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백신

백신은 사람이나 동물에 병원체(세균 및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에 대한 후천성 면역을 부여하는 의약품으로, 면역 증진뿐만 아니라 질병의 치료와 예방을 돕습니다.

백신

개념

카드뉴스 이미지
카드뉴스 이미지
카드뉴스 이미지
카드뉴스 이미지
카드뉴스 이미지



WHO는 백신 접종으로 매년 250만명의 사망을 예방한다고 밝히고 있으며, 최근에는 에볼라, 대상포진, HIV, 코로나19 백신 등도 개발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인류를 위협하는 많은 감염병이 존재하고 있으며, 새로운 감염병의 위협도 지속되고 있어 이에 대응하기 위한 백신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여기에서는 바이오인에서 담고 있는 디지털치료제에 관련된 다양한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감염병 예방에 가장
효과적이고 안전한 수단
: 백신




○ 1796년 에드워드 제너(Edward Jenner)가 최초로 천연두(small pox) 백신을 개발한 이래 소아마비, 홍역, 간염, 결핵 등 수많은 백신들이 개발되었다.




예방접종은 인체에 백신을 투여하는 절차로 감염성 질환 예방을 위한 가장 효과적이고 안전한 수단으로 평가, 개인 건강 및 공중보건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백신 연구의 현재와
미래




감염성 질환을 사전에 예방하는 예방 백신이 주로 이루고 있으며, 최근 질병을 보유한 환자에서 질병 치료를 위해 면역체계를 강화하는 치료용 백신 개발이 활발하다. 에이즈, 자궁경부암, 흑색종 등 치료용 백신 개발이 상용화에 임박하고 있다.




제조방법에 따라 불활성화 백신, 약독화백신, 서브유닛 백신, 톡소이드 백신 등으로 구분되며, 기술개발에 따라 최근에는 유전자를 활용하는 DNA 백신, mRNA 백신, 재조합 벡터 백신 등이 개발되고 있다.




아직까지 백신이 없는 질병에 대한 백신 개발 연구가 추진중으로 아프리카 지역에서 주로 발생하는 높은 치사율의 에볼라 바이러스 백신이 개발 되었으며, 현재 전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 백신도 개발되었다. 또한 말라리아, 클라미디아,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등에 대한 백신도 개발중에 있다.




글로벌 백신 시장 동향



글로벌 백신의 시장 규모는 2017년 335.7억 달러(약 39.5조원)에서 연평균 11%로 성장, 2028년 1,035.7억달러(약 122조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출처: BIS Research, 2018)




지카, 에볼라, 코로나 등 감염병은 국경을 초월하여 발생, 신·변종 감염병의 위협이 증가하고 있어 관련 산업의 빠른 성장이 기대된다. 현재 Merck&Co., GlaxoSmithKline, Pfizer, Sanofi Pasteur 등이 글로벌 백신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내용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BioINdustry 138호, 글로벌 백신 시장 현황 및 전망, 2019.7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BioINglobal 55, 백신 전망(1) : 글로벌 백신 개발 현황, 2020.2.18.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BioINglobal 57, 백신 전망(2) : 백신 접종 전략의 다변화 요구, 2020.3.19.




Nature Outlook, Vaccines, 2019.11.27.




지식

더보기
  • BioINpro[KRIBB 워킹 그룹] mRNA 암 백신의 연구동향

      mRNA 암 백신의 연구동향 저자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핵산치료제 WG ◈ 목차 1. 개요 2. 주요 동향 및 이슈 3. 결론 및 시사점 ◈본문 1. 개요     ◆︎ mRNA 백신 및 암 백신     ○ mRNA 백신은 세포 내에서 발현하고자 하는 항원정보를 담고 있는 메신저 리보핵산 (messenger RNA, mRNA)을 체내로 주입 /   전달하여 항원에 대한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혁신적 백신전략 (그림 1) [1]    - 2023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Katalin Kariko와 Drew Weissman가 핵산의 화학적 변형을 통해 mRNA의 약물 가능성을 2005년에 처음 제시하였으며 [2], 이후 생체 전달 기술로 지질나노입자 (Lipid nano particle, LNP)가 개발되면서 mRNA 약물의 생체 적용이 가능해짐    - 2021년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최초의 mRNA 백신이 단기간에 신속 개발되고 환자들에게 사용되어 코로나 사태의 종식에

