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바이옴
마이크로바이오타(microbiota)와 게놈(genome)이 합쳐서 만들어진 합성어로 인간, 동·식물, 토양, 바다, 호수, 암벽, 대기 등 모든 환경에서 서식하거나 공존하는 미생물과 그 유전정보 전체를 포함하는 미생물군집을 의미합니다.Collection
마이크로바이옴
개념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이란, 마이크로바이오타(microbiota)와 게놈(genome)이 합쳐서 만들어진 합성어로 인간, 동·식물, 토양, 바다, 호수, 암벽, 대기 등 모든 환경에서 서식하거나 공존하는 미생물과 그 유전정보 전체를 포함하는 미생물군집이다.
최근에는 다양한 환경에서의 미생물군집을 말하기도 하며, 식물, 동물, 환경, 인체, 장내,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등 다양한 마이크로바이옴에 대한 연구들이 보고되며, 인체마이크로바이옴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인체마이크로바이옴 중에서도 장내마이크로바이옴에 대한 연구가 가장 활발히 진행 중이다.
바이오인(BioIN)에서는 마이크로바이옴에 관련된 다양한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마이크로바이옴
|
|
|||||||||||||||||||||||||||||||||
---|---|---|---|---|---|---|---|---|---|---|---|---|---|---|---|---|---|---|---|---|---|---|---|---|---|---|---|---|---|---|---|---|---|---|
마이크로바이옴
|
|
|||||||||||||||||||||||||||||||||
마이크로바이옴
|
|
|||||||||||||||||||||||||||||||||
미생물 및
|
|
|||||||||||||||||||||||||||||||||
내용 출처 |
|
지식
더보기-
BioINpro[KRIBB 워킹그룹]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장 면역 조절 연구 동향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장 면역 조절 연구 동향 [KRIBB 워킹그룹] ◈ 목차 1. 개요 2. 주요 동향 및 이슈 2.1 장 마이크로바이옴과 면역 체계 2.2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장 면역 관련 질환 연구 동향 3. 결론 및 시사점 ◈본문 1. 개요 ■︎ 마이크로바이옴의 활용 ◦︎ 마이크로바이옴이란? - 마이크로바이옴은 특정 환경에 존재하는 모든 미생물 집단(Microbiota)의 유전체(Genome)를 의미하며, 휴먼 마이크로바이옴은 사람 피부나 소화기관 등 인체에 공생하는 미생물 군집을 뜻함 -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hman gnome poject, HGP)를 통해 인간이 약 2만개의 단백질 암호화 유전자를 보유하며 이는 초파리와 크게 다르지 않았기에, 이후 체 내외 미생물 군집에 대한 인간 마이크로바이옴 프로젝트(hman microbiome project)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음(그림 1) - 한 사람의 몸에 공생하는 미생물의 수는 약 60~100조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2024-12-16
-
BioINpro[2024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상)] 마이크로바이옴 표적 항암백신 전략
2024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상) 마이크로바이옴 표적 항암백신 전략 용석범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전임연구원 ◈ 목차 1. 마이크로바이옴과 암 2. 저변이 암이란? 3. 마이크로바이옴 표적 항암 백신의 개요 가. 면역항암 치료 전략 & 암백신 나. 마이크로바이옴 표적 항암 백신 4. 마이크로바이옴 표적 항암 백신 개발 전략 가. 항원 발굴 나. 항원 전달 기술 및 mRNA/지질나노입자 시스템 다. mRNA 기반 암 백신 연구 동향 및 시장 점유 가능성 분석, 차별화 ◈본문 1. 마이크로바이옴과 암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은 숙주 개체 내 살아가고 있는 바이러스, 박테리아 등의 군집으로, 대사(Metabolism)와 면역(Immune system)을 비롯한 숙주의 다양한 부분에서 역할을 한다[1]. 대표적으로 장내 미생물 군집(Gut microbiome)은 식이 섬유를 비롯한 다양한 음식물의 분해에 직접적으로 참여, 그 대사물을 통해 숙주에 영향
2024-05-13
-
BioINpro[KRIBB 워킹그룹] 마이크로바이옴-암 연구동향
[KRIBB 워킹그룹] 마이크로바이옴-암 연구동향 2023년도 KRIBB 워킹그룹이슈페이퍼 제 15호 ◈ 목차 1.개요 2.주요 동향 및 이슈 2.1.마이크로바이옴과 암 2.2.마이크로바이옴과 항암제 반응성 2.3.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개발현황 3.결론 및 시사점 ◈본문 1. 개요 □︎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치료제 개발 ○마이크로바이옴과 질병의 상관관계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은 미생물군집(Microbiota)과 유전체(Genome)의 합성어로 인체 내 공생하는 모든 미생물 군집 또는 군집의 유전정보 전체를 의미함 -︎인체에는 약 10-100조개의 박테리아(세균), 곰팡이, 원생동물 등의 미생물들이 분포함.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70-95%는 장을 포함한 소화관에 밀집되어 있으며, 호흡기, 비뇨생식관, 피부 등에도 분포함. 마이크로바이옴은 체중의 1-3%를 차지하지만, 미생물의 많은 숫자와 다양한 기능에 의해 마이크로바이옴은‘제2의 장기’ 또는 ‘제2의 유전체’로 불림
