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 2017.2.22]
BT뉴스
‘유전자 가위’로 노인성 실명 막는다
국내 연구진이 망막에 ‘유전자 가위’를 주입해 노인성 황반변성을 치료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퇴행성 질환 유전자 수술법기초과학연, 세계 최초 개발 DA 300기초과학연구원(IBS)은 21일 IBS 유전...
국내뉴스 바로가기
3D 프린팅과 맞춤형 의료 혁명
[양재혁의 바이오톡톡]유전자분석, 대형병...
인체 거름막의 최전선 ‘장’… ‘프로바이오...
신약개발 촉진ㆍ제네릭 활성화 투 트랙
병원 중심의 의료기기 개발 협력 활발, ...
국외뉴스 바로가기
Ebola funding surge hides falling investment in...
IBM researchers train Watson to identify eye ab...
This NHS wearable knows when you're getting...
14 more medical devices may see price regulatio...
Gene editing mulled for improving livestock
BT동향/정책/성과
피어스바이오텍 선정 15대 바이오기업
BioINwatch(BioIN+Issue+Watch): 17-13피어스바이오텍 선정 15대 바이오기업 ◇ 미국 바이오 전문매체인 피어스바이오텍(FierceBiotech)은 매년 바이오제약 산업에 비약적인 발전을 ...
2016 정부 BT 연구성과 보도자료 모음집
2016 정부 BT 연구성과 보도자료 모음집 가. 발간 개요 2016 정부 BT 연구성과 보도자료 모음집은 2016년 국내 정부부처 등에서 발표된 보도자료 중 BT분야에 해당하는 주요 연구성과...
뇌 임플란트 시대, 그 가능성의 한계는?
출처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뇌 임플란트 시대, 그 가능성의 한계는? 글 : 진설아(과학기술정책연구원 미래연구센터 연구원) 소우주라 불릴 정도로 복잡한 뇌의 정체가 과거 20년에 걸쳐 빠른 속도...
2015 병원경영분석
출처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5 병원경영분석 Ⅰ. 조사개요(Survey Summary) 1. 조사목적(Purpose)본 조사는 우리나라 병원의 경영실태를 계수적으로 파악하여 정부의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몽골 제약시장, 우리 기업에 기회(2)
출처 :KOTRA 몽골 제약시장, 우리 기업에 기회(2) - 제약시장 진출은 등록이 필수 - - 한국산 의약품은 익스프레스B 형태로 등록 - □ 몽골 의약품 등록 절차 및 필수 조건 ㅇ 등록 시 알...
암세포 특이적 세포사멸을 위한 분자 마커의 발굴
출처 : 한국분자 · 세포생물학회 암세포 특이적 세포사멸을 위한 분자 마커의 발굴 저자 : 민나영 (중앙대학교) 서 론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암은 여전히 우리에게 정복되지 ...
화장품 산업이 미래성장동력으로 도약할 수 있게 지원 확대한다!
화장품 산업이 미래성장동력으로 도약할 수 있게 지원 확대한다! 복지부 차관, 화장품 기업 둘러보고 관계자 등과 간담회 실시 보건복지부 방문규 차관은 최근 어려움을 겪고 있는 화장품 업계의 애로...
우수 한의약기술의 제도권 진입 지원한다!
우수 한의약기술의 제도권 진입 지원한다! - 한방의료기관 자체 보유 한의약치료기술(비방) 공용자원으로 활용 - - 비임상·임상연구, 특허출원 등 지원, 신의료기술 진입 및 제약화 추진 - □ 보건복지부...
종자, 활발한 품종개발로 수출산업 도약
종자, 활발한 품종개발로 수출산업 도약 ‘98년 식물의 특허로 불리는 품종보호제도가 시작된 이래 2016년말 현재 9,213건이 출원되어 6,528건이 등록 되었다. 이는 출원건수 기준으로 세계에서 7번째로...
행사
한국단백체학회 2017 KHUPO Proteomics 국제학술...
The Bioprocessing Summit 2016
바이오합성연구단 성과전시회
서울포럼 2016년 : 인공지능과 바이오
사업공고
「국고지원 제한적 의료기술」 신청 공고
2017년도 한의약 치료기술 공공자원화 사업 ...
2017년도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사업제안요...
2017년도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사업제안요...
대전광역시 유성구 과학로 125(어은동) | 전화 : 042-879-8377(8382) | 관리자:bioin@kribb.re.kr
COPYRIGHT(C) 2014 By Biotech Policy Research Cente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