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치료제
기존의 먹는 알약이나 주사제가 아닌 디지털 기술(소프트웨어)로 환자를 치료하는 새로운 개념의 디지털 치료제(Digital Therapeutics) 등장하였고, 디지털 치료제(Digital Therapeutics, DTx)는 질병 및 장애를 예방, 관리 및 치료하기 위한 고품질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환자에게 근거 중심 치료(evidence-based therapeutic)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Collection
디지털 치료제
개념
● 기존의 먹는 알약이나 주사제가 아닌 디지털 기술(소프트웨어)로 환자를 치료하는 새로운 개념의 디지털 치료제(Digital Therapeutics) 등장하였고, 디지털 치료제(Digital Therapeutics, DTx)는 질병 및 장애을 예방, 관리 및 치료하기 위한 고품질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환자에게 근거 중심 치료(evidence-based therapeutic)를 제공하는 것이다.
● 디지털치료제라는 새로운 범주의 의약품은 헬스케어 생태계 전반에 걸쳐 지속적으로 통합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헬스케어의 전달방식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한다.
- 디지털 치료제는 광범위한 디지털 건강(건강 관련 목적으로 환자를 참여시키는 모든 기술 포괄) 환경에서 독립적인 범주의 근거 중심 제품을 형성하고 있어, 다른
디지 털 건강 범주의 제품들(순응 준수(pure-play adherence), 진단, 원격 헬스 등)과 구별된다.
- 근거 기반 치료적 중재를 위해 기존 의약품처럼 임상시험 실시, 치료효과 검증, 규제당국 허가, 의사 처방, 보험 적용 등의 과정을 거치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에서는 바이오인에서 담고 있는 디지털치료제에 관련된 다양한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디지털치료제 연구동향 |
○ 미국은 디지털 치료제 개발에 대한 투자금액을 7년간 매년 40%씩 증가하여 2018년 말 기준 10억달러 이상의 투자규모가 조성되었고 영국은 공공의료 서비스인 NHS는 디지털 의료서비스 지원 확대로 정신질환 치료프로그램 IAPT(Improving Access to Psychological Therapy)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 의료 수요적 측면에서 기존 제약사들이 신약 개발에 실패를 거듭하고 있거나, 행동 중재(Behavior Intervention)를 통한 치료효과 개선 부분의 개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 치매, 알츠하이머, 뇌졸중 등 중추신경계 질환 및 약물중독, 우울증, 불면증 관련 중추신경계 신경정신과 질환의 개발이 활성화 진행 중이고 행동 교정을 통한 치료효과를 거둘 수 있는 암, 고혈압, 당뇨 등 만성질환 치료를 위한 디지털 치료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 의료 문화적 측면에서는 고질적인 국내 의료전달체계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선제적 솔루션을 제시해 줄 수 있다. 전 국민 건강보험체계로 인한 수도권 대형병원 쏠림 현상으로 의료적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암, 뇌졸중 등 중증질환자를 위한 예후관리에 필요성이 높다. ○ 기본적으로 디지털치료제는 개인에게 최적화된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위해 개인건강기록(PHR, Personal Health Record)을 인공지능 기술로 처리 할 수 있도록 개발하고 있다. |
디지털치료제
산업시장 |
○ 미국 시장조사기관인 Allied market Research(2020.01)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디지털치료제 시장은 2018년 21.2억 달러에서 2026년 96.4억달러로 연평균 19.9% 성장, 같은 기간 동안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연 평균 최고 21.7%성장 하였다. ○ 중독 치료 목적의 어플리케이션 리셋(reSET)이 2017년 9월 최초로 미국 FDA의 허가를 받아 디지털 치료제에 대한 산업계의 관심 고조되고 있다. ○ 스마트폰 및 컴퓨터 사용에 익숙한 인구 성장과 5G 초고속 인터넷 발달로 디지털 치료제가 보급화 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 상황에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디지털 치료제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다. |
