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개발
치료제가 없어 많은 사람들을 죽음로 이끌던 질병들은 신약의 등장으로 완치까지 가능하게 되었고, 더 나아가 발생할 수 있는 질병을 예방하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유전체분석 등 바이오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합성의약품 중심의 신약 개발에서 바이오의약품 개발로 전환시켰으며, 최근에는 인공지능 도입 및 디지털기술로 환자를 치료하는 디지털치료제도 등장하였습니다.Collection
신약개발
개념
치료제가 없어 많은 사람들을 죽음로 이끌던 질병들은 신약의 등장으로 완치까지 가능하게 되었고, 더 나아가 발생할 수 있는 질병을 예방하는 시대가 되었다. 유전체분석 등 바이오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합성의약품 중심의 신약 개발에서 바이오의약품 개발로 전환시켰으며, 최근에는 인공지능 도입 및 디지털기술로 환자를 치료하는 디지털치료제도 등장하였다.
전세계적인 고령화, 신흥국가들의 소득수준 향상 및 신종 감염병 출현 등으로 글로벌 의약품 시장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주요국들은 제약·바이오산업을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지정하고 집중 육성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바이오인에서 담고 있는 신약개발에 관련된 다양한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
국내외 신약개발 현황
|
|
||||||||||||||||||||||
|
인허가 및 규제 동향, 임상 단계 주요 의약품
|
|
||||||||||||||||||||||
|
글로벌 제약 산업 동향 밎 주요 기업 활동
|
|
||||||||||||||||||||||
|
내용 출처
|
|
지식
더보기-
BioINpro[양자 바이오] 양자컴퓨팅 기반 신약개발 개요 및 연구 동향
양자컴퓨팅 기반 신약개발 개요 및 연구 동향 양자 바이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정재호 ◈ 목차 1. 개요 2. 연구개발 동향 3. 결론 및 시사점 ◈본문 1. 개요 신약개발은 표적 발굴 및 검증(Target identification and validation), 유효물질 도출(Hit Discovery), 선도물질 최적화(Lead Optimization), 전임상 및 임상시험을 거쳐 상용화에 이르는 장기간·고비용의 과정이다. 신약 하나를 개발하기 위해 평균 17년의 개발 기간과 약 4~5조 원의 비용이 소요되지만, 성공 확률은 1만 개 후보물질 중 3개에 불과하다. 이러한 개발 과정의 비효율성은 허가되어 출시되는 신약 가격이 천문학적으로 높아지는 원인 중 하나가 되고 있고, 2024년 FDA 승인을 받은 일본 쿄와기린의 자가조혈모 세포치료제 렌멜디(Lenmeldy)는 1회 투여 비용이 425만 달러(약 59억)에 달하는 가격으로 출시되었다.1) 지난 1
2025-10-28
-
BioINpro[AI 신약] AI 기반 신약 개발의 원리와 최신 동향
AI 기반 신약 개발의 원리와 최신 동향 AI 신약 중대질환진단융합연구단 선임연구원 박광현 ◈ 목차 1.서론 2.AI 기술의 신약 개발 단계별 적용 원리와 최신 동향 3.주요 AI 설계 신약의 임상 진전 분석 4.향후 전망 과제 5.결론 ◈본문 1. 서론 신약 개발 과정의 비효율성은 제약 산업이 직면한 가장 심각한 구조적 문제로 지적되어 왔다. 평균 10-15년의 개발 기간, 10-30억 달러에 달하는 개발 비용, 그리고 10% 미만의 임상 성공률은 혁신적 치료제 개발의 주요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인공지능(AI) 기술의 도입은 신약 개발 패러다임의 근본적 전환을 가능케 하는 핵심 동력으로 부상하였다. 2025년 현재, AI 기술은 표적 발굴에서 임상시험 설계에 이르는 신약 개발 전 주기에 걸쳐 통합되어 있으며, 특히 생성형 AI, 구조 예측 알고리즘, 멀티모달 학습 등의 최신 기술이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 (그림 1). 현재 전임상 파이프
2025-09-17
-
BioINpro[AI 신약] AI신약개발 분야 기술경쟁력 및 정부 R&D 투자현황 분석
AI신약개발 분야 기술경쟁력 및 정부 R&D 투자현황 분석 첨단바이오 국가기술전략센터 저자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첨단바이오 국가기술전략센터 김경남, 이휘섭 ◈ 목차 I.개요 II.분석 결과 1.논문 기반 경쟁력 진단 2.특허 기반 경쟁력 진단 3.NTIS 과제 기반 정부R&D 투자 현황 III.분석 결과 요약 및 시사점 1.분석 결과 요약 2.정부 R&D 투자·육성 방향 시사점 ◈본문 I.개요 ◆︎ 분석 목적 ○ AI신약개발 분야 우리나라의 기술경쟁력 진단 및 정부 R&D투자 현황을 확인하여 향후 정부 R&D 투자전략을 위한 시사점 제공 ◆︎ 분석 유형별 분석 방법 및 내용 ○ (기술경쟁력) 논문/특허 기반 우리나라의 선도국 대비 경쟁력 진단 ○ (정부R&D투자) NTIS 과제 데이터를 중심으로 기투자 현황 분석 구분 분석 목적 분석 범위 분석내용 세부 내용 방법(일정) 논문 (연구) 논문 기반 한국 경쟁력 진단 AI신약개발 전반 논문 현황 AI신약 논문 추이 Dimens
2025-09-10
-
BioINpro[2025 바이오 미래유망기술(하)] 딥 러닝 기반 생성모델의 구조적 원리와 인간 면역데이터 응용 신약개발 전략
딥 러닝 기반 생성모델의 구조적 원리와 인간 면역데이터 응용 신약개발 전략 2025 바이오 미래유망기술(하) 연세대학교 생명과학부 통합과정 장현빈, 송우현, 연새대 생화학과 교수 홍승희 ◈ 목차 1.개요 2.대규모 언어모델 (LLM; Large Language Model) 3.변분오토인코더(VAE; Variational Autoencoder) 4.Conclusion ◈본문 1. 개요 기존의 생명과학 연구는 면역학, 병리학, 암 연구, 신약 개발 등 각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소규모의 데이터셋과 실험 중심의 분석 기법에 의존해 왔다. 면역학 연구에서는 일부 면역세포 아형이나 사이토카인에 집중해 분석했으며, 암 연구 에서도 소수의 바이오마커나 유전자 변이를 표적으로 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신약 개발 과정에서는 단일 약물과 표적 간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춘 접근 방법이 일반적
2025-06-30
-
BioINwatch바이오신약 개발을 혁신할 AI 단백질 언어 모델
바이오신약 개발을 혁신할 AI 단백질 언어 모델 BioINwatch(BioIN+Issue+Watch): 25-11 ◇︎바이오신약은 효능뿐만 아니라 면역원성, 안정성, 생산성 등 다양한 특성을 동시에 최적화해야 하는데, AI는 이러한 다중 목표를 고려한 예측 및 설계에 있어 뛰어난 성과를 낼 것으로 기대. 최근 EVOLVEpro라는 단백질 진화 및 설계에 관한 새로운 언어 모델이 제안, 실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학습하고 최적화하는 이러한 AI 기반 설계 플랫폼은 in silico (컴퓨터 기반 설계)와 in vitro(연구실 실험)을 연결해 신약개발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것으로 예상 ▸주요 출처 : Science, Rapid in silico directed evolution by a protein language model with EVOLVEpro, 2024.11.21 ◆︎ 기존의 단백질 진화 및 설계*는 한정된 범위에 해당하거나 한꺼번에 여러 곳을 최적화하는 데에는 비
