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신약개발

치료제가 없어 많은 사람들을 죽음로 이끌던 질병들은 신약의 등장으로 완치까지 가능하게 되었고, 더 나아가 발생할 수 있는 질병을 예방하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유전체분석 등 바이오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합성의약품 중심의 신약 개발에서 바이오의약품 개발로 전환시켰으며, 최근에는 인공지능 도입 및 디지털기술로 환자를 치료하는 디지털치료제도 등장하였습니다.

신약개발

개념

카드뉴스 이미지
카드뉴스 이미지
카드뉴스 이미지
카드뉴스 이미지
카드뉴스 이미지



치료제가 없어 많은 사람들을 죽음로 이끌던 질병들은 신약의 등장으로 완치까지 가능하게 되었고, 더 나아가 발생할 수 있는 질병을 예방하는 시대가 되었다. 유전체분석 등 바이오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합성의약품 중심의 신약 개발에서 바이오의약품 개발로 전환시켰으며, 최근에는 인공지능 도입 및 디지털기술로 환자를 치료하는 디지털치료제도 등장하였다.


전세계적인 고령화, 신흥국가들의 소득수준 향상 및 신종 감염병 출현 등으로 글로벌 의약품 시장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주요국들은 제약·바이오산업을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지정하고 집중 육성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바이오인에서 담고 있는 신약개발에 관련된 다양한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국내외

신약개발 현황





○ 바이오기술 발전 및 치료에서 예방으로 헬스케어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글로벌 신약 개발의 중심이 합성의약품에서 바이오의약품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바이오의약품에는 항체치료제, 유전자치료제, 세포치료제, 단백질치료제, 백신, 바이오시밀러 등이 포함된다.




개발 또는 시판중인 의약품의 치료영역으로는 항암제 분야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고령화에 따른 만성질환(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퇴행성질한 치료제 개발도 활발하다. 최근 글로벌 제약사들은 세금 감면, 시장독점권 등 다양한 혜택이 있는 희귀의약품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신약개발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최근 인공지능,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신약개발이 활발하며, 알약이나 주사제가 아닌 디지털 기술(소트프웨어) 로 환자를 치료하는 디지털 치료제가 등장하였다.





인허가 및 규제 동향,

임상 단계 주요 의약품





신약개발은 크게 후보물질 탐색, 비임상, 임상시험, 허가 및 시판 순으로 진행된다. 의약품은 인간의 건강과 생명에 직결됨으로 규제당국의 인허가 기준(의약품의 안전성, 유효성 등)에 부합하여야 한다.






신약개발에는 막대한 개발 비용과 평균 10~15년의 오랜 기간이 소요된다. 생명이 위급한 환자를 구할 수 있는 의약품의 허가가 느리다는 지적으로 미국 FDA 등은 신약 승인 과정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 신속심사제도를 도입하고 있다. 또한 기술발전에 따라 mRNA 백신, 디지털 치료제 등 기존과 개념이 다른 첨단 제품들이 등장하면서 이를 인허가하기 위한 규제 정책을 정비하고 있다.



글로벌 제약 산업 동향

밎 주요 기업 활동





2019년 글로벌 의약품 시장은 1조 2,504억 달러(약 1,394조원)이며, 국내 의약품 시장 규모는 24조 3,100억원으로 글로벌 의약품 시장의 약 1.7%를 차지하고 있다. 글로벌 매출 상위 50대 제약기업들은 Roche, Novartis, pfizer, Merck&Co., Johnson&Johnson, Sanofi, Abbvie, GSK, Takeda 등으로 매년 큰 변동없이 높은 매출을 유지하고 있다.




다국적 제약사들은 신기술 및 파이프라인 확보, 신규 사업 진출 등을 위해 M&A 및 전략적 제휴 등에 적극적인 활동을 보이고 있으며, 신약개발에 소요되는 비용 절감을 위해 아웃소싱으로 진행하는 CRO(연구개발대행), CMO(위탁생산)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내용 출처





한국제약바이오협회, 2020 제약바이오산업 DATABOOK, 2020.12




식품의약품안전처, 2019년 국내 의약품·의약외품 생산·수출·수입현황, 2020.8




메디칼타임즈, 제약산업 발전 도우미 '규제과학' 미래 방향성은?, 2021.5.28.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BioINwatch 19-74, 디지털 치료제(Digital Therapeutics) 개발 동향, 2019.10.29.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 홈페이지( https://www.krpia.or.kr/ )