내 용 출처 |
○ 산업동향 디지털치료제 기술동향과 산업전망,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20.03 ○ 디지털 치료제(Digital Therapeutics) 개발 동향,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9.10 |
지식
더보기-
BioINdustry디지털 치료제 산업 동향 및 전망
[BiolNdustry No.172] 디지털 치료제 산업 동향 및 전망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연구원 조예진, 연구원 김현수 ※본 보고서는 프로스트앤드설리번에서 발간한 ‘Digital Therapy Technology Innovations and Growth Opportunities, 2021’, Deloitte에서 발간한 ‘Digital therapeutics, Catalyzing the future of health, 2021’ 등을 종합적으로 참고하여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 재구성한 것임 【 요약문 】 □ 2022년 디지털 치료제 시장은 38.8억 달러 규모로 예상 (`21년 기준) ○ 글로벌 디지털 치료제 시장 규모는 2022년 38.8억 달러에서 연평균 20.5%로 성장하여 2030년에는 173.4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 ○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은 디지털 치료제의 유용성이 부각되는 계기로 작용하였고, 이로 인해 디지털 치료제 임상시험이 2020년 9건 대
2022-08-24
-
BioIN4P디지털치료제 분야 4P
디지털치료제 분야 4P - Paper(논문), Patent(특허), Product(산업), Portfolio(투자) - Paper(논문) 글로벌 국내 연도별 발표현황 연도별 발표현황 주요 국가 주요 국가(공동연구 현황) 주요 연구기관 주요 연구기관 * 각 대학의 부속병원 논문 수 포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2022-06-28
-
BioINwatch디지털 치료제(Digital Therapeutics) 개발 동향
BioINwatch(BioIN+Issue+Watch): 19-74 디지털 치료제(Digital Therapeutics) 개발 동향 ◇ 알약이나 주사제가 아닌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질병을 예방, 치료 및 관리하는 새로운 개념의 치료제가 등장. 디지털 치료제는 의학적 미충족 니즈를 해결하여 관련시장의 급격한 성장을 전망. 디지털 치료제 산업 활성화를 위한 Digital Therapeutics Alliance(DTA)가 결성되었고, DTA는 디지털 치료제를 소개하는 보고서를 발간 ▸주요 출처 : Digital Therapeutics Alliance, Digital Therapeutics: Combining Technology and Evidence-based Medicine to Transform Personalized Patient Care, 2018.10,; www.dtxalliance.org, KOTRA 해외시장뉴스, 디지털 테라퓨틱스 시대의 도래, 2019.2.12.
2019-11-04
발간
더보기-
이슈 보고서2020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 제5화 "디지털 치료제"편
[바이오로 열어가는 2040년 생명과학 미래사회- “디지털 치료제” 편] 제5화 “생명의 은인”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 지난 2월에 발표한 '2020 바이오 미래유망기술(클릭)'에 대해서 10화의 소설을 연재하고자 합니다. 바이오가 열어가는 행복하고 희망찬 미래상 제시를 통해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을 공감하고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김수민 박사 어떻게 된거야? 오늘부터 출근 아닌가?” 중국 상하이 파견근무를 마치고 돌아온 김수민 국가생명정보기술원 연구원. 지금은 그녀의 복귀 후 첫 출근 날 아침 8시 30분. 8시에 시작하는 아침 회의가 끝나도록 그녀의 모습은 어디에도 보이지 않았다. 늘 그랬던 것처럼 오늘도 지각임이 확실했다. “해외 근무 끝나고 철이 좀 드나 했더니, 이거야 원.” 그녀의 담당 ‘사수’ 였던 최영일 박사가 결국 혀를 끌끌 차기 시작했다. 늘 하던 지각이라고 생각하면 별다를 일도 아닌 일. 하지만
