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 2018.7.4]
BT뉴스
생물자원 확보 글로벌경쟁 격화, 정부도 하반기중 10종 우선 선정
생물자원 확보 글로벌경쟁 격화, 정부도 하반기중 10종 우선 선정 과기부 ·농식품부 등 7개부처 공동 세포·유전자·데이터 집중적 관리2020년까지 10종 추가 선정키로 나고야의정서 발효를 계기로...
국내뉴스 바로가기
꽉 막힌 의료 빅데이터, 특별법이 해답....
유전자 치료제, 황우석 트라우마 극복해야
인공 안구 개발 활발…시각 질환자 희망 ...
2살된 ABL바이오 기술수출 대박... 美에 ...
삼성, '닮은 듯 다른' 두 합작사...
국외뉴스 바로가기
regnancy loss occurs in 26 percent of Zika-...
Boehringer commits €230M to build German bi...
NIH-funded study finds new evidence that vi...
Brain Cancer Gets the Polio Treatment
New insights into antiviral gene could help...
BT동향/정책/성과
바이오벤처를 통해 본 일자리 창출
1. 글을 시작하면서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자국의 일자리를 어떻게 확보하고 확대할 것인가가 세계 각 정부의 목표이자 역할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2016년 1월에 개최된 세계...
일자리 창출, 바이오헬스 혁신에 달렸다
1. 배경 최근 3년 간 우리나라를 뒤덮은 가장 큰 이슈 중 하나가 4차 산업혁명이다. 수십 년 간 제조업을 바탕으로 성장해 온 우리나라는 새로운 성장엔진을 발굴해야 하는 ...
바이오의약 전문 인력 육성 현황
1. 현황 바이오의약 산업은 고성장이 예상되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향후 한국경제의 차세대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인구고령화, 의학 기술의 발전...
최신 환자 맞춤형 암백신 성공사례
최신 환자 맞춤형 암백신 성공사례 2년 전체생존율이 100% [본 소식은 Nature Reviews Drug Discovery 2018, May 30에 발표된 Megan Cully의 기고문 “Personalized cancer vaccines hit the spot”의 내용...
블록체인 기반 의료산업 혁신
블록체인 기반 의료산업 혁신 보건의료RnD 전문가 리포트 저자 : 김경훈,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내 용] 1. 개요2. 블록체인과 의료산업3. 블록체인 기반 의료산업 혁신 방안4. 맺음말 블록체인...
국내 연구장비산업 혁신시스템 활성화 방안
국내 연구장비산업 혁신시스템 활성화 방안 □ 우리나라는 현재 추격형에서 선도형 R&D로 전환하려는 국가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반도체 등 일부 소비재 제품에서는 세계 1위의 경쟁력을 보...
의약품 재평가 실시에 관한 규정 가이드라인
의약품 재평가 실시에 관한 규정 가이드라인 식품의약품안전처(의약품안전평가과)에서는 주기적으로 실시하던 의약품 재평가 제도가 안전성·유효성 검토 필요 대상을 선정하여 실시하는 방식으로「의약품...
2017년 3D프린팅 산업실태조사
2017년 3D프린팅 산업실태조사 제1장 연구 개요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3D 프린팅 산업 태동 3D 프린팅 산업 정의 및 산업 범위‘3D 프린터’의 기본 개념은 여러가지 소재를 활용하여 적층 ...
바이오경제의 핵심소재인 생명연구자원 최근 약 10배 확대
바이오경제의 핵심소재인 생명연구자원 최근 약 10배 확대 - 2017년 현재 생명연구자원 11,747,532건 확보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바이오경제의 핵심소재인 생명연구...
행사
KSSCR 2018 Annual Meeting 2018 Annual Meeti...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할 스마트 헬스케어 세미나...
혁신 신약 R&D 및 신약개발 중개연구
제16회 인터비즈 바이오 파트너링&투자포럼 20...
사업공고
근골격계 질환 예측을 위한 학습용 임상 데이...
2018년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선행기획연구...
2018년 제2차 출연연구개발과제 지정공모 재공...
2018년 제4차 용역연구개발과제 주관연구기관...
대전광역시 유성구 과학로 125(어은동) | 전화 : 042-879-8377(8382) | 관리자:bioin@kribb.re.kr
COPYRIGHT(C) 2014 By Biotech Policy Research Cente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