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백신은 사람이나 동물에 병원체(세균 및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에 대한 후천성 면역을 부여하는 의약품으로, 면역 증진뿐만 아니라 질병의 치료와 예방을 돕습니다.Collection
백신
개념
백신은 사람이나 동물에 병원체(세균 및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에 대한 후천성 면역을 부여하는 의약품으로, 면역 증진뿐만 아니라 질병의 치료와 예방에 도움을 준다.
WHO는 백신 접종으로 매년 250만명의 사망을 예방한다고 밝히고 있으며, 최근에는 에볼라, 대상포진, HIV, 코로나19 백신 등도 개발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인류를 위협하는 많은 감염병이 존재하고 있으며, 새로운 감염병의 위협도 지속되고 있어 이에 대응하기 위한 백신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여기에서는 바이오인에서 담고 있는 디지털치료제에 관련된 다양한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
|
||||||||||||||||||
|
|
||||||||||||||||||
|
|
||||||||||||||||||
|
|
지식
더보기-
BioINpro[KRIBB 워킹 그룹] mRNA 암 백신의 연구동향
mRNA 암 백신의 연구동향 저자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핵산치료제 WG ◈ 목차 1. 개요 2. 주요 동향 및 이슈 3. 결론 및 시사점 ◈본문 1. 개요 ◆︎ mRNA 백신 및 암 백신 ○ mRNA 백신은 세포 내에서 발현하고자 하는 항원정보를 담고 있는 메신저 리보핵산 (messenger RNA, mRNA)을 체내로 주입 / 전달하여 항원에 대한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혁신적 백신전략 (그림 1) [1] - 2023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Katalin Kariko와 Drew Weissman가 핵산의 화학적 변형을 통해 mRNA의 약물 가능성을 2005년에 처음 제시하였으며 [2], 이후 생체 전달 기술로 지질나노입자 (Lipid nano particle, LNP)가 개발되면서 mRNA 약물의 생체 적용이 가능해짐 - 2021년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최초의 mRNA 백신이 단기간에 신속 개발되고 환자들에게 사용되어 코로나 사태의 종식에
2025-07-01
-
BioINwatch저변이 암에 효과적인 개인 맞춤형 펩타이드 암백신
저변이 암에 효과적인 개인 맞춤형 펩타이드 암백신 BioINwatch(BioIN+Issue+Watch): 25-18 ◇ 암 치료 및 재발 방지에 있어 환자 고유의 신생항원(Neoantigen)을 이용한 개인 맞춤형 암백신 개발이 활발. mRNA 형태로 많이 개발되는 개인 맞춤형 암백신은 흑색종과 같은 고변이 암에서 탁월한 효과가 보고되고 있으나, 환자 고유의 신생항원이 비교적 많지 않은 저변이 암에서는 그 효과가 제한적인 것으로 확인. 하지만 최근 mRNA 보다 안정성이 높은 펩타이드 기반의 개인 맞춤형 암백신의 치료 효과를 검증한 임상 1상 결과가 최초로 발표 ▸주요 출처 : Nature, A neoantigen vaccine generates antitumour immunity in renal cell carcinoma, 2025.2.5 ◆︎변이가 낮은 신세포암에서 환자 고유의 신생항원(Neoantigen)*을 이용한 개인 맞춤형 암백신의 치료 가능성이 처음으로
2025-03-13
-
BioINwatch피부 유익균을 활용한 바르는 미생물 백신
피부 유익균을 활용한 바르는 미생물 백신 BioINwatch(BioIN+Issue+Watch): 25-8 ◇︎단순한 방어벽으로 여겨졌던 피부가 ‘자율 항체 생산’이라는 자체 면역 체계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피부 유익균을 통해 작동한다는 것을 새롭게 발견. 특정 항원을 발현하는 피부 유익균과 피부의 면역적 특성(자율 항체 생산)을 활용하여 생산과 배포가 용이한 피부에 바르는 백신 개발 가능성을 시사 ▸주요 출처 : Nature News, The skin’s ‘surprise’ power: It has its very own immune system, 2024.12.13., Nature, Skin autonomous antibody production regulates host-microbiota interactons, 2024.11.8 ◆︎ 외래 유해 물질 및 미생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일차적 방어벽인 피부가 특정 미생물에 반응하여 면역 반응을 활성화하고 항체를
2025-02-04
-
BioINwatch동물 감염병 및 인수공통감염병 제어를 위한 자가 전파형 백신(Transmissible Vaccines)
동물 감염병 및 인수공통감염병 제어를 위한 자가 전파형 백신(Transmissible Vaccines) BioINwatch(BioIN+Issue+Watch): 24-67 ◇︎야생 동물에서 시작해 인간에게 전파되는 인수공통감염병(zoonosis)의 병원체는 전통적인 백신 접종으로 통제가 불가능. 이에 스스로 확산하며 특정 동물 집단에 백신을 전파하는 자가 전파형 백신을 주목. 그러나 백신으로 사용하는 바이러스의 예상치 못한 변이 발생과 같이 기술적, 윤리적 측면의 도전과제들도 존재 ▸주요 출처 : Science, Developing transmissible vaccines for animal infections, 2024.4.18 ◆야생 동물에서 시작해 인간에게 전파되는 인수공통감염병(zoonosis)의 병원체는 전통적인 백신 방법으로 통제가 불가능 ○야생 동물을 포획하여 개별적으로 백신을 접종할 수 없기 때문인데,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는 데에 자가 전파형 백신(Transmis