2024-02-01
-
BioINwatch공간 전사체(Spatial transcriptomics) 분석으로 숙주-마이크로바이옴의 상호작용 규명
공간 전사체(Spatial transcriptomics) 분석으로 숙주-마이크로바이옴의 상호작용 규명 BioINwatch(BioIN+Issue+Watch): 23-81 ◇ 공간 전사체(Spatial transcriptomics) 분석기술을 이용하여 숙주와 마이크로 바이옴 간의 상호작용을 규명할 수 있는 연구전략이 제시. 공간 전사체학을 활용하여 in situ에서 숙주-마이크로바이옴의 상호작용체(interactomes)를 분석할 수 있는 이러한 연구전략은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에 새로운 접근방안과 관점을 제시할 것으로 전망 ▸주요 출처 : Nature Biotechnology, Spatial methods for microbiome-host interactions, 2023.11.20; Nature Biotechnology, Spatial metatranscriptomics resolves host-bacteria-fungi interactomes, 2023.11.20; Natur
2023-11-28
-
BioINpro[2023 바이오 미래유망기술(하)] 토양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개발동향 및 전망
[2023 바이오 미래유망기술(하)] 토양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개발동향 및 전망 홍수린 / 차의과학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 ◈ 목차 1. 개요 2. 연구개발 동향 및 전망 가. 해외 연구 동향 나. 국내 연구 동향 3. 결론 및 시사점 ◈본문 1. 개요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은 미생물 군집(microbiota)과 유전체(genome)의 합성어로 인간, 동물, 식물, 토양, 바다, 대기 등에 공존하는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미생물 군집과 유전체를 의미한다. 인체 생물학적 관점에서 마이크로바이옴은 피부, 호흡기, 생식기, 위장관 등 우리 몸의 다양한 부위에 서식하며 개인적인 특징을 가지고 건강상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지면서 개인 맞춤형 치료법 개발과 같은 관련 연구가 빠르게 성장하였다. [그림 1] NIH 휴먼 마이크로바이옴 프로젝트(Human Microbiome Project) 단계 출처 : The Integrative HMP(iHMP)
2023-06-01
-
BioINpro[KRIBB 워킹그룹] 장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뇌신경질환 기전 및 제어 연구동향
장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뇌신경질환 기전 및 제어 연구동향 2022년도 KRIBB 워킹그룹 이슈페이퍼 제8호 저자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마이크로바이옴융합연구센터 이정수 외 14인 1 개요 ▉︎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치료제 개발 ● 마이크로바이옴 정의 - 마이크로바이옴은 특정 개체 또는 환경이 지니는 박테리아(세균), 바이러스, 곰팡이균, 기생충 등을 포함하는 미생물 생태계의 총합을 통칭하며, 그 중 현재 박테리아의 기능 연구가 가장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그림 1] - 인간 마이크로바이옴의 경우, 장(intestine), 피부(skin), 기도(trachea) 등 외부환경에 노출된 부위에 다양하게 존재하지만 가장 많이 위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장 마이크로바이옴 (gut microbiome)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가운데, 타 조직에서의 마이크로바이옴 기능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대하는 상황임[그림 1] ●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치료제 종류(Sorba and Pamer,(202
2023-01-30
-
BioINdustry마이크로바이옴 R&D 및 산업화를 위한 전략
[BiolNdustry No.174] 마이크로바이옴 R&D 및 산업화를 위한 전략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연구원 이지현 ※ 본 보고서는 프로스트앤드설리번에서 발간한 보고서 ‘Technology Enablers Facilitating Microbiome Adoption in Research and Development(2021.12)' 등을 참고하여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 재구성한 것임 [ 목차 ] 1. 개요 2. 마이크로바이옴 글로벌 시장 현황 3. 주요 구현기술과 혁신사례 1) 디지털 기술 2) 합성생물학 3) 배양기술 4.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위한 투자 1) 이니셔티브 및 프로젝트 2) 정책자금 지원을 통한 연구강화 3) 향후 투자 동향 5. 성장기회 1) 고급 데이터 분석을 위한 도구의 개발 2) 발전된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위한 신규한 소재와 표준화 3) 재설계된 균주의 대량 생산을 가속화하는 합성생물
