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치료제
기존의 먹는 알약이나 주사제가 아닌 디지털 기술(소프트웨어)로 환자를 치료하는 새로운 개념의 디지털 치료제(Digital Therapeutics) 등장하였고, 디지털 치료제(Digital Therapeutics, DTx)는 질병 및 장애를 예방, 관리 및 치료하기 위한 고품질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환자에게 근거 중심 치료(evidence-based therapeutic)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Collection
디지털 치료제
개념
● 기존의 먹는 알약이나 주사제가 아닌 디지털 기술(소프트웨어)로 환자를 치료하는 새로운 개념의 디지털 치료제(Digital Therapeutics) 등장하였고, 디지털 치료제(Digital Therapeutics, DTx)는 질병 및 장애을 예방, 관리 및 치료하기 위한 고품질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환자에게 근거 중심 치료(evidence-based therapeutic)를 제공하는 것이다.
● 디지털치료제라는 새로운 범주의 의약품은 헬스케어 생태계 전반에 걸쳐 지속적으로 통합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헬스케어의 전달방식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한다.
- 디지털 치료제는 광범위한 디지털 건강(건강 관련 목적으로 환자를 참여시키는 모든 기술 포괄) 환경에서 독립적인 범주의 근거 중심 제품을 형성하고 있어, 다른
디지 털 건강 범주의 제품들(순응 준수(pure-play adherence), 진단, 원격 헬스 등)과 구별된다.
- 근거 기반 치료적 중재를 위해 기존 의약품처럼 임상시험 실시, 치료효과 검증, 규제당국 허가, 의사 처방, 보험 적용 등의 과정을 거치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에서는 바이오인에서 담고 있는 디지털치료제에 관련된 다양한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
디지털치료제 연구동향 |
○ 미국은 디지털 치료제 개발에 대한 투자금액을 7년간 매년 40%씩 증가하여 2018년 말 기준 10억달러 이상의 투자규모가 조성되었고 영국은 공공의료 서비스인 NHS는 디지털 의료서비스 지원 확대로 정신질환 치료프로그램 IAPT(Improving Access to Psychological Therapy)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 의료 수요적 측면에서 기존 제약사들이 신약 개발에 실패를 거듭하고 있거나, 행동 중재(Behavior Intervention)를 통한 치료효과 개선 부분의 개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 치매, 알츠하이머, 뇌졸중 등 중추신경계 질환 및 약물중독, 우울증, 불면증 관련 중추신경계 신경정신과 질환의 개발이 활성화 진행 중이고 행동 교정을 통한 치료효과를 거둘 수 있는 암, 고혈압, 당뇨 등 만성질환 치료를 위한 디지털 치료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 의료 문화적 측면에서는 고질적인 국내 의료전달체계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선제적 솔루션을 제시해 줄 수 있다. 전 국민 건강보험체계로 인한 수도권 대형병원 쏠림 현상으로 의료적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암, 뇌졸중 등 중증질환자를 위한 예후관리에 필요성이 높다. ○ 기본적으로 디지털치료제는 개인에게 최적화된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위해 개인건강기록(PHR, Personal Health Record)을 인공지능 기술로 처리 할 수 있도록 개발하고 있다. |
|
디지털치료제
산업시장 |