2020-11-18
동향
더보기-
산업동향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519] 글로벌 디지털치료제 시장: 지속적인 성장 전망2024.08.02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기술동향
새로운 의료서비스 혁명 : 디지털 치료제2023.11.01
한국과학기술한림원
-
산업동향
3세대 신약 디지털 치료제의 투자동향과 미래전략2023.01.16
KPMG Korea
-
기술동향
디지털 치료제 기술과 시장동향2022.09.26
KDB 미래전략연구소
-
특허동향
디지털 치료제의 특허법적 보호현황과 과제2022.05.31
한국지식재산연구원
-
산업동향
미국, 디지털 치료제의 치료개선효과 입증 등2021.12.20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산업동향
디지털 치료제, 글로벌 임상시험 및 제휴 동향 등~2021.12.06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산업동향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409] 디지털치료제(DTx), 주요국가의 정책 동향 등~2021.10.12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산업동향
디지털치료제(Digital Theraopeutics) 동향 [BIO ECONOMY BRIEF]2020.06.12
한국바이오협회
-
산업동향
디지털치료제 기술동향과 산업전망2020.03.30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차트+
더보기뉴스
더보기-
R&D
디지털 치료제 국내 확산 '초기 단계', 92개 제품 임상 중2025.04.01
아시아경제
-
R&D
올해 디지털 치료제 시장 15조…신약 比 30~50% 절감2025.03.17
뉴시스
-
R&D
9조 `디지털 치료제` 시장…제약사들 "성장기회 잡아라"2024.12.18
디지털타임스
-
R&D
VR기기 착용하고 시야장애 치료…3호 디지털 치료제 첫 처방2024.10.02
연합뉴스
-
R&D
식약처, 디지털치료제·첨단의약품 신속허가 지원 '올인'2024.07.16
히트뉴스
-
R&D
“디지털 치료제 어려움 풀더라도 효과·안전성, 일반 약 수준 관리해야”2024.03.22
국민일보
-
R&D
첫발 뗀 디지털 치료제… ‘중복 임상’ 규제에 건보적용 4년 걸려2024.02.15
동아일보
-
R&D
"디지털 치료제 임상에 약물 수준 검증 요구…인허가 하세월"2023.12.08
서울경제
-
R&D
치매 등 디지털치료제 2032년까지 15개로 확대2023.06.12
디지털타임스
-
R&D
"디지털치료제·의료AI 허가받으면 뭐하나...보험 적용이 관건”2023.03.31
동아사이언스
-
R&D
디지털치료제도 건보적용…제3자 의료데이터 전송 추진2023.03.09
아시아경제
-
R&D
'디지털치료제 vs 전자약' 어떤 차이?…"전혀 다른 기술"2023.02.20
뉴시스
-
R&D
국내 첫 `디지털 치료제` 허가2023.02.16
디지털타임스
-
R&D
삼정KPMG “국내 디지털 치료제 시장, 연평균 27% 성장"2023.01.10
파이낸셜뉴스
-
R&D
불면증·우울증·ADHD… 약 대신 ‘디지털 치료제’로 고친다2022.12.22
조선닷컴
-
R&D
디지털 치료제 시장 앞다퉈 진출 기업, 기술 국산화 눈길2022.11.21
헬스통신
-
R&D
‘디지털 치료제’ 실질적 정책 지원 無2022.09.29
메디팜스 투데이
-
R&D
시장 커지는 디지털치료제, 정책적 지원 서둘러야2022.09.27
뉴시스
-
R&D
성장하는 '디지털 치료제' 분야‥국내에서도 본격 준비 시작2022.05.27
메디파나뉴스
-
R&D
앱으로 치매 진단·치료 한번에…하이, '디지털 치료제' 새 길 열다2022.05.25
한국경제
연계정보
-
연구보고서
더보기
-
ntis모바일 디지털 치료제 개발을 위한 데이터 기반 치료제 전달 수용도 최적화 원천 기술개발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모바일 디지털 치료제 개발을 위한 데이터 기반 치료제 전달 수용도 최적화 원천 기술개발/Development of Fundamental Technologies of Data-Driven Digital Therapeutic Delivery Receptivity Optimization for Mobile Digital Therapeutic Development