2022-10-26
-
BioINpro환경오염 물질 분해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개발 동향 및 전망
환경오염 물질 분해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개발 동향 및 전망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합성생물학전문연구단 성봉현 1. 개요 가. 환경오염 문제에 대한 심각성 증대 한국환경연구원이 실시한 2020년 국민환경의식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은 ‘쓰레기/폐기물 처리 문제’, ‘과대포장에 따른 쓰레기 발생’을 우리나라가 직면한 대표적 환경문제로 인식했다(그림 1). 미세플라스틱의 심각성과 코로나19로 인한 일회용품 사용증가에서 비롯한 폐기물 이슈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 유럽연합의 설문조사에서도 쓰레기/폐기물 문제는 기후변화, 대기오염과 함께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되고 있다(1). 2021년 말 Science지에서는, 2022년 주목해야할 과학기술 헤드라인의 하나로 ‘UN의 오염문제 논의’를 선정하였다(2)., 2022년 3월 전세계 175개국 협상 대표는 케냐 나이로비에서 열린 제5차 UNEA(the United Nations Environment Assembly)에서 2024년 말
2022-06-30
발간
더보기-
정책/기획보고서OECD BIO POLICY REVIEW - 마이크로바이옴
OECD Bio Policy Review No.2 마이크로바이옴, 식습관 그리고 건강: 과학과 혁신 현안에 대하여 (The Microbiome, Diet and Health: Towards a science and innovation agenda) ◆ (개요) OECD는 해당 보고서를 통해 인간의 건강 증진에 커다란 잠재력을 지닌 마이크로바이옴 분야 최신 동향을 요약하고, 혁신에 대한 장애요인을 분석하여 정책과제를 제안함 □ (마이크로바이옴) 식습관, 영양, 마이크로바이옴 간의 상호작용 이해는인류의 건강 증진 및 사회‧경제에 기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 ※ 마이크로바이옴은 인체 내 혹은 인체 상에 살고 있는 모든 종류의 미생물과 이들의 유전체 전체를 말하며, 연구계에서는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을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질환의 결정 요인으로 추측 ㅇ 최근 진행된 다양한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식습관-마이크로바이옴-건강 상관관계에 대한 과학적 지식이 축적- 건강한 정상인, 장
2019-03-22
동향
더보기-
기술동향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현재의 연구 동향과 미래 전망2024.11.21
BRIC
-
제도동향
"EFSA의 위해성평가에 환경 마이크로바이옴을 통합하기 위한 로드맵" 주요 내용 검토 및 시사점2024.10.14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
기술동향
[이슈 브리핑] 제2형 당뇨병과 마이크로바이옴 연관성 연구결과 발표2024.07.05
한국바이오협회
-
인프라동향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의약품 전망과 인력 양성 과제2024.05.10
화학·바이오산업인적자원개발위원회
-
기술동향
[ASTI Market Insight 240] 마이크로바이옴2024.04.16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제도동향
마이크로바이옴 의약품의 초기 임상시험 가이드라인2023.08.18
국가임상지원재단
-
산업동향
마이크로바이옴 CDMO 동향2023.05.02
한국바이오협회
-
기술동향
엔지니어링 마이크로바이옴 개발 동향2023.04.14
한국바이오협회
-
산업동향
마이크로바이옴 투자 및 산업동향2023.04.10
한국바이오협회
-
산업동향
ASTI Market Insight 134: 인체 마이크로바이옴2023.02.20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기술동향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동향2023.02.07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정책동향
[R&D Brief] 국내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지원 현황 및 향후 지원방향2022.11.22
한국연구재단
-
기술동향
분변미생물이식(FMT) 기반 휴먼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기술개발 동향분석2022.10.05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기술동향
인체 질병 관련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의 연구동향2022.08.16
