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Investment Trends in Post COVID-19 Era
스틱벤처스 부대표(CIO) 박민식(생물공학박사)
처음엔 중국 소도시에서 벌어진 해프닝일 뿐이라고, 한국에서 첫 확진자가 나왔을 때만 해도 유행성 독감처럼 금새 지나갈 것이라고, 믿었던 코로나 팬더믹이 어느덧 1년을 훌쩍 넘기면서 장기화 국면으로 향하고 있다. 요즘 “평생 잰 체온보다 올해가 훨씬 더 많았다!”, “기내식이 그리워진다!” 등 농담 아닌 진담을 듣게 되고, 미세먼지가 심한 날에나 착용했던 마스크와 실험실에서 미생...
|
|
|
|
|
|
|
|
코로나 팬데믹의 영향과 과제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정인석
1. 들어가며
코로나 팬데믹의 기세가 최근에는 더욱 기승을 부리고 있다. 백신이 개발되고 접종이 시작된 것이 그나마 다행이다. 끝은 보이더라도 그 끝은 여전히 멀게만 느껴진다. 우리는 지난 1년, 상상도 못했던 엄청난 경험을 했다. 병에 대한 두려움에 움츠려 살았고 거의 모든 일상의 활동이 제약을 받았으며, 소상공인과...
|
|
|
|
|
|
|
|
우리나라 바이오산업의 현황과 정책적 이슈
인하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오준병
1. 들어가며
오늘날 기술혁신(innovation)은 국가의 경제성장과 기업의 생존, 그리고 경제 구성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요인이다. 산업 간 융합으로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이 예측되는 4차 산업혁명은 바이오산업을 전기·전자 산업 분야와 더불어 우리나라 미래의 중요한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인식되도록 하고 있으며, 최근 COVID-19의 전 세계적인 확산...
|
|
|
|
|
|
|
|
바이오 산업과 약가 제도
HnL 법률사무소, 성균관대학교 제약산업학과 겸임교수
1. 들어가며
약가는 바이오 산업에서 제약회사가 수익을 얼마나 얻을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약가에 판매량(≒ 사용량)을 곱하면 해당 의약품의 매출이 나오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약가는 의약품을 필요로 하는 자가 얼마나 용이하게 그 의약품을 사용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다. 경제적...
|
|
|
|
|
|
|
|
바이오경제의 정책 방향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최윤희
1. 바이오경제 정의 및 범위
바이오기술의 혁신성과 융합성에 기반을 두어 바야흐로 바이오경제 시대가 도래하였다.
여기에서 바이오경제는 바이오기술을 활용하여 창출되는 유의미한 사회경제적 효과를 총체적으로 의미한다. OECD는 바이오경제의 범위를 1차 산업(농식품), 보건의료, 에너지 및 환경 분야를 중심으로 정의하면서, 바이오기술이 2030년까지 경제적 효과를 크게 나타낼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
|
|
|
|
|
|
|
개방형 혁신을 통한 신약 사업 리스크 관리와 제언
황지만 파트너,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1. A사의 고민
국내 제약회사인 A사는 10년 전 주력 사업이었던 제네릭(복제약)으로는 사업 지속이 어렵다고 판단하여, 신약 개발 프로젝트를 가동하였다. 국내외 전문가를 영입하고, 매출의 5%를 지난 10년간 신약 프로젝트에 투입하였다. 임직원들의 뼈를 깎는 노력을 바탕으로 신약 개발에 매진한 결과 항암신약을 미국 2상에 진입시키는 데 성공한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