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마이크로바이옴

마이크로바이오타(microbiota)와 게놈(genome)이 합쳐서 만들어진 합성어로 인간, 동·식물, 토양, 바다, 호수, 암벽, 대기 등 모든 환경에서 서식하거나 공존하는 미생물과 그 유전정보 전체를 포함하는 미생물군집을 의미합니다.

마이크로바이옴

개념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이란, 마이크로바이오타(microbiota)와 게놈(genome)이 합쳐서 만들어진 합성어로 인간, 동·식물, 토양, 바다, 호수, 암벽, 대기 등 모든 환경에서 서식하거나 공존하는 미생물과 그 유전정보 전체를 포함하는 미생물군집이다.


최근에는 다양한 환경에서의 미생물군집을 말하기도 하며, 식물, 동물, 환경, 인체, 장내,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등 다양한 마이크로바이옴에 대한 연구들이 보고되며, 인체마이크로바이옴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인체마이크로바이옴 중에서도 장내마이크로바이옴에 대한 연구가 가장 활발히 진행 중이다.

바이오인(BioIN)에서는 마이크로바이옴에 관련된 다양한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동향






미생물이 지구 온난화와 지구 탄소순환에서 큰 역할을 한다는 것은 이미 인지된 사실이며, 농업, 식품, 치료제, 진단, 화장품, 수의학까지 산업 전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된다.





최근 인체와 마이크로바이옴 사이의 연관성을 밝히는 데에 시·공간에 걸쳐 미생물을 조사할 수 있는 기술(유전체, 대사체 분석 및 AI 접근방법 결합 등)이 발전함에 따라 '미지의 신세계를 탐험할 수 있는 기회'를 포착할 수 있다.





향후 미생물과 마이크로바이옴에 대해 급증하는 지식을 기반으로 미지의 세계를 탐험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도구(tool) 개발이 중요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마이크로바이옴
정책투자동향





글로벌 과학기술 강국인 미국, 유럽 등에서는 휴먼 마이크로바이옴의 중요성을 약 10년 전부터 인지하고 막대한 자금과 연구 인력을 투입하여 범국가적인 대규모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미국은 2007년부터 10년간 미국국립보건원(NIH,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주관으로 인간 마이크로바이옴 프로젝트(HMP, Human Microbiome Project)를 10억 달러 이상의 연구비가 투입, 전 세계적으로 가장 큰 투자 금액으로 프로젝트는 1기(HMP1)과 2기(HMP2)로 구성된다.





캐나다 보건연구원(CIHR, Canadian Institutes of Health Research)은 일찌감치 2008년에 총 50만 달러를 마이크로바이옴에 투자했다. 이후 각 프로젝트는 매년 최대 10만 달러까지 지원 받도록 하여 총 12개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유럽은 2008년 전 세계 과학 커뮤니티에서 데이터 공유를 위한 국제 인간마이크로바이옴 컨소시엄(IHMC, International Human Microbiome Consortium) 발족했다.






-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유럽 중심으로 인간 장내 메타게놈 프로젝트(MetaHIT)진행되었고, 본 프로젝트에는 2,100만 유로의 예산이 들어갔으며, 8개국(네덜란드, 독일, 덴마크, 이탈리아, 영국, 스페인, 중국,프랑스)의 14개 정부 및 기업 연구소와 50명 이상의 연구 책임자가 참여하였다.




마이크로바이옴
시장동향



글로벌 마이크로바이옴 시장은 2019년 811억 달러에서 2023년까지 5년간 연평균 7.6% 성장하여 1,086.8억 달러(약 130조 원)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마이크로바이옴 시장은 주요 기술, 활용 산업 등으로 구분이 가능하며 마이크로바이옴의 시장 내 주요 기술에는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 표적 항균제(Targeted Antimicorbials)가 있다.






- 프로바이오틱스는 쉽게 말해 유익균으로 대표적으로 락토바실러스균, 비피더스균, 엔터로콕쿠스균 구분하며 2019년 125.7억 달러에서 2023년 192.7억 달러까지 연평균 11.3%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다.







미생물 및
마이크로바이옴의
영향력










미생물이 지구 온난환와 지구 탄소순환에서 큰 역할을 한다는 것은 이미 인지된 사실이며, 농헙, 식품, 치료제, 진단, 화장품, 수의학까지 산업 전반에 영향을



주며, 최근 인체와 마이크로바이옴 사이의 연관성을 밝히는 데에 시·공간에 걸쳐 미생물을 조사할 수 있는 기술(유전체, 대사체 분석 및 AI 접근방법 결합 등)이 발전하고 있다.



내용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BioINwatch 20-87] 미생물과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의 미래, 2020.12





삼정 KPMG, 마이크로바이옴이 몰고 올 혁명, 2020.01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OECD BIO POLICY REVIEW – 마이크로바이옴, 2019.03




지식

더보기
  • BioINpro[KRIBB 워킹그룹]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장 면역 조절 연구 동향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장 면역 조절 연구 동향 [KRIBB 워킹그룹] ◈ 목차 1. 개요 2. 주요 동향 및 이슈 2.1 장 마이크로바이옴과 면역 체계 2.2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장 면역 관련 질환 연구 동향 3. 결론 및 시사점 ◈본문 1. 개요 ■︎ 마이크로바이옴의 활용 ◦︎ 마이크로바이옴이란? - 마이크로바이옴은 특정 환경에 존재하는 모든 미생물 집단(Microbiota)의 유전체(Genome)를 의미하며, 휴먼 마이크로바이옴은 사람 피부나 소화기관 등 인체에 공생하는 미생물 군집을 뜻함 -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hman gnome poject, HGP)를 통해 인간이 약 2만개의 단백질 암호화 유전자를 보유하며 이는 초파리와 크게 다르지 않았기에, 이후 체 내외 미생물 군집에 대한 인간 마이크로바이옴 프로젝트(hman microbiome project)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음(그림 1) - 한 사람의 몸에 공생하는 미생물의 수는 약 60~100조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강혜지 외 13인/한국생명공학연구원 마이크로바이옴융합연구센터