BRIC
-
기술동향
거대한 생태계 마이크로바이옴, 융합적·도전적 국가전략을 기반으로 글로벌 경쟁력 확보해야2022.05.16
한국과학기술한림원
-
기술동향
[융합연구리뷰 Vol.7 No.8] 마이크로바이옴과 합성생물학의 만남, 차세대 의료용 미생물 개발2021.08.30
융합연구정책센터 (KIST)
-
기술동향
조절T세포를 통한 마이크로바이옴과 숙주의 공생2021.03.10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
기술동향
구강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동향2021.02.16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산업동향
[BIO ECONOMY BRIEF]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화장품 및 치료제 산업 동향2020.12.01
한국바이오협회 - 한국바이오경제연구센터
-
기술동향
마이크로바이옴이 몰고 올 혁명2020.03.11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차트+
더보기뉴스
더보기-
R&D
충북TP 스타트업,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개발 나서 '주목'2025.04.21
연합뉴스
-
R&D
AI활용하고 적응증 확대…'마이크로바이옴' 신약개발 속도2024.12.12
뉴시스
-
R&D
똥이 돈되는 시대…“마이크로바이옴 연구 성과 내려면 규제 풀어야”2024.12.04
서울경제
-
R&D
마이크로바이옴, 무한진화…"뇌·신경질환 치료제로 확장"2024.10.31
뉴시스
-
R&D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생균치료제 제조시설 가이드라인 제정2024.09.26
연합뉴스
-
R&D
1조→4000억대 줄였지만 마이크로바이옴 사업 예타 탈락2024.07.31
전자신문
-
R&D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없는 질병 해결할 실마리"2024.07.02
약업신문
-
R&D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개발은 여전히 '블루오션'... 제도적 기틀 마련해야2024.06.14
바이오타임즈
-
R&D
[24.06.13 목] 섭취 가능한 마이크로바이옴 샘플링 알약 기술 발전2024.06.13
Eurekalert 외
-
R&D
'미완의 기대주'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제도적 가이드라인 시급"ㅍ2024.05.17
머니투데이
-
R&D
마이크로바이옴과 단백질의 긴밀한 관계2024.04.08
동아사이언스
-
R&D
마이크로바이옴 의약품 제조, 혁신 신약 소재물질 사업화 등 속도 내나2024.03.08
메디파나뉴스
-
R&D
'리비옴' 더 강력한 eLBP 마이크로바이옴이 온다2024.02.16
약업신문
-
R&D
기관지 세척액 검체로 마이크로바이옴 분석…‘폐암’ 예측2024.02.06
뉴스1코리아
-
R&D
신약 블루오션, 13조 마이크로바이옴 시장 잡아라2024.01.05
데일리팜
-
R&D
'이뮤노바이옴' 마이크로바이옴 신약에 혁신 기술을 더하다2023.12.04
약업신문
-
R&D
유방암 예방·진단·치료에 '마이크로바이옴' 핵심 역할2023.11.17
파이낸셜뉴스
-
R&D
최초 경구 마이크로바이옴 '보우스트' 4개월 만 순매출 750만 달러 돌파2023.11.15
약업신문
-
R&D
"CGT·마이크로바이옴·ADC…급성장하는 3대 신약분야 주목해야"2023.11.03
서울경제
-
R&D
라비 키론 박사 "마이크로바이옴 영역 무궁무진…腸 넘어 뇌 치료 기대"2023.09.26
서울경제
부처보도자료
더보기-
민관 기술 융합 ‘미래 농업 핵심,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박차
농촌진흥청
2025-01-22
-
미해결 질환 극복을 위한 '2024 병원기반 인간 마이크로바이옴 심포지엄' 개최
질병관리청
2024-12-03
-
식약처,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생균치료제 제조시설 가이드라인 마련
식품의약품안전처
2024-09-26
-
질병청-복지부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개발사업 중간 성과교류회 개최
질병관리청
2024-08-23
-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국제 심포지엄 개최
질병관리청
2023-10-12
-
「병원기반 인간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개발 사업」 착수
질병관리청
2023-02-28
-
식약처,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개발지원
식품의약품안전처
2022-04-29
연계정보BICS는 바이오 R&D에서 산업화까지 다양한 정보 자료를 수집하여
이용자들이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더보기
-
기술혁신개인 맞춤형 마이크로바이옴
개인유전체 정보별 정상균총의 변화와 이를 기반으로 하는 질환예측 기술 (예: 유전체변화에 따른 식생활의 변화는 정상균총의 변화를 초래하고 이것이 질병으로 이어지는 것을 예측)
2024-12-03
-
기술혁신마이크로바이옴 표적 항암백신
암의 성장을 돕는 특정 마이크로바이옴이 표지하는 항원을 규명하여 이를 표적으로 하는 mRNA 등의 항암백신
2024-11-25
-
기술혁신토양 마이크로바이옴
생물지각 내 마이크로바이옴을 파악하고 개발하여 건강한 토양 생태계를 유지
2024-11-25
-