2024-10-24
-
BioINwatch기존 백신의 단점을 보완한 자가증폭 mRNA 코로나19 백신
기존 백신의 단점을 보완한 자가증폭 mRNA 코로나19 백신 BioINwatch(BioIN+Issue+Watch): 24-58 ◇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코로나19 예방용 백신 코미나티주는 초기 예방 효과를 입증했으나, 면역 지속성이 짧아 부스터 샷이 필요. 면역원성이 더 우수한 백신에 대한 미충족 수요 상황에서 저용량으로 더 강력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자가증폭 mRNA 코로나 백신을 주목 ▸주요 출처 : Global research, Replicon mRNA Vaccine: Japan Approves World’s First self-Amplifying mRNA Vaccine, 2024.1.3, Lancet, Persistence of immune response of a self-amplifying RNA COVID-19 vaccine(ARCT-154) versus BNT162b2, 2024.2.1 ■지난해 일본 후생노동성은 자가증폭(self-amp
2024-09-04
-
BioINglobal팬데믹을 넘어서: 백신 혁신을 위한 준비
팬데믹을 넘어서: 백신 혁신을 위한 준비 작성자 : 김지예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출처: McKinsey & Company. 2024. 05 ※ 본 원고는 원본 원고의 내용을 중개하여 각색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원제 : Beyond the pandemic: The next chapter of innovation in vaccines),https://www.mckinsey.com/industries/life-sciences/our-insights/beyond-the-pandemic-the-next-chapter-of-innovation-in-vaccines 【요약】 ○ 코로나19 팬데믹을 통해 백신의 중요성을 재확인할 수 있었으며 백신 개발과 배포 속도, 효율성이 혁신적으로 향상됨 ○ 코로나19 백신 개발 모델은 타 분야, 특히 호흡기 질환 백신 분야의 발전을 촉진 ○ 백신 개발 일정이 전반적으로 단축되었으며 다양한 백신 분류에 대한 진전이 있었으나 여전히
2024-07-08
-
BioINpro[2024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상)] 마이크로바이옴 표적 항암백신 전략
2024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상) 마이크로바이옴 표적 항암백신 전략 용석범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전임연구원 ◈ 목차 1. 마이크로바이옴과 암 2. 저변이 암이란? 3. 마이크로바이옴 표적 항암 백신의 개요 가. 면역항암 치료 전략 & 암백신 나. 마이크로바이옴 표적 항암 백신 4. 마이크로바이옴 표적 항암 백신 개발 전략 가. 항원 발굴 나. 항원 전달 기술 및 mRNA/지질나노입자 시스템 다. mRNA 기반 암 백신 연구 동향 및 시장 점유 가능성 분석, 차별화 ◈본문 1. 마이크로바이옴과 암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은 숙주 개체 내 살아가고 있는 바이러스, 박테리아 등의 군집으로, 대사(Metabolism)와 면역(Immune system)을 비롯한 숙주의 다양한 부분에서 역할을 한다[1]. 대표적으로 장내 미생물 군집(Gut microbiome)은 식이 섬유를 비롯한 다양한 음식물의 분해에 직접적으로 참여, 그 대사물을 통해 숙주에 영향
2024-05-13
-
BioINpro[KRIBB 워킹그룹] 인플루엔자 범용백신 연구동향
[KRIBB 워킹그룹] 인플루엔자 범용백신 연구동향 2023년도 KRIBB 워킹그룹이슈페이퍼 제 13호 ◈ 목차 1.개요 2.주요 연구개발 동향 2.1.범용백신 연구현황(I): HA stem 표적 백신 2.2.범용백신 연구현황(Ⅱ): 단백질 나노입자 백신 2.3.범용백신 연구현황(Ⅲ): T 세포 표적 백신 3.결론 및 시사점 ◈본문 1.개요 □ 인플루엔자 개념 ○인플루엔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호흡기 질환을 의미 ‒︎경미한 경우 인체에 발열과 기침, 인후통, 몸살, 피로 등 경증 증상을 유발하나 심각한 경우 전신에 고열, 염증반응, 폐렴, 호흡부전 등 중증 증상을 유발 ○전세계적으로 매년 3백만~5백만 명의 중증 감염 사례와, 그 중 29만~65만 명의 사망사례가 보고되고 있음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오르토믹소바이러스과(Orthomyxoviridae)에 속하고 음성 단일가닥 RNA로 구성된 8개의 분절(segmented) 유전자를 가짐
2024-01-12
발간
더보기-
이슈 보고서2019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 제8화 “식물공장형 그린백신” 편
[바이오로 열어가는 2035 미래사회 – “식물공장형 그린백신” 편] 제8화 “중동전쟁”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 지난 1월에 발표한 '2019 10대 바이오 미래유망기술(클릭)' 에 대해서 10화의 소설을 연재하고자 합니다. 바이오가 열어가는 행복하고 희망찬 미래상 제시를 통해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을 공감하고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자네, 사우디아라비아 좀 다녀오지 않겠나?” 국가생명정보기술원 산하 기술지원단 소속 강현 연구원은 단장인 나형욱 박사의 난데없는 지시에 어안이 벙벙해졌다. 강 단장은 현의 직속 상사였다. 연구소 내에서 누구보다 바쁜 일정을 소화하고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 그런 그를 중동까지 출장을 보내려 하다니. 물론 현도 나 단장의 뜻은 어렴풋이 짐작이 갔다. 하지만 이렇게 갑작스럽게 지시가 내려올 줄은 몰라 적잖게 당황스러웠다. “예. 아니 그 먼 곳을 지금 갑자기 왜요? 설마 저보고