사업 : 202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집단연구지원(R&D)과제 : 1711135164 한국과학기술원 모바일 디지털 치료제 개발을 위한 데이터 기반 치료제 전달 수용도 최적화 원천 기술 개발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302 발행기관명 한국과학기술원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연구개발 목표최근 디지털 치료제Digital Therapeutics DTx 도래로 모바일 및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한 소프트웨어 기반 신약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임 하지만 현재 모바일 DTx 개발평가 방법의 경우 개발된 DTx 앱의 단순 효과성 검증예 최종 측정치의 향상 여부에 치중하고 있어 DTx 앱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메커니즘알림 마이크로 중재 등의 사용 및 순응 추이와 최종 결과와의 관계를 분석할 수 있는 분석 체계가 부재함 따라서 대부분 경험적인 방법에 의지하여 DTx 최적화를 수행하므로 DTx 개발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음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기반의 DTx 수용성 분석 체계를 확립을 목표로 DTx 데이터개인적 특성 병리적 특성 활동환경적 특성 인터랙션 특성를 수집하여 DTx의 수용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 이를 가시화하는 원천기술을 개발하여 이해관계자DTx 개발업체 전문의료인 건강관리사 등에게 개선 항목을 가공전달하는 프레임워크를 구축함 본 프레임워크의 실질적인 원천기술을 확보할 수 있는 연구팀모바일 컴퓨팅 HCI 통계 헬스 사이언스 전공을 구성하여 MobileDTxLab을 운영할 계획임 연구개발 내용 1차년도 데이터 기반 DTx 전달 수용도 프레임워크 개발 및 분석 기반 기술 연구 데이터 기반 DTx 전달 수용도 분석 및 최적화 이론적 프레임워크 개발 모바일 및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한 DTx 데이터 수집 및 처리 플랫폼 개발 모바일 DTx 사용도 및 순응도 분석 프레임워크 정의 및 정보 추출 신체활동 증진 우울증 대응에 관한 DTx 서비스 분석 및 설계 수행 2차년도 데이터 기반 DTX 전달 수용도 분석 및 최적화 기술개발 DTx 수용도 증진을 위한 중재 전달시점 검출 및 사용자 관리기술 데이터 기반 모바일 DTx 사용도 및 순응도 분석 모듈 개발 DTx 전달 수용도에 대한 인터랙티브 가시화 인터페이스 개발 반복적 필드 테스트를 통한 DTx 서비스 사례 고도화 수행 3차년도 데이터 기반 DTX 전달 수용도 분석 기술 고도화 및 리빙랩 기반 실증 DTx 데이터 수집 통합 플랫폼 고도화 및 오픈소스 공개 모바일 DTx 사용도 및 순응도 분석 모듈 고도화 및 통합 DTx 전달 수용도에 대한 인터랙티브 가시화 인터페이스 고도화 및 실증 DTx 전달 수용도 기술개발을 위한 DTx 사례 고도화 및 실증 활용 계획 및 기대 효과 디지털 치료제의 데이터 기반 전달 수용도 분석에 관한 이론적 기틀을 확립하고 플랫폼 SW를 개발하여 디지털 치료제 개발 산업의 패러다임을 혁신 가능함 모바일 및 정보기술 강국인 우리나라가 디지털 치료제 개발과 관련된 원천기술을 확보하여 신新 디지털 치료제 개발을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출처 요약문 2p -
ntis폐경기 정신신체 증상 관리를 위한 디지털 치료제 개발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폐경기 정신신체 증상 관리를 위한 디지털 치료제 개발/Development of digital therapeutics for management of psychosomatic symptoms during perimenopause
사업 : 202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과제 : 1711183885 중앙대학교 폐경기 정신신체 증상 관리를 위한 디지털 치료제 개발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403 발행기관명 중앙대학교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연구개요폐경기 여성의 80 이상이 다양한 정신신체 증상을 경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치료를 받는 비율은 높지 않음 폐경 증상은 신체 증상의 치료만으로 반응하지 않기에 심리정신의학적 접근 통한 통합적 관리가 이루어져야 함 폐경기 증상에 대한 다양한 비약물적 치료가 제안되었지만 이에 대한 효과 검증이 부족하며 유형별 맞춤형 치료에 대한 근거가 부족함 따라서 한국 폐경기 여성의 정신신체 증상을 평가 및 분류하고 유형별 맞춤형 근거기반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치료 콘텐츠를 