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개발
치료제가 없어 많은 사람들을 죽음로 이끌던 질병들은 신약의 등장으로 완치까지 가능하게 되었고, 더 나아가 발생할 수 있는 질병을 예방하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유전체분석 등 바이오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합성의약품 중심의 신약 개발에서 바이오의약품 개발로 전환시켰으며, 최근에는 인공지능 도입 및 디지털기술로 환자를 치료하는 디지털치료제도 등장하였습니다.Collection
신약개발
개념
치료제가 없어 많은 사람들을 죽음로 이끌던 질병들은 신약의 등장으로 완치까지 가능하게 되었고, 더 나아가 발생할 수 있는 질병을 예방하는 시대가 되었다. 유전체분석 등 바이오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합성의약품 중심의 신약 개발에서 바이오의약품 개발로 전환시켰으며, 최근에는 인공지능 도입 및 디지털기술로 환자를 치료하는 디지털치료제도 등장하였다.
전세계적인 고령화, 신흥국가들의 소득수준 향상 및 신종 감염병 출현 등으로 글로벌 의약품 시장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주요국들은 제약·바이오산업을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지정하고 집중 육성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바이오인에서 담고 있는 신약개발에 관련된 다양한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국내외 신약개발 현황
|
|
||||||||||||||||||||||
인허가 및 규제 동향, 임상 단계 주요 의약품
|
|
||||||||||||||||||||||
글로벌 제약 산업 동향 밎 주요 기업 활동
|
|
||||||||||||||||||||||
내용 출처
|
|
지식
더보기-
BioINwatchAI 신약개발, 무엇이 가능하고 무엇이 한계인가?
AI 신약개발, 무엇이 가능하고 무엇이 한계인가? BioINwatch(BioIN+Issue+Watch): 24-78 ◇︎AI 기술의 빠른 발전과 함께 신약개발의 패러다임이 실험에서 빅데이터 기반의 분석·예측·설계 중심으로 빠르게 변화. 이러한 상황에서 “AI가 개발한 약물이 과연 효과적일까?”라는 질문을 제기하며 지난 10년간 AI가 발굴한 약물의 효과를 분석한 리뷰 논문을 BCG(보스턴컨설팅그룹)에서 발표 ▸주요 출처 : Drug Discovery Today, How successful are AI discovered drugs in clinical trials?, 2024.6 ◆︎ AI 기술의 빠른 발전과 함께 신약개발의 패러다임이 실험에서 빅데이터 기반의 분석·예측·설계 중심으로 빠르게 변화 ○ 빅테크기업(구글, NVIDA)이 AI 신약개발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며 글로벌 제약사도 AI 신약 및 IT 기업과 협력하며 AI를 본격적으로 도입하기 시작 ※ 2024년 노벨 화학상
2024-12-12
-
BioINpro[바이오 신약] 인공지능과 구조 기반 신약개발: 기회와 도전 과제
바이오 신약(Biologics) 인공지능과 구조 기반 신약개발: 기회와 도전 과제 박한범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 ◈ 목차 1.배경: 컴퓨터를 이용한 구조기반 신약개발 2.연구 동향: 인공지능의 접목을 통한 도약 3.향후 과제 4.맺음말: 인공지능 신약개발 연구 동향 ◈본문 1. 배경: 컴퓨터를 이용한 구조 기반 신약개발 가. 구조 기반 신약개발의 의미와 중요성 ① 의미와 중요성: 원리를 이용한 신약 개발 약물은 어떻게 우리 몸에서 작용할까? 현대 생물학이 정립되면서 우리가 알게 된 사실에 따르면, 다수의 질병은 단백질의 기능 저하 또는 과다·과소 발현으로 발생한다. 우리가 알고 있는 약물들 중 대다수는 바로 해당 질병을 일으키는 표적 단백질과 결합하여 그 기능을 조절한다. 약물의 작동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하나는 표적 단백질의 기능을 억제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증진하는 것으로, 단백질의 어느 위치에 약물이 붙는지에 따라 앞서 말한 방식이 대개 달라진다. 그렇지
2024-08-23
-
BioINwatch글로벌 반도체기업 NVIDIA, 신약개발 AI 파운데이션 모델(BioNEMO)의 클라우드 서비스 발표
글로벌 반도체기업 NVIDIA, 신약개발 AI 파운데이션 모델(BioNEMO)의 클라우드 서비스 발표 BioINwatch(BioIN+Issue+Watch): 24-27 최근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NVIDIA)는 인체 데이터 셋을 활용해 신약 개발용 AI 파운데이션* 모델 ‘바이오니모’를 클라우드 서비스로 제공.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하여 제약기업들은 자체 데이터로 ‘바이오니모’를 파인튜닝하여 목적에 맞는 AI 모델을 빠르게 개발할 수 있게 됨. Wet lab 실험과 단순 시뮬레이션 중심이었던 기존 신약개발 프로세스가 생성형 AI 기반 설계로 전환되는 계기가 될지 주목 * 대규모 데이터 셋을 사용하여 사전에 학습되어 있는 일종의 반제품 형태의 AI 모델 ▸주요 출처 : https://www.nvidia.com/en-us/clara/bionemo/ ■세계 최대 반도체 기업 NVIDIA가 신약개발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AI 기반 신약개발 플랫폼인 ‘바이오니모(BioNEM
2024-04-25
-
BioINdustry합성생물학 기반 신약개발 현황 및 전망
