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행사/교육

SNU-GMI International Symposium (서울대학교 유전체의학연구소 국제 심포지엄)

  • 등록일2024-10-22
  • 조회수1923
  • 구분 국내
  • 행사교육분류 행사
  • 주관기관
    서울대학교 유전체의학연구소
  • 행사장소
    Online 개최
  • 행사기간
    2024-10-30
  • 신청기간
    2024-10-21 ~ 2024-10-29
  • 원문링크
  • 키워드
    #서울대학교 #유전체의학연구소 #심포지엄
  • 첨부파일

 

 

SNU-GMI International Symposium (서울대학교 유전체의학연구소 국제 심포지엄)


서울대학교 유전체의학연구소장 김종일입니다. 

3회에 걸친 지난 유전체의학연구소 국제심포지엄에 많은 참여와 관심을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올해도 성원에 힘 입어 네 번째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하고자 합니다. 

유전체의학연구소는 2020년 교육부 지원 ‘이공분야 기초연구사업의 중점연구소’로, 이듬해인 2021년 ‘SNU 10-10 Project’ 유망 학문분야에 선정되었습니다. 2022년에는 ‘국가지원연구센터 사업’에 선정되는 등 유전체의학 분야에서 세계적인 연구소로 도약하기 위한 여러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이번 국제심포지엄에서는 유전체의학 분야의 최신 연구동향인 Single-Cell Multi-Omics와 AI를 주제로 국내외 연구진과 상호 연구결과를 공유하고 교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였습니다. 

심포지엄의 첫 세션에서는 Single-Cell 분석의 Data Diffusion 기법을 개발하신 David van Dijk (Yale University, USA) 교수님의  “Learning the Language of Biology: Transforming Biomedical Discovery with Foundation Models and Causal Inference” 주제의 강연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이어 Human Pancreatic Islet Single-Cell Multi-Omics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하고 계시는 Kyle Gaulton (UC San Diego, USA) 교수님의 “Single-Cell Genomics in Health and Disease” 주제의 강연이 예정되어 있으며, KAIST 박종은 교수님께서는 Public Data와 Integration Pipeline을 이용한 “Building Cross-Tissue Single-Cell and Spatial Atlas” 주제의 강연을 준비해주셨습니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Cell Fate와 Identity Transition를 통한 Stem Cell Therapy 연구의 권위자이신 Samantha Morris (Washington University, USA) 교수님께서 "New Single-Cell Lineage Tracing Technologies to Deconstruct Cell Identity” 주제로 강연하실 예정입니다. 이어서, Genome Institute of Singapore의 Tim Stuart 박사님의 “Scaling Single-Cell Analysis with Regulatory Element Modules” 주제로 강연이 준비되어 있으며, 대규모 환자 데이터로부터 질병과 관련된 유전자와 환경 간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를 주도하는 Jimmie Ye (UC San Francisco, USA) 교수님의 “Moments in Data: Statistical Inference in Single-Cell RNA-Seq” 주제로 강연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심포지엄 강연의 마지막으로 Single-Cell Analysis Application과 Atlas-scaled Data 분야의 세계적인 리더이신 Fabian Theis (Helmholtz Munich, Germany) 교수님께서 “Generative AI for Learning Cellular State & Response from Single Cell Genomics” 주제로 강연을 준비해 주셨습니다. 

이번 학술대회에 관심 있으신 많은 분들의 참여를 부탁드리며, 이를 통해 향후 다양한 공동 연구 및 교류의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유전체의학연구소장 김종일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