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바이옴
마이크로바이오타(microbiota)와 게놈(genome)이 합쳐서 만들어진 합성어로 인간, 동·식물, 토양, 바다, 호수, 암벽, 대기 등 모든 환경에서 서식하거나 공존하는 미생물과 그 유전정보 전체를 포함하는 미생물군집을 의미합니다.Collection
마이크로바이옴
개념
최근에는 다양한 환경에서의 미생물군집을 말하기도 하며, 식물, 동물, 환경, 인체, 장내,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등 다양한 마이크로바이옴에 대한 연구들이 보고되며, 인체마이크로바이옴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인체마이크로바이옴 중에서도 장내마이크로바이옴에 대한 연구가 가장 활발히 진행 중이다.
바이오인(BioIN)에서는 마이크로바이옴에 관련된 다양한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
마이크로바이옴
|
|
|||||||||||||||||||||||||||||||||
|---|---|---|---|---|---|---|---|---|---|---|---|---|---|---|---|---|---|---|---|---|---|---|---|---|---|---|---|---|---|---|---|---|---|---|
|
마이크로바이옴
|
|
|||||||||||||||||||||||||||||||||
|
마이크로바이옴
|
|
|||||||||||||||||||||||||||||||||
|
미생물 및
|
|
|||||||||||||||||||||||||||||||||
|
내용 출처 |
|
지식
더보기-
BioINpro[KRIBB 워킹그룹]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장 면역 조절 연구 동향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장 면역 조절 연구 동향 [KRIBB 워킹그룹] ◈ 목차 1. 개요 2. 주요 동향 및 이슈 2.1 장 마이크로바이옴과 면역 체계 2.2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장 면역 관련 질환 연구 동향 3. 결론 및 시사점 ◈본문 1. 개요 ■︎ 마이크로바이옴의 활용 ◦︎ 마이크로바이옴이란? - 마이크로바이옴은 특정 환경에 존재하는 모든 미생물 집단(Microbiota)의 유전체(Genome)를 의미하며, 휴먼 마이크로바이옴은 사람 피부나 소화기관 등 인체에 공생하는 미생물 군집을 뜻함 -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hman gnome poject, HGP)를 통해 인간이 약 2만개의 단백질 암호화 유전자를 보유하며 이는 초파리와 크게 다르지 않았기에, 이후 체 내외 미생물 군집에 대한 인간 마이크로바이옴 프로젝트(hman microbiome project)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음(그림 1) - 한 사람의 몸에 공생하는 미생물의 수는 약 60~100조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2024-12-16
-
BioINpro[2024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상)] 마이크로바이옴 표적 항암백신 전략
2024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상) 마이크로바이옴 표적 항암백신 전략 용석범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전임연구원 ◈ 목차 1. 마이크로바이옴과 암 2. 저변이 암이란? 3. 마이크로바이옴 표적 항암 백신의 개요 가. 면역항암 치료 전략 & 암백신 나. 마이크로바이옴 표적 항암 백신 4. 마이크로바이옴 표적 항암 백신 개발 전략 가. 항원 발굴 나. 항원 전달 기술 및 mRNA/지질나노입자 시스템 다. mRNA 기반 암 백신 연구 동향 및 시장 점유 가능성 분석, 차별화 ◈본문 1. 마이크로바이옴과 암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은 숙주 개체 내 살아가고 있는 바이러스, 박테리아 등의 군집으로, 대사(Metabolism)와 면역(Immune system)을 비롯한 숙주의 다양한 부분에서 역할을 한다[1]. 대표적으로 장내 미생물 군집(Gut microbiome)은 식이 섬유를 비롯한 다양한 음식물의 분해에 직접적으로 참여, 그 대사물을 통해 숙주에 영향
2024-05-13
-
BioINpro[KRIBB 워킹그룹] 마이크로바이옴-암 연구동향
[KRIBB 워킹그룹] 마이크로바이옴-암 연구동향 2023년도 KRIBB 워킹그룹이슈페이퍼 제 15호 ◈ 목차 1.개요 2.주요 동향 및 이슈 2.1.마이크로바이옴과 암 2.2.마이크로바이옴과 항암제 반응성 2.3.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개발현황 3.결론 및 시사점 ◈본문 1. 개요 □︎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치료제 개발 ○마이크로바이옴과 질병의 상관관계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은 미생물군집(Microbiota)과 유전체(Genome)의 합성어로 인체 내 공생하는 모든 미생물 군집 또는 군집의 유전정보 전체를 의미함 -︎인체에는 약 10-100조개의 박테리아(세균), 곰팡이, 원생동물 등의 미생물들이 분포함.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70-95%는 장을 포함한 소화관에 밀집되어 있으며, 호흡기, 비뇨생식관, 피부 등에도 분포함. 마이크로바이옴은 체중의 1-3%를 차지하지만, 미생물의 많은 숫자와 다양한 기능에 의해 마이크로바이옴은‘제2의 장기’ 또는 ‘제2의 유전체’로 불림