제작하여 폐경기 증상을 관리할 수 있는 디지털 치료제를 개발 및 적용하고자 함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연구 목표 폐경기 정신신체 증상의 평가진단 알고리즘 및 치료 콘텐츠를 개발하고 디지털 치료제 프로토타입을 개발1 한국인의 주요 폐경기 정신신체 증상 발굴 및 증상 유형 군집화 폐경이행기 여성 1060명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폐경기 증상 유형을 4가지 집단으로 군집화함 폐경기 증상 심각도의 예측 인자로서 산부인과 및 정신과적 과거력 심리 및 신체 증상의 중요성을 분석함2 폐경기 정서증상 척도MESQ 개발 폐경이행기 여성 200명 20대 남성 100명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폐경기 정서증상 척도 13문항을 최종 개발하고 절단점을 구함3 폐경기 증상 유형별 맞춤형 대면 치료 개발 및 효과 검증 폐경기 여성의 기분 및 정신신체 증상 향상을 위한 운동요법16회기 음악치료8회기 인지행동치료8회기 프로토콜을 개발하여 효과를 검증함 이를 통해 폐경 증상별 맞춤형 개입 방안을 확인함 검증된 대면 치료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환자 교육을 포함한 폐경 의학정보 DB를 구축하고 이를 디지털 치료제의 콘텐츠로 활용함4 폐경기 증상 디지털 치료제 프로토타입 개발 및 효과 검증 디지털 치료제 회사와 본 병원과의 협력을 통해 평가진단 알고리즘과 치료 콘텐츠를 디지털화함 폐경기 증상의 진단 치료 치료 효과 평가를 포함한 디지털 치료제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고 임상시험을 실시하여 효과를 검증함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폐경기 증상에 대하여 약물치료에 의존했던 한계를 벗어나 심리정신의학적 치료 콘텐츠를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여 증상 유형별 근거기반의 다양한 비약물적 치료 옵션을 제공함 폐경기 증상 활력징후 신체계측 정서 상태 및 인지기능 등을 디지털화된 방법으로 측정하여 빅데이터 확보 진단 알고리즘화 치료 효과를 정량화하는 기술을 구현하여 융합형 선도기술 발전에 이바지함 본 연구의 최종 결과물인 디지털 치료제를 향후 식약처 승인 치료로 발전시키기 위한 기반을 마련함 사용자의 디지털 치료제앱 사용 경험을 빅데이터로 활용함으로써 향후 인공지능 기반 정보 추천 알고리듬을 도출하여 더욱 최적화된 맞춤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확장할 수 있음 디지털화된 방법을 통해 과도한 병원 진료 및 검사로 인한 자원 낭비를 감소하고 의료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을 촉진하며 평등한 의료서비스 접근을 가능하게 함 포스트 코로나 시대 비효율적인 병원 방문을 줄이기 위해 증상 유형을 선별해 해당 과로의 방문을 권유해주는 시스템으로 활용 가능함출처 연구결과 요약문 2p -
ntis고위험직군에 대한 수면증진 등의 디지털 치료제 개발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고위험직군에 대한 수면증진 등의 디지털 치료제 개발/Development of digital treatment for high risk workers with promoting sleep health
사업 : 2023 산림청 농림해양기반 스마트 헬스케어 기술개발 및 확산과제 : 1405005959 가톨릭관동대학국제성모병원 스트레스 위험군 대상의 산림환경 기반 디지털치료제 유효성 및 안정성 연구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312 발행기관명 가톨릭관동대학교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최종 목표산림치유 프로그램과 디지털 기술을 융합한 디지털 치료제 및 플랫폼 개발 전체 내용 고위험 직군 대상 산림환경 기반의 산림치유 서비스모델 개발 고위험 연구대상 직업군 위험인자 및 스트레스 요인 분석을 통한 생체 반응 측정 시스템 및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산림 치유서비스 개발 및 제안 스트레스 생체 반응값 스트레스 반응 심리적 저항 역치 측정 개인별 스트레스 생체 반응의 차이 등의 분석을 통한 스트레스 반응 알고리즘 제안 Medical Informatics를 통한 개인별 최적의 치유 솔루션 추천의 메커니즘 제안 및 산림자원을 이용한 프로그램 제안 디지털 기술과 융합한 산림환경 기반의 치유 콘텐츠 개발 산림자원의 계절 및 시간에 다른 변화를 반영한 치유 콘텐츠 개발 화이트노이즈 핑크노이즈 및 심리적 안정을 유도하는 아날로그 시각자극의 디지털화 개발 가상현실의 고도화 및 UIUX의 