[BioINdustry No.185] 합성생물학 기반 신약개발 현황 및 전망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연구원 김민정 ※ 본 보고서는 프로스트앤드설리번에서 발간한 보고서 ‘Synthetic Biology(SynBio) in Drug Discovery and Next-generation Therapeutics(2023.6)’ 및 합성생물학 기반 신약개발 관련 온라인 공개자료 등을 참고하여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 재구성한 것임 ◈ 목차 1. 합성생물학 기반 신약개발 개요 2. 기술혁신 및 R&D 시나리오 1) 분석 범위 2) 약물 발견의 기술혁신 및 R&D 시나리오 3) 치료제 분야 기술혁신 및 R&D 시나리오 4) 약물 발견 촉진 및 치료 생산 규모 확장을 위한 합성생물학 도구 3. 합성생물학 기반 신약개발 기업 동향 4. 합성생물학 기반 신약산업 핵심전략 1) 환경분석 : 성장동인/저해요인 2) 성장 기회 및 전략 【요약문】 □ 합성생물학은 맞춤형 공정
2023-10-25
-
BioIN4P신약개발 : 바이오의약품 분야 4P 분석
신약개발 : 바이오의약품 분야 4P 분석 - Paper(논문), Patent(특허), Product(산업), Portfolio(투자) - Paper(논문) 글로벌 국내 연도별 발표현황 연도별 발표현황 주요 국가 주요 국가(공동연구 현황) 주요 연구기관 주요 연구기관 * 각 대학의 부속병원 논문 수 포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2022-06-30
-
BioINproDNA-encoded library technology(DELT)를 활용한 신약개발 동향
DNA-encoded library technology(DELT)를 활용한 신약개발 동향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 송민수 1. 머리말 하나의 화합물 신약이 탄생하기까지 10년 이상의 긴 시간과 수 조원 이상의 천문학적인 연구비용이 든다는 것은 이미 주지의 사실이다 [1-2]. 한편, 이것은 신약개발 과정의 총체적인 효율성의 문제일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기 시작하면서,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신약 개발을 위한 혁신 기술 발굴을 통해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위한 연구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신속한 유효물질 도출을 통한 신약 개발 기간 단축 노력의 일환으로서 전통적으로 HTS, 가상검색, phenotypic screening, FBLD 기법을 오랜 기간 활용하고 있으며, 21세기 들어 보다 진보된 혁신 신약 도출 기반기술들, 즉, ADC, TPD, AI, CRISPR-Cas9, CAR-T, DELT, RNA
2022-03-28
-
BioINwatch과학기술 분야 핫 이슈 ‘양자컴퓨터’, 신약개발 가속화 기대
BioINwatch(BioIN+Issue+Watch): 21-79 과학기술 분야 핫 이슈 ‘양자컴퓨터’, 신약개발 가속화 기대 ◇ 최근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양자컴퓨터, 신약개발을 위한 구조 생물학 분야에 활용 등 다양한 가능성을 기대하고 있어 바이오 분야의 R&D 혁신을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 제시 ▸주요 출처 : Nature Methods, Biology begins to tangle with quantum computing, 2021.6. 바이오스펙테이터, 베링거, 구글과 ‘양자 컴퓨팅’ 신약개발 파트너십, 21.1.13, 사이언스타임즈, 양자컴퓨터가 바이오기술 혁명 앞당긴다?, 2020.5 ▣ 바이오의약 분야의 과학자들은 최근 뜨거운 관심분야인 양자컴퓨터가 생물학 분야에 어떻게 활용될 것인지 대해 논의를 시작 ○ 과학자들은 양자컴퓨팅이 단백질 설계와 같은 구조생물학의 영역에서 알고리즘 및 기계학습 접근방식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데 어떻게 도
2021-11-22
-
BioINwatch인간 미세생리학적 시스템의 신약개발 활용
BioINwatch(BioIN+Issue+Watch): 21-72 인간 미세생리학적 시스템의 신약개발 활용 ◇ 미세유체 장기칩과 같은 미세생리학적 시스템(microphysiological systems, MPS)은 주요 생물학적 과정과 질병 상태를 재현하여 인간의 생리학을 재구성하는 유망한 체외 도구로 빠르게 진화, 특히 신약개발에 있어 그 활용과 가치가 높을 것으로 전망 ▸주요 출처 : Science, Human microphysiological systems for drug development, 2021.9 ▣ 인간세포를 사용하는 장기 칩(organs-on chips) 또는 조직공학, 3D 장기 구조로 구성된 미세생리학적 시스템은 생물학, 생리학, 의학, 약리학 및 독성학에 새로운 도구로 관심 ○ 미세생리학적 시스템(MicroPhysiological System, MPS)은 장기 칩 또는 체외 기관(in vitro organ)이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상호
2021-10-26
발간
더보기-
이슈 보고서정부연구비가 신약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시사점
[BioINsay 40] 정부연구비가 신약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시사점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부연구위원 정승모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연구원 조윤정 전 세계는 치열한 경쟁 속에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래 먹거리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연구개발에 투자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고 있으며, 선진국의 경우 세계최초, 세계최고의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R&D 정책과 R&D 지원 시스템의 혁신을 도모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나라도 매년 R&D 투자를 확대하며 첨단기술 개발을 근간으로 한 국가경쟁력 확보를 위해 많은 투자를 하고, 높은 수준의 R&D 예산을 투입하며 투자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과학기술정책 기획력의 강화와 인프라 확충에 힘쓰고 있다.(과기정통부, 2017) 그 결과 우리나라의 GDP 대비 총 R&D 비용은 이스라엘에 이어 세계 2위이며, 총 R&D 투자규모 또한 미국, 중국 등에 이어 세계 5위를 수준에 도달하였다.(