2024-02-01
-
BioINwatch공간 전사체(Spatial transcriptomics) 분석으로 숙주-마이크로바이옴의 상호작용 규명
공간 전사체(Spatial transcriptomics) 분석으로 숙주-마이크로바이옴의 상호작용 규명 BioINwatch(BioIN+Issue+Watch): 23-81 ◇ 공간 전사체(Spatial transcriptomics) 분석기술을 이용하여 숙주와 마이크로 바이옴 간의 상호작용을 규명할 수 있는 연구전략이 제시. 공간 전사체학을 활용하여 in situ에서 숙주-마이크로바이옴의 상호작용체(interactomes)를 분석할 수 있는 이러한 연구전략은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에 새로운 접근방안과 관점을 제시할 것으로 전망 ▸주요 출처 : Nature Biotechnology, Spatial methods for microbiome-host interactions, 2023.11.20; Nature Biotechnology, Spatial metatranscriptomics resolves host-bacteria-fungi interactomes, 2023.11.20; Natur
2023-11-28
-
BioINpro[2023 바이오 미래유망기술(하)] 토양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개발동향 및 전망
[2023 바이오 미래유망기술(하)] 토양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개발동향 및 전망 홍수린 / 차의과학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 ◈ 목차 1. 개요 2. 연구개발 동향 및 전망 가. 해외 연구 동향 나. 국내 연구 동향 3. 결론 및 시사점 ◈본문 1. 개요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은 미생물 군집(microbiota)과 유전체(genome)의 합성어로 인간, 동물, 식물, 토양, 바다, 대기 등에 공존하는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미생물 군집과 유전체를 의미한다. 인체 생물학적 관점에서 마이크로바이옴은 피부, 호흡기, 생식기, 위장관 등 우리 몸의 다양한 부위에 서식하며 개인적인 특징을 가지고 건강상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지면서 개인 맞춤형 치료법 개발과 같은 관련 연구가 빠르게 성장하였다. [그림 1] NIH 휴먼 마이크로바이옴 프로젝트(Human Microbiome Project) 단계 출처 : The Integrative HMP(iHMP)
2023-06-01
-
BioINpro[KRIBB 워킹그룹] 장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뇌신경질환 기전 및 제어 연구동향
장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뇌신경질환 기전 및 제어 연구동향 2022년도 KRIBB 워킹그룹 이슈페이퍼 제8호 저자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마이크로바이옴융합연구센터 이정수 외 14인 1 개요 ▉︎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치료제 개발 ● 마이크로바이옴 정의 - 마이크로바이옴은 특정 개체 또는 환경이 지니는 박테리아(세균), 바이러스, 곰팡이균, 기생충 등을 포함하는 미생물 생태계의 총합을 통칭하며, 그 중 현재 박테리아의 기능 연구가 가장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그림 1] - 인간 마이크로바이옴의 경우, 장(intestine), 피부(skin), 기도(trachea) 등 외부환경에 노출된 부위에 다양하게 존재하지만 가장 많이 위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장 마이크로바이옴 (gut microbiome)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가운데, 타 조직에서의 마이크로바이옴 기능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대하는 상황임[그림 1] ●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치료제 종류(Sorba and Pamer,(202
2023-01-30
-
BioINdustry마이크로바이옴 R&D 및 산업화를 위한 전략
[BiolNdustry No.174] 마이크로바이옴 R&D 및 산업화를 위한 전략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연구원 이지현 ※ 본 보고서는 프로스트앤드설리번에서 발간한 보고서 ‘Technology Enablers Facilitating Microbiome Adoption in Research and Development(2021.12)' 등을 참고하여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 재구성한 것임 [ 목차 ] 1. 개요 2. 마이크로바이옴 글로벌 시장 현황 3. 주요 구현기술과 혁신사례 1) 디지털 기술 2) 합성생물학 3) 배양기술 4.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위한 투자 1) 이니셔티브 및 프로젝트 2) 정책자금 지원을 통한 연구강화 3) 향후 투자 동향 5. 성장기회 1) 고급 데이터 분석을 위한 도구의 개발 2) 발전된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위한 신규한 소재와 표준화 3) 재설계된 균주의 대량 생산을 가속화하는 합성생물