2019-10-17
동향
더보기-
기술동향
국내외 mRNA 백신 구조체 연구동향 분석 보고서2025.06.19
감염병기술전략센터
-
산업동향
홍역 백신 산업 동향2025.06.02
감염병기술전략센터
-
기술동향
자가증폭 mRNA 백신 연구 동향2025.05.30
감염병기술전략센터
-
정책동향
WHO 및 미국제약업계, 세계 면역 주간 맞아 백신 강조2025.05.26
한국바이오협회
-
기술동향
비전염성 질병의 치료를 위한 백신 동향 및 전망2025.02.11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특허동향
비강 투여 백신의 기술 및 특허동향2025.02.10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정책동향
WHO, 긴급백신 필요 우선순위 풍토병 병원체 목록 발표2024.12.31
한국바이오협회
-
제도동향
백신 품질관리 동물대체시험법 동향 정보집 발간2024.12.10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기술동향
신·변종 감염병 백신 연구개발 동향 정보집 발간2024.09.13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기술동향
개인 맞춤형 암백신의 개발 동향2024.09.03
BRIC
-
기술동향
감염병 백신・치료2024.06.20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기술동향
ASTI Market Insight 264: 동물용 백신2024.05.23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제도동향
[생물의약품] 코로나19 백신 신속 국가출하승인 정보집2024.01.10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정책동향
2024 백신·치료제 지원 가이드북2024.01.03
보건복지부
-
제도동향
[이슈 브리핑] 일본, 세계 최초 자가증폭 mRNA 코로나19 백신 승인2024.01.02
한국바이오협회
-
기술동향
[2023년 11월호 vol.654] 2023 노벨 생리의학상 COVID-19로부터 인류를 구한 예방 백신2023.12.21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산업동향
[이슈 브리핑] 다이이찌산쿄, 일본 정부와 코로나19 mRNA 백신 공급계약 체결2023.11.28
한국바이오협회
-
기술동향
아데노바이러스 플랫폼 기반의 백신 개발 동향 정보집2023.11.06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기술동향
두창 백신의 접종 후 이상반응 및 이상반응 치료제 ‘백시니아 면역글로불린’2023.10.17
질병관리청
-
제도동향
[보건산업브리프 Vol. 384] 관세제도를 중심으로 본 백신 산업 수출입 지원 방안2023.09.04
한국바이오산업정보서비스
차트+
더보기뉴스
더보기-
R&D
국내 기술로 세계 최초 '재조합 단백질 탄저백신' 개발…28년만에 자급화 성공2025.07.08
메디컬투데이
-
R&D
RSV 예방 항체 주사 줄잇는데…韓 백신 아니라 NIP 검토 어려워2025.07.07
서울경제
-
R&D
모더나 "mRNA 독감백신, 예방효과 최대 27.4% 개선"2025.07.01
서울경제
-
R&D
"아이들 안 아프게 쉽게 접종"…한국AZ 인플루엔자 백신 '플루미스트' 출시2025.06.30
뉴스1
-
R&D
약이 백신보다 낫네…임상시험서 독감 76% 예방2025.06.26
조선비즈
-
R&D
말라리아 백신, 한 번 접종으로 끝낸다2025.06.26
조선비즈
-
R&D
“감염까진 허용하고 중증은 막는다”...한국 바꿀 신종 바이러스 백신 기술은?2025.06.26
매일경제
-
R&D
한미정밀화학, 국제백신연구소와 원숭이두창 백신 공동개발2025.06.24
연합뉴스
-
R&D
국제백신연구소(IVI)-질병청, '2025 글로벌 백신 포럼' 개최2025.06.20
메디파나뉴스
-
R&D
'mRNA 첨단백신' 개발전략 위해 국내외 전문가 한자리에 모였다2025.06.20
뉴스1
-
R&D
바이러스서 새 단백질 4208개 발견…"백신 개발 단서될 것"2025.06.16
동아사이언스
-
R&D
신종감염병 대응 '백신 개발지원'…'첨단백신개발센터' 세운다2025.06.13
뉴스1
-
R&D
"알츠하이머 예방·치료 동시에 가능"… 국내 연구팀, 백신 최초 개발2025.06.13
조선일보
-
R&D
생활하수 속 코로나바이러스 농도 2주 연속↑…“고위험군, 백신 접종해야”2025.06.11
조선비즈
-
R&D
빅파마, RSV 항체·백신 두고 경쟁…머크·모더나 가세2025.06.11
조선비즈
-
R&D
SK바이오 백신 특허 침해 오명 벗었다…법원 "시정명령·과징금 취소"2025.06.09
뉴스1
-
R&D
미 정부 "mRNA 못 믿겠다"…모더나와 조류독감 백신 계약 취소2025.06.02
서울경제
-
R&D
보건당국 "코로나 백신으로 아시아 유행 변이바이러스 예방 가능"2025.05.29
뉴스1
-
R&D
美보건장관 "코로나백신, 건강한 아동·임산부엔 접종권고 중단"2025.05.28
디지털타임스
-
R&D
[25.05.28.수] 원래 COVID-19 백신 접종은 면역 체계가 변종과 싸우는 것을 막지 못했다2025.05.28
Medical X press 외
부처보도자료
더보기-
mRNA에서 미래로: 감염병 대응을 위한 첨단 백신 기술 전략 논의
질병관리청
2025-06-20
-
「세계보건기구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 2025년 1차 백신생산공정 기본교육 실시
보건복지부
2025-06-16
-
미래감염병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국가첨단백신개발센터 착공
질병관리청
2025-06-13
-
민·관·학이 동물백신 연구의 종합적 방향성을 함께 모색!
농림축산식품부
2025-05-20
-
민·관·학이 동물백신 연구의 종합적 방향성을 함께 모색!