2019-04-23
-
정책/기획보고서신약개발 R&D 활성화를 위한 신약개발지원센터의 기능 설정 및 수행방안에 관한 연구
1. 추진배경 및 경과 가. 수립배경 우리나라 신약개발 단계 중 선도물질의 평가 및 최적화 기능이 취약함에 따라 국가 차원에서 지원의 필요성 제기(제5차 의료산업선진화위원회, ʼ07.6) 첨단의료복합단지 입지 선정(대구경북단지, 충북오송단지)에 따른 신약개발지원센터 설립 계획 추진(ʼ09.12) 우리나라 신약개발 프로세스 중 취약한 것으로 나타난 후보물질도출 지원 인프라(인력, 시설 등)를 글로벌 수준으로 구축하여 혁신신약 개발을 가속화 할 필요 나. 추진 경과 ʼ10.4 : 신약개발지원센터 기능설정 및 수행방안에 대한 기획연구 추진(교과부)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연구책임자 : 현병환센터장) ʼ10.4∼8 : 총괄기획위원회, 실무기획위원회(바이오와 합성신약 분과), 지자체 의견 수렴 회의 개최(총 8회) ※ 총괄기획회의 개최(3.19, 4.8, 9.8), 실무기획회의 개최(4.23, 5.6, 7.9), 지자체간 의견 수렴 회의(7
2013-02-22
-
연구 보고서구조 단백질체학 연구 및 신약개발 활용기술
1. 구조 단백질체학 연구 개요 생체 내의 모든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을 밝히는 일은 생명 현상 규명, 신약 개발 및 난치병 치료에 직결된 과제로 인간 게놈 프로젝트와 같은 대규모 DNA 서열 정보를 획득하게 된 이후 효과적인 단백질 구조 예측의 역할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음 가. 구조 단백질체학이란? 1) 구조 단백질체학의 정의 및 특징 ■ 구조 단백질체학(Structural proteomics)은 유전체 정보로부터 생명 현상의 기능을 담당하는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의 연관성을 연구하는 학문을 말하며 구조 유전체학(Structural genomics)이라고도 함 ○ 넓은 범위의 구조 유전체학은 게놈의 구조 관련 연구 일체를 지칭하며 좁은 범위로는 유전자의 기능 규명을 위한 단백질의 3차 구조를 결정하는 연구 분야로 정의함 ○ 생체내 단백질의 구조를 대량으로 신속히 밝히는 것이 목표임 - 게놈 프로젝트 이후 유전자 서열이 해독되면서 서열의 비교 분석 후 유사성에 따른 기능을
2011-02-17
-
이슈 보고서국내 신약개발 R&D 활성화를 위한 신약개발 현황 및 신약개발비 분석
★ 첨부파일 다운로드가 안되시는 이용자께서는 관리자에게 연락을 주십시요. 파일을 발송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042)879-8377, 박성훈 연구원(bioin@kribb.re.kr) 1. 요약 전세계적인 고령화와 복지사회로의 전환으로 의약품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 할 전망으로 제약산업은 차세대 전략 산업으로 각광받고 있음 ○ 신약 개발은 성공시 높은 수익을 창출하지만 막대한 투자비와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성공률이 매우 낮은 고위험 사업임 ○ 신종플루 등 새로운 질병의 발생으로 제약산업의 사회·경제적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음 ○ 블록버스터 의약품의 대거 특허만료, 신약 R&D 생산성 저하, 바이오제약으로의 전환 및 각국의 규제 강화정책 등 세계 제약산업은 급격한 환경변화를 맞고 있음 ○ 본 보고서에서는 신약개발을 둘러싼 대내외적인 환경변화와 트렌드를 살펴보고, 신약개발비를 분석한 선행 자료들을 종합·검토하여 신약개발에 소요되는 실제적인 연구개발 비용을 파
2010-07-01
-
정책/기획보고서신약개발 bottleneck 해결을 위한 기획연구
1. 연구의 목적 세계 시장을 목표로 하는 혁신 신약을 개발하기 위하여 현 상황에서 신약개발의 애로사항들을 분석하고 범국가적으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 2. 연구의 필요성 고령화와 삶의 질 향상에 따른 보건의료에 대한 관심과 수요 증가 세계시장의 확대와 글로벌 신약개발 경쟁의 가속화 신약개발의 효율성 제고 국민의 생명 및 건강 주권 확립 3. 연구의 대상(범위) 글로벌 시장을 지향하는 블록버스터와 시장 독점력과 기술 혁신성이 강한 준블록버스터 및 니치버스터형 혁신신약 4. 신약개발의 bottleneck에 대한 원인 분석 실제로 신약개발로 이어질 수 있는 연구와 개발 과제에 대한 정확한 현황 파악이 미비하여 정부지원금을 총액기준으로 분석할 때 신약개발에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는 듯한 착시현상이 나타나고 있음 신약개발관련 연구과제는 실질적으로 약물에 대한 기초 기전 연구가 대부분이며, 소규모의 단위과제가 다양하게 이루어짐으로써
2009-06-12
-
연구 보고서주요 질환별 신약개발 동향(암질환을 중심으로)
현재 우리나라 인구 4명중 1명이 암으로 사망하는 등 암은 국민건강에 커다란 위협 요인으로 대두 되고 있으며 고령화 및 환경변화 등으로 암사망과 암발생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또한 세계적인 암 발생 및 암사망은 지속적인 증가추세에 있어 암정복을 위한 예방ㆍ진단ㆍ치료 기술개발은 인류공통의 시급한 과제임.