2022-10-26
-
BioINpro환경오염 물질 분해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개발 동향 및 전망
환경오염 물질 분해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개발 동향 및 전망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합성생물학전문연구단 성봉현 1. 개요 가. 환경오염 문제에 대한 심각성 증대 한국환경연구원이 실시한 2020년 국민환경의식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은 ‘쓰레기/폐기물 처리 문제’, ‘과대포장에 따른 쓰레기 발생’을 우리나라가 직면한 대표적 환경문제로 인식했다(그림 1). 미세플라스틱의 심각성과 코로나19로 인한 일회용품 사용증가에서 비롯한 폐기물 이슈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 유럽연합의 설문조사에서도 쓰레기/폐기물 문제는 기후변화, 대기오염과 함께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되고 있다(1). 2021년 말 Science지에서는, 2022년 주목해야할 과학기술 헤드라인의 하나로 ‘UN의 오염문제 논의’를 선정하였다(2)., 2022년 3월 전세계 175개국 협상 대표는 케냐 나이로비에서 열린 제5차 UNEA(the United Nations Environment Assembly)에서 2024년 말
2022-06-30
발간
더보기-
정책/기획보고서OECD BIO POLICY REVIEW - 마이크로바이옴
OECD Bio Policy Review No.2 마이크로바이옴, 식습관 그리고 건강: 과학과 혁신 현안에 대하여 (The Microbiome, Diet and Health: Towards a science and innovation agenda) ◆ (개요) OECD는 해당 보고서를 통해 인간의 건강 증진에 커다란 잠재력을 지닌 마이크로바이옴 분야 최신 동향을 요약하고, 혁신에 대한 장애요인을 분석하여 정책과제를 제안함 □ (마이크로바이옴) 식습관, 영양, 마이크로바이옴 간의 상호작용 이해는인류의 건강 증진 및 사회‧경제에 기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 ※ 마이크로바이옴은 인체 내 혹은 인체 상에 살고 있는 모든 종류의 미생물과 이들의 유전체 전체를 말하며, 연구계에서는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을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질환의 결정 요인으로 추측 ㅇ 최근 진행된 다양한 연구 프로젝트를 통해 식습관-마이크로바이옴-건강 상관관계에 대한 과학적 지식이 축적- 건강한 정상인, 장
2019-03-22
동향
더보기-
기술동향
[생물의약품]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기반 장내 세균 의료제품에 대한 고려사항(생균치료제(LBP)의 개발 및 평가 시 고려사항2025.09.09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기술동향
인공지능 기반 마이크로바이옴 최신 연구동향 및 전망2025.06.20
한국바이오협회
-
기술동향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현재의 연구 동향과 미래 전망2024.11.21
BRIC
-
제도동향
"EFSA의 위해성평가에 환경 마이크로바이옴을 통합하기 위한 로드맵" 주요 내용 검토 및 시사점2024.10.14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
기술동향
[이슈 브리핑] 제2형 당뇨병과 마이크로바이옴 연관성 연구결과 발표2024.07.05
한국바이오협회
-
인프라동향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의약품 전망과 인력 양성 과제2024.05.10
화학·바이오산업인적자원개발위원회
-
기술동향
[ASTI Market Insight 240] 마이크로바이옴2024.04.16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제도동향
마이크로바이옴 의약품의 초기 임상시험 가이드라인2023.08.18
국가임상지원재단
-
산업동향
마이크로바이옴 CDMO 동향2023.05.02
한국바이오협회
-
기술동향
엔지니어링 마이크로바이옴 개발 동향2023.04.14
한국바이오협회
-
산업동향
마이크로바이옴 투자 및 산업동향2023.04.10
한국바이오협회
-
산업동향
ASTI Market Insight 134: 인체 마이크로바이옴2023.02.20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기술동향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동향2023.02.07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정책동향
[R&D Brief] 국내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지원 현황 및 향후 지원방향2022.11.22
한국연구재단
-
기술동향
분변미생물이식(FMT) 기반 휴먼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기술개발 동향분석2022.10.05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기술동향
인체 질병 관련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의 연구동향2022.08.16