지식

더보기
  • BioINpro[양자 바이오] 양자컴퓨팅 기반 신약개발 개요 및 연구 동향

        양자컴퓨팅 기반 신약개발 개요 및 연구 동향 양자 바이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정재호   ◈ 목차 1. 개요 2. 연구개발 동향  3. 결론 및 시사점   ◈본문 1. 개요   신약개발은 표적 발굴 및 검증(Target identification and validation), 유효물질 도출(Hit Discovery), 선도물질 최적화(Lead Optimization), 전임상 및 임상시험을 거쳐 상용화에 이르는 장기간·고비용의 과정이다. 신약 하나를 개발하기 위해 평균 17년의 개발 기간과 약 4~5조 원의 비용이 소요되지만, 성공 확률은 1만 개 후보물질 중 3개에 불과하다. 이러한 개발 과정의 비효율성은 허가되어 출시되는 신약 가격이 천문학적으로 높아지는 원인 중 하나가 되고 있고, 2024년 FDA 승인을 받은 일본 쿄와기린의 자가조혈모 세포치료제 렌멜디(Lenmeldy)는 1회 투여 비용이 425만 달러(약 59억)에 달하는 가격으로 출시되었다.1)   지난 1

    정재호/연세대학교 의과대학

    2025-10-28

    썸네일 이미지
  • BioINpro[AI 신약] AI 기반 신약 개발의 원리와 최신 동향

        AI 기반 신약 개발의 원리와 최신 동향 AI 신약 중대질환진단융합연구단 선임연구원   박광현 ◈ 목차 1.서론 2.AI 기술의 신약 개발 단계별 적용 원리와 최신 동향 3.주요 AI 설계 신약의 임상 진전 분석 4.향후 전망 과제 5.결론   ◈본문 1. 서론 신약 개발 과정의 비효율성은 제약 산업이 직면한 가장 심각한 구조적 문제로 지적되어 왔다. 평균 10-15년의 개발 기간, 10-30억 달러에 달하는 개발 비용, 그리고 10% 미만의 임상 성공률은 혁신적 치료제 개발의 주요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인공지능(AI) 기술의 도입은 신약 개발 패러다임의 근본적 전환을 가능케 하는 핵심 동력으로 부상하였다.   2025년 현재, AI 기술은 표적 발굴에서 임상시험 설계에 이르는 신약 개발 전 주기에 걸쳐 통합되어 있으며, 특히 생성형 AI, 구조 예측 알고리즘, 멀티모달 학습 등의 최신 기술이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 (그림 1). 현재 전임상 파이프

    박광현/중대질환진단융합연구단

    2025-09-17

    썸네일 이미지
  • BioINpro[AI 신약] AI신약개발 분야 기술경쟁력 및 정부 R&D 투자현황 분석

        AI신약개발 분야 기술경쟁력 및 정부 R&D 투자현황 분석 첨단바이오 국가기술전략센터 저자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첨단바이오 국가기술전략센터 김경남, 이휘섭 ◈ 목차 I.개요 II.분석 결과 1.논문 기반 경쟁력 진단 2.특허 기반 경쟁력 진단 3.NTIS 과제 기반 정부R&D 투자 현황 III.분석 결과 요약 및 시사점 1.분석 결과 요약 2.정부 R&D 투자·육성 방향 시사점 ◈본문 I.개요 ◆︎ 분석 목적 ○ AI신약개발 분야 우리나라의 기술경쟁력 진단 및 정부 R&D투자 현황을 확인하여 향후 정부 R&D 투자전략을 위한 시사점 제공   ◆︎ 분석 유형별 분석 방법 및 내용 ○ (기술경쟁력) 논문/특허 기반 우리나라의 선도국 대비 경쟁력 진단 ○ (정부R&D투자) NTIS 과제 데이터를 중심으로 기투자 현황 분석 구분 분석 목적 분석 범위 분석내용 세부 내용 방법(일정) 논문 (연구) 논문 기반 한국 경쟁력 진단 AI신약개발 전반 논문 현황 AI신약 논문 추이 Dimens

    김경남, 이휘섭/한국생명공학연구원 첨단바이오 국가기술전략센터

    2025-09-10

    썸네일 이미지
  • BioINpro[2025 바이오 미래유망기술(하)] 딥 러닝 기반 생성모델의 구조적 원리와 인간 면역데이터 응용 신약개발 전략