    조성찬 외 14명/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핵산치료제연구센터

    2025-07-01

    썸네일 이미지
  • BioINwatch저변이 암에 효과적인 개인 맞춤형 펩타이드 암백신

     저변이 암에 효과적인 개인 맞춤형 펩타이드 암백신 BioINwatch(BioIN+Issue+Watch): 25-18          ◇ 암 치료 및 재발 방지에 있어 환자 고유의 신생항원(Neoantigen)을 이용한 개인 맞춤형 암백신 개발이 활발. mRNA 형태로 많이 개발되는 개인 맞춤형 암백신은 흑색종과 같은 고변이 암에서 탁월한 효과가 보고되고 있으나, 환자 고유의 신생항원이 비교적 많지 않은 저변이 암에서는 그 효과가 제한적인 것으로 확인. 하지만 최근 mRNA 보다 안정성이 높은 펩타이드 기반의 개인 맞춤형 암백신의 치료 효과를 검증한 임상 1상 결과가 최초로 발표 ▸주요 출처 : Nature, A neoantigen vaccine generates antitumour immunity in renal cell carcinoma, 2025.2.5 ◆︎변이가 낮은 신세포암에서 환자 고유의 신생항원(Neoantigen)*을 이용한 개인 맞춤형 암백신의 치료 가능성이 처음으로

    2025-03-13

    썸네일 이미지
  • BioINwatch피부 유익균을 활용한 바르는 미생물 백신

        피부 유익균을 활용한 바르는 미생물 백신 BioINwatch(BioIN+Issue+Watch): 25-8   ◇︎단순한 방어벽으로 여겨졌던 피부가 ‘자율 항체 생산’이라는 자체 면역 체계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피부 유익균을 통해 작동한다는 것을 새롭게 발견. 특정 항원을 발현하는 피부 유익균과 피부의 면역적 특성(자율 항체 생산)을 활용하여 생산과 배포가 용이한 피부에 바르는 백신 개발 가능성을 시사 ▸주요 출처 :  Nature News, The skin’s ‘surprise’ power: It has its very own immune system, 2024.12.13., Nature, Skin autonomous antibody production regulates host-microbiota interactons, 2024.11.8   ◆︎ 외래 유해 물질 및 미생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일차적 방어벽인 피부가 특정 미생물에 반응하여 면역 반응을 활성화하고 항체를

    2025-02-04

    썸네일 이미지
  • BioINwatch동물 감염병 및 인수공통감염병 제어를 위한 자가 전파형 백신(Transmissible Vaccines)

      동물 감염병 및 인수공통감염병 제어를 위한 자가 전파형 백신(Transmissible Vaccines) BioINwatch(BioIN+Issue+Watch): 24-67   ◇︎야생 동물에서 시작해 인간에게 전파되는 인수공통감염병(zoonosis)의 병원체는 전통적인 백신 접종으로 통제가 불가능. 이에 스스로 확산하며 특정 동물 집단에 백신을 전파하는 자가 전파형 백신을 주목. 그러나 백신으로 사용하는 바이러스의 예상치 못한 변이 발생과 같이 기술적, 윤리적 측면의 도전과제들도 존재 ▸주요 출처 : Science, Developing transmissible vaccines for animal infections, 2024.4.18 ◆야생 동물에서 시작해 인간에게 전파되는 인수공통감염병(zoonosis)의 병원체는 전통적인 백신 방법으로 통제가 불가능 ○야생 동물을 포획하여 개별적으로 백신을 접종할 수 없기 때문인데,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는 데에 자가 전파형 백신(Transmis