○ 미국 시장조사기관인 Allied market Research(2020.01)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디지털치료제 시장은 2018년 21.2억 달러에서 2026년 96.4억달러로 연평균 19.9% 성장, 같은 기간 동안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연 평균 최고 21.7%성장 하였다. ○ 중독 치료 목적의 어플리케이션 리셋(reSET)이 2017년 9월 최초로 미국 FDA의 허가를 받아 디지털 치료제에 대한 산업계의 관심 고조되고 있다. ○ 스마트폰 및 컴퓨터 사용에 익숙한 인구 성장과 5G 초고속 인터넷 발달로 디지털 치료제가 보급화 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 상황에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디지털 치료제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다. |
|
내 용 출처 |
○ 산업동향 디지털치료제 기술동향과 산업전망,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20.03 ○ 디지털 치료제(Digital Therapeutics) 개발 동향,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9.10 |
지식
더보기-
BioINdustry디지털 치료제 산업 동향 및 전망
[BiolNdustry No.172] 디지털 치료제 산업 동향 및 전망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연구원 조예진, 연구원 김현수 ※본 보고서는 프로스트앤드설리번에서 발간한 ‘Digital Therapy Technology Innovations and Growth Opportunities, 2021’, Deloitte에서 발간한 ‘Digital therapeutics, Catalyzing the future of health, 2021’ 등을 종합적으로 참고하여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 재구성한 것임 【 요약문 】 □ 2022년 디지털 치료제 시장은 38.8억 달러 규모로 예상 (`21년 기준) ○ 글로벌 디지털 치료제 시장 규모는 2022년 38.8억 달러에서 연평균 20.5%로 성장하여 2030년에는 173.4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 ○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은 디지털 치료제의 유용성이 부각되는 계기로 작용하였고, 이로 인해 디지털 치료제 임상시험이 2020년 9건 대
2022-08-24
-
BioIN4P디지털치료제 분야 4P
디지털치료제 분야 4P - Paper(논문), Patent(특허), Product(산업), Portfolio(투자) - Paper(논문) 글로벌 국내 연도별 발표현황 연도별 발표현황 주요 국가 주요 국가(공동연구 현황) 주요 연구기관 주요 연구기관 * 각 대학의 부속병원 논문 수 포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2022-06-28
-
BioINwatch디지털 치료제(Digital Therapeutics) 개발 동향
BioINwatch(BioIN+Issue+Watch): 19-74 디지털 치료제(Digital Therapeutics) 개발 동향 ◇ 알약이나 주사제가 아닌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질병을 예방, 치료 및 관리하는 새로운 개념의 치료제가 등장. 디지털 치료제는 의학적 미충족 니즈를 해결하여 관련시장의 급격한 성장을 전망. 디지털 치료제 산업 활성화를 위한 Digital Therapeutics Alliance(DTA)가 결성되었고, DTA는 디지털 치료제를 소개하는 보고서를 발간 ▸주요 출처 : Digital Therapeutics Alliance, Digital Therapeutics: Combining Technology and Evidence-based Medicine to Transform Personalized Patient Care, 2018.10,; www.dtxalliance.org, KOTRA 해외시장뉴스, 디지털 테라퓨틱스 시대의 도래, 2019.2.12.
2019-11-04
발간
더보기-
이슈 보고서2020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 제5화 "디지털 치료제"편
