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유전자치료제
세포·유전자 치료제(Cell and Gene Therapy, CGT)는 유전자 또는 세포를 조작해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첨단 바이오의약품을 의미합니다.차세대진단기술
차세대 진단기술은 임상면역·화학적진단, 분자진단(MDx)과 현장진단(POCT)으로 구분되며 임상면역·화학적진단은 기존 임상화학과 면역 분석이라는 단일 플랫폼이 통합된 형태로 질병의 조기 발견, 정확한 진단, 개인 맞춤형 치료를 가능하게 하며, 의료 분야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이끌고 있습니다.인공지능(AI)
생명공학에서의 인공지능(AI)은 기계 학습, 딥 러닝, 신경망, 자연어 처리 등 다양한 기술을 포괄, 생명공학에서 AI의 핵심 전제는 이러한 기술을 사용하여 복잡한 생물학적 과정을 이해하고, 연구 방법론을 개선하며, 혁신적인 생명공학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이용됩니다.-
20년 후 발생될 질병을 예측하는 AI 모델 개발
기술동향
한국바이오협회
2025.10.16
-
인공지능(AI) 기반의 심층 생성모델을 이용한 다중 타깃 신약 디자인 연구 동향
기술동향
BRIC
2025.09.29
-
AI 기반 농업 육성을 위한 정부R&D 지원 전략
정책동향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25.09.26
-
Genome Editing-AI Robotics(GEAIR)로 작물 교배 자동화 시스템 구현
BioINwatch
2025.09.23
-
AI 기반 신약개발: 중국 시장의 부상과 국제적 위상
기술동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25.09.22
노화
노화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점진적으로 생명체의 기능이 떨어지며, 생명력, 생식력 또한 감소하면서 종국에는 죽음에 이르게 되는 일련의 생물학적 현상을 의미합니다.-
‘젊은 피’로 우리 몸 노화 시계 늦출 수 있다…과학은 그 미스터리 입증하는 중
기술동향
한국경제
2025.10.16
-
역노화기술: 후성유전적 리프로그래밍
기술동향
한국바이오협회
2025.09.10
-
노화(Ageing)와 장수(longevity)의 멀티오믹스적 변화 및 최신 연구 동향
기술동향
BRIC
2025.07.09
-
[2025 바이오 미래 유망기술(상)] 항노화 항체 치료제 연구 최신 동향
BioINpro
김천아/한국생명공학연구원 노화융합연구단 책임연구원
2025.05.21
-
다중오믹스 데이터 분석으로 뇌 노화 지표를 발굴하고, 기존 약물을 재창출
BioINwatch
2025.05.16
오가노이드
장기유사체 또는 미니 장기로도 불리는 오가노이드는 줄기세포나 장기 기원세포로부터 분리한 세포를 3차원 배양법으로 다시 응집·재조합하여 만든 장기 특이적 세포 집합체이며, 오가노이드는 자가 조직화(Self-organization)가 가능해 일반적인 배양 세포보다 복잡한 생체의 장기를 모방할 수 있어 신약 개발, 인공 장기 및 질병 치료 등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오가노이드의 복합체, 어셈블로이드(assembloid)
BioINwatch
2025.08.27
-
FDA, 동물실험 대체 계획 발표 ‘오가노이드·AI’ 전환 공식화
기술동향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
2025.07.22
-
맞춤형 ASO 치료제 개발에 유연성과 확장성을 제공하는 오가노이드 플랫폼
BioINwatch
2025.02.06
-
[KRIBB 워킹그룹] 첨단의약품 개발을 위한 오가노이드 기술
BioINpro
손미영 외 14명/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아젠다연구부
2024.11.07
-
차세대 플랫폼, 오가노이드 암, 희귀질환 연구, 약물 스크리닝에 독보적 활용 차세대 혁신 치료제로써, 오가노이드 주목
기술동향
한국경제
2024.10.07
합성생물학
합성생물학은 생명현상의 매커니즘을 표준화ㆍ모듈화하고 새로운 기능의 바이오 부품ㆍ회로를 합성한 생명체 세포를 구축하여 산업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혁신적 기술 분야입니다.-
합성생물학과 글로벌 환경 거버넌스 동향
정책동향
합성생물학 지식·정보 허브
2025.10.20
-
합성생물학을 활용한 천연 색소 및 유도체 생산 기술 동향
기술동향
합성생물학 지식·정보 허브
2025.10.17
-
OECD, 합성생물학 분야 정책 이슈 및 기회 분석 보고서 발표
정책동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5.09.11
-
[합성생물학 동향] 합성생물학 분야 기술경쟁력 및 정부 R&D 투자현황 분석
BioINpro
김경남, 이휘섭/한국생명공학연구원 첨단바이오 국가기술전략센터
2025.09.10
-
Long-DNA 합성기술: 합성생물학 혁신의 핵심 동력
BioINwatch
2025.09.01
바이오 빅데이터
헬스케어 산업의 패러다임이 질병 치료 및 의료기관 중심에서 사전 예방 및 소비자 중심으로 변화함에 따라 바이오·의료산업 전반의 생태계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바이오·의료 관련 데이터의 양적 증가와 함께 인공지능, 클라우드, 딥러닝 등 분석기술의 발전에 따라 바이오 관련 빅데이터의 분석·활용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보건산업브리프 Vol. 389] 바이오 빅데이터와 헬스케어 데이터 플랫폼의 효과적인 연계를 위한 관련 동향분석 및 시사점