2025-02-14
-
BioINpro[KRIBB 워킹그룹] 2024 인공지능을 활용한 신약재창출 연구동향
2024 인공지능을 활용한 신약재창출 연구동향 [KRIBB 워킹그룹] ◈ 목차 1.개요 2.주요 동향 및 이슈 3.결론 및 시사점 ◈본문 1. 개요 ◼︎ 신약개발과정에서 인공지능의 활용 ◦︎ 효과적인 신약개발 과정은 표적 식별(target identification), 선도 화합물 탐색 및 최적화(lead compound discovery and optimization), 전임상 시험(preclinical trials), 임상 시험(clinical trials) 단계를 거침. 기존 개발 과정은 많은 시간과 자원이 소모되며, 단일 분자를 개념화해서 허가받기까지 평균 12년, 26억 달러가 듦. 기존에는 신약을 발굴하기 위해 수만 가지 소분자 화합물 합성하고, 타겟 단백질과의 상호작용을 실험적으로 확인해야 했음 출처 : [1] [그림 1] 전통적인 신약개발 과정에 대한 모식도 ◦︎ 인공지능의 등장은 신약개발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음. 기존의 신약개발 체계를
2025-01-15
-
BioINpro[KRIBB 워킹그룹] 중증 복합질환의 신약 개발 현황과 도전 과제: 멀티 모달리티 치료제의 역할
중증 복합질환의 신약 개발 현황과 도전 과제: 멀티 모달리티 치료제의 역할 [KRIBB 워킹그룹] ◈ 목차 1.개요 2.주요 동향 및 이슈 3.결론 및 시사점 ◈본문 1. 개요 ◼︎ 중증 복합질환의 정의 - 중증 복합질환(Severe Complex Diseases)은 복잡한 병리 기전과 다중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여러 장기와 생리 시스템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는 질환군임. 단일 원인보다는 유전적, 환경적, 행동적 요인 등 다양한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함. 암, 심혈관질환, 간질환, 신경퇴행성 질환, 대사질환, 면역질환 등이 대표적임 ▶︎ 중증 복합질환의 종류 1) 암: 유전자 변이, 암 줄기세포, 면역 회피 기전 등 다양한 병리 메커니즘이 결합해 질병을 촉진 2) 심혈관질환: 고혈당/고지혈, 대사 이상, 염증 반응 등이 상호작용하여 발생 3) 간질환: 지방간, 간염, 간경변, 간암으로 이어지는 다단계 병리 과정 4) 신경퇴행성 질환: 알츠하이머병과 파킨슨병에서 단
2025-01-15
-
BioINglobal최신 산업 동향 : 신약 모달리티 2024
최신 산업 동향 : 신약 모달리티 2024 김지예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출처: Boston Consulting Group. 2024. 9 ※ 본 원고는 원본 원고의 내용을 중개하여 각색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원제 : New Drug Modalities 2024), https://www.bcg.com/publications/2024/new-drug-modalities-report 【요약】 ○ 신약 모달리티는 바이오제약 산업의 핵심 성장 동력 - 2024년 기준 파이프라인 가치는 1,680억 달러로 성장 - GLP-1 작용제, ADC, mRNA, CAR-T와 같은 특정 치료제는 치료 적응증 확장과 매출 성장 가능성을 보이며 시장 영향력 넓힘 ○ 신약 모달리티 주요 동향 및 거래 활동 - (항체) mAb, ADC는 성장률이 각각 18%, 22%로 주요 모달리티 중에서도 강력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ADC는 비종양 영역으로 확장 중 - (재조합 단백질) G
2025-01-03
발간
더보기-
이슈 보고서정부연구비가 신약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시사점
[BioINsay 40] 정부연구비가 신약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시사점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부연구위원 정승모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연구원 조윤정 전 세계는 치열한 경쟁 속에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래 먹거리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연구개발에 투자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고 있으며, 선진국의 경우 세계최초, 세계최고의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R&D 정책과 R&D 지원 시스템의 혁신을 도모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나라도 매년 R&D 투자를 확대하며 첨단기술 개발을 근간으로 한 국가경쟁력 확보를 위해 많은 투자를 하고, 높은 수준의 R&D 예산을 투입하며 투자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과학기술정책 기획력의 강화와 인프라 확충에 힘쓰고 있다.(과기정통부, 2017) 그 결과 우리나라의 GDP 대비 총 R&D 비용은 이스라엘에 이어 세계 2위이며, 총 R&D 투자규모 또한 미국, 중국 등에 이어 세계 5위를 수준에 도달하였다.(
2019-04-23
-
정책/기획보고서신약개발 R&D 활성화를 위한 신약개발지원센터의 기능 설정 및 수행방안에 관한 연구
1. 추진배경 및 경과 가. 수립배경 우리나라 신약개발 단계 중 선도물질의 평가 및 최적화 기능이 취약함에 따라 국가 차원에서 지원의 필요성 제기(제5차 의료산업선진화위원회, ʼ07.6) 첨단의료복합단지 입지 선정(대구경북단지, 충북오송단지)에 따른 신약개발지원센터 설립 계획 추진(ʼ09.12) 우리나라 신약개발 프로세스 중 취약한 것으로 나타난 후보물질도출 지원 인프라(인력, 시설 등)를 글로벌 수준으로 구축하여 혁신신약 개발을 가속화 할 필요 나. 추진 경과 ʼ10.4 : 신약개발지원센터 기능설정 및 수행방안에 대한 기획연구 추진(교과부)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연구책임자 : 현병환센터장) ʼ10.4∼8 : 총괄기획위원회, 실무기획위원회(바이오와 합성신약 분과), 지자체 의견 수렴 회의 개최(총 8회) ※ 총괄기획회의 개최(3.19, 4.8, 9.8), 실무기획회의 개최(4.23, 5.6, 7.9), 지자체간 의견 수렴 회의(7
2013-02-22
-
이슈 보고서천연물신약 연구개발 동향(개발연구 중심으로)