농림축산식품부
2025-05-20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백신 개발 위한 국제표준물질 개발 착수(5.15.목)
질병관리청
2025-05-16
-
팬데믹 대응을 위한 핵심 열쇠, mRNA 백신 자립화 시동(5.14.수)
질병관리청
2025-05-15
-
K-바이오·백신 4호 펀드 800억 원 규모 우선 결성해 투자 개시
보건복지부
2025-04-30
-
‘동물용 백신, 원료부터 꼼꼼히 본다!’ 검역본부, 지침서(가이드라인) 발간
농림축산식품부
2025-04-29
-
‘동물용 백신, 원료부터 꼼꼼히 본다!’ 검역본부, 지침서(가이드라인) 발간
농림축산식품부
2025-04-29
-
식약처, 국내 개발 유전자재조합 탄저백신 허가
식품의약품안전처
2025-04-09
-
전령 리보핵산(mRNA) 백신 작동원리 세계 최초 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5-04-04
-
질병관리청, 국산 mRNA백신 개발을 위해 대규모 연구 사업 시작한다
질병관리청
2025-03-26
-
K-바이오·백신 3호 펀드 운용사‘데일리파트너스·NH투자증권(공동운용)’ 선정
보건복지부
2025-03-05
-
국제백신연구소 글로벌생물자원센터 개소, 질병관리청과 신변종 감염병 대응 협력 강화 기대
질병관리청
2025-02-24
-
차세대 케이(K)-동물백신 ‘아쥬반트(면역증강제)’ 시스템 개발 및 상용화
농림축산식품부
2025-02-11
-
차세대 케이(K)-동물백신 ‘아쥬반트(면역증강제)’ 시스템 개발 및 상용화
농림축산식품부
2025-02-11
-
K-바이오·백신 펀드를 통해 제약 등 바이오 분야 투자 선도할 신규 운용사 모집
보건복지부
2024-12-24
-
과기정통부와 질병청, 신종감염병 선제적 대비 백신·치료제 신속개발에 맞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4-11-18
-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 세계보건기구와 함께 백신생산 실습교육 최초 실시
보건복지부
2024-11-11
성과
더보기-
mRNA 백신 작동원리 세계 최초 규명
2025-04-04
-
맞춤형 암 치료 가능한 암 백신의 등장 머지 않았다
2024-05-02
-
암세포로 만든 획기적인, 암 치료 백신 개발 가능성 열렸다
2023-05-26
-
부스터 백신 접종, 다양한 코로나 변이주에 면역 효과 입증
2022-10-19
-
백신이 만든 기억 T세포, 오미크론에 강한 면역반응
2022-05-17
-
에이즈 백신 개발을 위한 HIV 단백질 설계
2019-06-10
-
면역세포를 키울 수 있는 3차원 백신 플랫폼 개발
2014-12-15
-
한국형 말(馬) 백신 개발로 국내·외 백신 시장 개척
2014-11-20
-
자궁경부전암 완치 치료백신 개발
2014-10-31
-
국내 개발 재조합탄저백신 제조법, 미국특허 등록
2013-08-07
-
나노기술을 이용한 비주사형 점막백신 기술 개발
2013-06-27
-
금 알갱이로 항암백신을 만들다
2012-08-14
-
서울대-국제백신연구소, 대유행 콜레라 세균 변종 발생 메커니즘 규명
2009-09-01
-
서울대-국제백신연구소, 대유행 콜레라 세균 변종 발생 메커니즘 규명
2009-09-01
연계정보BICS는 바이오 R&D에서 산업화까지 다양한 정보 자료를 수집하여
이용자들이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더보기
-
기술혁신마이크로바이옴 표적 항암백신
암의 성장을 돕는 특정 마이크로바이옴이 표지하는 항원을 규명하여 이를 표적으로 하는 mRNA 등의 항암백신
2024-11-25
-
기술혁신개인 맞춤형 암백신
암환자별 특이적 항원에 대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개발된 다양한 형태(DNA, RNA, 펩타이드 등)의 암백신
2024-11-25
-
기술혁신차세대 백신
mRNA 기반의 칵테일 백신, 범용 백신, 신규 모달리티를 적용한 백신 등 다양한 병원체에 대한 감염을 방어하는 기술
2024-11-25
-
기술혁신나노백신/나노항체
나노구조체 표면에 다량, 다종의 항원을 노출시키거나, 기존 항체보다 작고 효과적인 치료제를 제작하는 기술
2024-11-25
-
기술혁신식물공장형 그린백신
식물공장 생산방식을 적용하여 부작용이 적고 효율적인 식물백신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기술
2024-11-25
-
기술혁신차세대 항암백신
활성이 없는 다양한 암 유발 바이러스 인자들의 동정과 분석에 관한 빅데이터를 통해 고효율의 암 발생 예방 및 치료적 접근이 가능한 백신물질을 개발하는 기술
2024-11-25
-
Bio지표암백신·암살상바이러스 시장 현황 및 전망(2019~2025)
○ 암백신·암살상바이러스 치료제 시장은 2019년 8천만 달러에서, 2025년 20억 8천만 달러 규모로, 연평균 71.9%의 가파른 성장을 전망
2024-11-15
연계정보
-
연구보고서
더보기
-
ntis박테리아 벡터 기반 코로나19 백신기술 개발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박테리아 벡터 기반 코로나19 백신기술 개발/Development of bacterial vector-based COVID-19 vaccine
사업 : 202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과제 : 1711176269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박테리아 벡터 기반 코로나19 백신기술 개발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312 발행기관명 고려대학교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연구목적 세계적으로 신변종 바이러스 발생 및 확산 경고가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코로나19 팬데믹은 21세기 들어 최악의 바이러스 발병으로 기록될 것이다 코로나19 감염으로 초래된 심각한 경제위기와 전파속도로 볼 때 신변종 바이러스 감염에 대비한 신속하고 효과적인 예방백신 개발이 요구되며 이를 위한 기반 기술 개발을 연구목표로 한다 연구내용 한중 공동연구팀은 항원 단백질을 세포내로 직접 저비용 고효율로 전달하는 박테리아 벡터 기반 전달시스템 개발과 녹농균에 의한 항바이러스 면역활성 조절기전을 연구한다 중국팀은 항원 단백질 전달 기술 개발을 위해 자체보유한 BacT3SS 특허기술을 기반으로 박테리아내에서 발현된 항원 단백질을 고효율로 세포내로 직접 전달하는 기술 개발을 연구한다 한국팀은 녹농균 전달체에 의한 항바이러스 면역활성 촉진과 관련하여 항바이러스 반응 유도에 관여하는 항바이러스 반응 조절인자를 선별하고 이에 의한 항바이러스 신호기전을 조사한다 연구결과 한국팀의 연구결과 항바이러스 반응조절에 관여하는 녹농균 유래 조절인자로 HSP40 homolog를 발굴하여 관련 면역활성을 확인하였고 녹농균이 보이는 항바이러스 반응 유도와 연관된 HSP40 homolog에 의한 항바이러스 반응 신호기전을 조사하였다 녹농균에 의한 면역활성은 HSP40 homolog와는 달리 AKT NFkappaB MAPK가 모두 TLR7 