    2024-10-24

    썸네일 이미지
  • BioINwatch기존 백신의 단점을 보완한 자가증폭 mRNA 코로나19 백신

        기존 백신의 단점을 보완한 자가증폭 mRNA 코로나19 백신 BioINwatch(BioIN+Issue+Watch): 24-58   ◇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코로나19 예방용 백신 코미나티주는 초기 예방 효과를 입증했으나, 면역 지속성이 짧아 부스터 샷이 필요. 면역원성이 더 우수한 백신에 대한 미충족 수요 상황에서 저용량으로 더 강력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자가증폭 mRNA 코로나 백신을 주목     ▸주요 출처 : Global research, Replicon mRNA Vaccine: Japan Approves World’s First self-Amplifying mRNA Vaccine, 2024.1.3, Lancet, Persistence of immune response of a self-amplifying RNA COVID-19 vaccine(ARCT-154) versus BNT162b2, 2024.2.1   ■지난해 일본 후생노동성은 자가증폭(self-amp

    2024-09-04

    썸네일 이미지
  • BioINglobal팬데믹을 넘어서: 백신 혁신을 위한 준비

        팬데믹을 넘어서: 백신 혁신을 위한 준비 작성자 : 김지예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출처: McKinsey & Company. 2024. 05 ※ 본 원고는 원본 원고의 내용을 중개하여 각색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원제 : Beyond the pandemic: The next chapter of innovation in vaccines),https://www.mckinsey.com/industries/life-sciences/our-insights/beyond-the-pandemic-the-next-chapter-of-innovation-in-vaccines 【요약】 ○ 코로나19 팬데믹을 통해 백신의 중요성을 재확인할 수 있었으며 백신 개발과 배포 속도, 효율성이 혁신적으로 향상됨 ○ 코로나19 백신 개발 모델은 타 분야, 특히 호흡기 질환 백신 분야의 발전을 촉진 ○ 백신 개발 일정이 전반적으로 단축되었으며 다양한 백신 분류에 대한 진전이 있었으나 여전히

    2024-07-08

    썸네일 이미지
  • BioINpro[2024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상)] 마이크로바이옴 표적 항암백신 전략

       2024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상) 마이크로바이옴 표적 항암백신 전략 용석범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전임연구원 ◈ 목차 1. 마이크로바이옴과 암 2. 저변이 암이란?  3. 마이크로바이옴 표적 항암 백신의 개요   가. 면역항암 치료 전략 & 암백신   나. 마이크로바이옴 표적 항암 백신 4. 마이크로바이옴 표적 항암 백신 개발 전략   가. 항원 발굴   나. 항원 전달 기술 및 mRNA/지질나노입자 시스템   다. mRNA 기반 암 백신 연구 동향 및 시장 점유 가능성 분석, 차별화    ◈본문 1. 마이크로바이옴과 암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은 숙주 개체 내 살아가고 있는 바이러스, 박테리아 등의 군집으로, 대사(Metabolism)와 면역(Immune system)을 비롯한 숙주의 다양한 부분에서 역할을 한다[1]. 대표적으로 장내 미생물 군집(Gut microbiome)은 식이 섬유를 비롯한 다양한 음식물의 분해에 직접적으로 참여, 그 대사물을 통해 숙주에 영향

    용석범/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전임연구원

    2024-05-13

    썸네일 이미지
  • BioINpro[KRIBB 워킹그룹] 인플루엔자 범용백신 연구동향

    [KRIBB 워킹그룹] 인플루엔자 범용백신 연구동향 2023년도 KRIBB 워킹그룹이슈페이퍼 제 13호   ◈ 목차 1.개요 2.주요 연구개발 동향 2.1.범용백신 연구현황(I): HA stem 표적 백신 2.2.범용백신 연구현황(Ⅱ): 단백질 나노입자 백신 2.3.범용백신 연구현황(Ⅲ): T 세포 표적 백신 3.결론 및 시사점 ◈본문 1.개요 □ 인플루엔자 개념 ○인플루엔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호흡기 질환을 의미 ‒︎경미한 경우 인체에 발열과 기침, 인후통, 몸살, 피로 등 경증 증상을 유발하나 심각한 경우 전신에 고열, 염증반응, 폐렴, 호흡부전 등 중증 증상을 유발 ○전세계적으로 매년 3백만~5백만 명의 중증 감염 사례와, 그 중 29만~65만 명의 사망사례가 보고되고 있음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오르토믹소바이러스과(Orthomyxoviridae)에 속하고 음성 단일가닥 RNA로 구성된 8개의 분절(segmented) 유전자를 가짐