1. 천연물신약의 개요 천연물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의약용소재로 사용한 역사가 오래되어 풍부한 임상경험을 가지고 있고, 천연물 자체로 여러 나라에서 1차적인 의약품으로 활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신약개발에서 중요한 원천소재로 사용되고 있음. 또한 천연물신약은 약물의 안전성측면에서 우수하고 개발기간이 짧으며 성공가능성이 높아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음 가. 천연물신약이란? 1) 천연물신약의 정의 및 특징 천연물신약이란 천연물을 이용하여 연구개발한 의약품을 말하며, 조성/성분/효능등이 새로운 의약품으로 생약/한약제제를 포함함 ○ 본지에서 명시하는 천연물신약의 정의와 범위는「천연물신약개발촉진법안」에서 제시하는 천연물신약의 정의 및 범위를 따름 .....................계속
2012-05-10
-
이슈 보고서구조 단백질체학 연구 및 신약개발 활용기술
1. 구조 단백질체학 연구 개요 생체 내의 모든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을 밝히는 일은 생명 현상 규명, 신약 개발 및 난치병 치료에 직결된 과제로 인간 게놈 프로젝트와 같은 대규모 DNA 서열 정보를 획득하게 된 이후 효과적인 단백질 구조 예측의 역할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음 가. 구조 단백질체학이란? 1) 구조 단백질체학의 정의 및 특징 ■ 구조 단백질체학(Structural proteomics)은 유전체 정보로부터 생명 현상의 기능을 담당하는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의 연관성을 연구하는 학문을 말하며 구조 유전체학(Structural genomics)이라고도 함 ○ 넓은 범위의 구조 유전체학은 게놈의 구조 관련 연구 일체를 지칭하며 좁은 범위로는 유전자의 기능 규명을 위한 단백질의 3차 구조를 결정하는 연구 분야로 정의함 ○ 생체내 단백질의 구조를 대량으로 신속히 밝히는 것이 목표임 - 게놈 프로젝트 이후 유전자 서열이 해독되면서 서열의 비교 분석 후 유사성에 따른 기능을
2011-02-17
-
이슈 보고서국내 신약개발 R&D 활성화를 위한 신약개발 현황 및 신약개발비 분석
★ 첨부파일 다운로드가 안되시는 이용자께서는 관리자에게 연락을 주십시요. 파일을 발송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042)879-8377, 박성훈 연구원(bioin@kribb.re.kr) 1. 요약 전세계적인 고령화와 복지사회로의 전환으로 의약품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 할 전망으로 제약산업은 차세대 전략 산업으로 각광받고 있음 ○ 신약 개발은 성공시 높은 수익을 창출하지만 막대한 투자비와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성공률이 매우 낮은 고위험 사업임 ○ 신종플루 등 새로운 질병의 발생으로 제약산업의 사회·경제적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음 ○ 블록버스터 의약품의 대거 특허만료, 신약 R&D 생산성 저하, 바이오제약으로의 전환 및 각국의 규제 강화정책 등 세계 제약산업은 급격한 환경변화를 맞고 있음 ○ 본 보고서에서는 신약개발을 둘러싼 대내외적인 환경변화와 트렌드를 살펴보고, 신약개발비를 분석한 선행 자료들을 종합·검토하여 신약개발에 소요되는 실제적인 연구개발 비용을 파
2010-07-01
-
정책/기획보고서신약개발 bottleneck 해결을 위한 기획연구
1. 연구의 목적 세계 시장을 목표로 하는 혁신 신약을 개발하기 위하여 현 상황에서 신약개발의 애로사항들을 분석하고 범국가적으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 2. 연구의 필요성 고령화와 삶의 질 향상에 따른 보건의료에 대한 관심과 수요 증가 세계시장의 확대와 글로벌 신약개발 경쟁의 가속화 신약개발의 효율성 제고 국민의 생명 및 건강 주권 확립 3. 연구의 대상(범위) 글로벌 시장을 지향하는 블록버스터와 시장 독점력과 기술 혁신성이 강한 준블록버스터 및 니치버스터형 혁신신약 4. 신약개발의 bottleneck에 대한 원인 분석 실제로 신약개발로 이어질 수 있는 연구와 개발 과제에 대한 정확한 현황 파악이 미비하여 정부지원금을 총액기준으로 분석할 때 신약개발에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는 듯한 착시현상이 나타나고 있음 신약개발관련 연구과제는 실질적으로 약물에 대한 기초 기전 연구가 대부분이며, 소규모의 단위과제가 다양하게 이루어짐으로써
2009-06-12
-
이슈 보고서주요 질환별 신약개발 동향(암질환을 중심으로)
현재 우리나라 인구 4명중 1명이 암으로 사망하는 등 암은 국민건강에 커다란 위협 요인으로 대두 되고 있으며 고령화 및 환경변화 등으로 암사망과 암발생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또한 세계적인 암 발생 및 암사망은 지속적인 증가추세에 있어 암정복을 위한 예방ㆍ진단ㆍ치료 기술개발은 인류공통의 시급한 과제임.
2008-04-23
-
이슈 보고서1989-1997년간 미국FDA 승인신약 관련 특허분석
본 연구에서는 특허가 만료하였거나 특허만료일이 임박한 미국 FDA 승인 신약의 품목, 물질 정보, 관련 특허만료일 및 시장 현황 등을 조사․분석하여, 차세대성장동력 바이오신약․장기사업을 수행함에 있어 연구개발 방향 정립에 활용하고자 함 - 특히, 바이오신약 및 약물전달시스템 개발 시 타겟(대상) 선정에 기준이 될 수 있는 등 제네릭의약품 개발 연구에 도움을 주고자 함 첨부파일 다운로드가 안되시는 이용자께서는 아래 링크를 클릭하세요~! 1989-1997년간 미국FDA 승인신약 관련 특허분석 보러가기~!!
2007-03-30
동향
더보기-
정책동향
중국, 미국 제재에 대응하기 위해 혁신약물 승인 가속화2025.10.14
한국바이오협회
-
정책동향
석유시추 이외에 신약개발에도 성공불융자 도입되나2025.10.10
한국바이오협회
-
기술동향
인공지능(AI) 기반의 심층 생성모델을 이용한 다중 타깃 신약 디자인 연구 동향2025.09.29
BRIC
-
기술동향
AI 기반 신약개발: 중국 시장의 부상과 국제적 위상2025.09.22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기술동향
신약개발 플랫폼 기술 현황과 미래2025.09.15
한국바이오협회
-
제도동향
국내외 신약 허가 수수료 관련 제도 및 비교2025.09.12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
산업동향
AI 신약 개발에서도 성과내고 있는 중국기업들2025.09.03
보건복지부
-
기술동향
인공지능(AI) 기반 신약 개발: 현황, 과제 및 미래 전망 - 정재호 연세대학교 융합과학기술원장2025.09.02
국가신약개발재단
-
산업동향
2025년 상반기 신약 허가, 중국은 늘고 미국은 줄고2025.08.21
한국바이오협회
-
정책동향
미국, NIH 예산삭감과 FDA 심사지연이 신약개발에 미칠 영향2025.08.12
한국바이오협회
-
기술동향
성공적인 면역항암제 및 ADC 신약개발을 위한 바이오마커 활용 - 지니너스 박웅양 대표2025.07.24
국가신약개발재단
-
정책동향
일본 신약벤처 생태계 육성 정책 동향2025.07.18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제도동향
미국 FDA, 신약승인심사 1~2개월로 단축 프로그램 신설2025.07.08
한국바이오협회
-
정책동향
제네릭 의약품과 개량신약의 가치 재조명 外2025.06.27
한국제약바이오협회
-
산업동향
국내 신약개발 파이프라인 조사결과2025.06.12
국가신약개발재단
-
정책동향
