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 2018.6.18]
BT뉴스
국내 연구진 개발 치매 치료제, 내년 첫 임상시험 돌입…“조기 상용화 기대”
국내 연구진 개발 치매 치료제, 내년 첫 임상시험 돌입…“조기 상용화 기대” 치매DTC융합연구단 개발‘KDS2010’상용화 가능성 높은 치매 치료제로 주목 ...
국내뉴스 바로가기
신약 가치를 높여라…제약사들 임상 데이터...
고효율 세포 치료제 확보가능 간엽줄기세...
바람 잘 날 없는 바이오①] 터져버린 버블...
“졸음”의 정체는 뇌내 단백질 밀접 일본 ...
카이노스메드, 美 파킨슨연구소와 파킨슨병...
국외뉴스 바로가기
Stanford nectar research sheds light on eco...
BIO: Lightning round with Sarepta's Dou...
NIH announces 2018-2019 Medical Research Sc...
Off-the-Shelf Genome Engineering
Biomaterial particles educate immune system...
BT동향/정책/성과
인공지능(AI)을 신약개발에 활용하는 제약사들
BioINwatch(BioIN+Issue+Watch): 18-44인공지능(AI)을 신약개발에 활용하는 제약사들 ◇ BenchSci에서 기계학습 등 인공지능(AI)을 신약개발에 활용하기 위해 AI 스타트업들과 협력을 ...
[과학기술 ICT 동향 120호] 미국, 혁신 클러스터의 성공·실패요인 분석...
제120호 과학기술&ICT 동향 www.now.go.kr을 통해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www.now.go.kr에서는 주제별, 국가별 검색도 가능하오니 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PART01 이슈 분석 :사례로...
BC200 ncRNA의 최근 연구 동향
BC200 ncRNA의 최근 연구 동향 한국과학기술원 이영훈 교수 1. 개요2001년 인간게놈 프로젝트를 통하여 유전체 전체 서열 중 단백질이 만들어지는 구역은 단 2%에 불과하다는 것이 알려졌다. 이는 ...
엔비디아, 의료영상 분야를 겨냥한 “프로젝트 클라라” 시작
엔비디아, 의료영상 분야를 겨냥한 “프로젝트 클라라” 시작 엔비디아가 의료영상 분야를 겨냥한 새로운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해 “프로젝트 클라라(Project Clara)”를 시작하였음. 이런 상황 변화에 맞...
초파리의 생체리듬과 수면
초파리의 생체리듬과 수면 최 준 호 (한국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 2017년 노벨 생리의학상은 초파리에서 일주기리듬의 분자기작을 밝힌 공로로 미국 브랜다이스대학교의 마이클 로스바쉬 (Michae...
2018년 제08호 미국 과학/공학 분야 인력 현황
2018년 제08호 미국 과학/공학 분야 인력 현황 KISTEP에서 발간하는 "KISTEP 통계브리프"(K-브리프)의 2018년 제08호입니다.이번 호는 미국과학재단에서 발표(2018.1)한 "Science and Engineering Ind...
행사
2018년도 (사)한국응용생명화학회 국제학술대회...
2018 국제학술대회 개최 일정 안내
2018 제17회 여성생명과학기술포럼 심포지엄
ISMM(The 10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Mi...
사업공고
2018년 팁스(TIPS) 프로그램(민간투자주도형 ...
제약 특화 기술가치평가 모델 고도화 사업(1...
2018년도 제3차 국가연구안전관리본부 바이오...
2018년도 제2차 「해외 우수신진연구자 유치사...
대전광역시 유성구 과학로 125(어은동) | 전화 : 042-879-8377(8382) | 관리자:bioin@kribb.re.kr
COPYRIGHT(C) 2014 By Biotech Policy Research Cente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