      딥 러닝 기반 생성모델의 구조적 원리와 인간 면역데이터 응용 신약개발 전략 2025 바이오 미래유망기술(하)                                                             연세대학교 생명과학부 통합과정 장현빈, 송우현,   연새대 생화학과 교수 홍승희 ◈ 목차 1.개요 2.대규모 언어모델 (LLM; Large Language Model)  3.변분오토인코더(VAE; Variational Autoencoder) 4.Conclusion ◈본문 1. 개요 기존의 생명과학 연구는 면역학, 병리학, 암 연구, 신약 개발 등 각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소규모의 데이터셋과 실험 중심의 분석 기법에 의존해 왔다. 면역학 연구에서는 일부 면역세포 아형이나 사이토카인에 집중해 분석했으며, 암 연구 에서도 소수의 바이오마커나 유전자 변이를 표적으로 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신약 개발 과정에서는 단일 약물과 표적 간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춘 접근 방법이 일반적

    장현빈, 송우현, 홍승희/연세대학교 홍승희

    2025-06-30

    썸네일 이미지
  • BioINwatch바이오신약 개발을 혁신할 AI 단백질 언어 모델

        바이오신약 개발을 혁신할 AI 단백질 언어 모델 BioINwatch(BioIN+Issue+Watch): 25-11   ◇︎바이오신약은 효능뿐만 아니라 면역원성, 안정성, 생산성 등 다양한 특성을 동시에 최적화해야 하는데, AI는 이러한 다중 목표를 고려한 예측 및 설계에 있어 뛰어난 성과를 낼 것으로 기대. 최근 EVOLVEpro라는 단백질 진화 및 설계에 관한 새로운 언어 모델이 제안, 실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학습하고 최적화하는 이러한 AI 기반 설계 플랫폼은 in silico (컴퓨터 기반 설계)와 in vitro(연구실 실험)을 연결해 신약개발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것으로 예상 ▸주요 출처 : Science, Rapid in silico directed evolution by a protein language model with EVOLVEpro, 2024.11.21 ◆︎  기존의 단백질 진화 및 설계*는 한정된 범위에 해당하거나 한꺼번에 여러 곳을 최적화하는 데에는 비

    2025-02-14

    썸네일 이미지
  • BioINpro[KRIBB 워킹그룹] 2024 인공지능을 활용한 신약재창출 연구동향

        2024 인공지능을 활용한 신약재창출 연구동향 [KRIBB 워킹그룹]   ◈ 목차 1.개요 2.주요 동향 및 이슈 3.결론 및 시사점     ◈본문 1. 개요 ◼︎ 신약개발과정에서 인공지능의 활용  ◦︎ 효과적인 신약개발 과정은 표적 식별(target identification), 선도 화합물 탐색 및 최적화(lead compound discovery and optimization), 전임상 시험(preclinical trials), 임상 시험(clinical trials) 단계를 거침. 기존 개발 과정은 많은 시간과 자원이 소모되며, 단일 분자를 개념화해서 허가받기까지 평균 12년, 26억 달러가 듦. 기존에는 신약을 발굴하기 위해 수만 가지 소분자 화합물 합성하고, 타겟 단백질과의 상호작용을 실험적으로 확인해야 했음   출처 : [1] [그림 1] 전통적인 신약개발 과정에 대한 모식도 ◦︎ 인공지능의 등장은 신약개발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음. 기존의 신약개발 체계를

    이경륜 외 4명/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실험동물자원센터

    2025-01-15

    썸네일 이미지
  • BioINpro[KRIBB 워킹그룹] 중증 복합질환의 신약 개발 현황과 도전 과제: 멀티 모달리티 치료제의 역할

        중증 복합질환의 신약 개발 현황과 도전 과제: 멀티 모달리티 치료제의 역할 [KRIBB 워킹그룹]   ◈ 목차 1.개요 2.주요 동향 및 이슈 3.결론 및 시사점     ◈본문 1. 개요 ◼︎ 중증 복합질환의 정의 - 중증 복합질환(Severe Complex Diseases)은 복잡한 병리 기전과 다중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여러 장기와 생리 시스템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는 질환군임. 단일 원인보다는 유전적, 환경적, 행동적 요인 등 다양한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함. 암, 심혈관질환, 간질환, 신경퇴행성 질환, 대사질환, 면역질환 등이 대표적임 ▶︎ 중증 복합질환의 종류 1) 암: 유전자 변이, 암 줄기세포, 면역 회피 기전 등 다양한 병리 메커니즘이 결합해 질병을 촉진 2) 심혈관질환: 고혈당/고지혈, 대사 이상, 염증 반응 등이 상호작용하여 발생 3) 간질환: 지방간, 간염, 간경변, 간암으로 이어지는 다단계 병리 과정 4) 신경퇴행성 질환: 알츠하이머병과 파킨슨병에서 단