2023년 신약개발 정부 R&D 투자 포트폴리오 분석2025.04.28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산업동향
글로벌 제약사 1개 신약 개발 비용 22억 달러2025.04.25
한국바이오협회
-
산업동향
중국, 2024년 48개 혁신 신약 승인2025.04.24
한국바이오협회
-
기술동향
신약개발에서의 AI 활용2025.04.23
한국바이오협회
-
정책동향
AI를 활용한 혁신 신약개발의 동향 및 정책 시사점2025.04.22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차트+
더보기뉴스
더보기-
R&D
신약 중심 RWD 활용, 제네릭 적용은 신중론 대세2025.11.07
팜뉴스
-
R&D
입찰액 100억弗까지…살 떨리는 ‘비만 신약’ 확보전2025.11.07
서울경제
-
R&D
내성 해결·신약 개발… 바이오업계, ADC 선점 경쟁 불 붙어2025.11.07
파이낸셜뉴스
-
R&D
프로티나·삼성에피스 "AI 항체신약 공동 개발"2025.11.06
매일경제
-
R&D
막 오른 복지부 'K-AI 신약개발 R&D'… 제바협·목암硏 등 연구기관 선정2025.11.06
서울경제
-
R&D
41호 신약 ‘세노바메이트’ 허가에 환자들 반색…다음 관심은 CAR-T 항암제 ‘림카토’2025.11.06
디지털타임스
-
R&D
복지·신약 심사·바이오헬스까지…李 “공공 분야 전반에 AI 도입 가속화”2025.11.05
메디컬투데이
-
R&D
아마존과 손 잡은 글로벌 제약사…"5년 내 AI 신약 나온다"2025.11.04
중앙일보
-
R&D
41번째 신약 탄생…SK바이오팜 뇌전증 치료제 ‘세노바메이트’ 식약처 허가2025.11.04
디지털타임스
-
R&D
신설된 삼성에피스홀딩스, 'ADC 신약·플랫폼'에 사활건다2025.11.03
한국경제
-
R&D
AI가 신약 부작용 미리 본다…사람에 독성 보이는 약물 사전 차단2025.10.31
조선비즈
-
R&D
세계 첫 반려견 SGLT-2 당뇨신약… 대웅제약, '엔블로펫' 허가 신청2025.10.30
한국경제
-
R&D
식약처 “9월 마운자로 퀵펜·여드름치료 신약 등 139개 제품 허가”2025.10.29
디지털타임스
-
R&D
AI·양자컴퓨터의 융합, 신약개발의 판을 바꾸다2025.10.29
조선비즈
-
R&D
"AI가 신약개발 기간 단축시켰지만 기술적 한계는 여전"2025.10.29
한국경제
-
R&D
호킹 박사 괴롭혔던 불치병 20년만에 신약 등장…한국 환자에도 공급2025.10.28
매일경제
-
R&D
"복잡해지는 신약 임상시험, AI로 비용·시간 단축"2025.10.28
메디파나뉴스
-
R&D
3개월 만에 머리숱 62% 늘어…모낭 부활시키는 美신약에 전세계 ‘술렁’2025.10.27
매일경제
-
R&D
국내 신약 개발 지형도 변화…41호 주인공 나올까2025.10.27
연합뉴스
-
R&D
한미약품, 항암신약 ‘HM97662’ 임상 1상서 항종양 효과 확인2025.10.23
매일경제
부처보도자료
더보기-
AI 진단·예측, 신약개발, 의료기기 개발 분야 5년간 1천 명 이상 인재 양성 추진
보건복지부
2025-08-07
-
신약을 만드는 데이터, 2025 신약개발 인공지능 경진대회 개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5-06-23
-
이창윤 제1차관, 신약 연구자와 국내·외 투자자가 모이는 「2025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 국제 생명공학 소개행사(글로벌 바이오텍 쇼케이스)」 참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5-05-27
-
기업들의 애로사항 청취 통해 AI 신약개발 분야 경쟁력 확보 방안 모색
보건복지부
2025-05-09
-
AI 신약개발 산,학,연 글로벌 협력 방안 모색
보건복지부
2024-11-01
-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을 통한 국제 신약개발에 박차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4-09-06
-
제2회 AI 신약개발 경진대회‘JUMP AI’개최
보건복지부
2024-07-29
-
신약개발을 위한 연합학습 기반 인공지능 기술개발 본격 추진
보건복지부
2024-07-23
-
데이터와 인공지능 활용 신약개발 경진대회 수상자 발표
보건복지부
2023-10-24
-
2023 신약개발 인공지능(AI) 경진대회 개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3-08-07
-
보건복지부, AI 신약개발 생태계 조성을 위한 산업계 현장의견 청취
보건복지부
2023-05-22
-
글로벌 신약개발 중인 바이오벤처들과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 논의
보건복지부
2023-05-18
-
오태석 제1차관, AI기반 신약개발 기업 방문 및 현장 간담회 개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3-04-21
-
공공 인공지능 신약개발 플랫폼으로 산·학·연 함께 누리는 신약개발 2.0 시대 앞당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09-22
-
과기정통부 용홍택 제1차관, 국가신약개발재단 현장방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03-28
-
2030년까지 연 매출 1조원 블록버스터 신약개발 목표, 제약강국으로의 도약 위한 임상시험 인프라 확충
보건복지부
2021-06-11
-
국가신약개발프로젝트 본격 닻 올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1-03-04
-
신약개발 전주기에 통합 지원하는 범부처 R&D 사업 추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9-07-23
-
4차 산업혁명 시대! 인공지능으로 신약개발 경쟁력 높인다!
보건복지부
2019-03-21
-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 지원으로 기술이전액 7조3600억 원 달성
보건복지부
2019-03-06
성과
더보기-
차세대 신약 엑소좀 치료제 임상 속도낸다
2024-11-07
-
단일 분자로도 측정 가능한 고효율 신약발굴 센서 개발
2023-04-14
-
자연에 풍부한 탄화수소로 신약 원료 감마-락탐 합성 성공
2018-03-02
-
신약개발 위한 빅데이터 기반 가상인체 시스템 개발
2017-08-09
-
질병 규명과 신약 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 열다
2016-09-30
-
현미경만으로 신약 물질 1차 선별하는 기술 개발
2015-06-23
-
한의학 처방 원리(군신좌사) 규명으로 신약개발 토대 마련
2015-03-13
-
암 전이 억제제 신약 후보물질 도출
2013-11-11
-
신약개발 필수과정인 막단백질 결정화에 탁월한 양쪽성 물질 개발
2013-03-04
-
신약 개발 위한 획기적인 IT 인프라 개발
2012-08-14
-
신약 개발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다
2012-04-19
-
환자유래 역분화 줄기세포로 부신백질이영양증의 원인확인 및 신약개발의 플랫폼 제공
2011-07-01
-
국산 치매 신약후보물질, 스위스 Roche사에 최대 2억 9천만 달러 기술이전 계약 및 공동연구
2010-01-20
연계정보
-
연구보고서
더보기
-
ntisB형 간염 완치를 위한 de novo cccDNA 생성 억제 entry 저해 신약후보 물질 개발
