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 2018.7.12]
BT뉴스
바이오헬스 활성화 첫 걸음 '헬스케어 오픈이노베이션 협의체' 출범
클러스터 간 연계·협력 체계 구축‥기업 수요 맞춤형 지원 예정 바이오헬스산업 활성화는 물론 기업, 병원, 투자자 모두를 만족시킬 소통 협의체가 출범한다.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오는 ...
국내뉴스 바로가기
기술력 확실하면 미국서 창업하라
세계 신약개발 트렌드는…제약사부터 정부...
삼성, ‘인공 세포’에 300억 투자…하버드大...
[바이오를 신성장 동력으로①] 커져가는 ...
논란 속 ‘바이오’의 부활…벤처기업에 흘러...
국외뉴스 바로가기
Axovant Licenses Benitec Gene Therapy Candi...
Gilead’s senior clinical research director ...
Genome's gyrations fit right into Rice ...
Senolytic drugs reverse damage caused by se...
After breathing new life into old mice, sen...
BT동향/정책/성과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 동향과 정책 시사점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 동향과 정책 시사점 이 글에서는 헬스케어 분야에서 디지털 전환의 심화 현상을 탐색하고, 한국의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했다. 디지털 전환 심화 현상을 ‘데이터’를 중심으로 살...
메르스 바이러스 인체감염 발생 동향 및 유전자 정보 분석
메르스 바이러스 인체감염 발생 동향 및 유전자 정보 분석 질병관리본부 감염병분석센터 바이러스분석과 김정민, 정윤석, 강춘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감염병연구센터 신종감염병‧매개체연구과...
[제122호 과학기술&ICT 동향] 일본 미래투자전략 2018 발표 등
과학기술 ICT 동향 제122호 www.now.go.kr을 통해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www.now.go.kr에서는 주제별, 국가별 검색도 가능하오니 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PART01 이슈 분석 :시진핑...
R&D 실증사업의 유형별 특성과 중요도-성취도(IPA)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R&D 실증사업의 유형별 특성과 중요도-성취도(IPA)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제언 □ 2018년 문재인 정부는 “국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기술 활용”을 R&D의 투자방향으로 제시하고, 사회문제 ...
피부 부착하는 투명 접착성 전도체 개발
피부 부착하는 투명 접착성 전도체 개발 - 투명 전도성 반창고로 심전도 측정 가능- □ 별도의 접착제 없이도 피부에 강하게 접착하여 생체 신호를 읽을 수 있는 투명 전극 재료가 개발되었다. 김진훈 박사과정생ㆍ박진우 교수...
바이오헬스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헬스케어 오픈이노베이션(건강관리 ...
바이오헬스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헬스케어 오픈이노베이션(건강관리 개방형 기술혁신) 협의체」출범 - 클러스터(연합지구) 간 연계·협력 체계 구축 -- 기업이 필요로 하는 시설·장비 등 자원 및 사업화...
행사
[한국유전체학회] 2018년도 정기학술대회
[사전등록] HLA 심포지엄(Recent advances of ...
마이크로 LED 핵심 기술 이슈 및 산업 적용 방안...
오송 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 ...
사업공고
[바이러스분석과] 감염병 병원체 통합 유전자...
신진연구 종료과제(6월 종료) 최종보고서 제출...
2018년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첫걸음.도약...
생물다양성 위협 외래생물 관리 기술개발사업...
대전광역시 유성구 과학로 125(어은동) | 전화 : 042-879-8377(8382) | 관리자:bioin@kribb.re.kr
COPYRIGHT(C) 2014 By Biotech Policy Research Cente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