BRIC
-
기술동향
거대한 생태계 마이크로바이옴, 융합적·도전적 국가전략을 기반으로 글로벌 경쟁력 확보해야2022.05.16
한국과학기술한림원
-
기술동향
[융합연구리뷰 Vol.7 No.8] 마이크로바이옴과 합성생물학의 만남, 차세대 의료용 미생물 개발2021.08.30
융합연구정책센터 (KIST)
-
기술동향
조절T세포를 통한 마이크로바이옴과 숙주의 공생2021.03.10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
기술동향
구강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동향2021.02.16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차트+
더보기뉴스
더보기-
R&D
'마이크로바이옴'으로 본 내 몸속 환경의 '민낯'2025.08.14
파이낸셜뉴스
-
R&D
충북TP 스타트업,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개발 나서 '주목'2025.04.21
연합뉴스
-
R&D
AI활용하고 적응증 확대…'마이크로바이옴' 신약개발 속도2024.12.12
뉴시스
-
R&D
똥이 돈되는 시대…“마이크로바이옴 연구 성과 내려면 규제 풀어야”2024.12.04
서울경제
-
R&D
마이크로바이옴, 무한진화…"뇌·신경질환 치료제로 확장"2024.10.31
뉴시스
-
R&D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생균치료제 제조시설 가이드라인 제정2024.09.26
연합뉴스
-
R&D
1조→4000억대 줄였지만 마이크로바이옴 사업 예타 탈락2024.07.31
전자신문
-
R&D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없는 질병 해결할 실마리"2024.07.02
약업신문
-
R&D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개발은 여전히 '블루오션'... 제도적 기틀 마련해야2024.06.14
바이오타임즈
-
R&D
[24.06.13 목] 섭취 가능한 마이크로바이옴 샘플링 알약 기술 발전2024.06.13
Eurekalert 외
-
R&D
'미완의 기대주'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제도적 가이드라인 시급"ㅍ2024.05.17
머니투데이
-
R&D
마이크로바이옴과 단백질의 긴밀한 관계2024.04.08
동아사이언스
-
R&D
마이크로바이옴 의약품 제조, 혁신 신약 소재물질 사업화 등 속도 내나2024.03.08
메디파나뉴스
-
R&D
'리비옴' 더 강력한 eLBP 마이크로바이옴이 온다2024.02.16
약업신문
-
R&D
기관지 세척액 검체로 마이크로바이옴 분석…‘폐암’ 예측2024.02.06
뉴스1코리아
-
R&D
신약 블루오션, 13조 마이크로바이옴 시장 잡아라2024.01.05
데일리팜
-
R&D
'이뮤노바이옴' 마이크로바이옴 신약에 혁신 기술을 더하다2023.12.04
약업신문
-
R&D
유방암 예방·진단·치료에 '마이크로바이옴' 핵심 역할2023.11.17
파이낸셜뉴스
-
R&D
최초 경구 마이크로바이옴 '보우스트' 4개월 만 순매출 750만 달러 돌파2023.11.15
약업신문
-
R&D
"CGT·마이크로바이옴·ADC…급성장하는 3대 신약분야 주목해야"2023.11.03
서울경제
부처보도자료
더보기-
마이크로바이옴 빅데이터 활용과 실용화 전략 모색 ‘2025 병원기반 인간 마이크로바이옴 심포지엄’ 개최
질병관리청
2025-08-25
-
민관 기술 융합 ‘미래 농업 핵심,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박차
농촌진흥청
2025-01-22
-
미해결 질환 극복을 위한 '2024 병원기반 인간 마이크로바이옴 심포지엄' 개최
질병관리청
2024-12-03
-
식약처,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생균치료제 제조시설 가이드라인 마련
식품의약품안전처
2024-09-26
-
질병청-복지부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개발사업 중간 성과교류회 개최
질병관리청
2024-08-23
-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국제 심포지엄 개최
질병관리청
2023-10-12
-
「병원기반 인간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개발 사업」 착수
질병관리청
2023-02-28
-
식약처,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개발지원
식품의약품안전처
2022-04-29
연계정보BICS는 바이오 R&D에서 산업화까지 다양한 정보 자료를 수집하여
이용자들이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더보기
-
기술혁신개인 맞춤형 마이크로바이옴
개인유전체 정보별 정상균총의 변화와 이를 기반으로 하는 질환예측 기술 (예: 유전체변화에 따른 식생활의 변화는 정상균총의 변화를 초래하고 이것이 질병으로 이어지는 것을 예측)
2024-12-03
-
기술혁신마이크로바이옴 표적 항암백신
암의 성장을 돕는 특정 마이크로바이옴이 표지하는 항원을 규명하여 이를 표적으로 하는 mRNA 등의 항암백신
2024-11-25
-
기술혁신토양 마이크로바이옴
생물지각 내 마이크로바이옴을 파악하고 개발하여 건강한 토양 생태계를 유지
2024-11-25
-
기술혁신환경오염물질 분해 마이크로바이옴
박테리아, 나방 등에서 분리해낸 환경오염물질 분해효소를 지닌 마이크로바이옴을 활용하여 플라스틱, 비닐 등 환경오염 물질을 분해하는 기술
2024-11-25
-
기술혁신식물 마이크로바이옴 엔지니어링