[바이오로 열어가는 2040년 생명과학 미래사회- “디지털 치료제” 편] 제5화 “생명의 은인”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 지난 2월에 발표한 '2020 바이오 미래유망기술(클릭)'에 대해서 10화의 소설을 연재하고자 합니다. 바이오가 열어가는 행복하고 희망찬 미래상 제시를 통해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을 공감하고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김수민 박사 어떻게 된거야? 오늘부터 출근 아닌가?” 중국 상하이 파견근무를 마치고 돌아온 김수민 국가생명정보기술원 연구원. 지금은 그녀의 복귀 후 첫 출근 날 아침 8시 30분. 8시에 시작하는 아침 회의가 끝나도록 그녀의 모습은 어디에도 보이지 않았다. 늘 그랬던 것처럼 오늘도 지각임이 확실했다. “해외 근무 끝나고 철이 좀 드나 했더니, 이거야 원.” 그녀의 담당 ‘사수’ 였던 최영일 박사가 결국 혀를 끌끌 차기 시작했다. 늘 하던 지각이라고 생각하면 별다를 일도 아닌 일. 하지만
2020-11-18
동향
더보기-
산업동향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519] 글로벌 디지털치료제 시장: 지속적인 성장 전망2024.08.02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기술동향
새로운 의료서비스 혁명 : 디지털 치료제2023.11.01
한국과학기술한림원
-
산업동향
3세대 신약 디지털 치료제의 투자동향과 미래전략2023.01.16
KPMG Korea
-
기술동향
디지털 치료제 기술과 시장동향2022.09.26
KDB 미래전략연구소
-
특허동향
디지털 치료제의 특허법적 보호현황과 과제2022.05.31
한국지식재산연구원
-
산업동향
미국, 디지털 치료제의 치료개선효과 입증 등2021.12.20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산업동향
디지털 치료제, 글로벌 임상시험 및 제휴 동향 등~2021.12.06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산업동향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409] 디지털치료제(DTx), 주요국가의 정책 동향 등~2021.10.12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산업동향
디지털치료제(Digital Theraopeutics) 동향 [BIO ECONOMY BRIEF]2020.06.12
한국바이오협회
-
산업동향
디지털치료제 기술동향과 산업전망2020.03.30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차트+
더보기뉴스
더보기-
R&D
디지털 치료제, 의료서비스 혁신 바로미터 역할 확대2025.10.17
이헬스통신
-
R&D
디지털 치료제 국내 확산 '초기 단계', 92개 제품 임상 중2025.04.01
아시아경제
-
R&D
올해 디지털 치료제 시장 15조…신약 比 30~50% 절감2025.03.17
뉴시스
-
R&D
9조 `디지털 치료제` 시장…제약사들 "성장기회 잡아라"2024.12.18
디지털타임스
-
R&D
VR기기 착용하고 시야장애 치료…3호 디지털 치료제 첫 처방2024.10.02
연합뉴스
-
R&D
식약처, 디지털치료제·첨단의약품 신속허가 지원 '올인'2024.07.16
히트뉴스
-
R&D
“디지털 치료제 어려움 풀더라도 효과·안전성, 일반 약 수준 관리해야”2024.03.22
국민일보
-
R&D
첫발 뗀 디지털 치료제… ‘중복 임상’ 규제에 건보적용 4년 걸려2024.02.15
동아일보
-
R&D
"디지털 치료제 임상에 약물 수준 검증 요구…인허가 하세월"2023.12.08
서울경제
-
R&D
치매 등 디지털치료제 2032년까지 15개로 확대2023.06.12
디지털타임스
-
R&D
"디지털치료제·의료AI 허가받으면 뭐하나...보험 적용이 관건”2023.03.31
동아사이언스
-
R&D
디지털치료제도 건보적용…제3자 의료데이터 전송 추진2023.03.09
아시아경제
-
R&D
'디지털치료제 vs 전자약' 어떤 차이?…"전혀 다른 기술"2023.02.20
뉴시스
-
R&D
국내 첫 `디지털 치료제` 허가2023.02.16
디지털타임스
-
R&D
삼정KPMG “국내 디지털 치료제 시장, 연평균 27% 성장"2023.01.10
파이낸셜뉴스
-
R&D
불면증·우울증·ADHD… 약 대신 ‘디지털 치료제’로 고친다2022.12.22
조선닷컴
-
R&D
디지털 치료제 시장 앞다퉈 진출 기업, 기술 국산화 눈길2022.11.21
헬스통신
-
R&D
‘디지털 치료제’ 실질적 정책 지원 無2022.09.29
메디팜스 투데이
-
R&D
시장 커지는 디지털치료제, 정책적 지원 서둘러야2022.09.27
뉴시스
-
R&D