닫기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B형 간염 완치를 위한 de novo cccDNA 생성 억제 entry 저해 신약후보 물질 개발/Development of hepatitis B virus entry inhibitor for inhibition of de novo cccDNA synthesis
사업 : 2023 보건복지부 감염병예방치료기술개발사업과제 : 1465041552 서울대학교 B형 간염 완치를 위한 de novo cccDNA 생성 억제 entry 저해 신약후보 물질 개발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312 발행기관명 서울대학교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
ntis자체개발 혁신신약을 기반으로 하는 글로벌 개량신약 및 상업화
닫기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자체개발 혁신신약을 기반으로 하는 글로벌 개량신약 및 상업화/Global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incrementally modified new drugs based on self developed innovative drugs
사업 : 2021 산업통상자원부 우수기술연구센터(ATC)[일몰]과제 : 1415172394 크리스탈지노믹스(주) 자체개발 혁신신약을 기반으로 하는 글로벌 개량신약 개발 및 상업화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106 발행기관명 크리스탈지노믹스(주)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3 개발결과 요약 최종목표자체개발 글로벌 혁신신약 아셀렉스 캡슐 주성분 폴마콕시브을 기반으로 신규 제형 개발 및 신규 적응증 추가로 치료 환자 확대가 가능한 개량신약의 개발 및 이의 상품화본 목표를 통해 안정성 유효성 및 유효성이 확보된 우수한 품질의 의약품을 국내 및 전세계 환자에 제공할 수 있음 개발내용 및 결과제형변경 캡슐 정제 식약처 허가 후 국내 동아제약 및 대웅제약에서 판매 중에 있음제형변경 캡슐 주사제 제제확립 특허 출원 PCT 4주 반복투여독성시험 완료복합제 4종 프레가발린 복합제 임상 1상 완료 후 3상 IND 신청 완료 암로디핀 복합제는 제제공정 확립 및 13주반복투여독성 시험 완료 후 임상 1상 준비 중 에페리손 및 둘록세틴 복합제는 제제연구 완료 및 제조공정 개발 완료함 추후 13주 반복투여 독성시험 자료 확보 후 임상 1상 신청 예정 기술개발 배경당사 개발 혁신신약 폴마콕시브를 국내 신약으로뿐만 아니라 글로벌 신약으로서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기 위해 신규제형 및 다양한 복합제 개발 이를 통해 제품 경쟁력 적응증 및 시장 확대를 통해 수익성 극대화하고자 함 핵심개발 기술의 의의본 과제의 핵심 기술인 가용화는 당사와 같이 단백질구조기반 기술에 의해 도출된 난용성 신약물질의 제제화 연구에 적용서방제이중정 기술 조합은 약리 효과 극대화 및 환자의 복용 편의성 개선 위한 최적 용출 패턴 설계 구현을 가능케 함본 과제에서 개발되고 제품 아셀렉스 정제 폴마콕시브 주사제 및 폴마콕시브 기반 복합제 4종은 기존에 아셀렉스 캡술 제품도입이 확정된 중동지역 중남미 및 CIS 지역 및 수출 협의 진행 중인 동남아 및 유럽국가에 추가적으로 수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특히 본 과제에서 개발된 아셀렉스정의 경우 기 수출 CIS 국가에 소재한 기업과 수출 상담 진행 중에 있음 적용 분야본 과제에서 도출된 제제기술은 신규 도출된 난용성 물질의 제제화 용출패턴 최적화를 통한 약효 증대 부작용 감소 및 복약 순응도 향상된 신약 및 개량신약 의약품 제조에 응용될 수 있음출처 최종보고서 초록 4p -
ntis차세대 암치료용 신약 개발을 위한 PPI 저해제 발굴 플랫폼 기술 개발
닫기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차세대 암치료용 신약 개발을 위한 PPI 저해제 발굴 플랫폼 기술 개발/Development of platform technology for PPI inhibitors for next generation cancer treatment
사업 : 2022 산업통상자원부 소재부품기술개발과제 : 1415177998 프로메디젠주식회사 차세대 암치료용 신약 개발을 위한 PPI 저해제 발굴 플랫폼 기술 개발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302 발행기관명 프로메디젠(주)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최종 목표최종목표ㅇ본 연구팀은 독보적인 맞춤형 단백질 변형기술을 바탕으로 단백질간결합proteinprotein interaction PPI 타겟팅 신약발굴 플랫폼기술을 개발하고자 함 국내외 어느 바이오제약회사에서도 기존에는 접근이 불가능하였던 암특이적 PPI 타겟들에 대한 저해제 탐색 및 리드 물질 도출을 통해서 차세대 암치료용 신약개발을 위한 PPI 저해제발굴 플랫폼기술을 최적화하고자함ㅇ단백질변형기반 PPI 타겟팅 신약발굴 플랫폼기술 개발ㅇ암특이적 PPI 타겟들에 대한 저해제 탐색 및 리드 물질 도출ㅇ차세대 암치료용 신약개발위한 PPI 저해제 플랫폼기술 최적화1차년도 목표ㅇ인산화 기반 암 특이적 PPI 저해제 발굴 플랫폼 구축ㅇ암 특이적 PPI 뉴타겟의 유효성 검증기술 개발ㅇ암 특이적 PPI 타겟의 유효성 검증2차년도 목표ㅇ암 특이적 PPI 저해제 발굴 플랫폼 적용ㅇ세포모델에서 PPI 저해 Hit의 유효성 검증 및 MoA 연구ㅇ세포 및 동물 모델에서의 암 특이적 PPI 타겟 저해 Hit의 약리적 활성 검증3차년도 목표ㅇ암 특이적 PPI 저해제 발굴 플랫폼 최적화 및 완성ㅇ종양 동물 모델에서의 PPI 타겟 lead 선도물질의 활성평가 및 최적화ㅇPPI 저해 선도물질의 유효성 검증 전체 내용1차년도 개발내용ㅇ인산화 단백질 기반 암특이적 PPI 뉴타겟 맞춤형 생산기술 개발 박테리아 단백질 생합성 기구의 재설계를 통한 인산화 단백질 생산 시스템 구축 및 생산ㅇ암 특이적 PPI 저해제 후보물질의 생체 내 효능평가를 위한 동물 모델 구축 및 평가법 개발 PPI 저해제 후보물질의 생체 내 효능평가를 위해 다양한 암 종류에 대한 동물모델 구축ㅇ암 특이적 PPI 타겟 후보 탐색 및 선별 AKT1PDK1 AKT1SIN1 MEK1ERK22차년도 개발내용ㅇ암 특이적 PPI 저해제발굴 플랫폼 적용 암 특이적 PPI 타겟 발굴 및 생산 HTS 스크리닝 적용 Xray 결정학 기반 타겟단백질리간드 구조 규명 및 활성 부위 검증 전임상 시험약물의 안전성 독성시험ㅇ세포 및 동물 모델에서의 암 특이적 PPI 타겟 저해 Hit의 약리적 활성 검증 종양 동물 모델 기반 PPI 저해 Hit의 생체 내 효능 평가 동물 모델 기반 PPI 저해제의 약물동력학 특성 평가법 구축ㅇ암 특이적 PPI 저해제 후보물질의 유효성 검증 다양한 암세포에서의 PPI 저해 Hit의 유효성 평가 세포모델에서 PPI 저해 Hit의 MoA 연구ㅇ종양 동물모델에서 PPI 타겟 lead 선도물질 활성평가 및 최적화 종양 동물 모델 기반 PPI 타겟 선도물질의 생체 내 효능 평가 종양 동물 모델 기반 PPI 타겟 표적항암 선도물질의 약물동력학 평가 종양 동물기반 PPI 뉴타겟 표적항암제 후보물질의 생체 내 효능 및 PK평가를 통한 최적화 PPI 타겟 표적항암 선도물질의 독성 시험평가3차년도 개발내용ㅇ암 특이적 PPI 저해제발굴 플랫폼 최적화 및 완성단백질리드화합물 복합체구조 기반 선도물질 디자인 및 유기합성 in silico 디자인을 통한 HittoLead 최적화 진행 암특이적 PPI 타겟과 선도물질간의 결합 검증 Xray 결정학 기반 타겟단백질저해제간의 구조 규명 및 활성부위 검증 뉴타겟 저분자 선도물질의 약리활성 규명 선도물질의 악물 효능 및 독성 검증을 통한 PPI 저해제 발굴 플랫폼의 완성ㅇ종양 동물모델에서 PPI 타겟 lead 선도물질 활성평가 및 최적화 종양 동물 모델 기반 PPI 타겟 선도물질의 생체 내 효능 평가 종양 동물 모델 기반 PPI 타겟 표적항암 선도물질의 약물동력학 평가 종양 동물기반 PPI 뉴타겟 표적항암제 후보물질의 생체 내 효능 및 PK평가를 통한 최적화 PPI 타겟 표적항암 선도물질의 독성 시험평가ㅇPPI 타겟 표적항암 선도물질의 유효성 검증 세포모델에서의 PPI 저해활성 선도물질의 약리적 활성 검증 세포모델에서의 PPI 저해활성 선도물질의 MoA 검증 PPI 타겟 표적항암 선도물질의 전임상 독성평가 검증출처 요약문 2p -