식물 공생 미생물체, 병원성 미생물체 분석으로 식물 마이크로바이옴 기능 조절을 통해 작물 성장을 돕거나 멸종위기 보호종을 보전하는 기술
2024-11-25
연계정보
-
연구보고서
더보기
-
ntisC. jejuni 감염 원인 길랑-바레 증후군 환자의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연구
닫기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C. jejuni 감염 원인 길랑-바레 증후군 환자의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연구/Gut microbiome-based study in Guillain-Barré syndrome patients associated with Campylobacter jejuni
사업 : 2022 보건복지부 감염병관리기술개발연구과제 : 1465035401 국립보건연구원 C. jejuni 감염 원인 길랑-바레 증후군 환자의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연구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301 발행기관명 질병관리청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연구목표 Cjejuni 원인 길랑바레 증후군과 장내 미생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질환 예방과 치료를 위한 마이크로바이옴 활용 기반 확립 연구내용 및 결과 길랑바레 증후군 연구 네트워크 구성8개 병원 인수공통감염연구과 C jejuni 원인 길랑바레 증후군 환자 검체 및 임상 정보 확보 G1 그룹 C jejuni 감염된 길랑바레 증후군 환자 G2 그룹 C jejuni 감염되었으나 길랑바레 증후군이 발병하지 않은 설사 환자 G3 그룹 C jejuni 감염되지 않은 일반 설사 환자 기타 건강인 그룹 타 연구에서 확보된 건강인 코호트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을 통한 세균 분포도 확인 C jejuni 감염원인 길랑바레 증후군 환자 그룹G1의 장내 미생물 군집은 길랑바레 증후군으로 발전하지 않은 C jejuni 감염 환자G2와 C jejuni에 감염되지 않은 일반 설사 환자G3 기타 건강인과 비교하면 다양성이 떨어짐 길랑바레 증후군 환자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를 보이는 genus는 Faecalibacterium Lachnospiraceae unclassified genus Roseburia 임 길랑바레 증후군 환자 중 8명은 Bifidobacterium1897이 가장 우세하며 그 뒤로는 Blautia Escherichia Collinesella로 각 83 67 65로 분포하고 있음 항생제 내성 유전자 분포 확인 C jejuni 감염원인 길랑바레 증후군 환자 그룹G1은 다른 건강인 C jejuni 감염 설사 환자G2 일반 설사 환자G3와 비교하면 항생제 내성 유전자 다양성이 매우 높은 것을 관찰함 길랑바레 증후군 환자에서 가장 많이 발견된 내성 유전자는 ermB와 tetO pmr tetW tetQ 순서임 길랑바레 증후군 환자를 제외한 건강한 한국 사람에서 가장 많이 발견된 내성 유전자는 tetQ와 ermB tetW cfxA tetO 순서임 길랑바레 증후군 환자에서 발견된 pmr transferase의 평균 RPKM은 878로 건강한 한국 사람의 평균 197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됨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연구 기반 확보 활용 C jejuni 원인 길랑바레 증후군 치료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미생물제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활용출처 요약서 3p -
ntis강력한 내산성을 가진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생균치료제 장 전달 시스템 개발
닫기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강력한 내산성을 가진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생균치료제 장 전달 시스템 개발/Enhanced intestinal delivery of live biotherapeutic products by resistance to gastric pH and on-demand release
사업 : 2024 교육부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과제 : 2340001324 부산대학교산학협력단 강력한 내산성을 가진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생균치료제 장 전달 시스템 개발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409 발행기관명 부산대학교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최종 목표강력한 내산성을 가진 하이드로겔 기반 생균치료제LBP 장전달 시스템을 개발하고 치료효과를 염증성 장질환 동물 모델에서 평가함 전체 내용1 마이크로바이옴과 난치성 질환이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짐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의약품인 LBP의 개발이 가속화 중이고 현재FDA 승인 완료 후 제품의 상용화가 임박한 상황임2 하지만 국내 마이크로바이옴 전달체 연구 및 개발은 제도적 한계와 연구기반 부족으로 지지부진한 상황임 또한 복잡한 