성장하는 '디지털 치료제' 분야‥국내에서도 본격 준비 시작2022.05.27
메디파나뉴스
연계정보
-
연구보고서
더보기
-
ntis디지털 마커 기반 맞춤형 불면증 디지털치료제 개발
닫기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디지털 마커 기반 맞춤형 불면증 디지털치료제 개발/Development of personalized digital therapeutics for insomnia based on the digital marker
사업 : 2023 산업통상자원부 바이오산업기술개발과제 : 1415184380 (주)에임메드 디지털 마커 기반 맞춤형 불면증 디지털치료제 개발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402 발행기관명 에임메드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ㅇ 연구개발기술의 정의 및 범위 불면증 인지행동치료 CognitiveBehavior Therapy for Insomnia CBTi 사고와 행동을 조절함으로써 증상을 개선시키는 정신치료요법인지치료 불면과 관련된 역기능적 신념을 교정 건강한 수면습관 교육행동치료 자극조절요법 수면제한요법 이완요법 불면증 생체리듬조절 기법 일주기 생체리듬의 정상화를 유도하여 입면과 각성 시간을 조절하는 방법 디지털 마커 디지털 바이오마커Digital biomarker의 줄임말 웨어러블과 같은 디지털 기기로 수집하는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생리 또는 행동 데이터 이는 주로 건강 지표를 예측하거나 설명하기 위해 이용됨ㅇ 연구개발과제의 배경 및 필요성 배경o 국내 불면증 치료 현황 유병률 전체 성인 인구의 10 그 중 5만이 병원 진료 진료 환자의 1만이 인지행동치료를 받고 있음 전체 불면증 환자의 05 필요성o 디지털치료기기의 필요성 인지행동치료는 불면증 치료 가이드에서 효과가 입증된 1차 치료이나 급여 수가가 지나치게 낮게 책정되어 있고 전문의도 별도의 훈련을 요하는 등의 이유로 거의 시행되지 못함 따라서 효과가 입증된 디지털치료기기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 더불어 COVID19로 촉발된 비대면 의료 솔루션에 대한 수요에도 혁신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o 기존치료 및 디지털치료기기 개발 내용 비교 기존 치료 약물치료 치매 및 심혈관계 부작용과 내성 오남용 위험 불면증 인지행동치료 교과서적 표준 치료이나 의료현장에서의 사용 저조 디지털치료기기 불면증 행태 개선 진료 시간 부족 해결 실시간 모니터링 치료효율성 증대 사회경제적 이득 제공 디지털 치료의 비용효과성 국가 전체의 의료비용 절감출처 본문 9p -
ntis인공지능 기반 배뇨장애 디지털치료제 개발
닫기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인공지능 기반 배뇨장애 디지털치료제 개발/Artificial Intelligence-based Digital Therapeutics for Voiding Dysfunction
사업 : 202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과기부)과제 : 1711194235 서울대학교병원 인공지능 기반 배뇨장애 디지털치료제 개발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402 발행기관명 서울대학교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최종 목표 전립선비대증 및 과민성방광 등의 배뇨장애 환자를 위한 인공지능 기반한 실시간 디지털치료제를 세계최초로 개발하여 배뇨장애 환자와 임상 현장의 미충족 수요를 해결하고 의료비용 및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고자 한다 본 연구팀의 선행기술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본 과제를 통해 개발하려는 인공지능 기반의 새로운 디지털치료제 기술은 총 세 부문으로 1 모바일 요속검사와 모바일 배뇨일지를 이용한 배뇨장애 약제의 인공지능 기반 실시간 약물 유효성 평가 및 복약 최적화2 식이 및 수분섭취 조절 규칙적 배뇨 등 인지행동치료가 가능한 인공지능 기반 환자 맞춤형 배뇨관리 3 인공지능 기반한 수술전후 환자 맞춤형 디지털 배뇨 모니터링 및 술 후 배뇨장애 예방 프로그램 개발이다다기관 임상시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을 