    이장욱 외 5명/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신약중개연구센터

    2025-01-15

    썸네일 이미지
  • BioINglobal최신 산업 동향 : 신약 모달리티 2024

     최신 산업 동향 : 신약 모달리티 2024  김지예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출처: Boston Consulting Group. 2024. 9 ※ 본 원고는 원본 원고의 내용을 중개하여 각색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원제 : New Drug Modalities 2024), https://www.bcg.com/publications/2024/new-drug-modalities-report 【요약】   ○ 신약 모달리티는 바이오제약 산업의 핵심 성장 동력 - 2024년 기준 파이프라인 가치는 1,680억 달러로 성장 - GLP-1 작용제, ADC, mRNA, CAR-T와 같은 특정 치료제는 치료 적응증 확장과 매출 성장 가능성을 보이며 시장 영향력 넓힘   ○ 신약 모달리티 주요 동향 및 거래 활동 - (항체) mAb, ADC는 성장률이 각각 18%, 22%로 주요 모달리티 중에서도 강력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ADC는 비종양 영역으로 확장 중 - (재조합 단백질) G

    2025-01-03

    썸네일 이미지

발간

더보기
  • 썸네일 이미지 이슈 보고서정부연구비가 신약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시사점

      [BioINsay 40] 정부연구비가 신약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분석 및 시사점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부연구위원 정승모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연구원 조윤정     전 세계는 치열한 경쟁 속에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래 먹거리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연구개발에 투자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고 있으며, 선진국의 경우 세계최초, 세계최고의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R&D 정책과 R&D 지원 시스템의 혁신을 도모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나라도 매년 R&D 투자를 확대하며 첨단기술 개발을 근간으로 한 국가경쟁력 확보를 위해 많은 투자를 하고, 높은 수준의 R&D 예산을 투입하며 투자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과학기술정책 기획력의 강화와 인프라 확충에 힘쓰고 있다.(과기정통부, 2017) 그 결과 우리나라의 GDP 대비 총 R&D 비용은 이스라엘에 이어 세계 2위이며, 총 R&D 투자규모 또한 미국, 중국 등에 이어 세계 5위를 수준에 도달하였다.(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9-04-23

  • 썸네일 이미지 정책/기획보고서신약개발 R&D 활성화를 위한 신약개발지원센터의 기능 설정 및 수행방안에 관한 연구

    1. 추진배경 및 경과   가. 수립배경 􀁻 우리나라 신약개발 단계 중 선도물질의 평가 및 최적화 기능이 취약함에 따라 국가 차원에서 지원의 필요성 제기(제5차 의료산업선진화위원회, ʼ07.6) 􀁻 첨단의료복합단지 입지 선정(대구경북단지, 충북오송단지)에 따른 신약개발지원센터 설립 계획 추진(ʼ09.12) 􀁻 우리나라 신약개발 프로세스 중 취약한 것으로 나타난 후보물질도출 지원 인프라(인력, 시설 등)를 글로벌 수준으로 구축하여 혁신신약 개발을 가속화 할 필요   나. 추진 경과 􀁻 ʼ10.4 : 신약개발지원센터 기능설정 및 수행방안에 대한 기획연구 추진(교과부)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연구책임자 : 현병환센터장) 􀁻 ʼ10.4∼8 : 총괄기획위원회, 실무기획위원회(바이오와 합성신약 분과), 지자체 의견 수렴 회의 개최(총 8회) ※ 총괄기획회의 개최(3.19, 4.8, 9.8), 실무기획회의 개최(4.23, 5.6, 7.9), 지자체간 의견 수렴 회의(7

    정책기획2010-9(총서 제140권)

    2013-02-22

  • 썸네일 이미지 이슈 보고서천연물신약 연구개발 동향(개발연구 중심으로)