ntis신규한 다층정 서방정제 개발기술을 활용한 개량신약 및 복합서방정제 개발
닫기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신규한 다층정 서방정제 개발기술을 활용한 개량신약 및 복합서방정제 개발/Development of the value added and combined extended release drug products based on the novel multi-layer tablets technology
사업 : 2022 산업통상자원부 우수기술연구센터(ATC)[일몰]과제 : 1415178434 지엘팜텍 신규한 다층정 서방정제 개발기술을 활용한 개량신약 및 복합서방정제 개발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302 발행기관명 지엘팜텍(주)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최종 목표최종목표 신규한 다층정 서방정제 개발기술을 활용한 개량신약 및 복합서방정제 개발 당사 고유의 다층정 서방정제 platform technology인 GLARS를 기반의 개량신약 개발 프레가발린 서방정 75mg의 개발을 완료하고 150mg 300mg정제와 함께 3품목 발매 당사 고유의 다층정 서방정제 개발기술로서 물질특허연장기간 및 기존 제형의 단점을 극복한 복합정제 개발 Sitagliptin 신규염metformin 1001000mg 501000mg 50500mg 용량의 복합 서방정을 개발하고 임상1상 시험 완료하여 품목허가 획득 3픔목 본 개발기술 결과물에 후속 제품을 용이하게 추가 적용할 수 있는 기반 마련 전체 내용 1단계 1차년도2018년 Pregabalin GLARS 150mg 300mg1 임상3상시험 진행 중 본 과제지원 없음 서울대병원 등 국내 34개 임상센터에서 수행 2018년 6월 시험 종료2 국내 NDA신청용 CTD작성 진행 중 당사가 작성하며 제조처의 제조관련 자료협조를 받아 진행3 NDA신청4 제품 장기안정성 2년 확보 안정성시험 중 개별 용출률 편차 5용출기준 적합뿐만 아니라 정제 서방조성의 견고성 확보 기지유연물질lactam 03 속방제형 05보다 우수한 안정성 확보 Pregabalin GLARS 75mg1 조성공정연구 150 300mg 정과 동등한 용출속도 및 PK를 갖는 조성 및 공정연구2 기준 및 시험법 규격설정 시험 용출기준 유연물질기준 등의 설정근거 연구3 시험생산 제조소 한림제약 GMP공장에서의 제조공정 및 조건확정을 위한 연구4 분석기술이전 제조소로 품질관리QC시험을 위한 제품 분석기술이전 수행5 신장애환자 임상1상 시험 IND 신청 및 승인 75mg 투약근거 마련을 위한 임상시험 IND 신청 및 승인 식약처와 임상시험 모델 협의6 임상시험약 생산 임상1상 시험용 한림제약 GMP공장에서의 정규 생산7 안정성시험 3배치 개시 완제품 유효기간 산정용 Metformin XRSitagliptin신규염 10010001 조성공정연구 Metformin 서방층 part 조성연구 Sitagliptin 속방층 part 조성연구 상기 2개층을 통합한 다층정 조성 및 공정연구2 제품분석법 설정 2종 약물 각각의 함량 용출시험 유연물질 시험법 설정3 Sitagliptin 신규염 비임상시험 완료 신규염염산염의 기존염인산염비교 설치류 PK 비임상시험 진행4 기준 및 시험법 규격 설정시험 2종 약물 각각에 대한 용출시험 유연물질기준 설정 근거 연구5 시험생산 다층정 생산공정 및 조건 확인을 위한 Scaleup 연구6 임상1상시험공복 고지방식 IND 신청 참조약 자누메트XR과의 고지방식사 후 PK동등성 확인용 임상시험 준비 전북대병원 임상센터 협의 1단계 2차년도2019년 Pregabalin GLARS 150mg 300mg1 NDA승인 및 보험약가등재2 제품 발매3 제품 장기안정성 3년 확보 Pregabalin GLARS 75mg1 임상1상시험 진행 서울아산병원 임상센터에서 신장애 환자대상 PK시험 실시2 안정성시험 3배치 진행 가속중간장기조건 각 3배치 진행 Metformin XRSitagliptin신규염 10010001 분석법 밸리데이션 2종 약물의 함량시험법 용출시험법 유연물질시험법 밸리데이션 실시2 분석기술이전 밸리데이션 완료 시험법의 제조소신일제약 QC로 분석기술이전 시행3 임상시험용 시료생산 임상1상 시험용 신일제약 GMP공장에서의 정규 생산4 임상1상 시험공복 완료 공복 후 PK동등성 확인5 임상1상시험고지방식 임상시험 시작 참조약 자누메트XR과의 공복 시 PK동등성 확인용 임상시험 준비 전북대병원 임상센터6 안정성시험 3배치 진행 완제품 유효기간 산정용 가속중간장기조건 각 3배치 진행 2단계 1차년도2020년 Pregabalin GLARS 75mg1 임상1상 시험 진행 임상시험피험자 모집 총 24명 중 14명 등록 완료 피험자 모집 촉진을 위한 임상시험기관 추가 최초서울아산병원 추가인제대부산백병원2 제품안정성기간2년 확보 완제품 각 3배치 가속장기Zone IVb 안정성시험 진행 가속장기Zone IVb에서 모두 2년 안정 확인 Metformin XRSitagliptin 신규염 10010001 임상1상 시험식후고지방식 완료 식후고지방식 시 PK동등성 확인 완료2 완제품 가속조건 안정성6개월 및 장기조건 안정성1년 확보 완제품 3배치 안정성 1년 완료3 허가신청용 CTD 작성 완료4 품목허가 신청 완료 20205155 추가 식약처 발암성물질 NDMA 평가용 신규 자료 제출요망2020819 NDMA 항목 포함 가속안정성 6개월 3배치 신규 진행 준비 NDMA 항목 포함 장기안정성 24개월최소 12개월 3배치 자료 제출 준비 Metformin XRSitagliptin 신규염 501000 505001 조성공정연구 2용량 제품 모두 Biowaiver 목적으로 100100mg과 의약품동등성 인정범위 내 조성 및 공정 확보 연구용 시료 비교용출동등성 확보2 시험생산 다층정 생산공정 및 조건 확인을 위한 Scaleup 연구3 기시법 및 규격설정시험 2종 약물 각각에 대한 용출시험 유연물질기준 설정 근거 연구4 분석기술이전 완제품 시험법의 제조소신일제약 QC로 분석기술이전 시행5 안정성시험 3배치 장기안정성 1년 확보 완제품 유효기간 산정용6 품목허가제출용 비교용출시험 완료 2품목7 2품목 허가신청용 CTD 작성 완료 2품목8 2품목 품목허가 신청 완료 20205159 추가 식약처 발암성물질 NDMA 평가용 신규 자료 제출요망2020819 NDMA 항목 포함 품목별 가속안정성 6개월 3배치 신규 진행 준비 NDMA 항목 포함 품목별 장기안정성 24개월최소 12개월 3배치 자료 제출 준비 2단계 2차년도2021년 Pregabalin GLARS 75mg1 제품안정성기간확보 24개월 안정성결과 근거 36개월 유효기간 확보2 임상1상 시험 진행 경증 신장애 환자등록 완료 중등도 신장애 환자 등록 부족 