기술혁신환경오염물질 분해 마이크로바이옴
박테리아, 나방 등에서 분리해낸 환경오염물질 분해효소를 지닌 마이크로바이옴을 활용하여 플라스틱, 비닐 등 환경오염 물질을 분해하는 기술
2024-11-25
-
기술혁신식물 마이크로바이옴 엔지니어링
식물 공생 미생물체, 병원성 미생물체 분석으로 식물 마이크로바이옴 기능 조절을 통해 작물 성장을 돕거나 멸종위기 보호종을 보전하는 기술
2024-11-25
연계정보
-
연구보고서
더보기
-
ntis농생명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웰에이징 혁신 소재 개발 및 실용화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농생명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웰에이징 혁신 소재 개발 및 실용화/
사업 : 202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과제 : 271000792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농생명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웰에이징 혁신 소재 개발 및 실용화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411 발행기관명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Ⅳ 연구개발결과1 마이크로바이옴 제어 소재 개발11 마이크로바이옴 제어 소재 개발 1 균주은행을 통한 버섯 32종 확보 및 mating을 통한 신규 균주 확보 다당체생산 조건 확립 도원홍초 흰목이버섯 및 동충하초 유래 다당체가 프리바이오틱스로 활용가능함을 보여줌 버섯유래 다당체의 인간섬유아세포NHDFs cell에서 procollagen 합성량 촉진 확인 저분자화 다당체와 장내미생물 군집의 상호작용 분석 유용 대사체 증가 FB ratio 감소 저분자화 다당체와 유산균과의 상호작용 분석 자가응집 유도 유용 대사체 증가 유도12 마이크로바이옴 제어 소재 개발 2 In vivo 마우스 모델에서 버섯 소재의 프리바이오틱 이용 가능성과 체중감소에 효과 확인 유산균 표면 당사슬이 숙주의 Tolllike receptor TRL 매개 면역반응 시그널을 증대 확인 동물혈액 단백질 가수분해 산물아미노산 펩타이드의 프로바이오틱 균총 증가 유도 확인 장내미생물 C tertium의 유전체 분석 뮤신 다당체 대사실험을 통한 mucin 분해능 확인 SCFAs에 의한 뮤신이 생성을 증가 및 이의 병원성 미생물을 억제 활성 확인13 마이크로바이옴 제어 소재 개발 3 유산균 유래 13프로판디올의 최적 생산 공정 및 정제 공정 확립 페니바실러스 유래 D형 23부탄디올 생산 및 공정 최적화 연구 정제 공정 확립 장내 환경조절소재실크펩타이드 엑토인 갈락토올리고당 생산용 효소 개발2 Dysbiosis 대응 소재 개발 SPM 생합성 lipoxygenase 효소의 개발 및 효소합성 SPM의 정제 분석기술 확립 Lipoxygenase 효소 반응에 의해 생성된 BioSPM의 세포 및 생체 안전성 평가 바이오제조 SPM 소재의 지방대사 염증 및 분화 조절 활성 규명종양대식세포 및 암줄기 세포능 조절 바이오제조 SPM 소재의 비만지방간 동물모델에 대한 지방대사조절 급성호흡기증후군 동물모델에 대한 폐렴 제어 및 궤양성대장염 동물모델의 대장염증조직 재생 효능 규명 바이오제조 SPM에 의한 염증성 질환아토피피부염 알러지천식 류머티스관절염 동물모델의 dysbiosis 및 질환 개선 효능 규명3 농생명 마이크로바이옴 활용 기반 기술 확보 돼지 소화기관위 십이지장 소장 대장별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완료 돼지 생애주기포유자돈 이유자돈 육성돈 비육돈 위축돈별 내장시료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완료 FACSFluorescence Associated Cell Sorter를 활용한 난배양 유용 미생물 확보 기술 개발 난배양성 미생물 순수 분리 및 배양을 위한 신기술 개발 STOMIC 돼지 분변시료로부터 분리된 Bacillus licheniformis BTas02 균주에 대한 유전체 분석완료 유산균 유래 루테린 생산 공정 확립 및 생산 증진 균주 개발 대량 생산기술 개발 작물보호제로 활용하기 위한 루테린의 효능 평가 및 고추탄저병 방제효과 확인 기술이전출처 요약문 5p -
ntis아토피피부염 질환군의 면역기전연구를 통한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파마바이오틱스 발굴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아토피피부염 질환군의 면역기전연구를 통한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파마바이오틱스 발굴/Discovery of pharmabiotics from gut microbiome by immune mechanism study on atopic dermatitis