    1. 천연물신약의 개요 천연물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의약용소재로 사용한 역사가 오래되어 풍부한 임상경험을 가지고 있고, 천연물 자체로 여러 나라에서 1차적인 의약품으로 활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신약개발에서 중요한 원천소재로 사용되고 있음. 또한 천연물신약은 약물의 안전성측면에서 우수하고 개발기간이 짧으며 성공가능성이 높아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음    가. 천연물신약이란?     1) 천연물신약의 정의 및 특징   􀂆 천연물신약이란 천연물을 이용하여 연구개발한 의약품을 말하며, 조성/성분/효능등이 새로운 의약품으로 생약/한약제제를 포함함 ○ 본지에서 명시하는 천연물신약의 정의와 범위는「천연물신약개발촉진법안」에서 제시하는 천연물신약의 정의 및 범위를 따름 .....................계속

    기술동향2012-3(총서178권)

    2012-05-10

  • 썸네일 이미지 이슈 보고서구조 단백질체학 연구 및 신약개발 활용기술

    1. 구조 단백질체학 연구 개요 생체 내의 모든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을 밝히는 일은 생명 현상 규명, 신약 개발 및 난치병 치료에 직결된 과제로 인간 게놈 프로젝트와 같은 대규모 DNA 서열 정보를 획득하게 된 이후 효과적인 단백질 구조 예측의 역할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음   가. 구조 단백질체학이란?   1) 구조 단백질체학의 정의 및 특징 ■ 구조 단백질체학(Structural proteomics)은 유전체 정보로부터 생명 현상의 기능을 담당하는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의 연관성을 연구하는 학문을 말하며 구조 유전체학(Structural genomics)이라고도 함 ○  넓은 범위의 구조 유전체학은 게놈의 구조 관련 연구 일체를 지칭하며 좁은 범위로는 유전자의 기능 규명을 위한 단백질의 3차 구조를 결정하는 연구 분야로 정의함 ○ 생체내 단백질의 구조를 대량으로 신속히 밝히는 것이 목표임 ­ - 게놈 프로젝트 이후 유전자 서열이 해독되면서 서열의 비교 분석 후 유사성에 따른 기능을

    기술동향2010-1(총서 제136권)

    2011-02-17

  • 썸네일 이미지 이슈 보고서국내 신약개발 R&D 활성화를 위한 신약개발 현황 및 신약개발비 분석

      ★ 첨부파일 다운로드가 안되시는 이용자께서는 관리자에게 연락을 주십시요. 파일을 발송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042)879-8377, 박성훈 연구원(bioin@kribb.re.kr)     1. 요약   􄦠 전세계적인 고령화와 복지사회로의 전환으로 의약품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 할 전망으로 제약산업은 차세대 전략 산업으로 각광받고 있음   ○ 신약 개발은 성공시 높은 수익을 창출하지만 막대한 투자비와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성공률이 매우 낮은 고위험 사업임 ○ 신종플루 등 새로운 질병의 발생으로 제약산업의 사회·경제적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음 ○ 블록버스터 의약품의 대거 특허만료, 신약 R&D 생산성 저하, 바이오제약으로의 전환 및 각국의 규제 강화정책 등 세계 제약산업은 급격한 환경변화를 맞고 있음 ○ 본 보고서에서는 신약개발을 둘러싼 대내외적인 환경변화와 트렌드를 살펴보고, 신약개발비를 분석한 선행 자료들을 종합·검토하여 신약개발에 소요되는 실제적인 연구개발 비용을 파

    산업동향2010-1(총서127권)

    2010-07-01

  • 썸네일 이미지 정책/기획보고서신약개발 bottleneck 해결을 위한 기획연구

    1. 연구의 목적 􀁻 세계 시장을 목표로 하는 혁신 신약을 개발하기 위하여 현 상황에서 신약개발의 애로사항들을 분석하고 범국가적으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 2. 연구의 필요성 􀁻 고령화와 삶의 질 향상에 따른 보건의료에 대한 관심과 수요 증가 􀁻 세계시장의 확대와 글로벌 신약개발 경쟁의 가속화 􀁻 신약개발의 효율성 제고 􀁻 국민의 생명 및 건강 주권 확립 3. 연구의 대상(범위) 􀁻 글로벌 시장을 지향하는 블록버스터와 시장 독점력과 기술 혁신성이 강한 준블록버스터 및 니치버스터형 혁신신약 4. 신약개발의 bottleneck에 대한 원인 분석 􀁻 실제로 신약개발로 이어질 수 있는 연구와 개발 과제에 대한 정확한 현황 파악이 미비하여 정부지원금을 총액기준으로 분석할 때 신약개발에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는 듯한 착시현상이 나타나고 있음 􀁻 신약개발관련 연구과제는 실질적으로 약물에 대한 기초 기전 연구가 대부분이며, 소규모의 단위과제가 다양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정책연구 2009-2(총서 제101권)