    2024-12-16

    썸네일 이미지
  • BioINpro[2024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상)] 마이크로바이옴 표적 항암백신 전략

       2024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상) 마이크로바이옴 표적 항암백신 전략 용석범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전임연구원 ◈ 목차 1. 마이크로바이옴과 암 2. 저변이 암이란?  3. 마이크로바이옴 표적 항암 백신의 개요   가. 면역항암 치료 전략 & 암백신   나. 마이크로바이옴 표적 항암 백신 4. 마이크로바이옴 표적 항암 백신 개발 전략   가. 항원 발굴   나. 항원 전달 기술 및 mRNA/지질나노입자 시스템   다. mRNA 기반 암 백신 연구 동향 및 시장 점유 가능성 분석, 차별화    ◈본문 1. 마이크로바이옴과 암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은 숙주 개체 내 살아가고 있는 바이러스, 박테리아 등의 군집으로, 대사(Metabolism)와 면역(Immune system)을 비롯한 숙주의 다양한 부분에서 역할을 한다[1]. 대표적으로 장내 미생물 군집(Gut microbiome)은 식이 섬유를 비롯한 다양한 음식물의 분해에 직접적으로 참여, 그 대사물을 통해 숙주에 영향

    용석범/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전임연구원

    2024-05-13

    썸네일 이미지
  • BioINpro[KRIBB 워킹그룹] 마이크로바이옴-암 연구동향

    [KRIBB 워킹그룹] 마이크로바이옴-암 연구동향 2023년도 KRIBB 워킹그룹이슈페이퍼 제 15호   ◈ 목차 1.개요 2.주요 동향 및 이슈 2.1.마이크로바이옴과 암 2.2.마이크로바이옴과 항암제 반응성 2.3.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개발현황 3.결론 및 시사점 ◈본문 1. 개요 □︎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치료제 개발 ○마이크로바이옴과 질병의 상관관계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은 미생물군집(Microbiota)과 유전체(Genome)의 합성어로 인체 내 공생하는 모든 미생물 군집 또는 군집의 유전정보 전체를 의미함 -︎인체에는 약 10-100조개의 박테리아(세균), 곰팡이, 원생동물 등의 미생물들이 분포함.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70-95%는 장을 포함한 소화관에 밀집되어 있으며, 호흡기, 비뇨생식관, 피부 등에도 분포함. 마이크로바이옴은 체중의 1-3%를 차지하지만, 미생물의 많은 숫자와 다양한 기능에 의해 마이크로바이옴은‘제2의 장기’ 또는 ‘제2의 유전체’로 불림

    김세미 외 14명/한국생명공학연구원 마이크로바이옴융합연구센터

    2024-02-01

    썸네일 이미지
  • BioINwatch공간 전사체(Spatial transcriptomics) 분석으로 숙주-마이크로바이옴의 상호작용 규명

        공간 전사체(Spatial transcriptomics) 분석으로 숙주-마이크로바이옴의 상호작용 규명 BioINwatch(BioIN+Issue+Watch): 23-81 ◇ 공간 전사체(Spatial transcriptomics) 분석기술을 이용하여 숙주와 마이크로 바이옴 간의 상호작용을 규명할 수 있는 연구전략이 제시. 공간 전사체학을 활용하여 in situ에서 숙주-마이크로바이옴의 상호작용체(interactomes)를 분석할 수 있는 이러한 연구전략은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에 새로운 접근방안과 관점을 제시할 것으로 전망 ▸주요 출처 : Nature Biotechnology, Spatial methods for microbiome-host interactions, 2023.11.20; Nature Biotechnology, Spatial metatranscriptomics resolves host-bacteria-fungi interactomes, 2023.11.20; Natur

    2023-11-28

    썸네일 이미지
  • BioINpro[2023 바이오 미래유망기술(하)] 토양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개발동향 및 전망

     [2023 바이오 미래유망기술(하)] 토양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개발동향 및 전망 홍수린 / 차의과학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   ◈ 목차 1. 개요 2. 연구개발 동향 및 전망 가. 해외 연구 동향 나. 국내 연구 동향 3. 결론 및 시사점   ◈본문 1. 개요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은 미생물 군집(microbiota)과 유전체(genome)의 합성어로 인간, 동물, 식물, 토양, 바다, 대기 등에 공존하는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미생물 군집과 유전체를 의미한다. 인체 생물학적 관점에서 마이크로바이옴은 피부, 호흡기, 생식기, 위장관 등 우리 몸의 다양한 부위에 서식하며 개인적인 특징을 가지고 건강상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지면서 개인 맞춤형 치료법 개발과 같은 관련 연구가 빠르게 성장하였다.   [그림 1] NIH 휴먼 마이크로바이옴 프로젝트(Human Microbiome Project) 단계 출처 : The Integrative HMP(iHMP)

    홍수린/차의과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

    2023-06-01

    썸네일 이미지
  • BioINpro[KRIBB 워킹그룹] 장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뇌신경질환 기전 및 제어 연구동향