2008-04-23
동향
더보기-
정책동향
2023년 신약개발 정부 R&D 투자 포트폴리오 분석2025.04.28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기술동향
신약개발에서의 AI 활용2025.04.23
한국바이오협회
-
정책동향
AI를 활용한 혁신 신약개발의 동향 및 정책 시사점2025.04.22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기술동향
첨단 자율화 연구시스템과 AI 신약개발 外2025.03.14
한국제약바이오협회
-
기술동향
LinkedIn 창립자, AI 기반 신약개발기업 설립2025.02.26
한국바이오협회
-
산업동향
2024 글로벌 신약개발 산업동향(at a glance)2025.01.07
국가신약개발재단
-
산업동향
인공지능(AI) 신약개발 글로벌 시장 및 협력 현황2024.12.18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산업동향
신약개발에 따른 3D 세포배양 시장 성장전망2024.10.14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기술동향
인공지능(AI) 활용 신약개발 경쟁력 강화 방안2024.09.20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기술동향
[KPBMA FOCUS 제11호] 연합학습 기반 신약개발 플랫폼 FDD 外2024.08.01
한국제약바이오협회
-
기술동향
보스턴 바이오텍과 신약개발 동향 분석2024.07.04
BRIC
-
기술동향
[신약개발 Global Trend 분석] Global Oncology Trends 20242024.06.28
국가신약개발재단
-
산업동향
[이슈 브리핑] 10억 달러 펀딩받은 미국 AI신약개발기업 출범2024.05.08
한국바이오협회
-
정책동향
2022년 신약개발 정부 R&D 투자 포트폴리오 분석2024.04.22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기술동향
신약개발 Global Trend 분석: 항체-분해약물접합체(DAC)2024.04.18
국가신약개발재단
-
산업동향
[이슈 브리핑] 엔비디아, 신약개발 가속화를 위한 생성형 AI 모델 공개2024.04.03
한국바이오협회
-
산업동향
2024년 1월 신약개발관련 주요 Deal2024.02.29
국가신약개발재단
-
기술동향
단일 세포 분석 기법에 대한 개요 및 이를 활용한 질병의 이해 및 신약개발 사례2024.02.13
BRIC
-
정책동향
신약개발 분야 정부 R&D 현황과 효율성 제고 방안2024.01.30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산업동향
2023년 12월 신약개발관련 주요 Deal2024.01.25
국가신약개발재단
차트+
더보기뉴스
더보기-
R&D
동물실험 없앤다는 FDA…오가노이드·AI 신약개발 기업 `화색`2025.04.16
디지털타임스
-
R&D
의정갈등에 신약개발 차질…"임상시험, 중국에도 밀렸다"2025.04.02
뉴시스
-
R&D
정부, 신약개발에 최근 10년간 4.2조원 투자…연평균 9% 늘려2025.03.28
연합뉴스
-
R&D
신약개발 숨은 주역 CRO…제약바이오 산업 핵심 파트너 부상2025.03.26
약업신문
-
R&D
AI신약개발 전문가가 꼽은 성공 키워드 '융합'2025.03.25
비즈와치
-
R&D
국내 기업, AI 활용 신약개발 한계…데이터 공유·표준화 부족2025.03.25
연합뉴스
-
R&D
신약개발 기업, 미국 시장 성공적 진출 필수 대비 인허가 대응 전략은?2025.03.12
약업신문
-
R&D
신약개발 기업, 미국 시장 성공적 진출 필수 대비 인허가 대응 전략은?2025.03.10
약업신문
-
R&D
셀트리온, ADC신약 1상 美승인…"신약개발사 도약 속력"2025.03.05
뉴시스
-
R&D
AI 신약개발 뒤흔들 게임체인저 등장…DNA 염기서열 9兆개 분석·설계한다2025.02.25
서울경제
-
R&D
미국·유럽서 잇단 희귀의약품 지정…"국내 신약개발 핵심 동력"2025.02.24
연합뉴스
-
R&D
KDDF, ‘2025 국가신약개발사업 R&D 워크숍’ 개최2025.02.21
바이오타임즈
-
R&D
최소 10년·1조 필요 신약개발 … 구글, AI 치료제로 한계 돌파2025.01.23
매일경제
-
R&D
'창립 80돌' 제약바이오협회…"R&D 강화해 신약개발 선도국 도약"2025.01.22
서울경제
-
R&D
'R&D 예산 축소 여파' 국가신약개발사업 프로젝트 감소2025.01.17
뉴스1
-
R&D
희귀질환 파브리병 정복...제약사들의 색다른 신약개발2025.01.16
데일리팜
-
R&D
우리나라 신약개발 기술수준 어디쯤? ‘항체치료제’, 美>EU>日>韓>中 순2025.01.06
약업신문
-
R&D
올해도 AI 신약개발 이어져…정부도 적극 참여2024.12.30
메디파나뉴스
-
R&D
K바이오 잇따라 '우주 진출', 왜?…"신약개발 최적 실험실"2024.12.23
뉴시스
-
R&D
"암 등 난치성질환 신약개발"…카이스트·HLB그룹 손잡다2024.12.17
뉴시스
부처보도자료
더보기-
AI 신약개발 산,학,연 글로벌 협력 방안 모색
보건복지부
2024-11-01
-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을 통한 국제 신약개발에 박차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4-09-06
-
제2회 AI 신약개발 경진대회‘JUMP AI’개최
보건복지부
2024-07-29
-
신약개발을 위한 연합학습 기반 인공지능 기술개발 본격 추진
보건복지부
2024-07-23
-
데이터와 인공지능 활용 신약개발 경진대회 수상자 발표
보건복지부
2023-10-24
-