사업 : 202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과제 : 1711132878 울산대학 아토피피부염 질환군의 면역기전연구를 통한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파마바이오틱스 발굴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205 발행기관명 울산대학교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연구개발 목표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은 아토피피부염과 연관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으나 아직 정확한 타겟 마이크로바이옴과 그 관련 기전규명이 이루어지지 않았음 본 연구에서 1단계 연구를 통해 장과 피부 마이크로바이옴을 분석하고 세포 수준에서 후보 균주의 효능을 확인하였음 2단계 연구에서는 1단계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통해 획득한 추가적인 파마바이오틱스 후보를 타세부와 연계를 통해 선별하여 이를 세포수준에서 효능을 확인함 선별된 파마바이오틱스 후보의 기능과 대사물질을 단백체 및 대사체 분석을 통해 확인타세부연계하고 이를 사람세포에 적용하여 그 기능을 확인함 아토피피부염 환자의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통합분석을 통해 아토피피부염 치료를 위한 타겟 파마바이오틱스를 재확인함 연구개발 내용1단계 1차년도 1차년도 소아 대상군의 인체유래물 분변 수집 분변 시료내 colonocyte를 활용한 전사체분석 기 확보된 후보 파마바이오틱스를 in vitro 세포주장과 피부세포실험을 통해 효능검증 및 면역반응 분석 검증1단계 2차년도 2차년도 소아 대상군의 인체유래물 분변 수집 전사체 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선천 및 후천 면역 기전 규명과 타겟 유전자 발굴 분변 마이크로바이옴 2세부과 통합하여 hostmicrobe interaction 규명과 타겟 발굴 사람 세포주in vitro에서 타겟 균주 투여 시 면역 변화 확인 및 효능 검증1단계 3차년도 3차년도 소아 대상군의 인체유래물 skin swab 수집 분변 마이크로바이옴 2세부과 통합하여 hostmicrobe interaction 규명과 타겟 발굴 사람 세포주in vitro에서 타겟 투여에 의한 효능검증 및 면역학적 변화 검증2단계 1차년도 4차년도 1단계에서 새로 발굴된 2개의 균주와 기존 발굴된 파마바이오틱스 타겟 물질에 대해서 사람 세포주 수준에서 면역학적 기전 규명과 효능 검증 아토피피부염 및 대조군의 혈액에서 대사체 분석을 통한 타겟 발굴 및 세포 효능 검증2단계 2차년도 5차년도 최종적으로 제시된 타겟 물질에 대해서 in vitro 실험을 통한 면역학적 기전 규명과 효능 검증 타겟 발굴과 검증 및 SNP 바이오마커 패널을 이용한 실용화 기반 구축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 인체마이크로바이옴의 상호작용 분석을 통해 타겟 면역관련 기전 규명과 타겟 미생물 관련 유전자 발굴personalized medicine 또는 파마바이오틱스 장내 미생물의 질환 타겟 장기장과 피부에 대한 기전 규명을 통한 새로운 파마바이오틱스 타겟 발굴 근거 제공 새롭게 발굴한 파마바이오틱스로 아토피피부염 유병 감소로 인한 사회적 의료비용 감소와 사회적 만족도 증가 경제적 활성화를 유도 발굴된 파마바이오틱스에 대한 통합분석으로 실제 임상적용을 위한 과학적인 근거 기반 마련 Humanmicrobe 상호작용에 대한 개념 이해와 gutskin axis 개념 기반 기전 규명으로 인한 새로운 개념의 진단과 예방 치료제 발굴의 기초 근거 제공 개인 특이적인 유전요인 및 마이크로바이옴 자료 분석으로 multiomics 기반 개인 맞춤형 진단 및 치료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 국제 경쟁력 있는 논문 특허 마이크로바이옴 및 유래물질 확보하여 실용화 기반 구축 가능 아토피피부염의 지속은 다른 알레르기질환 발생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으므로 이번 연구를 통해 알레르기질환 발생을 예방하여 사회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안 마련의 기초 자료제공출처 요 약 문 3p -
ntis위암 치료용 파마바이오틱스 발굴을 위한 마이크로바이옴 대사체 접근법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위암 치료용 파마바이오틱스 발굴을 위한 마이크로바이옴 대사체 접근법/Metabolome approach of microbiome for discovery of pharmabiotics for gastric cancer treatment
사업 : 202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과제 : 1711128345 경희대학 위암 치료용 파마바이오틱스 발굴을 위한 마이크로바이옴 대사체 접근법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205 발행기관명 경희대학교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연구개발 목표본 연구는 위염에서 위암에 이르는 질환 단계별 숙주 및 마이크로바이옴의 대사체 분석법을 개발하는 한편 실제 임상시료에 적용하여 이를 이용한 위암의 조기진단 및 예후 판별을 위한 바이오마커를 발굴하고 Helicobacter pylori H pylroli로 인한 암의 발전을 억제할 수 있는 파마바이오틱스의 발굴을 목표로 하고 있다 숙주와 마이크로바이옴 간의 상호작용 및 마이크로바이옴 내부의 상호작용이 복잡한 만큼 본 연구의 대사체 분석법은 단쇄지방산 담즙산 및 아미노산 등 광범위한 표적에 대한 분석법 개발 시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전 세계 어느 곳에서도 시도되지 않은 난이도 높은 분석법의 개발 시도이다 또한 상기 방법은 질환 단계에 따른 임상시료에 적용하여 치사율이 높은 난치성 질환의 진단 및 치료에 적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질환의 발전을 유발하는 H pylori 균주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위암으로의 