    2009-06-12

  • 썸네일 이미지 이슈 보고서주요 질환별 신약개발 동향(암질환을 중심으로)

    현재 우리나라 인구 4명중 1명이 암으로 사망하는 등 암은 국민건강에 커다란 위협 요인으로 대두 되고 있으며 고령화 및 환경변화 등으로 암사망과 암발생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또한 세계적인 암 발생 및 암사망은 지속적인 증가추세에 있어 암정복을 위한 예방ㆍ진단ㆍ치료 기술개발은 인류공통의 시급한 과제임.

    기술동향2007-6(총서 제72권)

    2008-04-23

  • 썸네일 이미지 이슈 보고서1989-1997년간 미국FDA 승인신약 관련 특허분석

    본 연구에서는 특허가 만료하였거나 특허만료일이 임박한 미국 FDA 승인 신약의 품목, 물질 정보, 관련 특허만료일 및 시장 현황 등을 조사․분석하여, 차세대성장동력 바이오신약․장기사업을 수행함에 있어 연구개발 방향 정립에 활용하고자 함 - 특히, 바이오신약 및 약물전달시스템 개발 시 타겟(대상) 선정에 기준이 될 수 있는 등 제네릭의약품 개발 연구에 도움을 주고자 함     첨부파일 다운로드가 안되시는 이용자께서는 아래 링크를 클릭하세요~!       1989-1997년간 미국FDA 승인신약 관련 특허분석 보러가기~!!            

    특허맵2007-1(총서 제46권)

    2007-03-30

동향

더보기

차트+

더보기

AI신약개발 과제 포함 공모사업 리스트

부처

사업명

예산(억원)

’22

’23

’24

합 계

450.7

537.0

567.2

-

과기정통부

소 계

326.2

381.2

386.2

1

STEAM연구

-

-

4.5

2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

6.7

6.7

5.3

3

감염병차세대백신기초원천핵심기술개발사업

2.0

-

-

4

개인기초연구

39.8

48.2

65.6

5

공공연구성과활용촉진R&D

-

1.4

-

6

공공조달연계R&D실증·사업화지원

0.6

0.0

-

7

광주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0.5

-

8

국가간협력기반조성

-

0.3

-

9

국가생명연구자원선진화사업(과기부)

13.6

13.6

9.1

10

(다부처)국가신약개발사업(R&D)

11.8

6.8

17.3

11

국제협력네트워크전략강화사업(R&D)

-

1.5

3.0

12

뇌과학 선도융합기술개발사업

-

-

4.5

13

뇌과학선도융합기술개발

-

3.0

-

14

뇌질환극복연구사업

2.0

2.5

-

15

데이터기반디지털바이오선도사업

0.0

5.0

19.3

16

바이오의료기술개발

17.3

37.3

64.8

17

안전성평가연구소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25.0

23.0

18

양자컴퓨팅기반양자이득도전연구

-

-

7.5

19

연구개발특구육성

-

-

2.5

20

(다부처)연합학습기반신약개발가속화프로젝트(K-MELLODDY)

-

-

4.5

21

울산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5.0

5.0

-

22

인공지능활용혁신신약발굴

10.5

30.0

18.0

23

인재활용확산지원

8.7

9.1

9.2

24

전략형국제공동연구사업(R&D)

4.0

-

-

25

집단연구지원

0.0

7.5

24.9

26

초고성능컴퓨팅활용고도화

-

7.5

9.0

27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

-

0.9

28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

6.4

-

11.7

29

한국화학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

197.9

168.0

79.6

30

혁신신약 기초기반기술개발(R&D)

-

-

2.0

31

혁신신약기초기반기술개발

-

2.3

-

-

복지부

소 계

39.3

38.4

108.1

32

K-Medi융합인재양성지원사업

2.0

4.0

0.0

33

(다부처)감염병관리기술개발연구

4.4

-

-

34

공익적 의료기술연구사업

3.8

-

-

35

공익적의료기술연구사업

0.0

3.8

3.2

36

(다부처)국가신약개발사업(R&D)

