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 "대미 투자기업 등 불안감 해소에 만전"

입력 2024-07-25 09:5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제2차 글로벌 통산전략회의' 개최…"정부·업계 원 팀 돼 불확실성 완화"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18일 울산 울주군에 위치한 린노알미늄을 방문,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뉴시스)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18일 울산 울주군에 위치한 린노알미늄을 방문,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뉴시스)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25일 “하반기 미국 대통령선거 등을 거치며 글로벌 리스크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며 “정부와 업계가 원 팀이 돼 불확실성을 완화하고, 대미 투자기업 등 업계의 불안감 해소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 본부장은 이날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대미 투자기업, 경제단체, 통상 전문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제2차 글로벌 통산전략회의’를 주재하고 “글로벌 통상환경의 불확실성과 변동성 증대에도 불구하고, 상반기 역대 2위 수출실적을 거뒀다”고 평가하며 이같이 말했다.

산업부는 상반기 제1차 회의에서 ‘슈퍼 선거의 해’를 맞아 글로벌 통상환경 전반을 조망하고 주요 업종별 영향 및 대응전략을 점검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미 대선 등 대미 통상 리스크 대응과 공급망 안정화 방안에 초점을 맞춰 업계·학계와 대응전략을 논의했다.

먼저 정부는 대미 통상 리스크와 관련해 그간 미 정부·의회·싱크탱크 등을 대상으로 진행해 온 아웃리치 현황과 주요 대미 투자기업의 상황 인식·대응 현황을 공유했다. 업계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 불확실성 확대로 인한 중장기 투자계획 수립, 사업 운영의 어려움 등 애로 해소와 미 대선 이후 탄소중립 관련 등 정책 변화 최소화를 위한 정부 차원의 지원을 요청했다.

이 밖에 정부는 공급망 안정화 이슈와 관련해 4월 발효된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 공급망 협정을 통한 유사입장 국가 간 공조방안을 공유하고, IPEF 공급망 위기대응네트워크(Crisis Response Network, CRN) 등을 활용한 공급망 안정화 전략을 논의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삼성월렛, 新 상품권 출원⋯뉴 디지털 금융 플랫폼 대전환 예고
  • 대기업 몰리자 ‘20억’ 신고가⋯훈풍 부는 마곡 집값
  • [날씨] 오후부터 일부 지역 비 소식…시간당 최대 10㎜ 소나기 주의
  • '나는솔로' 26기 영호, 여성 3인의 선택⋯현숙까지 몰렸다 "가장 잘생겨"
  • “동남아 여행 괜찮을까요?” 니파 바이러스·코로나19 확산 경고 [해시태그]
  • 단독 美서 퇴출 수순 '中 항만크레인', 韓 시장 절반 넘게 장악
  • KIA 김도영, 햄스트링 또 터졌다⋯부상 악령 시달리는 디펜딩 챔피언
  • 세금 성실히 내고 쌓은 ‘세금포인트’로 혜택 누려볼까 [경제한줌]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29 09:1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0,164,000
    • -0.56%
    • 이더리움
    • 3,732,000
    • +1.33%
    • 비트코인 캐시
    • 588,000
    • +2.44%
    • 리플
    • 3,169
    • -1.31%
    • 솔라나
    • 239,300
    • -2.17%
    • 에이다
    • 1,040
    • -1.14%
    • 이오스
    • 1,039
    • -1.98%
    • 트론
    • 381
    • -1.04%
    • 스텔라루멘
    • 39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500
    • -0.59%
    • 체인링크
    • 21,780
    • -1.13%
    • 샌드박스
    • 427
    • +0%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