      장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뇌신경질환 기전 및 제어 연구동향 2022년도 KRIBB 워킹그룹 이슈페이퍼 제8호 저자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마이크로바이옴융합연구센터 이정수 외 14인 1 개요 ▉︎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치료제 개발 ● 마이크로바이옴 정의 - 마이크로바이옴은 특정 개체 또는 환경이 지니는 박테리아(세균), 바이러스, 곰팡이균, 기생충 등을 포함하는 미생물 생태계의 총합을 통칭하며, 그 중 현재 박테리아의 기능 연구가 가장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그림 1] - 인간 마이크로바이옴의 경우, 장(intestine), 피부(skin), 기도(trachea) 등 외부환경에 노출된 부위에 다양하게 존재하지만 가장 많이 위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장 마이크로바이옴 (gut microbiome)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가운데, 타 조직에서의 마이크로바이옴 기능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대하는 상황임[그림 1] ●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치료제 종류(Sorba and Pamer,(202

    이정수 외 14인/한국생명공학연구원 마이크로바이옴융합연구센터

    2023-01-30

    썸네일 이미지
  • BioINdustry마이크로바이옴 R&D 및 산업화를 위한 전략

    [BiolNdustry No.174] 마이크로바이옴 R&D 및 산업화를 위한 전략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연구원 이지현 ※ 본 보고서는 프로스트앤드설리번에서 발간한 보고서 ‘Technology Enablers Facilitating Microbiome Adoption in Research and Development(2021.12)' 등을 참고하여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 재구성한 것임    [ 목차 ] 1. 개요    2. 마이크로바이옴 글로벌 시장 현황    3. 주요 구현기술과 혁신사례     1) 디지털 기술    2) 합성생물학    3) 배양기술 4.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위한 투자    1) 이니셔티브 및 프로젝트    2) 정책자금 지원을 통한 연구강화    3) 향후 투자 동향 5. 성장기회    1) 고급 데이터 분석을 위한 도구의 개발    2) 발전된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위한 신규한 소재와 표준화    3) 재설계된 균주의 대량 생산을 가속화하는 합성생물

    2022-10-26

    썸네일 이미지
  • BioINpro환경오염 물질 분해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개발 동향 및 전망

      환경오염 물질 분해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개발 동향 및 전망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합성생물학전문연구단 성봉현  1. 개요 가. 환경오염 문제에 대한 심각성 증대 한국환경연구원이 실시한 2020년 국민환경의식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은 ‘쓰레기/폐기물 처리 문제’, ‘과대포장에 따른 쓰레기 발생’을 우리나라가 직면한 대표적 환경문제로 인식했다(그림 1). 미세플라스틱의 심각성과 코로나19로 인한 일회용품 사용증가에서 비롯한 폐기물 이슈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 유럽연합의 설문조사에서도 쓰레기/폐기물 문제는 기후변화, 대기오염과 함께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되고 있다(1). 2021년 말 Science지에서는, 2022년 주목해야할 과학기술 헤드라인의 하나로 ‘UN의 오염문제 논의’를 선정하였다(2)., 2022년 3월 전세계 175개국 협상 대표는 케냐 나이로비에서 열린 제5차 UNEA(the United Nations Environment Assembly)에서 2024년 말

    성봉현/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합성생물학전문연구단

    2022-06-30

    썸네일 이미지

발간

더보기
  • 썸네일 이미지 정책/기획보고서OECD BIO POLICY REVIEW - 마이크로바이옴

      OECD Bio Policy Review No.2 마이크로바이옴, 식습관 그리고 건강: 과학과 혁신 현안에 대하여 (The Microbiome, Diet and Health: Towards a science and innovation agenda)   ◆ (개요) OECD는 해당 보고서를 통해 인간의 건강 증진에 커다란 잠재력을 지닌 마이크로바이옴 분야 최신 동향을 요약하고, 혁신에 대한 장애요인을 분석하여 정책과제를 제안함    □ (마이크로바이옴) 식습관, 영양, 마이크로바이옴 간의 상호작용 이해는인류의 건강 증진 및 사회‧경제에 기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 ※ 마이크로바이옴은 인체 내 혹은 인체 상에 살고 있는 모든 종류의 미생물과 이들의 유전체 전체를 말하며, 연구계에서는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을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질환의 결정 요인으로 추측   ㅇ 최근 진행된 다양한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식습관-마이크로바이옴-건강 상관관계에 대한 과학적 지식이 축적- 건강한 정상인, 장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9-03-22

동향

더보기

차트+

더보기


국가

기업명

파이프라인

적응증

개발 단계

호주

BiomeBank

Biomictra Gaecal Microbiota

CDI

호주식약처 승인

스위스

Ferring Pharmaceuticals

Rebyota(RBX 2660)

CDI

FDA 승인

미국

Seres Therapeutics

SER-109

CDI

FDA 승인

SER-155

이식편대숙주병

임상1

SER-287, SER-301

궤양성대장염

임상1/2

프랑스

Enterome

E02401

순환성 교아 세포종, 부신종양

임상2

E02463

B-세포 림프종

임상2

E04010

대장암

전임상

EB1010

궤양성 대장염, 음식알러지

전임상

TAK018(Sibofimloc)

크론병

임상2

영국

4Dpharma

MRx0518

고형암

임상1

MRx-4DP004

천식

임상1

Blautix

과민성 대장 증후군

임상2

Thetanix

크론병

임상2

미국

Evelo Bioscience

EDP-1815

건선

임상2

EDP-1867

아토피 피부염

임상1

EDP-2939, EDP-1908

염증 질환 및 암

전임상

미국

Synlogic

SYNB1618,SYNB1934

페닐케튼뇨증

임상2

SYNB1891

고형암

임상1

SYNB8802

장성수산과잉뇨증

임상1

미국

Second Genome

BX001

여드름

임상2

BX003

염증성장질환. 원발경화 쓸개관염

임상1

BX004,BX005

낭포성 섬유증. 아토피 피부염

전임상

국내

지놈앤컴퍼니

GEN-001

고형암. 위암, 담도암

임상2

SB-121

자폐증, 신생아괴사성장염

전임상

GEN-004,GEN-501

난임. 항암발진 아토피피부염

전임상

고바이오랩

KBLP-001

건선

임상2

KBLP-007

염증성 장 질환

임상2

KBLP-002

천식

임상2

CJ 바이오사이언스

CLCC1

간암. 대장암

전임상

지아이바이옴

GB-X01

, 중추신경계질환

전임상

GM-M01

대사성 질환

전임상

GM-G01

염증성 장 질환

전임상



국내외 제약사들의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치료제 개발


Eligo Bioscience (France)