발현조절에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AMP에 대응하는 세포능력에서도 HSP40 homolog와는 달리 녹농균은 TLR4에 크게 의존적이지 않은 모습을 보였다 또한 대표적인 chemokine으로서 면역세포의 침윤을 유도하여 감염대응에 중요한 IL8의 발현이 HSP40 homolog에 의해 조절됨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예방백신 개발을 위한 기반 기술의 확립은 항원 단백질을 세포내로 저비용 고효율로 전달함으로서 신변종 바이러스 예방대응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항원 단백질 특이적 백신 효과에 녹농균 유래 조절인자에 의한 면역원성 증대까지 더해지면 subunit 백신에 의한 바이러스 감염 예방에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가능할 것이다 고령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현실에서 면역력이 약한 노인 및 유아인구의 건강을 보호하고 장기적으로 국민들에게 건강한 삶의 구현 및 사회안전망 확보를 위한 기초적인 토대를 제공할 수 있어 감염병 걱정없는 건강하고 안전한 국가실현에도 일조할 수 있다 질병지향적이고 환자적용을 목적으로 하는 감염질환분야 연구를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는 국제적인 협력연구 마인드와 경험을 겸비한 연구 전문가들을 키워 국가방역 체계 확립을 위한 연구 및 기술역량 확보도 견인할 수 있다출처 연구결과 요약문 국문 3p -
ntis백신회피 고병원성 H5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프로파일링 및 인체 감염 기전 분석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백신회피 고병원성 H5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프로파일링 및 인체 감염 기전 분석/Study for profiling and properties on vaccine escape of highly pathogenic H5 avian influenza virus
사업 : 202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과제 : 171114125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백신회피 고병원성 H5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프로파일링 및 인체 감염 기전 분석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309 발행기관명 안동대학교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연구개요 본 연구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특성분석의 다양한 선행연구와 서지분석을 기반으로 HPAI 백신 적용 후 발생 가능한 다양한 변종 백신회피 HPAI에 대한 1 다양한 변종 바이러스 확보 결정기 분석 및 전장유전체 데이터베이스 분석 2 백신회피 HPAI 바이러스 결정기의 cellular tropism 특성 분석 및 포유류 병원성 분석과 3 인체가금류 수용체 결합 패턴 및 페럿 모델을 활용한 인체감염 특성을 선 제적으로 분석하여 백신회피 HPAI 바이러스의 인체감염 병원성 및 전파성 조절인자의 신규 발굴과 더불어 효과적인 HPAI 백신 개발 및 국가 백신 정책의 과학적 근거를 마련을 목표로 함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백신 회피 결정기 분석 구축된 약독화 HPAI H5 백신을 활용하여 마우스 모델 동물에 백신접종과 공격접종을 반복하여 폐 조직에서 바이러스를 22개 확보하였고 전장유전체 분석을 통해서 바이러스 변이 패턴을 분석하였음 백신 회피 결정기의 cellular tropism 분석 α23Neu5Aca23Galb14GlcNAcb α26Neu5Acα 26Galβ 14GlcNAcβglycan을 이용한 수용체 패턴 분석 시스템 확립과 수용체 결합능 분석 다양한 축종 유래chicken turkey guinea pig 혈구를 이용하여 백신 회피주 바이러스 역가 및 닭 적혈구와 sialyltransferaseCMPsialic acid synthetase 및 α26 glycan을 이용하여 백신 회피 바이러스들에 대한 인체 수용체 감염 패턴 분석 MDCK cell과 human bronchial epithelial cell 페럿 유래의 tracheal epitherial cell과 bronchial epithelial cell을 이용한 백신 회피주 바이러스 증식성 분석 백신 회피 결정기의 포유류 감염 가능성 분석 마우스 모델 동물을 이용하여 백신 회피주에 대한 임상적 특성 폐 조직 내 바이러스 증식성 및 병원성 분석 햄스터 모델 동물에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수성과 병원성 및 전파성 분석 바이러스 감염 후 폐 조직을 확보하여 hematoxylin and eosin 염색법과 antiinfluenza 항체를 이용한 immunohistochemistry 기법 활용하여 폐 조직 내 바이러스 감염능을 분석 백신 회피 결정기의 인체 감염 가능성 분석 페럿 모델 동물을 이용하여 백신 회피 바이러스주 공격 접종 후 폐 조직 내 바이러스 증식성과 병원성 분석 바이러스 감염 후 폐 조직을 확보하여 hematoxylin and eosin 염색법과 antiinfluenza 항체를 이용한 immunohistochemistry 기법 활용하여 폐 조직 내 바이러스 감염능 분석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백신 접종 허용국가에서 HPAI 백신 접종 이후에 다양한 돌연변이 및 백신 회피 HPAI 발생으로 백신 정책의 혼란 및 인체감염 가능성 증가하고 있어서 HPAI 백신 후 발생될 다양한 변이주 패턴 분석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이에 관한 다양한 기전연구를 통해 백신 회피 HPAI의 인체감염 가능성에 대한 선제 대응 기반 기술 마련과 국가방역을 위한 백신 정책의 과학적 근거가 제공될 수 있음 Reverse genetics 기술 적용의 결과물로서 향후 폭넓은 viral recombination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유전자 pool을 구축하고 실제 자연계에서 일어나는 유전자 변이를 예측하고 감염모델을 연구하는 원천기술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함 백신 회피주들에 대한 연구 성과를 특허와 전문학술지 게재 성과 창출을 통해 공중보건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백신 기업들과의 협의를 통해 백신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활용 가능출처 연구결과 요약문 2p -