발전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적인 파마바이오틱스를 발굴해낼 수 있다 한국인 유래 마이크로바이옴을 통해 얻어진 파마바이오틱스는 한국인 맞춤형 약물로써 다른 화학적 약물보다 효과적이고 안전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를 통해 국민보건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개발 내용 1차년도 숙주 및 마이크로바이옴 내 아미노산 및 당대사에 의한 단쇄지방산 분석법 개발 단쇄지방산 에너지 대사경로 및 아미노산 분석법 개발 위액위점막 유래 마이크로바이옴 시료 및 혈액뇨 등의 생체시료에 대한 분석법 개발 마이크로바이옴 내 주요 아미노산 및 단쇄지방산의 변동량 결과 확보 시료에 따른 프로파일링 결과 확보 2차년도 숙주 및 마이크로바이옴 내 신경전달물질과 담즙산 대사경로 분석법 개발 담즙산 대사경로에 따른 대사체 분석법 개발 위액혈액뇨 등의 생체시료에 대한 분석법 개발 시료에 따른 프로파일링 결과 확보 3차년도 숙주 및 마이크로바이옴 내 신경전달물질과 스테로이드 호르몬 대사경로 분석법 개발 신경전달물질과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암 연관성을 규명하고 대사경로에 따른 대사체 분석법 개발 위액혈액뇨 등의 생체시료에 대한 분석법 개발 시료에 따른 프로파일링 결과 확보 4차년도 표적형 대사체 분석법 통합 생체 시료 내 진단 바이오마커 분석 및 파마바이오틱스 적용에 따른 상호작용 네트워크 분석 표적형 대사체 통합 분석법 개발 생체 시료 내 진단 바이오마커 분석법 검증 파마바이오틱스 적용에 의한 숙주 및 마이크로바이옴 내 상호작용 네트워크 경로 규명 5차년도 질환단계에 따른 바이오마커 분석 및 DB화와 파마바이오틱스 안전성 검증방법 개발 위염 위축성위염 장상피화생 위암에 이르는 병기별 진단 바이오마커 분석 병기별 진단 바이오마커의 데이터베이스화 숙주와 파마바이오틱스의 이상 반응에 따른 특이 대사체 발굴로 파마바이오틱스 안정성 확보방안 마련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첫째로 본 연구개발을 통해 장내 미생물의 대사과정을 이해하고 생체 시료 및 인체 유래 미생물의 극미량 대사체를 분석하여 관련 질환의 메커니즘을 인체 대사 및 장내 미생물로 확장시켜 광범위하게 밝혀내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또한 질환과 관련된 대사 경로를 다원화하여 조사하고 심지어 질환의 원인 균주가 되는 H pylori 및 그의 감염으로 인해 불균형이 초래되는 장내 미생물의 디스비오시스 dysbiosis와 그로 인한 위장 내 마이크로바이옴의 대사체 및 대사과정의 변형에까지 확장하여 수행한다면 진단의 바이오마커가 될 수 있는 잠재력있는 후보군이 다양화될 수 있고 이 경우 단순히 한 두 개의 바이오마커로써가 아니라 대사체 검출결과로써 나타나는 대사체의 패턴으로써 진단 바이오마커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마지막으로 관련 질환의 데이터베이스화 연구 및 통합적 대사체 분석 플랫폼은 제약산업현장에서 관련 파마바이오틱스를 연구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연구 플랫폼으로써 활용될 것이며 손쉬운 대사체 연구는 관련 산업의 발전 속도를 더욱 높여줄 것이다출처 요 약 문 2p -
ntis위강내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을 통한 위암 관련 미생물군집 바이오시그니처 개발과 위암 치료 파마바이오틱스의 안정성과 효용성 검증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위강내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을 통한 위암 관련 미생물군집 바이오시그니처 개발과 위암 치료 파마바이오틱스의 안정성과 효용성 검증/The analysis of gastric cancer related microbial biosignature through metagenomic analysis and evaluation of safety and efficacy of pharmabiotics in the management of gastric cancer
사업 : 202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과제 : 1711131015 연세대학 위강내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을 통한 위암 관련 미생물군집 바이오시그니처 개발과 위암 치료 파마바이오틱스의 안정성과 효용성 검증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205 발행기관명 연세대학교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연구개발 목표다양한 위질환의 과정을 거처 위암에 이르는데 관련되는 위강 내 미생물군집 분석을 통해 위암 관련 미생물군집의 바이오시그니처를 발굴하며 위암 및 전암병소의 진행 조절에 기여할 수 있는 미생물군집 또는 미생물 유래 물질을 이용하는 신규 파마바이오틱스를 발굴하고 안정성과 효능을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함 연구개발 내용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질환만성위염 대조군 위축성 위염장상피화생 위암 환자 유래 위액위점막 추출액을 무균마우스 위내에 접종 선별된 파마바이오틱스의 안정성과 효능 검증을 진행 중에 있음 접종 후 1개월 및 1년 경과된 인간화 위강마우스를 부검하여 면역 조직학적 분석을 통한 점막 세포군의 변화 분석을 시행하여 파마바이오틱스 효능 평가 분석을 위한 