유전자 편집도구로 요구사항에 따른 마이크로바이옴 재프로그래밍을 수행해 외인성 유전자 생성, 표시, 분비 등의 필요한 기능 추가 가능

마이크로바이옴 구성, 기능을 원상 복귀하도록 조정하여 질병을 정확히 치료, 서열 특이적 항미생물제는 유용 박테리아를 제외한 유해 박테리아만을 표적으로 적용되도록 설계

Synlogic (US)

합성생물학 구성 요소 라이브러리, 유전자 회로, 유전자 스위치를 활용하여 원하는 기능을 가진 합성(또는 살아있는) 생명체 생성

자사의 유전자 회로 플랫폼은 미생물 섀시 선택에 도움되며, 유전자 회로를 섀시 유기체에 삽입하고 환자 인체에 능동적 전달, 기능하기 전 기능적 분석 수행 가능

Inscripta (US)

변종을 조작하기 위한 유도 진화 기술에 중점을 두고 있음

자사의 GenoScaler 플랫폼은 확장 가능성이 높은 변형을 재결합, in silico 플랫폼은 유전자형-표현형 데이터의 통계적 모델링을 통한 공학적 변형 수행

Gingko Bioworks (US)

DNA 합성, 실험실 자동화 및 고성능 분석을 사용하여 조작된 살아있는 미생물을 개발하고 고처리량 변형 공학의 자동화 수행

19백만 DNA 염기쌍의 HTS를 용이하게 하며, 7,117개의 효소 스크리닝, 30,445개의 균주 테스트에 대한 2,719개 경로 확인 가능

Gencirq (US)

암 치료를 위한 차세대 박테리아 개발 중으로, 자사가 개발한 Synchronized Lysis 회로는 안전성·효능이 향상된 암 치료법 제공

Kyverna Therapeutics (US)

면역 체계기능을 개선하고 회복시키는 살아있는 치료제를 개발하며 합성생물학 기반의 자가 면역에 적절한 필요 기능을 갖춘 조작된 T세포 공학 기반의 치료 플랫폼을 통해 자가 면역 기능 향상 도모



주목할 만한 합성생물학 기반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개발기업


기업

주요 내용

Ferring Pharmaceuticals and Rebiotix

•︎ Ferring PharmaceuticalsC. Difficile 감염 연구를 위해 Rebiotix 인수

- 20184Ferring Pharmaceuticals(스위스)C. Difficile 감염 재발 방지를 위한 비항생제 치료제를 개발하는 마이크로바이옴 회사인 Rebiotix(미국)를 인수

Locus Biosciences and EpiBiome

•︎ Locus Biosciences, 첨단 탐색 기술을 위해 EpiBiome 인수

- 20187, Locus Biosciences(미국)는 고처리량의 박테리오 파지 발견 플랫폼과 고효율 파지 분리 및 특성화 기능을 위해 EpiBiome(미국)을 인수

GALT and Penn State Microbiome Center

•︎ GALTR&D를 위해 펜실베이니아 주립 마이크로바이옴 센터와 협력

- 2020년에 General Automation Lab Technologies(GALT, US)는 식물 병리학, 환경 미생물학 및 인간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발전시키기 위해 미국 펜실베니아 주립 마이크로바이옴 센터(Penn State Microbiome Center)와 계약을 체결

CABM and DuPont

•︎ CABMR&D를 위해 DuPont과 협력

- 2020, Center for Advanced Biotechnology and Medicine(CABM, US)DuPont Nutrition & Biosciences는 건강과 웰빙을 위한 차세대 마이크로바이옴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2년간 협력 계약을 체결

Second Genome and Gilead Sciences

•︎ 바이오마커를 위한 Second Genome과 길리어드사이언스의 파트너십

- 20204, Second Genome(미국)Gilead Sciences(미국)는 과민성대장증후군에 대한 Gilead5가지 임상 후보 약물 및 약물 표적에 대한 바이오마커를 개발하기 위해 파트너십을 체결하였으며 Second Genome3,800만 달러의 선지급을 받음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위한 합병, 인수 및 협업 현황


지역

기관

내용

북미

Engineering Biology Research Consortium Microbiome Roadmapping Working Group,

US

비영리이면서 민관 협력 파트너십 조직으로 고급 마이크로바이옴 합성생물학(engineering biology)에 중점 둠

합성생물학의 연구 및 응용 분야에서의 도전과 기회를 식별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로드맵과 솔루션을 제공

The Microbiome Center, US

시카고 대학, 해양생물연구소, 아르곤국립연구소 등 미국 전역의 여러 대학으로 구성된 공동 연구 기관

합성생물학 기술을 사용하여 미생물을 조작하고 진단 및 치료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관련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미생물의 정체성과 기능을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둠

유럽

VIB-KU Leuven Center for Microbiology, Belgium

이 센터는 미생물의 생리학, 유전학, 진화, 생태학, 상호 작용 및 산업 및 임상 적용을 위한 메커니즘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미생물학(microbiology)을 전문으로 함

