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 2016.10.4]
BT뉴스
'매출 55조 노바티스' 꿈꾸지만...국내 제약사는 이제 1조 수준
수준은 걸음마... 기대는 장밋빛4대 주체 '벤처·대기업·병원·대학' 여전히 따로국밥정부지원·감독체계도 부처별로 쪼개져 효율성 떨어져신약개발, 평균 10년에 2억弗 들어가는 장기대형사업눈앞 성과 ...
국내뉴스 바로가기
'한미쇼크'는 성장통...'K바...
신약성공률 9.7%…임상 1~3상 성과마다 돈...
영장류 난자 이용해 인간 생식의학분야 ...
日과학분야 22명 등 노벨상 25명…한우물 ...
[포럼] 바이오 인허가 과정 단순화해야
국외뉴스 바로가기
Gene editing: Ethical issues 'should be dis...
Study explains how an intestinal microbe protec...
Nobel Prize in Medicine Awarded for Autophagy D...
Blocking key gene reduces cigarette smoke toxic...
When RNA and DNA Worlds Collide
BT동향/정책/성과
IBM 왓슨 포 온콜로지 국내 첫 도입 추진
BioINwatch(BioIN+Issue+Watch): 16-67 IBM 왓슨 포 온콜로지 국내 첫 도입 추진 ◇ 최근 가천대 길병원에서 국내 최초로 암 환자를 진료하고 치료하는데 IBM 왓슨 포 온콜로지(Wat...
국립 암 연구소는 암 달로켓 목표 달성을 위한 과학 로드맵 채택
국립 암 연구소는 암 달로켓 목표 달성을 위한 과학 로드맵 채택 【그림설명】 암 달로켓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로드맵 □ 국립 암 연구소 책임자 대리인 Douglas Lowy 박사는 금일 달 로켓 아래에서 5년...
2016 농림축산식품 주요통계
출처 : 농림축산식품부 2016 농림축산식품 주요통계 1. 편제는 기본통계, 농업・농촌, 임업, 어업, 식품산업, 외국 주요통계 및 남・북한 주요통계로 구분하고 농업・농촌은 농촌개발, 농업생산기반 개선...
정밀의료 실현을 위한 유전체 연구
정밀의료 실현을 위한 유전체 연구 정밀의료와 국가전략 육성 프로젝트 “정밀의료”는 미국 오바마 대통령이 2015년 2월 정밀의료 이니셔티브(Precision Medicine Initiative)를 구축하고, 매년 2.15억...
미국의 데이터를 활용한 의료 관련 대책 동향
출처 : KIET 해외산업정보 미국의 데이터를 활용한 의료 관련 대책 동향 □ 개요 ㅇ 미국의 의료분야에서는 인공지능, 로봇, IoT와 같은 최첨단 IT의 활용이 추진되고 있으나, 이들 다수가 과거의 의료 ...
질병 규명과 신약 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 열다
“질병 규명과 신약 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 열다”- 맞춤형 변형 단백질 생산 기술 세계 최초 개발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는 “국내 연구진이 암과 치매 등 각종 질병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변형을 구현...
진균성 뇌수막염 조절 인산화효소 대규모로 찾았다
진균성 뇌수막염 조절 인산화효소 대규모로 찾았다 - 항진균제, 뇌수막염 치료제 개발의 가능성 제시 - □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조무제)은 반용선 교수(연세대) 연구팀이 지난해 진균(곰팡이균)성 뇌수막염*을 일으키는 전자조절 유전자를 ...
ICT 기반 보건의료의 임상연구 발전방향을 논한다
ICT 기반 보건의료의 임상연구 발전방향을 논한다 - 제3차 미래보건의료포럼(임상연구 분과) 개최- - 보건의료 중장기 정책로드맵 수립을 위한 임상연구 발전방향 논의 - □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1...
복지부, 화장품의 수출산업화에 시동걸다
복지부, 화장품의 수출산업화에 시동걸다 정진엽 장관, 화장품 업계 관계자들과 현장간담회 개최 □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10월 4일 KTX오송역에서 화장품기업 대표 및 수출관련 기관 관계자들과 현...
행사
한국비임상시험연구회 2016년 제30차 Workshop 개...
제 2기 비임상시험 기초과정
The Bioprocessing Summit 2016
바이오합성연구단 성과전시회
사업공고
2016년 글로벌 C&D 지원 사업 접수 공고
2016년도 고부가가치식품기술개발사업 자유응...
2016년도 고부가가치식품기술개발사업 지정공...
2016년 제4차 용역연구개발과제 주관연구기관...
대전광역시 유성구 과학로 125(어은동) | 전화 : 042-879-8377(8382) | 관리자:bioin@kribb.re.kr
COPYRIGHT(C) 2014 By Biotech Policy Research Cente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