기초 자료를 확립하였음 파마바이오틱스의 동물모델 효능에 대한 숙주 인자의 분자생물학적인 해석을 시도함으로써 숙주미생물 상호작용에 기반한 위암화 과정 제어의 가능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 본 연구에서는 인간화 위강 마우스 모델에서 파마바이오틱스의 위질환 미생물 군집 제어기전을 규명하는 목표로 인간화 위강 마우스 점막의 염증 및 화생성변화 유전자 발현 분석을 통해 위암 관련 후보 유전자 발굴 및 파마바이오틱스 매개 위암화 제어 기전을 규명하고자 함 대표적인 마우스 헬리코박터 감염 플랫폼인 H felis 감염 마우스 모델에서 파마바이오틱스의 헬리코박터 감염 연관 위점막 변이 제어 효과를 탐색하고자 H felis 감염 마우스 모델 에서 파마바이오틱스 투여 후 위점막 염증 및 화생변화의 제어 효능을 평가분석 하고자 함 또한 마우스에서 위암 발생을 유도할 수 있는 H pylori SS1 마우스 감염 모델을 대상으로 1단계에서 선별된 파마바이오틱스에 의한 마우스 마이크로바이옴 및 암화 관련 위점막의 세포 병리학적인 제어 효과를 분석하고자 함 본 연구를 통해 마우스 모델에서 파마바이오틱스의 항점막 염증 제어 효과 위암 억제 효과 및 미생물군집 분포 조절 효과를 평가함으로써 향후 파마바이틱스의 상업화와 인간 대상의 임상시험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위암의 발병률과 사망률을 현격히 줄임으로써 위암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 경제적 비용절감이 기대됨출처 요 약 문 2p
-
ntis농생명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웰에이징 혁신 소재 개발 및 실용화
-
과제
더보기
-
ntis컬처로믹스 기반 마이크로바이옴 생태 시스템 분석 및 활용 플랫폼 기술 개발
연계정보(NTIS)
과제컬처로믹스 기반 마이크로바이옴 생태 시스템 분석 및 활용 플랫폼 기술 개발
연세대학교 정부투자연구비 337,500,000원 총연구비 337,500,000원 생명과학 유전학·유전체학 유전체학-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이동우
- 참여연구자심현규;김수민;고홍;진현수;조장천;류은선;성재윤;권보미;이문회;김경수;배민석;양주안;홍이지;이지영;김미래;홍준표;양소연;김형빈;노지혜;조유진;최소형;정원희;한승민;박정수;이창민;김은제;이채연
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710074697 기준년도 2024 연구책임자 이동우 과제수행기관 연세대학교 정부투자연구비 337,500,000 총연구비 337,500,000 - 6T관련효과
- 유전체기반 기술
-
ntis한국인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뱅킹 표준화 및 지원개발
연계정보(NTIS)
과제한국인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뱅킹 표준화 및 지원개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정부투자연구비 355,000,000원 총연구비 355,000,000원 생명과학 분류/생태/환경생물학 생물자원/다양성-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이정숙
- 참여연구자박승환;김성훈;강세원;박잠언;김지선;엄미경;연준모;장인수;서민국;이주혁;유승엽;허은서;김한솔;유승우
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710069622 기준년도 2024 연구책임자 이정숙 과제수행기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정부투자연구비 355,000,000 총연구비 355,000,000 - 6T관련효과
- 생명현상 및 기능연구
-
ntis장 모사 숙주세포-장내미생물 공배양시스템 기반 마이크로바이옴 기능 검증 플랫폼 기술 개발
연계정보(NTIS)
과제장 모사 숙주세포-장내미생물 공배양시스템 기반 마이크로바이옴 기능 검증 플랫폼 기술 개발
한림대학교산학협력단 정부투자연구비 225,000,000원 총연구비 225,000,000원 생명과학 융합바이오 시스템생물학-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김봉수
- 참여연구자강남주;이근욱;박성원;박준영;이예진;김나영;김영우;박혜원
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710074701 기준년도 2024 연구책임자 김봉수 과제수행기관 한림대학교산학협력단 정부투자연구비 225,000,000 총연구비 225,000,000 - 6T관련효과
- 기타기초·기반기술
-
ntis다중오믹스 기반 마이크로바이옴 상호작용 연구 플랫폼 기술 개발
연계정보(NTIS)
과제다중오믹스 기반 마이크로바이옴 상호작용 연구 플랫폼 기술 개발
연세대학교 정부투자연구비 112,500,000원 총연구비 112,500,000원 생명과학 유전학·유전체학 유전체학-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반용선
- 참여연구자유성룡;유수진;장유병;최진태;이유진;차현진;원도연;이영주;오지석
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710074700 기준년도 2024 연구책임자 반용선 과제수행기관 연세대학교 정부투자연구비 112,500,000 총연구비 112,500,000 - 6T관련효과
- 생명현상 및 기능연구
-
ntis컬처로믹스 기반 마이크로바이옴 생태 시스템 분석 및 활용 플랫폼 기술 개발
-
논문
더보기
- 등록된 자료가 없습니다.
- 특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