2023 신약개발 인공지능(AI) 경진대회 개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3-08-07
-
글로벌 신약개발 중인 바이오벤처들과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 논의
보건복지부
2023-05-18
-
오태석 제1차관, AI기반 신약개발 기업 방문 및 현장 간담회 개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3-04-21
-
인공지능(AI)+빅데이터 활용 고속 신약개발 플랫폼, 19년 출시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8-02-06
-
국립마산병원-한국파스퇴르연구소 신약개발 협약 체결
보건복지부
2018-01-10
-
신약개발 지원 확대, 약가·세제 등 인센티브 강화
보건복지부
2017-01-12
-
대구 신약개발지원센터, 지원 3년 만에 첫 결실
미래창조과학부
2016-12-30
-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 신임 사업단장에 묵현상 대표
보건복지부
2016-12-19
-
신약개발 및 의료기기 수출에 국내 공인의료기관 활용
산업통상자원부
2016-12-05
-
신약개발의 안전성 및 유효성을 높이기 위한 임상시험의 리스크 관리 도입방안 모색
보건복지부
2016-11-02
-
신약개발 및 해외 기술이전 성공을 향한 보건의료 기술라이센싱 포럼 개최
보건복지부
2016-10-21
-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 신임단장에 주상언 박사
보건복지부
2014-12-16
-
첨단의료복합단지, 「신약개발지원센터 R&D 추진전략」 수립
교육부
2012-07-25
-
국가 글로벌 신약개발 책임질 수장 뽑는다
산업통상자원부
2011-03-29
-
글로벌 신약개발을 위해 범부처적인 투자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
2010-06-23
성과
더보기-
신약개발 위한 빅데이터 기반 가상인체 시스템 개발
2017-08-09
-
한의학 처방 원리(군신좌사) 규명으로 신약개발 토대 마련
2015-03-13
-
신약개발 필수과정인 막단백질 결정화에 탁월한 양쪽성 물질 개발
2013-03-04
-
환자유래 역분화 줄기세포로 부신백질이영양증의 원인확인 및 신약개발의 플랫폼 제공
2011-07-01
연계정보
-
연구보고서
더보기
-
ntis신약개발지원센터 비임상시험 지원을 위한 세포 기반 수송체 평가법 고도화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신약개발지원센터 비임상시험 지원을 위한 세포 기반 수송체 평가법 고도화/Technical advancement of cell based transporter evaluation for preclinical study
사업 : 202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바이오의료기술개발과제 : 1711160361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 비임상시험 지원을 위한 세포 기반 수송체 평가법 고도화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305 발행기관명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연구개발 목표비임상 혹은 임상시험물질의 약물 수송체 평가를 위한 시험법 표준화 12종 약물 수송체에 대한 프로파일링 시험평가법 구축 FDA에서 권장하는 약물 수송체 9종에 대한 시험평가 최적화 및 내부표준지표 QC 구축 허가목적을 위한 문서작성 시스템 국문 및 영문 보고서 구축 연구개발 내용FDA에서 권장하는 약물수송체 9종 기반 약물상호작용 평가법 구축 ABC 수송체 1종 및 SLC 수송체 2종에 대한 저해능 및 기질성 평가법 표준화 ABC 수송체 2종 및 SLC 수송체 7종에 대한 시험의 내부표준지표 QC 확보임상에서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는 약물 수송체 9종에 대한 평가법 구축 시험평가 대조군 물질 선정 및 분석법 개발 시험반응조건 최적화 BSEP MRPs등 9종의 약물수송체에 대한 기질성 평가 BSEP MRPs등 9종의 약물수송체에 대한 저해능 평가플랫폼 기술의 문서작성 시스템 구축 신규 구축된 시혐평가법 SOP 구축 IND 지원을 위한 국제공통규격의 보고서 국문 및 영문 구축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응용분야 및 활용범위 포함 신약개발지원센터의 비임상시험 기술서비스를 통해 비임상 후보물질의 약물평가 지원에 활용 신약개발물질의 약물 수송체 매개 약물 분포 변화 및 안전성 변이 예측에 활용가능한 정보 제공 저해능 평가법은 천연물이나 펩타이드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신약물질의 생체내 약물수송체에 의한 약물간 상호작용 평가에 활용 가능 국제 공통규격에 맞는 시험평가보고서를 제공함으로써 신약개발연구자들의 허가용 문서작성 지원 약물 수송체 프로파일링 지원을 통해 다양한 비임상 및 임상 시험물질의 약물성 정보 제공 및 이를 통한 국가신약개발 성공률 제고출처 요약문 2p -
ntis신개념 항파킨슨 신약 후보물질개발: 활성산소 저해 및 단백질응집 억제를 통한 신경세포사멸 억제 및 신경보호효과 약물개발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신개념 항파킨슨 신약 후보물질개발: 활성산소 저해 및 단백질응집 억제를 통한 신경세포사멸 억제 및 신경보호효과 약물개발/Development of novel therapeutics for Parkinson's disease: reduction of ROS generation and protein aggregation, and induction of neuro-protective effects
