADJUVANTS & DELIVERY) 2016 참석 후기
출처 :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MUCOVAD (MUCOSAL VACCINES, ADJUVANTS & DELIVERY) 2016 참석 후기 저자 : 김은도 (연세대학교) 요약문 2016년 9월 14일부터 16일까지 스위스 로잔에서 ...
적은 양의 일산화탄소를 통한 뇌질환 치료 방법 제시
적은 양의 일산화탄소를 통한 뇌질환 치료 방법 제시- 단순 염증 억제 치료한계를 극복한 뇌세포 증식‧분화 치료 가능 - □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조무제)은 최윤경 박사(강원대) 연구팀이 적은 양의 일산화탄소가 외상 후 뇌손상을 치료하는...
인문사회로 접근하고, 과학기술로 해결하는 새로운 융합연구 사업 추진
인문사회로 접근하고, 과학기술로 해결하는 새로운 융합연구 사업 추진 -「과학기술‧인문사회 융합연구사업」신규연구과제 선정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과학기술만으로 해결할 수 ...
한-덴마크 정상 회담 계기, 한-덴마크 보건의료 및 산업 분야 협력 강화
한-덴마크 정상 회담 계기, 한-덴마크 보건의료 및 산업 분야 협력 강화 건강보험 분야 MOU 및 ‘건강한 노후’를 주제로 간담회 진행 10월 25일 보건복지부 장관(정진엽)은 라스 뢰케 라스무센 덴마크 총...
행사
글로벌 건강기능식품 개발을 위한 전략 세미나
The Bioprocessing Summit 2016
바이오합성연구단 성과전시회
서울포럼 2016년 : 인공지능과 바이오
사업공고
2016년 글로벌 C&D 지원 사업 접수 공고
2016년도 고부가가치식품기술개발사업 자유응...
2016년도 고부가가치식품기술개발사업 지정공...
2016년 제4차 용역연구개발과제 주관연구기관...
대전광역시 유성구 과학로 125(어은동) | 전화 : 042-879-8377(8382) | 관리자:bioin@kribb.re.kr
COPYRIGHT(C) 2014 By Biotech Policy Research Cente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