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2020년 국내 BT투자 및 정책동향
김은정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센터장
1. 들어가며
정부차원에서 BT 분야의 R&D를 지원하고 산업을 육성하고자 기반을 만들고 투자를 시작한 90년대 중반으로부터 25여년을 지나고 있는 이 시점에서 가장 주목되는 생태계의 변화는 벤처캐피털(VC) 투자다. 2019년 11월까지 바이오헬스 분야의 VC 투자가 1조원을 기록했다는 뉴스가 눈길을 끌고 있다. K-바이오의 가능성을 전 세계적으로 보여준 2015년 연말 한미약품의 대규모 글로...
|
| |
|
|
|
|
|
중국의 최신 바이오 정책 및 투자 동향
조경매 한중과학기술협력센터 연구원
1. 서언
세계는 4차 산업혁명의 시대를 맞아 IT기술을 바탕으로 빠르게 AI 시대로 진입하고 있다. 하지만 머지않아 인간의 건강과 수명을 책임지게 될 바이오가 세계 경제를 좌우하는 시대가 도래 할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바이오는 21세기에 들어 가장 혁신적이고 경제발전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산업으로서 세계 주요국 간의 경쟁이 치열한 분야다. 중국은 전통적으로 바이오분야에서...
|
| |
|
|
|
|
|
해외 바이오 정책 동향
김정석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경영기획부장
1. 배경
바이오는 보건·의료, 식량, 에너지, 환경변화 등 인류의 난제들을 공통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핵심 기술로 UN이 설정한 지구의 지속가능 발전목표(SDGs) 17개 중에서 11개의 목표달성에 기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경제성장 가능성과 고용유발효과가 커서 많은 나라들이 차세대 주력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2030년경 세계 경제에 대변혁을 일으키는 바이오경제시대로 진입할 것...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