ntis국내 코로나19 확산의 연령 구조 수학적 모델링과 최적의 백신 접종 전략 제시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국내 코로나19 확산의 연령 구조 수학적 모델링과 최적의 백신 접종 전략 제시/Age-structured modeling of COVID-19 transmission and its optimal vaccination strategy in Korea
사업 : 2021 교육부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과제 : 1345334659 숭실대학 국내 코로나19 확산의 연령 구조 수학적 모델링과 최적의 백신 접종 전략 제시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306 발행기관명 숭실대학교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최종 목표감염병 수학적 모델 구축 및 최적의 백신 전략 제시 전체 내용1 코로나19 연령 구조 수학적 모델을 개발 및 분석 현재 한국 인구의 면역 상태와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고려하여 코로나19 연령 구조 수학적 모델을 구축하였음2 경제적 측면에서의 최적의 백신 접종 방안 제시 현재 한국에 상황을 반영한 코로나19 백신 접종 프로그램에 대한 시나리오를 구성하였음 코로나19 백신 접종 프로그램에 대한 비용 대비 효과를 분석하였음3 코로나19 뿐만 아니라 다른 감염병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일반화된 수학적 모델링의 틀 마련 성행위로 인해 전파되는 바이러스 중 자궁경부암과 성기 사마귀를 유발하는 사람유두종 바이러스HPV 전염에 대한 수학적 모델을 구축하였음 구축한 모델을 일본의 HPV 백신 접종 프로그램에 대한 비용 대비 효과 분석에 적용함 연구개발성과 현재 한국 인구의 면역 상태와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고려하여 코로나19 연령 구조 수학적 모델을 구축하였음 특히 단순하지만 현실을 잘 반영한 모델을 구축하고자 하였음 개발한 코로나19 수학적 모델을 활용하여 코로나19 백신 접종 프로그램의 효과 및 비용 대비 효과성을 분석하였음 그 결과 코로나19 백신 접종 프로그램으로 많은 질병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비용 대비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얻음 이는 향후 시행될 코로나19 연례접종에 대한 효과의 과학적 근거가 되는 결과임 자궁경부암과 성기 사마귀를 유발하는 HPV 전염에 대한 수학적 모델을 구축하였음 개발한 HPV 수학적 모델을 이용하여 일본에서의 HPV 백신 접종 프로그램에 9가 백신을 포함하는 것이 비용 대비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얻음 특히 교차면역을 고려하는 경우 두 백신을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이 더 비용 대비 효과적인 전략이라는 결론을 얻음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본 연구의 결과는 코로나 19 백신 접종 프로그램의 백신 접종에 대한 효과 및 비용 대비 효과성에 대한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음 본 연구를 통해 나온 결과는 SCI급 저널에 1편의 논문은 투고 중이며 또 다른 1편의 논문을 투고 예정임 본 연구에서 구축한 수학적 모델은 해당 질병뿐만 아니라 앞으로 경험해보지 못한 신종 감염병이 나올 때 그 역학을 이해하는데 응용될 수 있으므로 많은 후속 연구를 파생할 수 있음 수학적 모델링은 작은 비용과 시간으로 각 중재 방안의 효과를 다양한 시나리오를 통해 예측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최적의 중재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음 정부에서 보건 정책을 수립할 때에 과학적 근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됨출처 요약문 2p -
ntis식물기반 SARS-CoV-2 코로나바이러스 예방백신 재조합단백질 발현 시스템 연구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식물기반 SARS-CoV-2 코로나바이러스 예방백신 재조합단백질 발현 시스템 연구/Study on plant-based expression system to produce SARS-CoV-2 corona virus preventive vaccine recombinant proteins
사업 : 202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과제 : 1711160772 중앙대학교 식물기반 SARS-CoV-2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백신 재조합단백질 시스템 연구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403 발행기관명 중앙대학교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연구개요 식물생명공학과 식물교배 hybrid기술을 이용하여 SARSCoV2 COVID19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에 대한 예방백신단백질 또는 치료제를 성공적으로 발현생산하는 것이 최종연구목표임 SARSCoV2 spike protein의 receptor binding proteinRBD 그리고 가용성 재조합 ACE2의 혈청 반감기를 연장하고 면역원성을 개선하기 위해 Human IgG Fragment crystallizable Fc 추가하였고 인체 내 투입 시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는 G1 식물 특이 글리칸을 피하기 위해 KDELER 보유 신호 펩티드 LysAspGluLeu을 Fc의 C말단에 부착하여 최종적으로 단백질당구조를 최적화 면역효능이 향상된 SARSCoV2 RBDFcK 와 soluble ACE2FcK 단백질을 발현 성공적인 목표달성을 위해 RBDFcK 와 soulble ACE2FcK 식물발현벡터를 구축하고 펜데믹에 빠르고 신속하게 생산할 수 있는 일시적 발현 시스템인 transient Nicotiana benthamiana 식물발현시스템을 구축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soluble ACE2FcK를 일시적 발현 방법인 Nicotiana benthamiana 식물을 이용하여 발현하도록 Transient expression vector를 성공적으로 구축 RBD 재조합 단백질 유전자를 발현하는 transient expression vector를 성공적으로 구축완료 N benthamiana seed를 plant chamber내에서 상태에서 46주 정도 성장 시킨 식물체를 이용하여 Agrobacterium inoculum infiltration을 최적화 완료 발현식물체를 이용하여 ACE2FcK RBD 재조합 단백질 