기술을 이용한 산림치유 서비스의 디지털화 개발 온라인 오프라인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산림치유 프로그램 운영모델 스트레스 직군에서 숲 산림자원 기반의 온오프라인 치유 프로그램 운영모델 개발 효과성의 임상시험Clinical Research 실시 디지털치료제 제안을 위한 디지털 컨텐츠의 임상연구 시행 직접 경험 산림치유 프로그램과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한 서비스의 스트레스 감소 및 수면 증진 효과 비교 임상연구 1년차목표 1세부 고위험직군 스트레스 진단도구 및 온오프라인 연동 산림치유 프로그램 운영 모델의 개발 및 적용 고위험직군 스트레스 요인 정의 및 진단도구 개발 고위험직군 대상 맞춤형 오프라인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 2세부 스트레스 위험군 대상의 산림환경 기반 디지털치료제 유효성 및 안정성 연구 스트레스 고위험군 생체반응 측정시스템 제안 및 유효한 산림치유 프로그램 발굴을 위한 임상 연구 스트레스 고위험 연구 대상 직업군 분류 개발 12세부 공동연구 스트레스 고위험직군에서 대상자 분석을 통한 스트레스 요인 분석 스트레스 고위험군에서 스트레스 생체반응 측정시스템 개발 스트레스 고위험 대상자에서 스트레스를 낮추는 산림치유 프로그램 제안을 위한 임상연구 3세부 스트레스 위험군 대상의 산림환경 기반의 산림치유 서비스모델 개발 콘텐츠의 사용자 유형 정의 및 사용자 유형별 서비스 시나리오 설계 몇 기획 4K급 고해상도 미디어 재생용 플레이어 개발 서비스 제공을 위한 UIUX의 기술 서칭 및 개발 1종 이상의 산림 환경 기반의 관련 콘텐츠 제작내용 코로나 팬더믹 이후 각 직군별로 각기 다른 요인으로 인한 육체적 정신적 스트레스 악화를 보였으며 각 직군별 스트레스 관련 요인의 분석을 위한 진단도구를 개발하였음 고위험직군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오프라인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선정하였으며 스트레스 고위험 직군으로 분류된 직군을 대상으로 하여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임상연구를 진행함 스트레스에 따른 생체 반응 측정 시스템을 제안 하였으며 개발된 생체 반응 측정시스템 오프라인 산림치유 프로그램 운영 산림치유 효과성 및 개발된 측정 시스템의 유효성 확인을 위한 파일럿 연구를 수행함 3세부에서는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디지털화한 시나리오를 설계하여 이를 재생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산림치유 프로그램과 유사한 효과를 보일 수 있는 디지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관련 콘텐츠를 제작함 2년차목표 1세부 고위험직군 스트레스 진단도구 및 온오프라인 연동 산림치유 프로그램 운영 모델의 개발 및 적용 고위험직군 스트레스 진단도구 타당성 검증 오프라인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디지털화에 기반한 고위험직군 대상 맞춤형 온라인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 2세부 스트레스 위험군 대상의 산림환경 기반 디지털치료제 유효성 및 안정성 연구 산림환경 기반 디지털 치료제로서의 유효성 및 안정성확보를 위한 임상연구 스트레스 원인결과 분석을 통한 산림환경기반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디지털 치료제 개발을 위한 컨텐츠 제안 스트레스 고위험직군에서 개발된 컨텐츠를 이용하여 산림 치료와의 비열등성 임상연구 IRB 진행 스트레스 고위험직군 대상자에서 VR 컨텐츠를 이용한 스트레스 감소 효과 및 산림치유 프로그램과의 비교 연구 개발된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및 스트레스 개선 효과 확인 3세부 스트레스 위험군 대상의 산림환경 기반의 산림치유 서비스모델 개발 가상현실 기기 및 스크린 연동을 통한 힐링 콘텐츠 개발 가상현실 체험시 환자별 적용을 위한 콘텐츠 옵션 UIUX 제작 임상 적용 후 피드백을 통한 개선점 발굴 및 고도화 1종이상의 산림환경 기반의 관련 콘텐츠 제작내용 1년차에서 수행한 임상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2년차에서는 진단 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온라인 산림치유의 프로그램을 제안함 산림환경을 기반으로 하고 1년차에서 효과성이 검증된 오프라인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시나리오를 재구성한 