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 2018.1.9]
BT뉴스
유전자가위 등 3개 분야, 개인별 최대 9년간 82억 지원
유전자가위 등 3개 분야, 개인별 최대 9년간 82억 지원 과기부, 바이오 R&D 과제 공모차세대 생명과학자 육성 나서 정부가 젊은 바이오 연구자에게 최대 9년간 82억원을 장기 지원하는 사업...
국내뉴스 바로가기
줄기세포 연구 교수 1명에게 10년간 1조원...
"신약개발에 필요한 아톰넷, 국내에도...
소외질병 R&D 투자 증가…에이즈ㆍ말라리아...
日, 최대의 적 치매와의 전쟁
[2018 산업별 전망-종자] 나고야의정서 ...
국외뉴스 바로가기
From J.P. Morgan: More Capital Will Boost B...
Heart Disease Prediction Made Easier with N...
Fighting superbugs with ‘supercharged’ anti...
Heart attack care dangerously unequal for w...
Genome size affects whether plants become i...
BT동향/정책/성과
[제109호 과학기술&ICT 동향] 중국, 2016년 R&D 투자 현황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제109호 과학기술&ICT 동향] 중국, 2016년 R&D 투자 현황 과학기술 ICT 동향 제109호입니다. www.now.go.kr을 통해서도 보실 수 있습니...
보건산업 4차 산업혁명 시리즈2: 헬스케어 분야에서의 로봇 활용과 전망
출처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산업통계 보건산업브리프 Vol.249 보건산업 4차 산업혁명 시리즈2: 헬스케어 분야에서의 로봇 활용과 전망 [목 차] 1. 개요 2, 주요 분야 및 활용사례 3. 시사...
[첨단기술정보분석 니즈정보]바이오산업에서 나노기반 Drug Delivery ...
출처 :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 [첨단기술정보분석 니즈정보] 바이오산업에서 나노기반 Drug Delivery System 공동관심기술 보고서3 안녕하십니까? 니즈정보분석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
줄기세포의 역동적 상태: 설치류와 인간에서의 naive, primed 다능성 ...
출처 :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줄기세포의 역동적 상태: 설치류와 인간에서의 naïve, primed 다능성 비교 [목 차] 1. 서론 2. 생쥐의 다능성 상태 3. 인간의 다능성 상태 4. 다능성 상태의 ...
계절에 따른 식품 및 영양소 섭취 현황
출처 : 질병관리본부 계절에 따른 식품 및 영양소 섭취 현황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 건강영양조사과/김양하, 양지은, 권상희, 오경원**교신저자: kwoh27@korea.kr, 043-719-7460 Abstract Se...
체중감량 표방제품(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및 와일드망고 종자추출...
출처: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체중감량 표방제품(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및 와일드망고 종자추출물)의 임상적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 연구 책임자 / 신채민 [요약문] Executive Summary ⅹ ...
‘대한민국 바이오 위대한 도전’, 젊은 연구자 한우물 연구로 세계 최초...
‘대한민국 바이오 위대한 도전’,젊은 연구자 한우물 연구로 세계 최초 기술 만든다 - 유전자가위, 합성생물학, 유용미생물 등 미래를 바꿀 기술개발에 연구자별 최장 9년, 최대 82억원까지 지원 - □ 과학기...
제1차 국민건강보험종합계획 수립, 소통으로 본격 시동
제1차 국민건강보험종합계획 수립, 소통으로 본격 시동 - 의약계‧학계‧시민사회 등 사전 의견수렴을 위한 릴레이 간담회 개최 -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우리나라 건강보험제도의 장기비전을 제시하고 ...
행사
2018년 생명약학연구회-약제학회 동계심포지엄
2018 하이원 신약개발 심포지아
생화학분자생물학회(KSBMB) 제 9회 동계학술대회
글로벌 첨단바이오의약품 기술개발사업
사업공고
2018년도 주요사업 위탁연구과제(신규) 선정계...
미래선도 기술개발 신시장 창출형 사업 2018...
나노융합2020사업 2018년도 신규과제 공모
2018년도 1차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신규과...
대전광역시 유성구 과학로 125(어은동) | 전화 : 042-879-8377(8382) | 관리자:bioin@kribb.re.kr
COPYRIGHT(C) 2014 By Biotech Policy Research Cente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