제조과정 균주 및생체 적합성 여전히 낮은 생존율 표적 위치에서 방출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LBP 전달체 개발은 아직 요원함3 LBP의 마이크로바이옴 조절을 통한 질병 치료에 있어서 LBP의 생존율과 기능 유지는 필수적인 요소임 이에 위산의 유입을 지연하고 전달체 내 미세환경 pH를 유지함으로써 생존율을 극대화하는 하이드로겔 기반 LBP 전달 시스템을 개발함4 대표적인 난치성 질환 중 하나인 염증성 장질환에서 강력한 내산성을가진 LBP 장 전달 시스템에 의한 치료 효과를 평가함 1단계 목표LBP 장 전달 시스템 개발 및 내산성 확인 내용LBP 장 전달 시스템를 개발하고 인공 위산 환경 pH 2에서 내산성을 확인함 2단계 목표LBP 장 전달 시스템의 치료 효과 확인 내용LBP 장 전달체의 장 방출성 및 염증성 장질환 동물 모델에서의 치료 효과가 있는지 평가함출처 요약문 2p -
ntis마이크로바이옴 연구기반으로 저단백 사료를 위한 친환경 사료첨가제 개발
닫기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마이크로바이옴 연구기반으로 저단백 사료를 위한 친환경 사료첨가제 개발/Development of Eco-friendly Feed Additives for Low-protein Feed based on Microbiome Resarch
사업 : 2023 농림축산식품부 기술사업화지원과제 : 1545026732 (주)진바이오텍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기반으로 저단백 사료를 위한 친환경 사료첨가제 개발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407 발행기관명 (주)진바이오텍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최종 목표저단백 사료를 위한 친환경 사료첨가제 개발 전체 내용주관기관 사료 단백질 원료의 생체내 질소이용성을 증대시키는 이유자돈 및 육성돈 맞춤형 사료첨가제 개발공동기관 이유자돈 및 육성돈 사양실험 기반 질소저감과 장내균총 및 단쇄지방산 상관관계 분석 1차년도 목표이유자돈용 복합 사료첨가제 및 육성돈용 효소제 개발 내용 이유자돈용 복합 사료첨가제 개발 선행연구에서 선발된 악취저감능 균주를 활용한 저분자화 단백질 대량생산연구 In vitro 제품특성 연구 사양실험용 샘플제조 이유자돈용 복합 사료첨가제의 사양실험 이유자돈 사양실험을 기반으로 장내 균총 및 단쇄지방산 조절능 DB 구축 육성돈용 효소제 개발 단백질분해효소 고생산 균주 선발 및 분비효소 특성 비교 고상발효 기술을 활용한 효소제 생산 실험Labtest 2차년도 목표이유자돈용 복합 사료첨가제 및 육성돈용 효소제 제품화 내용 이유자돈용 복합 사료첨가제 제품화 품질관리 기준 수립 및 제품화 육성돈용 효소제 제품화 효소제 대량생산 연구 In vitro 제품특성 연구 사양실험용 샘플제조 품질관리 기준 수립 및 제품화 육성돈용 효소제의 사양실험 육성돈 사양실험을 기반으로 장내 균총 및 단쇄지방산 조절능 DB 구축 출처 요약문 4p -
ntis항생제 사용에 따른 장내세균의 마이크로바이옴 변화 분석
닫기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항생제 사용에 따른 장내세균의 마이크로바이옴 변화 분석/Microbiome of enterobacteriaceae according to the use of antibiotics
사업 : 2022 보건복지부 감염병관리기술개발연구과제 : 1465035403 국립보건연구원 항생제 사용에 따른 장내세균의 마이크로바이옴 변화 분석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301 발행기관명 질병관리청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연구목표 대장균 유래 환자건강인 간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변화 양상 분석을 통한 질환 발병 연관성 규명 및 항생제 치료 경과에 따른 마이크로바이옴 추적 관찰 연구내용 및 결과 환자군 건강인 분변 수집 및 항생제 투여 전후 추적 분변 샘플 확보1 항생제 사용 전 후 환자군 분류 항생제 사용 전과 후의 비교분석을 위해 단일 항생제 계열cefazolin cefotetan 등 12세대 cephalosporin 을 사용하고 추적검사가 가능한 환자군인 정형외과 수술 예정 환자에 대하여 사용 전1그룹과 사용 후2그룹을 분류하였음2 항생제 사용 전후에 따른 변화 양상 분석을 위한 검체 수집 항생제 투여 3일 전 1그룹에 대한 검체 수집28건 항생제 투여 후수술 후 2그룹에 대하여 동일한 환자 대상 검체 수집28건하였음 건강인군 및 환자군 복합감염 동반군 별 Metagenome 활용한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DNA 추출 및 library 구축DNA 추출법 확립장내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을 위한 표준시험법 중 하나인 gDNA 추출법을 확립하기 위해 DNA Extraction kit 및 자동화 장비와의 비교 분석을 진행한 결과 자동화 장비들이 모두 우수하였으며 4가지 장비 모두 기준치 이상의 read를 나타내었고 특히 Magmax사의 2가지 장비가 가장 다양성이 높게 나타났음 16S rRNA gene amplicon sequencing으로 항생제 처리 전과 후의 비교 분석 결과 유의하게 차이를 보이는 Phylum는 firmicutes으로 abundance는 그룹 1598에서 그룹 2432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음 Group 1과 2간의 Bacterial composition PCoA 결과 Group 1과 2간의 