디지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러한 컨텐츠를 VR 가상현실로 재현함 개발한 콘텐츠를 VR을 이용한 전후 비교 임상연구를 진행함 1년차에서 검증된 wearable device 와 VR 컨텐츠를 연계하여 이용자의 스트레스 상태에 맞춘 프로그램을 제안함 궁극적으로 스트레스 위험 직군 개인의 일중주기 패턴의 분석 실시간 스트레스 상태의 모니터링을 통하여 개인 맞춤형 스트레스 조절 수면의 질 개선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이를 기존 연구된 오프라인 산림치유 프로그램과 비교 분석 연구를 수행함 3년차목표 1세부 고위험직군 스트레스 진단도구 및 온오프라인 연동 산림치유 프로그램 운영 모델의 개발 및 적용 고위험직군 스트레스 진단도구 적용 고위험직군 대상 온오프라인 연동 맞춤형 산림치유 프로그램 운영모델의 개발 및 적용 2세부 스트레스 위험군 대상의 산림환경 기반 디지털치료제 유효성 및 안정성 연구 산림환경 기반 디지털 치료제 임상연구 완료 및 피드백을 통한 보완 및 향후 발전 방향 제시를 위한 검토 산림환경기반 디지털치료제 인체 적용 시험 완료 및 분석을 통한 피드백으로 디지털 치료제 개발 인체 적용 시험 결과 분석을 통한 디지털치료제의 스트레스 감소 및 부정적 신체 활력징후의 개선 수면 증진 등의 유효성 지표 분석 산림환경기반 디지털치료제의 인체 적용 시험 결과 분석을 통한 안전성 확보 산림치유와 디지털치료제와의 비교 연구결과 분석을 통한 향후 산림자원 콘텐츠의 디지털 치료제로의 이용에 대한 향후 발전 방향 제시 3세부 스트레스 위험군 대상의 산림환경 기반의 산림치유 서비스모델 개발 2년차에 개발된 불면증 치료 VR모바일 및 PC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고도화 효율적인 임상진행을 위한 통계페이지 데이터 필터링 추가 기능 개선 힐링 나레이션 적용을 위한 야간 시간대 영상 추가 1종 제작내용 스트레스 고위험직군을 대상으로 최종 개발된 스트레스 진단 도구를 적용함 스트레스 고위험직군 대상 온오프라인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연동 모델을 개발하여 제시함 완료된 임상연구의 결과를 검토 및 보완하여 향후 발전적인 형태의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함 사용자의사 환자 중심의 어플리케이션 UIUX 직관성 향상을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 고도화를 통해 개별 플랫폼에 대한 사용이 용이하도록 지원함 원활한 임상 지원 및 연구를 위한 PC 어플리케이션 임상데이터 접근성 향상을 통해 연구결과에 대한 빠른 확인 및 조율이 가능하도록 기능 개선함 3년차에 진행될 임상데이터 확보를 위한 다양한 조건의 임상데이터 추출이 가능하도록 통계페이지 데이터 필터링 기능 개선함 가시성이 확보된 밤시간대의 영상 추가 제작을 통해 야간 프로그램 스케쥴을 수행하는 사용자에게 시간대 동기화에 따른 몰입효과 향상 기대함 연구개발성과 논문 5편 국내 5편 특허출원 2건 인체적용시험 결과보고서 1건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스트레스 고위험직군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수면증진 및 스트레스 완화 등의 효과가 있는 디지털 치료제를 제공하여 정신적 및 신체적 상태의 향상을 통한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함출처 요 약 문 6p -
ntis하지정맥류 치료 및 위험을 알려주는 디지털치료제 개발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하지정맥류 치료 및 위험을 알려주는 디지털치료제 개발/Development of digital therapeutics that inform the treatment and risk of varicose veins
사업 : 2023 중소벤처기업부 디딤돌과제 : 1425173519 (주)엘에이치생활건강 하지정맥류 치료 및 위험을 알려주는 디지털치료제 개발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311 발행기관명 주식회사엘에이치생활건강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
ntis모바일 디지털 치료제 개발을 위한 데이터 기반 치료제 전달 수용도 최적화 원천 기술개발
-
과제
더보기
-
ntis디지털치료제, 전자약, 식욕억제제 기반 비만 개인유형별 맞춤치료법 개발 및 검증
연계정보(NTIS)
과제디지털치료제, 전자약, 식욕억제제 기반 비만 개인유형별 맞춤치료법 개발 및 검증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정부투자연구비 500,000,000원 총연구비 500,000,000원 보건의료 임상의학 내분비학-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최형진