임상시험기관 추가 결정 기존서울아산병원 부산인제대백병원 추가용인세브란스병원3 허가신청용 CTD작성 구비 임상시험결과보고서 외 CTD자료 구비 용출기준설정 보고서 확보 유연물질기준설정 보고서 확보 제조소 자료 확보 제조기록서 성적서 등 Metformin XRSitagliptin 신규염 10010001 제품안정성기간 확보 3배치 안정성 시험결과 근거 유효기간 24개월 이상 확보2 추가제조공정 중 NDMA 생성위험성 평가 3배치 제조 및 공정별 영향 평가3 주가NDMA 항목 가속조건 안정성시험 3배치 가속안정성 6개월 신규 개시 및 완료4 추가NDMA 항목 장기조건 안정성시험 기존 장기보관 안정성 3배치의 NDMA 항목 평가 24개월 Metformin XRSitagliptin 신규염 501000 505001 501000mg 3배치 안정성연구 3배치 안정성 시험결과 근거 유효기간 24개월 이상 확보2 50500mg 3배치 안정성연구 3배치 안정성 시험결과 근거 유효기간 24개월 이상 확보3 추가 제조공정 중 NDMA 생성위험성 평가 3배치 제조 및 공정별 영향 평가4 추가 NDMA 항목 가속조건 안정성시험 3배치 가속안정성 6개월 신규 개시 및 완료5 추가 NDMA 항목 장기조건 안정성시험 기존 장기보관 안정성 3배치의 NDMA 항목 평가 24개월기타 과제목표 이외에 개발기술을 활용하여 신규 용량 SitagliptinMetformin 복합서방정제 50750mg 추가 개발 진행하였으며 기술이전계약 체결 후 2023년 동시 발매 예정 2단계 3차년도2022년 Pregabalin GLARS 75mg1 임상1상 시험 완료2 허가신청용 CTD 작성 완료3 품목허가 신청 완료4 식약처 품목허가 심사 중 Metformin XRSitagliptin 신규염 10010001 추가NDMA 평가용 심사자료 구비 완료 및 보완자료 제출 3배치 가속6개월 장기 12개월 이상 자료 구비 완료2 품목허가 승인3 2023년 9월 발매 준비4 제품안정성 3년 추가 확인 Metformin XRSitagliptin 신규염 501000 505001 추가NDMA 평가용 심사자료 구비 완료 및 보완자료 제출 2품목 3배치 가속6개월 장기 12개월 이상 자료 구비 완료2 2품목 품목허가 승인3 2023년 9월 발매 준비4 제품안정성 3년 추가 확인기타 과제목표 이외에 개발기술을 활용하여 신규 용량 SitagliptinMetformin 복합서방정제 50750mg 품목허가 완료 후 2023년 9월 동시 발매 준비 1단계 목표 1단계 개발목표 및 내용 Pregabalin GLARS 150mg 300mg 정제2품목임상3상시험 성공적 완료NDA승인제품안정성시험 3년 안정성 확보 내용 Pregabalin GLARS 75mg 정제조성분석연구 완료Scaleup 생산화 완료신장애환자 대상 임상1상시험 개시 2단계 개발목표 및 내용 Pregabalin GLARS 75mg 정제신장애환자 대상 임상1상시험 완료제품안정성시험 3년 안정성 확보CTD 구비 및 NDA 신청NDA 승인 2단계 목표 1단계 개발목표 및 내용 Metformin XRSitagliptin신규염 1001000조성분석연구 완료시험생산 및 임상약 생산 완료임상1상 시험공복 완료 2단계 개발목표 및 내용 Metformin XRSitagliptin신규염 1001000임상1상시험식후고지방식 완료제품안정성시험 2년 안정성 확보품목허가 신청추가불순물 NDMA 안정성 심사자료 구비품목허가 획득 내용 2단계 개발목표 및 내용 Metformin XRSitagliptin신규염 501000 50500 2품목2품목 의약품동등성 확보 가능한조성 및 제조공정 확보2품목 의약품동등성비교용출 확인품목허가 신청추가불순물 NDMA 안정성 심사자료 구비품목허가 획득출처 요약문 2p
-
ntisB형 간염 완치를 위한 de novo cccDNA 생성 억제 entry 저해 신약후보 물질 개발
-
과제
더보기
-
ntis전립선암 표적 항암 치료 방사성의약품 신약 개발
닫기
연계정보(NTIS)
과제전립선암 표적 항암 치료 방사성의약품 신약 개발
퓨쳐켐 정부투자연구비 437,500,000원 총연구비 875,000,000원 보건의료 신약·의약품개발 임상약리-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지대윤
- 참여연구자손유희;오금록;김미지;길희섭;고성배;김지연;박찬수;김민환;정현진;권순정;유영관;정우재;박민정;이경규;박세리
연구목표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710033785 기준년도 2025 연구책임자 지대윤 과제수행기관 퓨쳐켐 정부투자연구비 437,500,000 총연구비 875,000,000 -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치료용 방사성의약품 신약의 개발(임상)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metastatic castration resistant prostate cancer, mCRPC) 치료용 방사성의약품 [177Lu]Ludotadipep의 국내, 외 임상2상 반복투여에서의 안전성 및 유효성 결과확보.(임상) 100 mCi의 [177Lu]Ludotadipe...
- (임상) 국내 및 미국 임상2상 완료, 임상3상 계획 설계, 국내 임상3상 IND 신청 및 승인 - 100 mCi 의 [177Lu]Ludotadipep을 시험대상자에게 8주 간격으로 최대 6회까지 반복 투여함.- 국내 및 미국 임상2상 대상자는 각 20명으로 설정, MFDS 및 FDA의 임상허가를 완료함.- 국내 임상2상은 이미 진행 중이며 2023년 하반...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주)퓨쳐켐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방사성의약품 신약을 발굴, 임상시험을 거쳐 품목허가를 가진 방사성의약품 신약개발 기업으로 화합물 설계/합성에서 신규 IP 확보, 비임상, 임상연구 및 품목허가와 생산판매에 이르는 전주기 신약개발 사업을 자체적으로 추진하고 있음.*특히 신약개발의 필수적인 신약개발 인프라인 원료물질을 생산하는 자체 BGMP...
- 6T관련효과
- 난치성 질환 치료기술
-
ntis미토콘드리아 내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혁신 신약 개발
닫기
연계정보(NTIS)
과제미토콘드리아 내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혁신 신약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정부투자연구비 248,195,000원 총연구비 248,195,000원 보건의료 신약·의약품개발 의약품 합성/탐색-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강수성
- 참여연구자오서연;김태은;문채영;김세진;최소은;한윤서;나윤재;LA THI MAI HANH
연구목표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710083183 기준년도 2025 연구책임자 강수성 과제수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정부투자연구비 248,195,000 총연구비 248,195,000 - A. 미토콘드리아 Chaperone TRAP1 modulator 발굴 및 최적화B. 미토콘드리아 내 PDK4, GLS1, SIRT3등의 단백질 저해제/바인더 발굴C. 미토콘드리아 chaperone TRAP1-mediated targeted protein modification 신약개발 D. 미토콘드리아 Protease ClpP-mediated targete...