사업 : 202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바이오의료기술개발과제 : 1711157870 덕성여자대학교 신개념 항파킨슨 신약 후보물질개발: 활성산소 저해 및 단백질응집 억제를 통한 신경세포사멸 억제 및 신경보호효과 약물개발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306 발행기관명 덕성여자대학교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
ntis파킨슨 질병 모델에서 나타나는 우울증과 인지기능장애의 새로운 치료 전략 개발 – NSAID 신약 재창출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파킨슨 질병 모델에서 나타나는 우울증과 인지기능장애의 새로운 치료 전략 개발 – NSAID 신약 재창출/Discovery of novel therapeutic target for depression and cognitive impairment in Parkinson's disease – NSAID drug repositioning
사업 : 2022 교육부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과제 : 1345347618 차의과학대학교 파킨슨 질병 모델에서 나타나는 우울증과 인지기능장애의 새로운 치료 전략 개발 – NSAID 신약 재창출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207 발행기관명 차의과학대학교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최종 목표① 파킨슨 모델 LRRK2 G2019S 돌연변이 마우스에서 나타나는 비운동성 증상우울인지장애와 neuroinflammation 간의 연관성 규명② LPS 유도 염증 모델에서 비운동성 증상의 양상을 분석하고 염증에 의한 비운동성 증상과 neurogenesis 및 BDNF와의 상관성을 검증③ NSAID 투여가 파킨슨병 비운동성 증상을 개선할 수 있는지 이기전에 neurogenesis 및 BDNF 조절이 관련되는지 확인 파킨슨병의 비운동성 증상인 우울행동과 인지기능 장애의 병태생리적 기전으로 neurogenesis와 neuroinflammation의 상관성을 규명하고 NSAID 신약 재창출을 새로운 치료 전략으로 제시 전체 내용파킨슨병은 치매 뇌졸중과 더불어 3대 노인성 뇌질환으로 꼽히는 질환 중 하나임 국내 파킨슨병 환자는 2010년 약 6만 명에서 꾸준히 증가해 2019년 약 11만 명을 넘어섰으며 고령화에 따라 계속해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 파킨슨병 환자의 대다수가 운동기능장애 이외에 수면장애 후각장애 만성변비 우울증 인지기능장애 등의 비운동성 증상을 겪음 이러한 비운동성 증상은 환자의 삶의 질에 중요한 요소일 뿐 아니라 운동장애가 일어나기 최대 10년 전에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조기 진단의 유용한 지표로 주목 받고 있음 이러한 이유로 파킨슨병 환자에서 운동장애 만큼이나 비운동성 증상의 진단과 관리가 중요하나 그에 비해 비운동성 증상의 원인과 치료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함이전 연구에서 파킨슨 모델 LRRK2 G2019S 마우스 젊은 주령78주령 암컷 마우스에서 특이적으로우울행동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고 neurogenesis 및 BDNF의 감소가 관련됨을 밝힌 바있음 LRRK2 G2019S 돌연변이는 정상 마우스에 비해 염증 반응이 활발하게 나타난다는 연구결과가 있으며 임상적으로 우울증 및 인지장애와 염증반응 간의 관련성이 보고됨 실제로 NSAID 계열 항염증제를 우울증 또는 퇴행성뇌질환의 치료에 새로운 타겟으로 제시하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본 연구는 LRRK2 G2019S 마우스 젊은 주령 암컷에서 나타났던 우울 행동에 neurogenesis 뿐 아니라 neuroinflammation이 관련되는지 확인하고자함 또한 파킨슨 모델의 노화 과정에서 인지기능 장애가 발현될 것이라 가정하고 그 발현 시기와 neurogenesis BDNF 및 neuroinflammation의 양상을 관찰함 이후에는 LPS 유도 염증 모델 마우스에서 우울행동 및 인지기능 장애가 나타나는지 확인하여 염증반응과 비운동성 증상의 상관성을 검증하고 이기전에 neurogenesis 및 BDNF의 관련성을 확인함 더불어 LRRK2 G2019S 파킨슨 마우스에 기존 NSAID를 투여했을 때 항염증 작용이 비운동성 증상을 개선할 수 있는 지 확인하고 그 약리기전에 있어 neurogenesis와 BDNF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함 이를 통해 파킨슨병 비운동성 증상에 대한 새로운 치료 전략으로서 NSAID 신약 재창출이 갖는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함 연구개발성과 SCISCIE 급 국제학술지 논문 1편 Neurotherapeutics 2022 May 25 in press 국제학술대회 참여 및 논문발표 2회 2022 Spring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20220421 