    김두진 외 6명/한국생명공학연구원 감염병연구센터

    2024-01-12

    썸네일 이미지

발간

더보기
  • 썸네일 이미지 이슈 보고서2019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 제8화 “식물공장형 그린백신” 편

    [바이오로 열어가는 2035 미래사회 – “식물공장형 그린백신” 편]   제8화 “중동전쟁”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 지난 1월에 발표한 '2019 10대 바이오 미래유망기술(클릭)' 에 대해서 10화의 소설을 연재하고자 합니다. 바이오가 열어가는 행복하고 희망찬 미래상 제시를 통해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을 공감하고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자네, 사우디아라비아 좀 다녀오지 않겠나?”  국가생명정보기술원 산하 기술지원단 소속 강현 연구원은 단장인 나형욱 박사의 난데없는 지시에 어안이 벙벙해졌다. 강 단장은 현의 직속 상사였다. 연구소 내에서 누구보다 바쁜 일정을 소화하고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 그런 그를 중동까지 출장을 보내려 하다니. 물론 현도 나 단장의 뜻은 어렴풋이 짐작이 갔다. 하지만 이렇게 갑작스럽게 지시가 내려올 줄은 몰라 적잖게 당황스러웠다.  “예. 아니 그 먼 곳을 지금 갑자기 왜요? 설마 저보고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9-10-17

동향

더보기

뉴스

더보기

부처보도자료

더보기

연계정보BICS는 바이오 R&D에서 산업화까지 다양한 정보 자료를 수집하여
이용자들이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더보기

연계정보

  • 연구보고서 더보기
    • ntis결핵 종결을 위한 혁신적이고 안전한 서브유닛 결핵 백신의 개발 및 사업화
    • ntismRNA 백신의 생체 내 반감기 증가를 위한 신개념 효소 창출
    • ntis상온 안정 불활성화 세균 백신 개발 및 CMC
    • ntis인플루엔자 진단 및 백신 생산 소재 개발
  • 과제 더보기
    • ntis수지상세포 표적을 위한 약물 전달체 기반 면역치료제 개발: 바이러스 구조체 기반 항암백신
    • ntisIn situ 세포막 조작을 활용한 엑소좀 기반 항암 백신 치료제 개발
    • ntis인플루엔자 팬데믹 대응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신속 범용 백신 개발 및 방어 면역지표 연구
    • ntisTautomerase 계열 마이코박테리움 항원의 병원성 기전 및 백신 효과 유도에 기여하는 역할 규명
  • 논문 더보기
    • ntis시스템 충격과 회복을 위한 신속대응 전략: 백신 신속개발 프로그램 사례연구
    • ntisCOVID-19 백신 모델로서 검증된 치료법의 중요성
    • ntis백신과 DDT: 1940년대 후반 일본과 한국의 발진티푸스 방역
    • ntis1946년 상하이시 방역위원회의 콜레라 방역 활동: 백신 접종과 시민들의 반응을 중심으로
  • 특허 더보기
    • ntis열충격 단백질의 에피토프를 포함하는 백신 및 이 용도
    • ntis이중나선 DNA가 결합된 금 나노 입자 운반체를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
    • ntis니파바이러스 재조합 G 단백질을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
    • ntis엑소좀을 이용하는 COVID-19 백신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영상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는 바이오 분야의 전문 지식을 영상 콘텐츠로 제공하여,
바이오 분야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있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