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 2017.3.22]
BT뉴스
정부, 해양바이오 R&D 확대.. 생물자원 주권 확보 나섰다
급성장하는 해양바이오산업 산업화 성공률, 육상생물의 2배, 2018년 49억달러 시장으로 성장 생물자원 선점 나선 각국 나고야 의정서 발효 후 경쟁 치열, 한국 연간 3900억원대 손실 예상 ...
국내뉴스 바로가기
1조~3조 투자·성공률 0.01%… 글로벌 ‘신약...
AI의 양대산맥 IBM과 구글‥어떤 영향력 ...
들쭉날쭉 癌 진단실력, 애매모호한 규제기...
생물자원 활용한 연구사례...아모레퍼시픽...
나고야의정서 시행 앞두고 국내 기관, 업...
국외뉴스 바로가기
Liquid Biopsy Could Get Boost from Phosphoprote...
CRISPR/Cas9 Reveals Cancer’s Synthetic Lethal V...
Researchers discover unique DNA editing functio...
New drug strategy: Target ribosome to halt prot...
Human Stem Cells with Plant-Based Scaffolds Dem...
BT동향/정책/성과
MIT, 2017년 10대 혁신기술 선정
BioINwatch(BioIN+Issue+Watch): 17-21MIT, 2017년 10대 혁신기술 선정 ◇ 최근 미국 MIT에서는 Technology Review를 통해 ‘2017 10대 혁신기술(10 Breakthrough Technologies 2017)...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신성장동력, 스마트헬스케어산업
출처 : 산업연구원 i-KIET 산업경제이슈 제12호4차 산업혁명 시대의 신성장동력, 스마트헬스케어산업 [ 요 약 ] 스마트헬스케어산업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중요한 신성장 분야● 스마트헬스케어산업...
항균물질로 응용을 위한 은 나노 입자의 합성: 친환경 전문 기술
출처 :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항균물질로 응용을 위한 은 나노 입자의 합성: 친환경 전문 기술 저자 양지윤 (고려대학교 생명과학과) 요약문 금속 나노 입자는 의료분야를 포함한 공학과 더불...
새로운 호황기를 맞이한 중국 헬스 시장
출처 : KOTRA 새로운 호황기를 맞이한 중국 헬스 시장- 침체기를 지나 재부상하며 새로운 호황기 맞아 -- 소비자군의 수요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헬스클럽 출현 - □ 재부상하는 중국 헬스 산업...
우즈베키스탄(Uzbekistan)·카자흐스탄(Kazakhstan) 제약시장 진출정보
출처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우즈베키스탄(Uzbekistan)·카자흐스탄(Kazakhstan) 제약시장 진출정보 제약산업지원단김경현, 정순규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은 풍부한 지하자원을 바탕으로 원자재 수출...
진료정보교류 표준 적용 지침서
출처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진료정보교류 표준 적용 지침서 ▣ 진료정보교류 표준 적용 지침서 발간 배경 및 목적 ▣ 4차 산업혁명이 화두가 되고 있는 시점에서, 보건의료에 있어서도 정보기술과의 융...
『서울성모병원 선도형면역질환융합연구사업단』 개량 진단기술, 신개념 ...
『서울성모병원 선도형면역질환융합연구사업단』 개량 진단기술, 신개념 세포치료제 및 기술제품 국산화로 국민체감 성과 창출 - 급성골수성백혈병에서 유전자 변이 정량분석법의 신의료기술 승인 -- 급성심...
식약처, 한국인에서 간효소 유전형 변이에 따른 약물 반응 확인
식약처, 한국인에서 간효소 유전형 변이에 따른 약물 반응 확인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손문기)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우울증치료제 아미트리프틸린과 위궤양치료제 오메프라졸이 특정 간효소 기능...
행사
[YMC무료 정기세미나]★사례로 알아보는 천연물...
대한비만학회 제 46차 춘계학술대회 안내
유럽과의 R&D 협력을 위한 제 3차 한-EU R&D Fai...
Takara Webinar - Discover Next-Gen Tools to C...
사업공고
[위탁연구 공고] 2017년도 국가과학기술 인력...
2016년 글로벌 C&D 지원 사업 접수 공고
2016년도 고부가가치식품기술개발사업 자유응...
2016년도 고부가가치식품기술개발사업 지정공...
대전광역시 유성구 과학로 125(어은동) | 전화 : 042-879-8377(8382) | 관리자:bioin@kribb.re.kr
COPYRIGHT(C) 2014 By Biotech Policy Research Cente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