29th Annual Meeting and Symposium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20211015 수상실적 포스터 발표상 2022 대한약학회 춘계국제학술대회 20220422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본 연구 결과는 파킨슨 동물 모델에서 성별과 주령에 따른 비운동성 증상 발현 양상의 실험적 기준이 될 수 있음 임상적으로 파킨슨병 환자의 우울증상은 여성에서 더 높게 발현되는 것으로 보고되며 이는 파킨슨 동물 모델에서의 연구 결과와도 일치함 이처럼 임상적으로 보고되는 결과와의 연관성을 확인하고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실제 파킨슨병환자의 비운동성 증상에 대한 새로운 치료 전략을 세우는 학술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음NSAID는 이미 항염증에 대한 효능 및 부작용 안전성의 검증이 충분히 이뤄진 약물이며 비교적 약가가 저렴함 본 연구를 통해 우울증 및 인지기능 장애에 대한 새로운 병리기전의 발견과 NSAID의 신약 재창출을 기대함 또한 기존의 약물 및 치료법으로 근본적 치료가 어려웠던 파킨슨병 비운동성 증상에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함과 동시에 환자 삶의 질 개선과 치료비용 절감을 기대함출처 요약문 2p -
ntis신약개발을 위한 질병 및 독성발현경로 연관형 구조활성 상관관계 분석 인공지능 체계 연구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신약개발을 위한 질병 및 독성발현경로 연관형 구조활성 상관관계 분석 인공지능 체계 연구/Artificial intelligence-based research on the read-across structure activity relationship in disease and adverse outcome pathways for new drug discovery
사업 : 202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과제 : 1711180735 서울대학교 신약개발을 위한 질병 및 독성발현경로 연관형 구조활성 상관관계 분석 인공지능 체계 연구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403 발행기관명 서울대학교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연구개요본 연구는 신약개발을 위한 질병 및 독성발현경로 관점에서 연관형 구조활성 상관관계 분석 기반의 인공지능AI 체계를 개발하고자 하였음 체내 이소성 지방을 축적시키는 대사교란물질을 화학정보학과 AI 모델을 활용하여 예측하고 독성 및 질병발현 경로 모델을 사람의 중간엽줄기세포 분화 표현형을 이용하여 검증하였음 분자촉발사건 핵심사건 핵심사건관련성 모듈을 in vitro 실험법과 연계할 수 있는 방법론을 구축하였음 지방세포 표현형 예측을 위한 AI 학습데이터를 개방형 화합물 빅데이터로부터 구축하고 데이터갭 필링 방법론을 연구하였음 데이터갭 필링 방식으로 고차원의 연관형 구조활성 상관관계RASAR 매트릭스를 설계하여 실험적 검증을 통해 방법론의 효율성을 입증하였음 표현형 데이터 인식 및 신약후보물질 구조생성 AI 기반의 RASAR 분석을 통해 대사성질환 신약 유효 물질을 도출하였음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바이오빅데이터로부터 신약개발을 위한 지식정보 자동 추출 체계 확립PubChem ChEMBL 등 개방형 화합물 빅데이터로부터 화합물 구조 생리활성 평가 결과 물리화학적 특성 등 정보 추출 체계를 확립하였음개방형 빅데이터의 생리활성 평가 결과 활용을 위한 데이터처리 프로세스로서 중복 정보 제거 및 통합 알고리듬을 개발하였음 중간엽줄기세포 분화 표현형을 이용한 대사성질환 독성 및 질병발현경로 제시12편의 국제학술지Eur J Med Chem Org Lett ACS Med Chem Lett 등 논문 발표를 통해 중간엽줄기세포 분화 표현형 조절 신규 화합물 20종 이상을 발견하여 보고하였음대사성질환 독성 및 질병발현경로의 분자촉발사건 및 핵심사건으로서 PPAR GR ER 등 핵수용체 네트워크의 역할을 규명하였음 신약선도물질 도출 및 대사교란물질 판별을 위한 RASAR 매트릭스 설계 및 RASAR 분석 플랫폼 구축화합물의 구조적 유사도 기반 상관성 분석 체계 구축 및 대사교란물질 판별 AI 모델 구축에 기여하였음중간엽줄기세포 분화 표현형 조절 화합물의 in silico 스크리닝을 위한 RASARRAS 모델을 개발하였음J Chem Inf Model 표현형 데이터 인식 및 구조생성 인공지능을 이용한 대사성질환 신약 선도물질 도출1000종 이상의 화합물에 대한 중간엽줄기세포 분화 표현형 데이터를 이용하여 아디포넥틴 분비 촉진 화합물 구조생성 AI 모델을 개발하였음중간엽줄기세포 분화 표현형 조절 신약 선도물질 4건에 대한 특허를 출원하였음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중간엽줄기세포 지방분화표현형 예측 AI 체계는 당뇨 비만 및 대사기능장애 관련 지방간염MASH 등 다양한 대사성질환에 대한 신약 선도물질을 발굴하는 데에 응용할 수 있음대사교란물질을 예측할 수 있는 독성 표현형 예측 AI 모델은 환경 노출 화합물에 대한 riskbenefit 분석에 도움을 줄 수 있음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AI 기반의 표현형 예측 모델은 신약개발의 유효성 안전성 평가를 위한 제도과학적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음 개발된 RASAR 방법론은 OECD에서 추진 중인 AOP 관점의 독성 및 효능 예측 시스템 개발에 기여함 즉 동물실험이나 인체 임상시험을 최소화하면서 동시에 신약개발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출처 연구결과 요약문 2p