미생물학에서 합성생물학과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우수한 산업 미생물 및 미생물 제품을 개발

eureKARE,

Luxembourg

이 조직은 혁신적인 기술을 포착, 선택 및 육성하고 생명공학 창업 스튜디오를 통해 새로운 회사를 만들어 유럽의 바이오 기업을 지원

또한 획기적이고 잠재력 있는 기술을 가진 유럽 바이오 회사에 투자하며 마이크로바이옴(eureKABIOME) 및 합성생물학(eureKASYNBIO) 기술을 위한 특정 모듈을 제공

Federation of European Microbiological Societies (FEMS),

Netherlands

이 연합은 연구, 네트워크, 보조금, 교육 및 봉사활동을 통해 미생물 산업 발전에 기여

이 미생물 연구에는 30,000명 이상의 연구원, 과학자 및 학생이 있는 50개 이상의 협회 회원사가 참여하고 있음

그외

Bioproduction Research Institute,

Japan

국립산업과학기술종합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의 일부로, 미생물 생태를 연구하고 새로운 생명공학 응용 프로그램을 만듦

토양, , 바다, , 습지로 구성된 생물권(biosphere) 생태계를 이해하기 위해 마이크로바이옴, 합성생물학, 분자생물학, 생물정보학을 탐구

Tianjin Institute of Industrial Biotechnology, Chinese Academy of Sciences,

China

2012년에 톈진시 정부와 중국과학아카데미는 이 비영리 국가 연구소를 산업 생명공학을 위한 국가 혁신 시스템으로 설립

이 연구소의 핵심 연구에는 합성생물학, 미생물 제조 공학, 생물 공정 공학 및 단백질 과학(protein science)이 포함

Synthetic and Systems Biology Center,

Brazil

상파울루 주립 바이오에너지연구센터의 일부이며 식물과 미생물을 사용하여 지속 가능한 에너지원을 제조하기 위한 과학 지식과 기술을 공식화함

합성 및 시스템 생물학을 활용하여 여러 부문, 특히 바이오 에너지의 혁신적인 솔루션을 개발



비의료 응용분야에서 마이크로바이옴의 잠재력을 연구하는 연구소


/기관

주요내용

EU

•︎ 유럽 연합(EU)The 7th Framework Programme for Research Horizon 2020에 따라 미생물 연구의 메타게노믹스 및 기술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약 216개의 선별된 프로젝트에 49,800만 유로 이상의 자금을 지원함

•︎ Horizon 2020은 마이크로바이옴, 영양, 미생물 숙주, 마이크로바이옴의 응용, 건강 및 질병에 대한 미생물의 관계에 중점을 둔 201820 Health and Food Work Program 의 일부였음

NIH, US

•︎ 미국 국립보건원(NIH)은 건강 및 질병에서 인간 마이크로바이옴의 역할을 이해하기 위해 멀티오믹스 데이터를 평가하는 연구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함

•︎ 이 프로젝트는 임산부의 질내 마이크로바이옴에 대한 멀티오믹스 분석과, 건강한 개인과 질병이 있는 개인에 대한 멀티오믹스 미생물의 비교 분석이 포함됨

BARDA, US

•︎ 생물학적 위협에 대한 의학적 대응책 개발을 전문으로 하는 미국 BARDAC.difficile, VE303(현재 단계 II)에 대한 살아있는 미생물 치료제의 임상 개발을 위해 2020년에 Vedanta Biosciences에 총 7,690만 달러 지원금 중 740만 달러를 지원

DBT, India

•︎ 인도의 Department of Biotechnology(DBT)는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및 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2019년 인간 마이크로바이옴 R&D 프로젝트에 2,000만 달러를 투자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위한 투자와 연구보조금의 증가 이니셔티브 및 프로젝트


지역

기관

내용

북미

University of Guelph, Canada

•︎ 이 대학은 인간의 질병에 필요한 미생물을 포함하는 대변을 생산하기 위해 인간의 원위 장(distal gut)을 모방하는 Robogut를 개발함

•︎ 클로스트리디움디피실리(Clostridium difficile : 설사 등을 유발하는 균)에 감염된 설사 환자 치료 가능

Canadian Microbiome Initiative 2(CMI2)

•︎ 마이크로바이옴을 통한 예방 및 치료 솔루션 개발이라는 장기적인 목표와 함께 마이크로바이옴 분야를 향상시키고 당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Canadian Institute of Health Research 에서 시작한 전략적 이니셔티브

•︎ 마이크로바이옴에 중점을 두며, 특히 배양할 수 없는 미생물의 배양기술의 향상도 포함

Duke University, 미국

•︎ 이 대학은 인간 장내 미생물총에 대한 고처리량 분리 및 배양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유전학 및 유전체학, 컴퓨터 생물학 및 생물정보학, 분자 유전학 및 미생물학, 생물의학 등의 공과 대학 및 관련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공동 연구 단위

유럽

Host-Microbiota Interactions Laboratory, Wellcome Sanger Institute, UK

•︎ 이 연구실은 미생물의 항상성을 회복하기 위한 치료 기회를 연구함

•︎ 연구자들은 메타 게놈 분석을 개선하기 위해 배양 기술(culturomics technology)의 최적화를 목표로 함

Helmholtz Zentrum Munchen, Germany

•︎ 인간, 토양, 식물 표본의 마이크로바이옴 비교 분석을 위한 연구 단위로, 생태계 서비스를 유지하고 지구적 토양 변화에 대한 미생물 반응 패턴을 이해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

그외

Shenzhen Institutes of Advanced Technology, Chinese Academy of Sciences,

China

•︎ 2006년에 홍콩중문대학교(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중국과학원, 선전 시(深圳, Shenzhen Municipal Government)가 공동으로 설립

•︎ 신흥 산업을 개발하기 위해 중국의 장비 제조 및 서비스 산업을 강화하고, 특히 미세유체기술(droplet microfluidics technology)로 인간 미생물의 고처리량 분리 및 배양을 전문으로 수행함