통해서 인공지능 기반 배뇨장애 디지털치료제의 유용성을 평가한다 고성능 고품질 배뇨장애 디지털치료제를 개발하여 배뇨장애 환자 맞춤형 인공지능 질병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며 미래 의료시장을 선점하고자 한다 전체 내용전립선비대증 과민성방광 등 배뇨관련 질환은 한국에서 1년 내원 환자수 380만명 이상동 기간 내원한 당뇨환자 250만명 고혈압환자 590만명 미국의 총 환자 수는 6천만명 이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처방약과 수술적 치료 기타 직간접적 진단 치료비용 규모는 전 세계적으로 연간10억 달러에 달한다 전립선비대증 등의 배뇨장애 질환도 고혈압 당뇨 천식 등과 같은 만성질환으로 환자의 꾸준한 자가관리가 필요하나 현재까지는 집에서 배뇨 증상을 측정 관리할 수 있는 도구가 없어 방치하면서 증상이 악화되거나 배뇨장애 약물 효과가 부족해도 이를 자가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외과계 수술 이후에도 배뇨장애가 흔하게 발생되지만 수술 이후퇴원 이후 배뇨장애가 발생해도 환자가 자가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서 뒤늦게 요도관 삽입 등의 응급처치를 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본 과제에서는 환자맞춤형 자가진단 환자 맞춤형 인지행동치료 병원 내원하여 진단치료 치료 후 모니터링를 따르는 환자 여정 전반에 걸쳐 환자와 의료진이 활용할 수 있는 정량적 도구와 임상 수준의 데이터 플랫폼을 개발하고 임상적 유효성을 검증하여 근거를 마련하고자한다 첫째 주관기관인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은 모바일 요속검사와 모바일 배뇨일지를 이용한 실시간 배뇨장애 약물 유효성 평가 및 복약 최적화 연구를 시행하고 참여의료기관인 이화여자대학교 및 동국대학교과 함께 인공지능 기반한 인지행동치료가 가능한 환자 맞춤형 배뇨관리 프로그램 개발 수술전후 환자 맞춤형 디지털 배뇨 모니터링 이용한 술 후 배뇨장애 예방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수행하여 인공지능 기반 배뇨장애 디지털치료제 개발의 상용화 및 임상 진료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의학적 근거를 마련하다 둘째 참여기관인 다인기술주는 모바일 요속검사 앱 PRIVY을 2020년 미국 FDA 의료기기2등급 승인받은 경험을 토대로 새로운 모바일 배뇨일지 앱의 임상 데이터 전처리 및 인공지능 기반 판독예측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통합적인 배뇨 모니터링 인공지능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자 한다 1단계목표1단계12년차는 실시간 연속적 관리 가능한 인공지능 기반 배뇨장애 디지털치료제의 시작품시제품 개발 및 참여의료기관에서의 임상적 유효성 검증을 통한 실제 의료현장에서 사용가능한 완성도 높은 시제품을 선보인다 2단계34년차에는 한국 의료기관에서 다기관 임상시험을 통해서 배뇨장애 디지털치료제의 실시간 연속적 환자 맞춤형 데이터 관리와 분석을 통해서 새로운 인공지능 기반한 배뇨장애 디지털치료제의 유효성 및 사용성을 평가한다 내용시작품 및 시제품 제작 현행 patient journey 및 clinical workflow 분석 서비스 디자인 배뇨양상 원격 모니터링 앱 프론트엔드 및 데이터 분석 플랫폼 개발 서비스 플랫폼 보안 요구사항 분석 및 설계 후 기능 개발 검증 1단계 다기관 임상시험 설계 임상시험 피험자 모집 및 데이터 수집 인공지능 기반 의료기관 실시간 배뇨평가 플랫폼 개발 배뇨일지 요속검사 및 다기관 유효성 평가 1단계 참여의료기관 임상 평가 2단계 다기관 임상시험 1단계 기간 개발한 인공지능 기반 실시간 디지털치료제를 이용 설계 수집 데이터 전처리 및 판독 알고리즘 개발 2단계목표2단계34년차에는 한국 의료기관에서 다기관 임상시험을 통해서 배뇨장애 디지털치료제의 실시간 연속적 환자 맞춤형 데이터 관리와 분석을 통해서 새로운 인공지능 기반한 배뇨장애 디지털치료제의 유효성 및 사용성을 평가한다내용시제품을 이용한 다기관 임상시험 인공지능 기반의 실시간 배뇨장애 약물 유효성 평가 플랫폼의 사용성 및 유효성 평가 2단계 다기관 임상시험 식이 및 수분섭취 조절 규칙적 배뇨 등의 인지행동치료를 통한 환자 맞춤형 배뇨관리의 사용성 및 유효성 평가 2단계 다기관 임상시험 인공지능 실시간 배뇨평가 플랫폼을 이용한 수술환자의 수술 전후 원격 배뇨 모니터링 수술 전후 모니터링 사용성 및 유효성 평가 다기관 2단계 임상시험 자가관리 및 교육 서비스 실증 인공지능 기반 배뇨장애 디지털치료제의 사용성 및 유효성 평가 2단계 다기관 임상시험출처 요약문 4p -