11.8

6.8

0.0

37

글로벌연구협력지원사업

-

-

25.0

38

글로벌의사과학자양성

-

-

3.0

39

바이오헬스투자인프라연계형R&D사업

2.5

5.0

2.5

40

보건의료마이데이터활용기술연구개발및실증(R&D)

0.0

3.8

5.0

41

연구중심병원육성(R&D)

14.8

15.1

31.9

42

(다부처)연합학습기반신약개발가속화프로젝트(K-MELLODDY)

-

-

18.9

43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

-

-

9.0

44

한국형 ARPA-H 프로젝트

-

-

9.6

-

산업부

소 계

29.8

39.1

18.5

45

3D생체조직칩기반신약개발플랫폼구축기술개발사업(산업부)

0.0

13.5

-

46

(다부처)국가신약개발사업(R&D)

11.8

6.8

-

47

멀티오믹스기반난치암맞춤형진단치료상용화기술개발

-

-

5.0

48

바이오산업기술개발

12.8

13.8

6.9

49

산업기술국제협력(R&D)

1.2

-

-

50

소재부품산업기술개발기반구축(R&D)

-

-

6.6

51

중견기업상생혁신사업(R&D)

3.6

5.0

-

52

중견기업재도약지원사업

0.5

-

-

-

중기부

소 계

32.5

30.9

30.9

53

빅데이터기반서비스개발지원

1.3

-

-

54

산학연CollaboR&D

1.1

1.0

-

55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

8.7

9.8

14.0

56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

0.3

1.5

-

57

창업성장기술개발

21.2

18.6

16.9

-

식약처

소 계

11.5

31.9

1.5

58

규제과학인재양성및글로벌협력연구

-

-

1.5

59

안전성평가기술개발연구

9.0

29.9

-

60

첨단독성평가기술기반구축

2.5

2.0

-

-

질병청

소 계

-

4.4

4.4

61

(다부처)감염병관리기술개발연구

-

4.4

4.4

-

교육부

소 계

11.4

11.0

17.2

62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

11.4

10.8

17.0

63

인문사회기초연구

-

0.2

0.3

-

우주항공청

소 계

-

-

0.3

64

우주국제협력기반조성(R&D)

-

-

0.3



AI신약개발 과제 포함 공모사업 리스트

뉴스

더보기

부처보도자료

더보기

연계정보

  • 연구보고서 더보기
    • ntisB형 간염 완치를 위한 de novo cccDNA 생성 억제 entry 저해 신약후보 물질 개발
    • ntis자체개발 혁신신약을 기반으로 하는 글로벌 개량신약 및 상업화
    • ntis차세대 암치료용 신약 개발을 위한 PPI 저해제 발굴 플랫폼 기술 개발
    • ntis신규한 다층정 서방정제 개발기술을 활용한 개량신약 및 복합서방정제 개발
  • 과제 더보기
    • ntis전립선암 표적 항암 치료 방사성의약품 신약 개발
    • ntis미토콘드리아 내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혁신 신약 개발
    • ntis기분장애 환자에서 스트레스에 의한 신경면역학적 변화 및 유도미세아교세포 분석을 통한 진단 생체지표 및 신약 개발
    • ntis세포외소포체 기반 혁신 신약의 안전성 및 품질 규제 기술 개발
  • 논문 더보기
    • ntis신약개발을 위한 인공지능 플랫폼을 활용한 듀센 근이영양증의 표적 발굴 사례
    • ntis신약개발을 위한 바이오이미징 기술의 동향 파악 및 발전 방안
    • ntis초기 신약개발 단계에서의 신약후보물질 최적화를 위한 물성스크리닝 방법 검증 및 프로파일링
    • ntis신약개발을 위한 바이오이미징 기술의 동향 파악 및 발전 방안
  • 특허 더보기
    • ntis인공지능 기반의 신약개발 방법
    • ntis신약개발 단계의 기술에 특화된 기술가치 평가장치 및 방법
    • ntis신약개발 단계의 기술에 특화된 기술가치 평가장치 및 방법
    • ntis신약 개발을 위한 히트 분자 발굴 장치 및 방법

영상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는 바이오 분야의 전문 지식을 영상 콘텐츠로 제공하여,
바이오 분야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있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