배양 기술을 활용하는 연구 사례


iChip

(developed by NovoBiotic Pharmaceuticals, US)

Robogut

미세유체공학과 FACS

(Microfluidics and FACS)

설명

장내 복잡한 미생물을 선별하여 분리하는 소형 칩

인간의 원위 장(distal gut) 시뮬레이션(음식을 섭취하고 소화한 후 및 미생물이 가득 찬 폐기물로 전환)하여 in vitro 내에서 원하는 미생물군을 개발

이들의 조합은 다양한 미생물 생태계에서 미생물을 높은 처리량으로 분리하고 배양 가능하게 함

장점

이전에 배양할 수 없었던 복잡한 시료에서 미생물을 식별하고 배양함

이전에 배양할 수 없었던 미생물 및 박테리아, 바이러스 및 기타 미생물의 복잡한 생태계를 배양하는데 도움

원하는 효소 또는 대사물을 생산하는 미생물에 대한 다양한 미생물 개체군 선별

방법

다중 세포를 포함하여 영양소 통과를 허용하면서도 미생물을 분리, 식별 및 배양

박테리아, 바이러스 및 기타 미생물을 포함한 미생물군을 in vitro 내에서 배양하여 대변 이식을 위한 합성 대변 대체물 생산

대변 이식을 위한 합성 대변 대체물을 만들기 위해 in vitro 내에서 박테리아, 바이러스 및 기타 미생물을 포함한 미생물군을 배양

상용화

상태

상용화

사전 상업화

상용화

R&D포커스영역

약물 발견, 환경 샘플에서 미생물 식별

감염병 치료제 발굴

약물 발견, 알려진 경로에서의 돌연변이 선별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촉진하는 배양기술


구분

유전 회로

(Genetic circuits)

미생물 공학

(Microbial engineering)

바이오센서

(Biosensors)

설명

시공간을 활용하여 치료 효과를 높이고 마이크로바이옴 발현을 조절하기 위해 인공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 유전적인 부분

치료 단백질, 항체 및 생화학 물질의 이종 생산(heterologous production)을 촉진하고 숙주가 원하는 효과적인 생물학적 합성 대사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리프로그래밍 된 미생물

숙주 내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바이오마커를 감지할 수 있는 바이오센서 역할을 하는 미생물 군집(community)

장점

숙주 내 장기적으로 유지되어 치료제로써 효능을 높임

(: B. thetaiotaomicron)

숙주에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대변 이식과 같은 치료보다 장내 미생물로부터 치료제를 추출하는 것이 더 안전함

만성질환의 진단 지연 또는 오진의 문제점 극복

방법

유전자공학을 통해 숙주 내 치료제로써 마이크로바이옴의 발현을 조절하기 위해 일부 유전자를 합성 설계함

사이토카인, 효소 및 질병에 대한 치료 단백질과 같은 치료제를 생산하기 위해 미생물을 재설계(rewire)

재설계된 미생물은 질병 상태의 생체지표를 감지하는 센서 역할을 함

R&D 포커스 지역

CRISPR/Cas*

기반을 둔 생체분자 생산

만성질환의 연구개발 : , IBD(염증성장질환), 비만, 대장염

질병진단 : 위장관출혈, 대장염, 장염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촉진하는 상용화된 합성생물학 기술


기관

내용

북미

The Microbiome Center,

Argonne National Laboratory,

US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위한 나노과학, 나노기술 및 AI/ML을 탐구, 마이크로바이옴의 식별 및 기능을 연구

* 협력기관 : The University of Chicago and Marine Biological Laboratory, US

The Biodesign Center,

Arizona State University,

US

응용 분야(인간, 토양, 식물, 우주선, 매립지) 전반에 걸쳐 미생물 거동을 예측하는 이론을 공식화

에너지 추출에 중점을 두고 장내 미생물총이 인간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 이해

* 협력기관: The Mayo Clinic Arizona

Dalhousie University,

Canada

해당 대학의 통합 마이크로바이옴 자원(Integrated Microbiome Resource)은 학계와 산업계 리더를 지원

차세대 시퀀싱 기술, 연구 설계 지침, 샘플 준비 및 데이터 분석을 통해 마이크로바이옴 시퀀싱 및 분석

유럽

Austrian Microbiome Initiative (AMICI),

Austria

의료용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및 개발에 중점을 둔 연구 플랫폼

The Center for Microbial Ecology and Technology,

Ghent University,

Belgium

응용 프로그램 전반에 걸쳐 미생물 데이터베이스 관리 제공

그외

Westlake University, China

2형 당뇨병과 관련된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해석 가능한 ML 개발

* 협력기관: Sun Yat-sen University and Southern Medical University in Guangzhou, China



마이크로바이옴을 연구하는 학계 및 연구기관의 디지털 기술 개발


빅데이터 해석학

AI/ML 예측 분석학

설명

빅데이터는 메타데이터 큐레이션 및 데이터 유형 통합

고급 마이크로바이옴 데이터의 시각화

AI/ML 도구는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결과를 특성화하기 위한 분석 플랫폼을 생성

통계적 ML 분석 도구는 미생물 구성 및 기타 공변량(covariate, 여러 변수들이 공통적으로 함께 공유하고 있는 변량)을 기반으로 표현형을 예측

장점

빅데이터는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마이크로바이옴 데이터 세트를 대량 및 빠르게 계산

ML에서 딥러닝 알고리즘은 대량의 마이크로바이옴 데이터 분석이 가능

예측 분석학은 다양한 질병을 너무 늦지 않게 적절한 시기에 진단할 수 있음

방법

클라우드 기반의 도구와 소프트웨어는 데이터 처리 및 분석을 강화
(: Qiita, GNPS)