- - N-terminal domain(NTD)에 결합 TRAP1을 저해하는 Lead 물질 ADME의 최적화를 통한 TRAP1 foldase 저해제 약물을 개발 및 MD 저해제 발굴을 위한 FP 에세이 형광 probe 개발한 후 middle domain(MD)에 작용하여 TRAP1의 holdase 기능을 억제하는 신약후보물질 개발 - 미토콘드리아 내부 매트릭스...
- - 여러 미토콘드리아 내 여러 단백질을 타겟으로하는 신약개발 연구를 진행하여 퇴행성 질환 치료제, 항암제 및 항생제 신약으로 개발하고자 함. 혁신적인 연구로 신약이 개발되면 논문 및 특허 출판 성과 뿐만 아니라 실제 first in class에 속하는 혁신 신약의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학문적 및 의약 산업적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계획임.- 미토콘드...
- 6T관련효과
- 난치성 질환 치료기술
-
ntis기분장애 환자에서 스트레스에 의한 신경면역학적 변화 및 유도미세아교세포 분석을 통한 진단 생체지표 및 신약 개발
닫기
연계정보(NTIS)
과제기분장애 환자에서 스트레스에 의한 신경면역학적 변화 및 유도미세아교세포 분석을 통한 진단 생체지표 및 신약 개발
인하대학교 정부투자연구비 300,000,000원 총연구비 300,000,000원 보건의료 임상의학 정신의학-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김양식
- 참여연구자이지영
연구목표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460002319 기준년도 2025 연구책임자 김양식 과제수행기관 인하대학교 정부투자연구비 300,000,000 총연구비 300,000,000 - 기분장애를 가진 환자 20명과 건강대조군 20명의 임상적 정보, 뇌파 등 뇌신경학적 측정, 대사, 면역 정보 및 혈액을 이용한 유도 미세아교세포 분화 기술을 통하여, 대사 및 면역 생체지표를 중점적으로 기분장애의 진단에 이용가능한 신경면역학적 변화 등 객관적 생체지표를 도출함. 임상연구를 통해 도출된 생체지표를 목표로 하는 단일 클론 항체 등 생물학적 제...
- 임상연구 프로토콜 확립과 진행 그리고 iMG 연구방법 설정 최종 20명의 기분장애 환자군과 20명의 건강대조군 연구대상자(각 군당 남 10명, 여 10명(폐경전 40세 이하 5명, 폐경후 5명)를 모집하여 성별 및 호르몬 상태에 따른 임상증상, 스트레스 포함 개인정보, 대사, 신경, 및 면역학적 측정결과를 수집함. 또한 백혈구 내 단핵구 세포를 분리하여 ...
- 본 연구를 통하여 스트레스 요인을 종합적으로 측정하고, 스트레스 반응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신경면역 변화 관련 생체지표 및 신약 후보물질을 개발하여 정신질환의 발병, 악화, 치료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의 영향을 측정하고, 정신의학 뿐만 아니라 역경 및 스트레스와 관련이 된 순환기, 호흡기, 대사질환, 암 등에서 작용하는 스트레스에 의한 질병...
- 6T관련효과
- 뇌신경과학 연구
-
ntis세포외소포체 기반 혁신 신약의 안전성 및 품질 규제 기술 개발
닫기
연계정보(NTIS)
과제세포외소포체 기반 혁신 신약의 안전성 및 품질 규제 기술 개발
(재)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정부투자연구비 200,000,000원 총연구비 200,000,000원 보건의료 신약·의약품개발 체내동태/약물 대사연구-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조영우
- 참여연구자윤재현;최아름;김만섭;문다솜;김지연;김현용;이주영
연구목표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470004633 기준년도 2025 연구책임자 조영우 과제수행기관 (재)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정부투자연구비 200,000,000 총연구비 200,000,000 - ○ 시험법 개발을 위한 세포외 소포 생산 - 2개 이상의 세포주, 3개 이상의 방법으로 세포외 소포 생산 ○ 시험물질의 특성분석 (순도/확인 시험, 역가시험) 및 지원 - 막단백질등 세포외 소포의 marker를 활용한 순도 시험법 개발 - FACS를 이용한 세포외 소포의 크기 및 정량법 개발 - 역가 시험법 개발 (case by case) - 세포외소포 신...
- □ 1차년도(1단계) ○ 시험법 개발을 위한 세포외 소포의 생산과, 체내분포, 약동학시험을 위한 target 발굴 및 시험 지원 - 연구개발 내용 1: 시험법 개발을 위한 세포외 소포의 생산 (세포주 기반) 불멸화된 클론성 세포주 (immortalized clonal cell lines)에서 세포외 소포 생산 - 연구개발 내...
- ○ 세포외 소포 체내분포, 약동학 시험을 위한 target 발굴을 통해 다양한 타입의 세포외 소포의 체내분포 분석 방법 개발을 위한 아이디어 제시○ 세포외 소포 치료제 개발 초기단계에서 의약품이 타겟으로 이동하는지 여부의 판단을 할 수 있음. 이를 근거로 MOA 설정과 최적의 투여위치를 선정 할 수 있을 것임.○ 세포외 소포 체내분포 분석과 구축을 통해 o...
- 6T관련효과
- 기타기초·기반기술
-
ntis전립선암 표적 항암 치료 방사성의약품 신약 개발
-
논문
더보기
- ntis신약개발을 위한 인공지능 플랫폼을 활용한 듀센 근이영양증의 표적 발굴 사례
-
ntis신약개발을 위한 바이오이미징 기술의 동향 파악 및 발전 방안
닫기
외부자료(NTIS)
논문신약개발을 위한 바이오이미징 기술의 동향 파악 및 발전 방안
사업 : 2018 보건복지부 임상연구인프라조성과제 : 1465026690 서울아산병원 국가지정 신약개발 융합 바이오이미징 센터저자명(주공동저자),논문구분,학술지명,ISSN,학술지 출판연도 저자명(주공동저자) Lee Jong Gu;Kim Seung Hee;Kim Jeong Kon;Kim Kyung Won;Jo Woo Ri;Ryu Sun Ae;Park Zewon;Yi Jung-Yeon;Kim Bora;Oh Woo Yong 논문구분 학술지 학술지명 약 학 회 지 ISSN 0377-9556 학술지 출판연도 2018 - ntis초기 신약개발 단계에서의 신약후보물질 최적화를 위한 물성스크리닝 방법 검증 및 프로파일링
-
ntis신약개발을 위한 바이오이미징 기술의 동향 파악 및 발전 방안
닫기
외부자료(NTIS)
논문신약개발을 위한 바이오이미징 기술의 동향 파악 및 발전 방안
사업 : 2016 식품의약품안전처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연구과제 : 1475009442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바이오이미징 등 신기술 활용 의약품 평가 체계 개선 연구(1)저자명(주공동저자),논문구분,학술지명,ISSN,학술지 출판연도 저자명(주공동저자) Lee Jong Gu;Kim Seung Hee;Kim Jeong Kon;Kim Kyung Won;Jo Woo Ri;Ryu Sun Ae;Park Zewon;Yi Jung-Yeon;Kim Bora;Oh Woo Yong 논문구분 학술지 학술지명 대한약학회지 ISSN 0377-9556 학술지 출판연도 2018
- 특허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