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 2018.4.16]
BT뉴스
갈수록 설 자리 잃는 국산약… 상위 20개 품목 중 국산은 4개뿐
갈 길 먼 K바이오(2) 취약한 제약산업 상위 100대 품목 보험청구액 국내 제약사 4년 만에 12% 감소 국산 신약 개발 늘었지만 글로벌사와 견주기엔 '역부족'개발 느리고 시장 침투력 약해 글로벌 제품...
국내뉴스 바로가기
적혈구를 ‘필터’로...고성능 혈당측정기 ...
늙고 병든 심장을 젊고 건강하게? 시계 ...
연간 실험동물 수 300만 마리 돌파…하루 ...
세종포럼 특강 황만순 상무 “바이오산업 ...
바이오허브 홍릉, 도시재생 마스터플랜 ...
국외뉴스 바로가기
CRISPR trials are about to begin in people?...
Breakthrough brings gene-editing medicine o...
Personalized vaccine could boost survival i...
Why some cancers are 'born to be bad...
'Genotype-first' approach could fin...
BT동향/정책/성과
말기환자들의 개발 중 의약품(Experimental drugs) 접근 법안, 미국 하원 통과
BioINwatch(BioIN+Issue+Watch): 18-28 말기환자들의 개발 중 의약품(Experimental drugs) 접근 법안, 미국 하원 통과 ◇ 미국 연방의회 하원은 말기환자들이 FDA의 승인을 받지 않은 ...
바이오 인공장기의 미래(2017년 기술영향평가 결과보고)
바이오 인공장기의 미래 2017년 기술영향평가 결과보고 ▶ 본 책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위탁을 받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에서 시행한 사업(2017년 기술영향평가)의 결과물로서 일반 국민이 손쉽게...
2017년 기술영향평가 보고서(바이오 인공장기 기술)
2017년 기술영향평가 보고서(바이오 인공장기 기술) ▶ 본 보고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위탁을 받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에서 시행한 사업(2017년 기술영향평가)의 연구보고서입니다.▶이 보고서 ...
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정책현황
국내외 보건의료 빅데이터 정책현황 보건의료 분야의 빅데이터 활용은 개인이 건강을 관리하고 의료를 선택하는 방식을 변화시켜 보건의료시스템 전반에서 효율적이고 혁신적인 변화를 유발할 것으로 기대...
카네기 멜론 대학, 저가의 3D 바이오 프린터 개발
카네기 멜론 대학, 저가의 3D 바이오 프린터 개발 □ 카네기 멜론 대학의 연구진들은 표준 데스크톱 3D 프린터를 수정하여 저가의 3D 바이오 프린터를 개발했으며 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오픈 소스로 발...
지난해 의료기기 생산실적 전년 대비 3.9% 증가
지난해 의료기기 생산실적 전년 대비 3.9% 증가 - `17년 의료기기 생산실적 5조 8,232억원 -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류영진)는 지난해 국내 의료기기 생산실적이 5조 8,232억원으로 `16년(5조 6,025억원...
행사
[제8회 과총 과학기술혁신정책포럼] 4차 산업혁...
2018 제2회 K-CRAB 개최 안내
제8회 국제의약품 바이오산업 전시회
Tissue Clearing and 3D imaging Workshop
사업공고
2018년 지역 클러스터-병원 연계 창업 인큐베...
나노융합2020사업 2018년도 제2차 신규과제 ...
2018년도 한국 이공계 대학원생 캐나다 연수프...
2018년도 선도연구센터(ERC, CRC) 신규과제(...
대전광역시 유성구 과학로 125(어은동) | 전화 : 042-879-8377(8382) | 관리자:bioin@kribb.re.kr
COPYRIGHT(C) 2014 By Biotech Policy Research Cente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