모델 개발

- 미생물 분류학적 표현 및 분화 이해와 질병 예측에서의 숙주 표현형을 추론하기 위한 모델 개발(: DeepARG)

- 개별화된 의약품을 결정하기 위한 마이크로바이옴 기반의 예측 모델

상용화

상태

빅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 전반에 걸쳐 마이크로바이옴 데이터를 관리하고 활용하기 위해 상업화되고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됨

ML은 마이크로바이옴 데이터 분석을 위한 연구에서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음

예측 분석 모델은 질환의 결과를 이해하기 위한 연구에서 사용됨

R&D

포커스

영역

데이터베이스 저장소(repository),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 공유

숙주 마이크로바이옴(host-microbiome)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하는 연구 및 제품 개발

질병 예측을 기반으로 하는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및 제품 개발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촉진하는 디지털 기술


구분

R&D

제품개발

처리 및 제조

포장 및 물류센터

유통(공급)

핵심 업무

(KeyTask)

학술기관,
중소기업,
제약회사
R&D 수행 및 규제승인

관련 기술을 활용한 마이크로바이옴 제품 디자인 및 프로토타입 개발

승인된 디자인에 따라 적절한 평가와 확인을 거쳐 공정 및 제조

오염 방지 및 생존 유지를 위해 제어된 온도에서 포장, 유통업체에 제품을 공급

대리점 및
하위 대리점에서 소매점으로 유통

도전과제 및 어려움

높은 처리량의 배양기술, 데이터 통합 도구 및 대규모 미생물군집 분석소프트웨어 부족

제품의 최적의 규제 포지셔닝 이해, 즉 제품에 대한 적절한 법적 분류 결정

살아있는 유기체의 다양한 일괄 변형(batch-to batch)을 위해 제조 표준에 대한 광범위한 조사 필요

시간이 지나도 프로바이오틱스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보장하고 자연 환경과는 별개로 생체 내에서 제품 생존력을 유지해야 함

시장 경쟁력을 지닌 강력한 제품 차별화와 포지셔닝 필요

극복을 위한 기반 기술

유전체학, 전사체학, 대사체학, 메타지노믹스, 미세유체학, FACS 기술, AI/ML 도구, 바이오뱅킹

생체재료공학, 3차원(3D) 프린팅, 합성생물학, AI/ML 도구

고처리량 배양, 발효, 자동화

동결보존,
동결건조

디지털 지원을 통한 공급망 관리



마이크로바이옴 기반의 제품 개발을 위한 가치사슬에 따른 기반 기술


마이크로바이옴

상승효과 작용기작

Mn

SphingobacteriumandBacillus

Use various organic compounds to bio-adsorb Mn (II) and bio-adsorb Mn in the coexistence system.

PAHs

Four fungal (Aspergillus flavus H6, Aspergillus nomius H7, Rhizomucor variabilis H9, Trichoderma asperellum H15) and five native bacterial strains (Klebsiella pneumoniae B1, Bacillus cereus B4, Pseudomonas aeruginosa B6, Klebsiella sp. B10,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B14)

Increase synergistic metabolic degradation. Produced noticeable microbial diversity changes in the soil contaminated by PAHs, which caused the microbial community to shift in the direction of aromatic hydrocarbons and intermediate degradation pathways.

Four different strains of P. aeruginosa (PA-OBP1, PA-OBP2, PA-OBP3, and PA-OBP4)

Secrete a wider range of enzymes to catalyze the degradation process through various reactions.

BPS

A bacterial consortium consisting ofPseudomonas umsongensis,Bacillus mycoides,Bacillus weihenstephanensis,andBacillus subtilisand a fungal consortium consisting ofMucor circinelloides,Penicillium daleae,Penicillium chrysogenum,andAspergillus niger

Counteract the harmful effects of BPS on the soil by enhancing the activity of catalase, urease, acid phosphatase, and alkaline phosphatase. Enhance the activity of dehydrogenase, arylsulfatase, β-glucosidase, and acid phosphatase.

Four bacterial genera Hyphomicrobium, Pandoraea, Rhodococcus, andCupriavidus

Resistant to BPS and can use BPS as a substrate. When the degradation rate of BPS increased, the growth rate of the bacteria increased.

BPF

Four bacterial genera, Salmonella enterica(46.4%), Enterobacter(28.6%), Citrobacter(21.4%), andPseudomonas(3.6%)

Synergistically degrade BPF. Use BPF and its metabolites as a carbon source to remove BPF.

Four kinds of bacteria (Pseudomonas umsongensis, Bacillus mycoides, Bacillus weihenstephanensis, and Bacillus subtilis) and four fungi (Mucor circinelloides, Penicillium daleae, Penicillium chrysongogenum, and Aspergillus niger)

Increased the activity of urease, β-glucosidase, catalase, and alkaline phosphatase. Increased the activity of dehydrogenases, catalase, β-glucosidase, alkaline phosphatase, and urease.

Crude oil

Indigenous bacterial Paraburkholderia sp. and Paraburkholderia tropica and exogenous fungus Scedosporium boydii

Significantly enhanced microbial activity and increased the uniformity and diversity.



오염물질 분해 마이크로바이옴 및 작용 기작 2


마이크로바이옴

상승효과 작용기작

Pyrene

Five cultivable bacteria (Mycobacteriumspp. PO1 and PO2, Novosphingobium pentaromativorans PY1, Ochrobactrumsp. PW1, and Bacillussp. FW1)

Degrade the essential intermediate compounds produced during the degradation of pyrene by other members. Degrade phthalates or protocatechuates. Produce a large amount of high-efficiency biosurfactant, thereby increasing the soluble pyrene content, improving its bioavailability and biodegradability.

DBP

Pandoraea sp. and Microbacterium sp.