- 참여연구자신주영;박민정;윤영현;천덕현;이영희;김유빈;이설하;하재선;이수민;김규식;정상호;박준석;박준호;이나영;신화윤;백소린;한유지;박시준;노현영;김휘영;김현형;이윤진;이예나;박지현;배한결;구민서;김소임;임세훈
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460003096 기준년도 2024 연구책임자 최형진 과제수행기관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정부투자연구비 500,000,000 총연구비 500,000,000 - 6T관련효과
- 의과학·의공학 기술
-
ntisReality mining을 이용한 Digital phenotype 분석 및 Extended phenotype을 이용한 디지털 치료제 개발
연계정보(NTIS)
과제Reality mining을 이용한 Digital phenotype 분석 및 Extended phenotype을 이용한 디지털 치료제 개발
주식회사 웨이센 정부투자연구비 106,600,000원 총연구비 142,140,000원 보건의료 의료정보/ 시스템 u-Health 서비스 관련기술(u-EHR)-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김경남
- 참여연구자최형신;정현석;민충기;이호석;한상훈;홍미소;남기혁;문서연
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710074739 기준년도 2024 연구책임자 김경남 과제수행기관 주식회사 웨이센 정부투자연구비 106,600,000 총연구비 142,140,000 - 6T관련효과
- 신호처리기술(영상·음성처리·인식·합성)
-
ntis디지털 치료제 순응도 및 효과성 검증을 위한 사건관련전위 기반 평가 방법론 개발
연계정보(NTIS)
과제디지털 치료제 순응도 및 효과성 검증을 위한 사건관련전위 기반 평가 방법론 개발
연세대학교 정부투자연구비 13,650,000원 총연구비 13,650,000원 보건의료 의료기기 중재적 치료기기-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정경미
- 참여연구자김성준
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340034250 기준년도 2024 연구책임자 정경미 과제수행기관 연세대학교 정부투자연구비 13,650,000 총연구비 13,650,000 - 6T관련효과
- 뇌신경과학 연구
-
ntisICT 기반 개인형 대사질환 맞춤 관리 프로그램 (디지털 치료제)
연계정보(NTIS)
과제ICT 기반 개인형 대사질환 맞춤 관리 프로그램 (디지털 치료제)
주식회사 오디엔 정부투자연구비 200,000,000원 총연구비 270,000,000원 보건의료 의료정보/ 시스템 u-Health 서비스 관련기술(u-EHR)-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이상열
- 참여연구자김형준;김기항;박현정;안승철;박태현;강준희
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420017173 기준년도 2024 연구책임자 이상열 과제수행기관 주식회사 오디엔 정부투자연구비 200,000,000 총연구비 270,000,000 - 6T관련효과
- 기타 보건의료 관련 응용기술
-
ntis디지털치료제, 전자약, 식욕억제제 기반 비만 개인유형별 맞춤치료법 개발 및 검증
-
논문
더보기
- ntis디지털 치료제 기술보호를 위한 기술적·법률적 관리 방안
- ntis혼합현실(MR)기반 디지털치료제 (DTx)로 활용된 재활콘텐츠 특성연구 – 작업치료 콘텐츠 대표사례를 중심으로
- ntis혼합현실(MR)기반 디지털치료제(DTx)로 활용된 재활 콘텐츠 특성 연구 - 작업치료 콘텐츠 대표 사례를 중심으로-
-
ntis개인 맞춤형 애플리케이션 활용이 개인행동 개선 및 근로환경 개선 프로그램 참여에 미치는 영향 - 제주지역 소방공무원 대상 디지털치료제 가치탐구를 중심으로 -
외부자료(NTIS)
논문개인 맞춤형 애플리케이션 활용이 개인행동 개선 및 근로환경 개선 프로그램 참여에 미치는 영향 - 제주지역 소방공무원 대상 디지털치료제 가치탐구를 중심으로 -
사업 : 2023 산업통상자원부 바이오산업기술개발과제 : 1415185678 (주)인피니티케어 간호사 의사 응급구조원 등 의료서비스 종사자의 5대 위험 요인 관리를 위한 행동정신 패턴 분석 기반의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 개발저자명(주공동저자),논문구분,학술지명,ISSN,학술지 출판연도 저자명(주공동저자) 변승혁;송성욱;양희수 논문구분 학술지 학술지명 e-비즈니스연구 ISSN 2466-1716 학술지 출판연도 2023
- 특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