대량발현생산 및 정제시스템 확립하여 ACE2RBD 재조합 단백질의 정제성공 식물유래 ACE2FcK AntiRBD 단백질의 in vitro 활성 검증을 위하여 recombinant RBD ACE2 에 대한 interaction을 ELISA 비교분석으로 RBD와의 높은 binding 활성검증확인 식물유래 ACE2FcKantiRBD 단백질의 in vitro 활성 검증을 위하여 한국에서 퍼진 코로나 바이러스 strain의 바이러스 spike protein에 대한 ELISA분석으로 높은 인지능확인 식물유래 ACE2FcK 단백질의 in vitro 활성 검증을 위하여 현재 코로나 바이러스 RBD에 대한 interaction을 ELISA 비교분석 성공 식물유래 ACE2FcKantiRBD 단백질의 in vitro 활성 검증을 위하여 현재 코로나 바이러스 RBD에 대한 interaction을 BLI proteinprotein interaction 분석을 통하여 식물유래 ACE2FcK 단백질의 높은 RBD binding activity를 확인 RBD 재조합 단백질를 쥐에 주입하여 면역반응을 유도하였으며 쥐에서 얻은 antiRBD 항체를 확인중임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효율적인 단백질 발현 및 생산 시스템 구축 연구는 Nicotiana benthamiana를 사용하여 ACE2RBD 재조합 단백질을 효과적으로 발현하는 일시적 발현 시스템을 구축하였음 이는 치료제나 백신 등의 재조합 단백질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함 단백질의 정제 및 활성 검증 ACE2RBD 재조합 단백질의 대량 생산과 함께 이를 정제하여 고수율의 단백질을 만들었고 여러 가지 in vitro 활성 검증을 통해 단백질의 기능을 확인했음 이는 식물 유래 단백질의 대량생산과 단백질의 높은 수율 향상을 위한 방법론을 제시함 면역반응 유도 및 항체 생성 연구에서는 RBD를 쥐에 주입하여 면역반응을 유도하고 쥐에서 antiRBD 항체를 확인했고 antiRBD 항체 유전자를 발현하는 식물 시스템을 구축했음 이는 식물 유래 항체의 생산과 이를 통한 바이러스나 질병에 대한 면역반응 강화에 기여함 효과적인 바이러스 연구 및 치료 개발 위 연구는 코로나바이러스와의 상호 작용을 연구하고 이를 통해 치료법이나 백신 개발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함 특히 바이러스와 단백질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는 바이러스 항체 치료법 개발에 핵심적인 기여를 할 수 있다고 판단됨이러한 성과는 바이러스 연구 및 치료법 개발 단백질 생산 기술 발전 면역학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여할 수 있으며 특히 코로나바이러스와 같은 감염병 대응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됨출처 연구결과 요약문 2p
-
ntis박테리아 벡터 기반 코로나19 백신기술 개발
-
과제
더보기
-
ntismRNA 백신 GMP 생산 및 비임상 독성시험
연계정보(NTIS)
과제mRNA 백신 GMP 생산 및 비임상 독성시험
한국비엠아이 정부투자연구비 4,800,000,000원 총연구비 6,000,000,000원 보건의료 신약·의약품개발 백신-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최석근
- 참여연구자안우영;김은경;강태진;백성호;김소연;김소정;이유리;정근량;허정훈;이미영;박소혜;정민희;박소일;신은경;김진영
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770000345 기준년도 2025 연구책임자 최석근 과제수행기관 한국비엠아이 정부투자연구비 4,800,000,000 총연구비 6,000,000,000 - □ (주관연구개발과제_한국비엠아이): 원료의약품 및 완제의약품 생산/품질관리 및 비임상 안전성약리/독성시험□ (1공동연구개발과제_아이진(주)): 원료의약품 및 완제의약품 생산 공정 최적화 연구, 비임상 유효성 평가 및 원료의약품의 체내 분포(Biodistribution) 분석 □ (2공동연구개발과제_알엔에이진): 최적의 항원 디자인 및 검증 □ (3공동연...
- ● (주관연구개발과제_한국비엠아이): 원료의약품 및 완제의약품 생산/품질관리 및 비임상 안전성 약리/독성 시험 연구개발 내용 1: Plasmid 생산균주 구축 및 세포은행 확보연구개발 내용 2: Plasmid 생산균주의 품질, 특성, 안정성 평가연구개발 내용 3: Plasmid DNA의 제조 및 품질평가연구개발 내용 4: CLsaRNA 생산공정 스케일-업...
- 1) 연구개발 성과의 활용 방안□ 빠른 백신 검증 및 생산 체계 구축: 도출된 후보 백신을 통해 초기 유효성 검증과 독성 평가를 빠르게 수행하고, 임상 전단계에서 신속하게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새로운 변이주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게 하여, 백신 보급 시 발생할 수 있는 공중 보건의 위기를 줄일 수 있음.□ 변이주 맞춤형 백신 설계: 향후 실...
- 6T관련효과
- 바이오신약 개발기술
-
ntis무침 피내주사기 기술을 활용한 2세대 돼지써코바이러스 예방 백신의 개발
연계정보(NTIS)
과제무침 피내주사기 기술을 활용한 2세대 돼지써코바이러스 예방 백신의 개발
주식회사 이노백 정부투자연구비 80,000,000원 총연구비 100,000,000원 보건의료 신약·의약품개발 백신-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정세희
- 참여연구자홍은진;이재훈;신민나;금창엽;이찬
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420020091 기준년도 2025 연구책임자 정세희 과제수행기관 주식회사 이노백 정부투자연구비 80,000,000 총연구비 100,000,000 - - 본 백신의 사업화를 위해 농림축산검역본부에 제출하는 임상시험계획승인(Investigational New Drug, IND) 자료에서 기술검토서류 항목의 백신 약리작용(효력시험) 결과를 도출하여 IND 제출하는 것을 목표로 함.- 세부 목표는 고농축 항원 정제방법 개발, 피내용 주사기의 선별, 면역증강제 선별 및 비율 선정, 항원량 결정 시험, 백신 시제...
- - 이전 연구과제에서 구축된 PCV2d ORF2(Open reading frame 2) 유전자를 발현하는 재조합 베큘로바이러스-곤충세포 발현 시스템을 이용하여 생산한 바이러스 유사 입자(Virus-like particle, VLP)를 고농축으로 정제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함. - 목적동물인 돼지에서의 면역증강제(Adjuvant) 선별, 항원과 면역증강제 혼...
- - (경제적) 개발백신 접종으로 PCV2 감염에 의한 폐사 및 위축돈 감소, 생산성 증대, 백신접종 노동력의 절감 효과(숙련도가 필요없음) 등 양돈농가의 경제적 부담을 해소, 기업가치 상승 및 후속투자유치로 재도약할 수 있는 발판 마련.- (산업적) 향후 타 백신에 대한 무침 피내주사용 백신 개발에 적용.- (사회적) 무침 피내접종에 의한 동물복지 향상, ...
