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 2017.7.13]
BT뉴스
줄기세포·유전자가위 규제 풀어 우리도 옥자 키우자
"줄기세포·유전자가위 규제 풀어 우리도 옥자 키우자" 광화문1번가 바이오 정책 제안 중규제 완화 촉구 가장 많아유전자가위 독보적 기술에도환자 임상 실적은 한건도 없어美·中·日 등 경쟁국에 뒤처져...
국내뉴스 바로가기
멸종위기종 ‘황금박쥐’ 너의 정체는...세...
상반기 바이오 벤처투자 약세, 지속될까
신약개발도 AI시대…제약협회, 인공지능센...
발효 한달 앞…국내 제약사 "나고야의...
구글·MS가 지카 바이러스 잡는 방법
국외뉴스 바로가기
Anti-CRISPR proteins decrease off-target side e...
In the Deep, Dark Sea, Corals Create Their Own ...
Stem Cells Guided by Electric Fields May Offer ...
IBM Watson takes on whole-genome sequencing of ...
Scientists replay movie encoded in DNA
BT동향/정책/성과
나고야의정서 및 생명자원 관련 국내외 동향 자료집 62호
출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ABS연구지원센터 나고야의정서 및 생명자원 관련 국내외 동향 자료집 [제62호] ◉ 국내동향 【신문기사 및 기타】○ DMZ에서 첫 발견된 ‘선비먼지버섯’ 신종 인정 (‘17.6...
[보건의료 R&D 동향 vol.33] 헬스케어에 활용되는 10가지 사물인터넷(...
출처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헬스케어에 활용되는 10가지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기술 [보건의료 R&D 동향 vol.33] [목 차] [특집] 헬스케어에 활용되는 10가지 사물인터넷...
나노선 기술을 이용한 손바닥 크기의 말라리아 예방약 진단 장치 개발
출처 : GT코리아,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나노선 기술을 이용한 손바닥 크기의 말라리아 예방약 진단 장치 개발 □ 프로젝트 개요 ㅇ 프로젝트 명: 나노선 기술을 이용한 손바닥 크기의...
신경전달물질 동시분비의 분자적 기전, 그리고 생리적 기능에 대한 연구
출처 : 한국분자 · 세포생물학회 신경전달물질 동시분비의 분자적 기전, 그리고 생리적 기능에 대한 연구 김재익 / 울산과학기술원 생명과학부 [서 론] 신경전달물질은 그것을 분비하는 신경...
「대한민국약전포럼(Vol.14, No.1)」 발간
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대한민국약전포럼(Vol.14, No.1)」 발간 1. 우리 원(의약품연구과)에서는 대한민국약전 등의 국제조화 및 과학적 타당성과 합리성을 높이고 최신의 품질 정보 등을 제공하는...
의약외품 허가절차 길라잡이 개정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외품 허가절차 길라잡이 개정 의약외품 허가절차에 대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발간한 「의약외품 허가절차 길라잡이」 내용 중 최근 변경된 의약외품 범위, 가이드라...
`16년 국내 의약외품 생산실적 1.9조원, 지난해 대비 4.9% 증가
`16년 국내 의약외품 생산실적 1.9조원, 지난해 대비 4.9% 증가 - 지카 등 신종 감염병 출현으로 살충‧살균 관련 제품 성장 -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류영진)는 '16년 국내 의약외품 생산실적이 1조...
농약 작업자에 노출되는 농약량 측정법 확립
농약 작업자에 노출되는 농약량 측정법 확립 - 농약방제복 규격 정해 농작업 안전에 도움 줄 것으로 기대 - 농약으로부터 농업인의 건강 보호를 위해 농약노출을 측정하면서 건강을 평가하는 기술...
먹는물 수질관리 정보 총 망라…수질기준 해설서 보급
먹는물 수질관리 정보 총 망라…수질기준 해설서 보급 ▷ 국립환경과학원, 먹는물 수질 특성, 관리 기준, 검사 방법 등을 담은 '먹는물 수질기준 해설서' 발간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원장 박진...
융합바이오세라믹에서 일자리를 찾다
융합바이오세라믹에서 일자리를 찾다 - 융합바이오세라믹소재기술 적용 일부 기업, 매출 및 일자리 2배 증가 - - 2020년까지 장비 100종, R&D 94억 원, 관련 인프라에 총 368억 원 지원 - - 융합바이...
‘영지버섯’으로 날씬해진다!
‘영지버섯’으로 날씬해진다! - 영지버섯의 항비만 효과 밝혀내... 다양한 식·의약품 소재로 활용 가능 - 각종 성인병의 대표적 원인인 비만, 그 수가 늘면서 체중조절에 관심이 많다. 이들에게 도...
BioIN에서는 생명공학 관련 분야의 원고 집필자를 모집합니다. (컨퍼런스 참관기, 미래유망기술 동향, 국가별 주요이슈 동향) 바로가기
행사
수생태계 현장체험 교육 실시
2017 대한민국지식재산대전 개최 안내
2017년 서울아산병원 [CACT-CND] 심포지엄 개최 ...
2017년 제12차 글로벌 신산업 신기술 세미나
사업공고
한국형SGER 연차실적계획서 제출 안내
2017년도 하반기 한의약선도기술개발사업 한약...
2017년도 생애 첫 연구사업 하반기 신규과제 ...
2017년 해양연관 우수기술 사업화지원사업 공...
대전광역시 유성구 과학로 125(어은동) | 전화 : 042-879-8377(8382) | 관리자:bioin@kribb.re.kr
COPYRIGHT(C) 2014 By Biotech Policy Research Cente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