-
ntis신약개발지원센터 비임상시험 지원을 위한 세포 기반 수송체 평가법 고도화
-
과제
더보기
-
ntis인공지능 기반 신약개발 플랫폼 고도화 및 혁신신약 후보물질 도출
연계정보(NTIS)
과제인공지능 기반 신약개발 플랫폼 고도화 및 혁신신약 후보물질 도출
이화여자대학교 정부투자연구비 1,800,000,000원 총연구비 2,090,134,000원 보건의료 신약·의약품개발 의약품 합성/탐색-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강수성
- 참여연구자류재상;윤주영;최선;유진하;SUN JINGYANG;윤상희;이소윤;안준영;윤해람;김여정;오서연;이예주;김희정;김수빈;이지아;문채영;정현선;이현화;QuanHongyu;이예지;박서경;오혜수;권유미;황보경;박수영;백유경;박보미;YOUSAF MAHA;이예림;조채운;손현;김세진
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710070015 기준년도 2024 연구책임자 강수성 과제수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정부투자연구비 1,800,000,000 총연구비 2,090,134,000 - 6T관련효과
- 바이오신약 개발기술
-
ntis난치성 질환 극복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다중 약물 적응증 최적화 플랫폼 개발 및 혁신신약 발굴
연계정보(NTIS)
과제난치성 질환 극복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다중 약물 적응증 최적화 플랫폼 개발 및 혁신신약 발굴
연세대학교 정부투자연구비 1,200,000,000원 총연구비 1,200,000,000원 정보/통신 정보이론 인공지능-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박상현
- 참여연구자염찬호;서상민;김현진;이지은;권세인;JINHUIJUN;조영완;김환희;PIAO SHENGMIN;홍인표;이효정;김정은;이기정;최승연;안성현;김은지
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710074603 기준년도 2024 연구책임자 박상현 과제수행기관 연세대학교 정부투자연구비 1,200,000,000 총연구비 1,200,000,000 - 6T관련효과
- 바이오신약 개발기술
-
ntis비향정신성 비만 신약 KDS2010의 임상시험 진입 및 성공적 사업화를 위한 연구개발
연계정보(NTIS)
과제비향정신성 비만 신약 KDS2010의 임상시험 진입 및 성공적 사업화를 위한 연구개발
주식회사 메디카코리아 정부투자연구비 349,000,000원 총연구비 567,479,000원 보건의료 신약·의약품개발 저분자의약품-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이동혁
- 참여연구자안진희;신환수;이현복;이남덕;김솔;김주희;하성주;김성진;장병찬;하서윤
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410008791 기준년도 2024 연구책임자 이동혁 과제수행기관 주식회사 메디카코리아 정부투자연구비 349,000,000 총연구비 567,479,000 - 6T관련효과
- 바이오신약 개발기술
-
ntis차별화 개량신약 및 first in class 신약 개발
연계정보(NTIS)
과제차별화 개량신약 및 first in class 신약 개발
현대약품(주) 정부투자연구비 428,032,000원 총연구비 946,174,000원 기계 기타 기계 달리 분류되지 않는 기계-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유신숙
- 참여연구자김대훈;이석호;조한원;이여울;KIMSEONGHEON;전푸름;이혜원;전수완;맹슬기;최은주
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410009202 기준년도 2024 연구책임자 유신숙 과제수행기관 현대약품(주) 정부투자연구비 428,032,000 총연구비 946,174,000 - 6T관련효과
- 기타 보건의료 관련 응용기술
-
ntis인공지능 기반 신약개발 플랫폼 고도화 및 혁신신약 후보물질 도출
-
논문
더보기
- ntis전략적 제휴를 통한 신약 개발의 기술가치평가 분석: 공동연구개발을 중심으로
- ntis신약개발을 위한 인공지능 플랫폼을 활용한 듀센 근이영양증의 표적 발굴 사례
-
ntis신약개발을 위한 바이오이미징 기술의 동향 파악 및 발전 방안
외부자료(NTIS)
논문신약개발을 위한 바이오이미징 기술의 동향 파악 및 발전 방안
사업 : 2018 보건복지부 임상연구인프라조성과제 : 1465026690 서울아산병원 국가지정 신약개발 융합 바이오이미징 센터저자명(주공동저자),논문구분,학술지명,ISSN,학술지 출판연도 저자명(주공동저자) Lee Jong Gu;Kim Seung Hee;Kim Jeong Kon;Kim Kyung Won;Jo Woo Ri;Ryu Sun Ae;Park Zewon;Yi Jung-Yeon;Kim Bora;Oh Woo Yong 논문구분 학술지 학술지명 약 학 회 지 ISSN 0377-9556 학술지 출판연도 2018 - ntis초기 신약개발 단계에서의 신약후보물질 최적화를 위한 물성스크리닝 방법 검증 및 프로파일링
- 특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