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 2019.5.30]
Marine Cell Factory : 해양미세조류
1. 배경 해양미세조류는 지구 대기환경 조성에서부터 육상 및 수생 생태계의 생물 다양성과 생산성을 결정짓는 중추적인 생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광합성 생물인 해...
해양천연물의 한계 극복을 위한 최신 생명공학 연구 기법
1. 해양천연물 개요 가. 해양천연물 연구의 중요성 천연물은 인간에게 지속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제공해왔고, 다양한 항생제와 항암제를 포함하여 새로운 약물 구조 개발...
해양유래 천연고분자 기반 바이오소재 개발 동향
1. 해양바이오산업의 배경 가. 해양생물자원 그림 1. 해양바이오 기술과 산업의 정의 최근 세계적으로 석유자원 및 식량자원의 고갈, 토양의 황폐화, 사막화, 오염문...
감염병 유입차단부터 현장대응, 확산 방지까지 한국 맞춤형
방역연계범부처감염병연구개발사업단 2018년도 연례보고서 발간 연세대는 국내외에서 감염병이 발생했을 때 이를 전하는 국내외 기사를 자동으로 수집해 해외 감염병 발생 소식을...
환자 대신한 아바타 실험동물로 최적의 항...
전체 2% '왼손잡이 달팽이' 유전자...
'인보사' 허가 취소 파장… 남은 ...
IT업계 베테랑이 임상시험과 IT의 시너지를...
슈퍼박테리아 문제, 과학적 접근으로 해법...
The Human Microbiome Project expand...
Betting on Blood
Humans’ DNA-Binding Motifs Surprisi...
Improving CAR T Immunotherapy Resul...
Taking Brakes off Bad Fat to Good F...
[제143호 과학기술&ICT 동향] 영국, 2018년도 생명과학 및 의료기술 통계 발표 등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9-05-30
개방형 바이오 IP 기술사업화 사업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9-05-30
mRNA 백신-백신학의 새로운 시대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2019-05-30
성장하는 미얀마의 원격의료 서비스
[KOTRA 해외시장뉴스]
2019-05-30
국가방역체계 고도화를 위한 범부처감염병연구개발사업, 출범 1주년 연례보고서 발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9-05-30
환자 편의를 위한 진료정보교류사업 전국 네트워크 완성!
[보건복지부]
2019-05-30
생체영상기반 신약개발 플랫폼 기술동향
제 2회 바이오큐브(바이오창업부트캠프) 개최 안내
Cheat Sheet을 이용한 R 코딩 클리닉
2019년 제2차 LMO 안전 전문강사 양성 신규교육
2019년도 하반기 개인기초연구사업 신규과제 공모
2019년도 LMO(유전자변형생물체) 안전 유공자 표창 계획 공고
2019/2020년도 양자연구교류지원사업(대만, 러시아, 베트남, 벨기에, ...
2019년도 '유휴·저활용 연구장비 이전 지원 사업' 공고
대전광역시 유성구 과학로 125 | 전화 042-879-8377 | 관리자:
bioin@kribb.re.kr
COPYRIGHT(C) 2018 By Biotech Policy Research Cente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