Degrade dimethyl phthalate (DMP), di-2-ethylhexyl phthalate (DEHP), and phthalic acid (PA); one strain of bacteria uses the intermediates produced by another strain.

DOP

Arthrobactersp. SLG-4 andRhodococcussp. SLG-6

Metabolize DOP as phthalic acid (PA). Degrade DOP to PA and then metabolize it to protocatechuate acid and finally to tricarboxylic acid (TCA) through the meta-cleavage pathway.

TPHP

Pseudarthrobacter, Sphingopyxis, Methylobacterium, and Pseudomonas

Synergy between the different strains of the microbial consortium GYY. Self-regulate and adapt during the degradation of TPHP.

PHs

Diaphorobactersp. strain LR2014-1 andAchromobactersp. strain ANB-1

Synergistic catabolism of linuron leads to a more effective catabolism of linuron and promotes growth. It contains two evolutionarily different hydrolases, the amide hydrolase superfamily Phh, and the amidase superfamily TccA2, which have complementary roles in the hydrolysis of different types of PHs.

Butane

Six butane-oxidizing bacteria (BOB, PG-3-1, PG-3-6, PG-3-2, PG-3-10, PG-3-7, and PG-3-12) and butanol oxidizing strain Mycobacteriumsp. PG-3-5

The BOB strain oxidized butane to butanol. The butanol oxidizing strain removed butanol, promoting the growth of both BOB and butanol-oxidizing bacteria. The co-cultivation of BOB strains and butanol-oxidizing strains has a synergistic effect.

DON

Pseudomonassp. Y1 and Lysobactersp. S1

Convert DON into non-toxic 3-epi-DON. DON degradation was the DON epimerization process. DON epimerization is a two-step enzymatic detoxification pathway of DON. The synergistic metabolism promoted DON epimerization.

TC

Raoultellasp. XY-1 and Pandoraeasp. XY-2

The presence of a biochemical synergistic effect between the bacteria, which enhanced the bacteria’s activity and the degradation of TC.

Cd

UPC (70.2275.41% of Sporosarcina, 13.8320.66% of norank_f_Bacillaceae, and 5.9113.69% of unclassified_f_Bacillaceae)

Contained a bacterial consortium with high urease activity and carbonate formation ability. In the urease hydrolysis process of urea, Cd2+cations are adsorbed through their negative charges, and the combination of Cd2+and carbonate finally formed a precipitate. Stronger environmental adaptability.



오염물질 분해 마이크로바이옴 및 작용 기작 1


심기술  

주요내용


프로바이오틱스 (probiotics)

적당량을 섭취했을 때 인체에 이로움을 주는 살아있는 세균을 총칭하는 말로 우리 몸에 유익(有益)을 주는 균()

인간의 건강에 이로운 박테리아나 효모와 같은 살아있는 미생물로 구성되며, 유산균(Lactobacillus), 비피더스균(Bifidobacterium), 엔테로콕쿠스(Enterococcus) 등 이로운 균주를 포함


프리바이오틱스

(prebiotics)

장내 유익한 박테리아의 생장을 돕는 난소화성 성분으로써 프로바이오틱스의 영양원이 되어 장내 환경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줌

대표적인 프리바이오틱스로 이눌린 또는 이눌린을 이용하여 만든 프락토리고당 등 식이섬유가 풍부함. 프리바이오틱스는 올리고당과 같이 탄수화물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가 많고, 대부분이 식이섬유의 형태로 존재


표적 항균제

(Targeted Antimicrobials)

항미생물제라고도 하며 미생물의 생장(growth)이나 생존(survival)을 억제할 수 있는 천연화합물 혹은 합성화합물을 의미

특히, 표적 항균제는 인체에 해롭지 않고 유익한 미생물을 해치지 않으면서 명확하게 병원성 미생물을 목표로 삼는 기술


기타

로바이오틱스, 숙주 조직 내 또는 숙주 생물체의 건강한 생체 내 성장 및 유지를 지원방법으로 유래된 비 생물성분을 이용하는 기술



마이크로바이옴 주요기술분야

뉴스

더보기

연계정보BICS는 바이오 R&D에서 산업화까지 다양한 정보 자료를 수집하여
이용자들이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더보기

연계정보

  • 연구보고서 더보기
    • ntis농생명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웰에이징 혁신 소재 개발 및 실용화
    • ntis아토피피부염 질환군의 면역기전연구를 통한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파마바이오틱스 발굴
    • ntis위암 치료용 파마바이오틱스 발굴을 위한 마이크로바이옴 대사체 접근법
    • ntis위강내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을 통한 위암 관련 미생물군집 바이오시그니처 개발과 위암 치료 파마바이오틱스의 안정성과 효용성 검증
  • 과제 더보기
    • ntis컬처로믹스 기반 마이크로바이옴 생태 시스템 분석 및 활용 플랫폼 기술 개발
    • ntis한국인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뱅킹 표준화 및 지원개발
    • ntis장 모사 숙주세포-장내미생물 공배양시스템 기반 마이크로바이옴 기능 검증 플랫폼 기술 개발
    • ntis다중오믹스 기반 마이크로바이옴 상호작용 연구 플랫폼 기술 개발
  • 논문 더보기
    • 등록된 자료가 없습니다.
  • 특허 더보기
    • ntis대사이상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용 마이크로바이옴 조성물
    • ntis바이오플락 양식 사육수를 이용한 마이크로바이옴 고추장 및 이의 제조방법
    • ntis바이오플락 양식 사육수를 이용한 마이크로바이옴 된장 및 이의 제조방법
    • ntis바이오플락 사육수를 이용한 마이크로바이옴 숙성 김치 및 이의 제조방법

영상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는 바이오 분야의 전문 지식을 영상 콘텐츠로 제공하여,
바이오 분야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있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