composition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고 항생제 내성 유전자ARG의 차이를 그룹 간 비교한 결과 항생제 처리 전 그룹인 G1보다 처리 후 그룹인 G2이 내성 유전자의 분포가 큰 것으로 나타남 LEfSE의 Linear Discriminant AnalysisLDS를 통한 질환 유발 바이오마커 탐색 Strain isolation과 MALDITOF MS identification를 통한 동정 및 병원체 자원 확보배양법 기반의 장내세균 분리 동정 및 유용균주 선별을 위한 방안 마련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건강인과 환자 간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변화 양상 및 환자건강인의 비교유전체 분석을 통한 질환 발병의 과학적 연관성 제시 항생제 사용에 따른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비교 분석을 위해서는 항생제 처리 전 후 추적조사가 기본적으로 필요하되 본 연구를 통해 항생제 처리 전 후 마이크로바이옴 비교 분석 데이터 결과를 통해 향후 항생제 내성 등으로 문제되는 질환에 대한 추적조사 및 항생제별 연구데이터 등 후속 연구에 활용할 수 있음 마이크로바이옴 데이터 생산을 위해 중요한 검체 수집 및 처리 분석 등에 대한 기초적 가이드라인 기반 마련을 통해 향후 응용하여 가이드라인 제작에 활용 가능출처 요약서 3p
-
ntisC. jejuni 감염 원인 길랑-바레 증후군 환자의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연구
-
과제
더보기
-
ntis질환(비만, 대장염) 맞춤형 마이크로바이옴 개선 소재 발굴
닫기
연계정보(NTIS)
과제질환(비만, 대장염) 맞춤형 마이크로바이옴 개선 소재 발굴
국립식량과학원 정부투자연구비 360,000,000원 총연구비 360,000,000원 농림수산식품 식품과학 달리 분류되지 않는 식품과학-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김민아
- 참여연구자김소영;최애진;강민숙;이진영;박지영;장경아;황혜정;이용주;김나연;황인선;곽서연
연구목표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390001898 기준년도 2025 연구책임자 김민아 과제수행기관 국립식량과학원 정부투자연구비 360,000,000 총연구비 360,000,000 - 대장염, 비만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개선 소재 및 활용법 개발- 대장염 마이크로바이옴 개선 식이소재 발굴- 장내미생물 구성에 따른 저항전분의 비만개선 효능평가- Prebiotics 후보 소재의 장내미생물에 의한 이용성 평가 및 대량생산
- ○ 동물모델 및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프로토콜 확립 ○ 난소화성전분(RS) 중심의 마이크로바이옴 소재 발굴 및 평가 ○ 과실류 중심의 마이크로바이옴 소재 발굴 및 평가 ○ 선정소재의 최적 제조조건 설정 및 적용 평가 ○ 인체적용시험을 위한 저항전분 식단 개발 ○ 과체중·비만인 대상 저항전분의 비만개선 효능평가 ○ 장내미생물에 따른 저항전분의...
- ○ 식이와 장내미생물간 관계분석 프로토콜 확립으로 청내 마이크로바이옴 인프라 구축○ 장내미생물 특성 등 개인의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비만개선 소재 선발 체계 구축을 통해 향후 다양한 식품유형에 적용 가능함 ○ 발굴한 대사체 및 유전자 등 바이오마커를 이용하여 식이성 대사질환의 진단 또는 예측 시스템으로 활용할 수 있음
- 6T관련효과
- 기타기초·기반기술
-
ntis담도암 생존율 향상을 위한 마이크로바이옴-오가노이드 기반 조기 진단 및 개인 맞춤형 면역항암제 플랫폼 개발
닫기
연계정보(NTIS)
과제담도암 생존율 향상을 위한 마이크로바이옴-오가노이드 기반 조기 진단 및 개인 맞춤형 면역항암제 플랫폼 개발
충남대학교 정부투자연구비 278,914,000원 총연구비 278,914,000원 보건의료 임상의학 소화기학-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김석환
- 참여연구자장윤선;한송연;김수진;차은영
연구목표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710080428 기준년도 2025 연구책임자 김석환 과제수행기관 충남대학교 정부투자연구비 278,914,000 총연구비 278,914,000 - ○ 비침습적 담즙 유래 오가노이드 구축 및 뱅킹으로 진단과 치료제 개발 플랫폼 제공 - 담도암/담낭암 환자의 조직 및 담즙에서 유래한 오가노이를 구축하여 실제 환자의 유전적, 생리적 특성을 반영한 모델 생성 - 담도암 특이적 미생물과 오가노이드를 공동 배양함으로써 실제 장기와 유사한 생리학적 환경을 구현하여 이를 통해 암과 관련된 미생물 및 환경...
- □ 1차년도 개발 내용: 담도암/담낭암 오가노이드 모델 구축 및 유사성 분석- 담도암/담낭암 환자로부터 담즙과 조직을 채취하여 오가노이드를 배양 조건을 확립하여 환자 특이적 모델 개발- H&E 염색, Bulk RNA sequencing, transcriptome 분석을 통해 환자 유래 조직 및 담즙에서 생성된 오가노이드 간의 유사성 비교 분석- 이를 통해 ...
-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 담도암/담낭암 진단 및 치료 플랫폼 개발- 담즙 유래 담도암/담낭암 오가노이드 칩을 활용해 진단 방법, 약물 스크리닝, 약물 유효성 및 독성 평가 등에 적용- 암의 조기 진단과 개인 맞춤형 치료 시기 최적화를 통해 치료 효율성 극대화 및 생존률 향상○ 신약 개발 기반 제공- 담도암 외 다양한 암종에 대한 신약 개발의 전임상 모델...