- 6T관련효과
- 바이오신약 개발기술
-
ntis그린 BLP 기술을 활용한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 DIVA 백신 개발
연계정보(NTIS)
과제그린 BLP 기술을 활용한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 DIVA 백신 개발
(주)바이오앱 정부투자연구비 316,000,000원 총연구비 421,400,000원 농림수산식품 수의과학 동물 질병예방-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강향주
- 참여연구자김남형;박민희;최소원;이예진;김민준;이송이
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540000694 기준년도 2025 연구책임자 강향주 과제수행기관 (주)바이오앱 정부투자연구비 316,000,000 총연구비 421,400,000 - 그린 BLP 기술을 활용한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 DIVA 백신 개발- N. benthamiana 식물발현 시스템을 이용한 PRRSV 재조합 항원 단백질 확보- BLP 기술을 활용한 PRRSV DIVA 백신용 항원 제작 - 그린 BLP 기술이 적용된 PRRSV DIVA 백신의 목적동물 효능평가 및 제품화 연구
- 1. 국내 유행 고병원성 PRRSV 북미형 L1 계통 바이러스 (NADC34 like strain) 의 순수 분리 및 공격접종 모델 확립 - PRRSV NADC34 like strain의 isolation 및 세포 증식성 확인 - PRRSV NADC34 like strain을 이용한 바이러스 중화시험법 확립 - PRRSV NADC34 like str...
- [정성적 성과] ○ 고병원성 PRRSV 최신 변이주에 대한 백신 전략 제시○ 안전하고 효과적인 신개념 PRRSV DIVA 백신 전략 구축 ○ 플랫폼 기술이 적용된 신개념 백신의 다양한 접종 루트별 효능 고찰 [정량적 성과]연구수행을 통해 제품화 3건 (시제품 제작, 국내 허가서류 신청, 해외 수출용 허가 확보), 기술실시 1건, 고용창출 2건, SCI 논...
- 6T관련효과
- 단백질체 연구
-
ntis차세대 백신 제작용 핵심 소재: 톨-유사 수용체 9 앱타머 작용제
연계정보(NTIS)
과제차세대 백신 제작용 핵심 소재: 톨-유사 수용체 9 앱타머 작용제
(주)에스앤케이테라퓨틱스 정부투자연구비 60,000,000원 총연구비 80,000,000원 생명과학 면역학/생리학 선천성 면역-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최상돈
- 참여연구자최홍준;Haseeb Muhammad;서지영
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420016199 기준년도 2025 연구책임자 최상돈 과제수행기관 (주)에스앤케이테라퓨틱스 정부투자연구비 60,000,000 총연구비 80,000,000 - 본 연구의 개발 목표는 톨-유사 수용체 9(TLR9) 앱타머 작용제를 활용한 차세대 백신 소재를 개발하여, 다양한 감염병 예방 및 치료에 기여하는 것임.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세부 목표를 설정함.1. 고특이성 TLR9 앱타머 서열 개발: SELEX 및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TLR9과 높은 특이성으로 결합하는 앱타머 서열을 최적화함. 2. 면역 반응...
- 본 연구는 톨-유사 수용체 9(TLR9) 앱타머 작용제를 차세대 백신 소재로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진행함.1. 앱타머 서열 설계 및 최적화 - SELEX 기법과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TLR9과 높은 특이성을 가지는 앱타머 서열을 도출함. - 분자 도킹 실험을 통해 TLR9과의 결합 특성을 최적화함.2. 면역 반...
- 차세대 백신 소재로서 톨-유사 수용체 9(TLR9) 앱타머 작용제를 개발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얻을 수 있음.1. 면역 반응 강화 - 기대효과: TLR9 앱타머는 강력하고 지속적인 면역 반응을 유도함으로써 감염병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음. - 기여: 면역세포 활성화 및 항체 생성 촉진을 통해 백신 효능을 향상시킴.2. 안전성 ...
- 6T관련효과
- 바이오신약 개발기술
-
ntismRNA 백신 GMP 생산 및 비임상 독성시험
-
논문
더보기
-
ntis시스템 충격과 회복을 위한 신속대응 전략: 백신 신속개발 프로그램 사례연구
외부자료(NTIS)
논문시스템 충격과 회복을 위한 신속대응 전략: 백신 신속개발 프로그램 사례연구
사업 : 202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인재양성(R&D)과제 : 2710074805 한국생명기술연구조합 감염병 대응 연구개발 서비스 전문인력 양성저자명(주공동저자),논문구분,학술지명,ISSN,학술지 출판연도 저자명(주공동저자) 논문구분 학술지 학술지명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ystems Engineering ISSN 1738-480x 학술지 출판연도 2024 -
ntisCOVID-19 백신 모델로서 검증된 치료법의 중요성
외부자료(NTIS)
논문COVID-19 백신 모델로서 검증된 치료법의 중요성
사업 : 2024 교육부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과제 : 2340030995 경북대학교 면역학적, 집단유전학적, 질병역학적 해석을 기반으로 한 조류 인플루엔자 역학 수리모델 및 수학적 분석 방법 개발저자명(주공동저자),논문구분,학술지명,ISSN,학술지 출판연도 저자명(주공동저자) 김상일 논문구분 학술지 학술지명 Applied and Computational Mathematics an International Journal ISSN 1683-3511 학술지 출판연도 2024 - ntis1946년 상하이시 방역위원회의 콜레라 방역 활동: 백신 접종과 시민들의 반응을 중심으로
- ntis1946년 상하이시 방역위원회의 콜레라 방역 활동: 백신 접종과 시민들의 반응을 중심으로
-
ntis시스템 충격과 회복을 위한 신속대응 전략: 백신 신속개발 프로그램 사례연구
- 특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