인프라동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23.11.22
-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인프라의 미래 : 바이오 빅데이터 인프라 구축 동향 및 발전방향
인프라동향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23.06.29
-
바이오 빅데이터 분야 4P분석
BioIN4P
2022.05.24
-
바이오 빅데이터 시대의 [차세대] 생명정보학
산업동향
한국연구재단
2021.12.02
-
유전체 관련 바이오 빅데이터 분석 활용 및 시사점
BioINpro
염민선/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21.11.30
디지털 치료제
기존의 먹는 알약이나 주사제가 아닌 디지털 기술(소프트웨어)로 환자를 치료하는 새로운 개념의 디지털 치료제(Digital Therapeutics) 등장하였고, 디지털 치료제(Digital Therapeutics, DTx)는 질병 및 장애를 예방, 관리 및 치료하기 위한 고품질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환자에게 근거 중심 치료(evidence-based therapeutic)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마이크로바이옴
마이크로바이오타(microbiota)와 게놈(genome)이 합쳐서 만들어진 합성어로 인간, 동·식물, 토양, 바다, 호수, 암벽, 대기 등 모든 환경에서 서식하거나 공존하는 미생물과 그 유전정보 전체를 포함하는 미생물군집을 의미합니다.-
[생물의약품]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기반 장내 세균 의료제품에 대한 고려사항(생균치료제(LBP)의 개발 및 평가 시 고려사항
기술동향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2025.09.09
-
인공지능 기반 마이크로바이옴 최신 연구동향 및 전망
기술동향
한국바이오협회
2025.06.20
-
[KRIBB 워킹그룹]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장 면역 조절 연구 동향
BioINpro
강혜지 외 13인/한국생명공학연구원 마이크로바이옴융합연구센터
2024.12.16
-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현재의 연구 동향과 미래 전망
기술동향
BRIC
2024.11.21
-
"EFSA의 위해성평가에 환경 마이크로바이옴을 통합하기 위한 로드맵" 주요 내용 검토 및 시사점
제도동향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2024.10.14
줄기세포
줄기세포의 분화 및 운명 결정 등에 대한 우리의 이해가 높아짐에 따라 생명과학의 기초연구에서부터 질병 모델링, 약물 스크리닝 및 조직공학·장기 개발까지 다양한 응용분야의 in vitro 및 in vivo에서 줄기세포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유전자편집기술
생명체의 유전자 정보를 원하는대로 바꿀수 있는 유전자편집기술(유전자가위라고도 함)은 질병 치료 및 농수축산 분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이러한 공로로 제3세대 유전자편집 기술인 크리스퍼(CRISPR-Cas9) 유전자편집기술을 개발한 과학자들에게 2020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하였습니다.-
[LMO 규제 동향] 신기술(합성생물학, 유전자편집기술) 발전에 따른 LMO 규제 동향
BioINpro
이주석/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평가센터
2025.08.20
-
신기술(합성생물학, 유전자편집기술 등) 발전에 따른 유전자변형미생물(GMM)의 합리적 규제 방안
BioINwatch
2025.03.27
-
[이슈 브리핑] '혁명적'이라는 찬사를 받는 새로운 유전자 편집기술 발견
기술동향
한국바이오협회
2024.07.11
-
[ASTI Market Insight 248] 유전자 편집 기술
기술동향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24.04.30
-
크리스퍼 유전자편집기술의 새로운 트렌드
BioINwatch
2024.01.04
백신
백신은 사람이나 동물에 병원체(세균 및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에 대한 후천성 면역을 부여하는 의약품으로, 면역 증진뿐만 아니라 질병의 치료와 예방을 돕습니다.-
글로벌 팬데믹 대비와 보건의료 주권: 차세대 mRNA 백신·치료제 개발 및 국제 협력 전략
기술동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25.10.02
-
백신의 항체의존 세포포식 및 세포독성 분석 시험정보집 발간 안내
기술동향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2025.09.26
-
백신 조력자에서 세균 저격수로…지질나노입자의 반전 활약
기술동향
한국경제
2025.09.04
-
글로벌 백신 공급망과 무역·통상·관세
인프라동향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25.08.13
-
[KRIBB 워킹 그룹] mRNA 암 백신의 연구동향
BioINpro
조성찬 외 14명/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핵산치료제연구센터
2025.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