- 6T관련효과
- 난치성 질환 치료기술
-
ntis마이크로바이옴 대사체를 활용한 병리적 조직 상주 기억 T세포 (TRM)의 MCL-1 의존성 제거 및 정밀 면역조절 치료 전략 개발
닫기
연계정보(NTIS)
과제마이크로바이옴 대사체를 활용한 병리적 조직 상주 기억 T세포 (TRM)의 MCL-1 의존성 제거 및 정밀 면역조절 치료 전략 개발
대구가톨릭대학교 정부투자연구비 90,000,000원 총연구비 90,000,000원 생명과학 면역학/생리학 세포성/체액성 면역-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이현수
- 참여연구자박신영;박희숙;김주호;황인현;황수빈
연구목표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340049625 기준년도 2025 연구책임자 이현수 과제수행기관 대구가톨릭대학교 정부투자연구비 90,000,000 총연구비 90,000,000 - 병리적 TRM의 생존에 핵심적인 항세포사멸 MLC-1의 활성을 선택적으로 억제하여 TRM apoptosis를 유도하는 마이크로바이옴 유래 대사체를 발굴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비염증성 면역조절 치료전략을 확립함. 나아가 단일세포 오믹스 및 딥러닝 기반의 예측모델을 통해 정밀 면역치료로의 임상 확장 가능성을 제시함
- (1년차) MCL-1 억제 활성 마이크로바이옴 유래 대사체 발굴 및 TRM 세포사멸 기전 규명- MCL-1 활성 억제 마이크로바이옴 대사체 스크리닝- scRNA-seq 기반 MCL-1 억제 메카니즘 분석- 3D 오가노이드 기반 TRM에서 MCL-1 억제제 평가- 마이크로바이옴 라이브러리 확장을 통한 hit 발굴- 분광분석 fingerprint 및 GNPS ...
- (활용계획)- 정밀 면역조절 치료제 플랫폼으로의 기술 확장- 기술이전 및 사업화 가능성 확보- 지역대학 기반 기술·인력 자산화(기대효과)- TRM 기반 비염증성 면역치료 분야의 세계적 선도 가능성- 차세대 치료제 R&D 생태계 진입 촉진- 고급 융합형 인재 양성을 통한 지역 경쟁력 제고
- 6T관련효과
- 기능성 바이오소재 기반기술
-
ntis산불 유래 파이로제닉 탄소에 의해 조절되는 마이크로바이옴 조립 역학의 생태계 회복 경로 형성 기전 규명
닫기
연계정보(NTIS)
과제산불 유래 파이로제닉 탄소에 의해 조절되는 마이크로바이옴 조립 역학의 생태계 회복 경로 형성 기전 규명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정부투자연구비 62,975,000원 총연구비 62,975,000원 생명과학 분류/생태/환경생물학 생태학-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홍진경
- 참여연구자OMIDOYIN KEHINDE CALEB;김재경;유승묵;이현정
연구목표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710091814 기준년도 2025 연구책임자 홍진경 과제수행기관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정부투자연구비 62,975,000 총연구비 62,975,000 - 산불로 생성되는 파이로제닉 탄소(PyC)의 구조적 다양성이 토양 마이크로바이옴의 조립 기작과 생태 기능 회복 경로에 미치는 선택적 영향을 규명하고, 핵심 미생물 지표와 기능 유전자를 기반으로 토양 복원 경로를 예측할 수 있는 실용적 모델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함
- 1. PyC 구조 분석 및 마이크로바이옴 초기 반응 규명- 산불 피해지에서 채취한 PyC 및 실험실 조건에서 합성한 PyC를 대상으로 분광법을 활용해 방향족화도, 전자전달 활성, radical 보유력 등의 구조 특성을 정량화- 마이크로코즘 기반 실험을 통해 PyC 구조별 처리에 따른 토양 이화학성 변화, 미생물 군집 조립 지표, 대사 활성을 단기(0-3개...
- > 활용계획- 산불 피해지의 토양 복원 가능성 평가 및 복원 우선순위 설정을 위한 과학적 근거 제공- 산림청, 환경부 등 유관기관의 생태 복원 정책 수립 및 실행에 활용> 기대효과- 기후변화로 인한 산불 빈도 증가에 대응한 과학 기반 복원 기술 확보- 미생물 생태계 기반 복원 기술의 실용성 확대를 통한 시간·비용 절감- 국내 생태계 서비스 보전 및 탄소중...
- 6T관련효과
- 기타기초·기반기술
-
ntis질환(비만, 대장염) 맞춤형 마이크로바이옴 개선 소재 발굴
-
논문
더보기
- ntisProbiotics 섭취 후 구강 마이크로바이옴 변화
-
ntis스케일링 수행 후 구강 마이크로바이옴 변화 분석
닫기
외부자료(NTIS)
논문스케일링 수행 후 구강 마이크로바이옴 변화 분석
사업 : 202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과제 : 2710062958 남서울대학교 마이크로바이옴과 ODAM 단백질을 활용한 근거중심 기반의 치주질환 예방 및 평가저자명(주공동저자),논문구분,학술지명,ISSN,학술지 출판연도 저자명(주공동저자) 배현숙 논문구분 학술지 학술지명 Journal of Next-generation Convergence Technology Association ISSN 2508-8270 학술지 출판연도 2024 - ntis미국 FDA 허가 심사자료를 토대로 본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치료제 개발의 전략적 접근
- 특허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