ntis디지털 바이오마커 기반 치매 조기 진단 솔루션 및 디지털치료제 개발
닫기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디지털 바이오마커 기반 치매 조기 진단 솔루션 및 디지털치료제 개발/Development of early diagnosis solutions and digital therapeutics for Alzheimer's dementia based on digital biomarkers
사업 : 2024 중소벤처기업부 TIPS과제과제 : 2420012095 뷰브레인헬스케어 디지털 바이오마커 기반 치매 조기 진단 솔루션 및 디지털치료제 개발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409 발행기관명 뷰브레인헬스케어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
ntis블록체인 및 인공지능 기반 제2형 당뇨 디지털 치료제 개발
닫기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블록체인 및 인공지능 기반 제2형 당뇨 디지털 치료제 개발/TypeII Diabetes Digital Therapeutics based on Blockchain and Artificial Technology
사업 : 2024 중소벤처기업부 TIPS과제과제 : 2420010674 디알케이 주식회사 블록체인 및 인공지능 기반 제2형 당뇨 디지털 치료제 개발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502 발행기관명 디알케이(주)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
ntis디지털 마커 기반 맞춤형 불면증 디지털치료제 개발
-
과제
더보기
-
ntis뇌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뇌자극 융합중재 디지털치료제(DTx) 개발
닫기
연계정보(NTIS)
과제뇌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뇌자극 융합중재 디지털치료제(DTx) 개발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정부투자연구비 49,083,000원 총연구비 49,083,000원-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박지혁
- 참여연구자임승주;한예빈;유수연;김정희;남상훈;김승민;고지형;Tang Shaohua;Stefanovic Goranka;Sooksatra Sasi;한겸주;이기현;인세연;민원상;BHATTACHARYA DEBDATTA;김도원;편도영;한대성;임영명;김아람;한정민
연구목표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340043421 기준년도 2025 연구책임자 박지혁 과제수행기관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정부투자연구비 49,083,000 총연구비 49,083,000 - 본 연구개발은 인구고령화로 인한 노인들의 인지기능저하를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이중과제(Dual-task) 기반 인지훈련과 기능별 뇌전기자극(tDCS) 프로토콜을 결합하여 새로운 뇌자극 융합중재 디지털치료제(DTx)를 개발하고자 한다. 따라서 뇌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Dual-task 기반 뇌인지훈련 프로그램 개발과 뇌 인지기능(집중, 기억, 문제해결 등)...
- 고령화사회로 치매와 관련된 인지건강, 사회적 관심과 관리비용, 돌봄 등에 대한 상호복합적인 문제이며, 2020년 국내 치매관리비용은 연간 약 16조원이며, 1인당 2,072만원 소요되고 있다. 조기치료와 예방은 치매 발병 후 치료와 돌봄으로 발생하는 사회적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따라서, 증가하는 노인의 인지기능저하를 예방 및 관리, 조기치료 할 수 있는 ...
- 본 연구개발은 3년 과제를 통해 다섯가지 전략의 연구 목표가 달성에 이르는 동안 증가하는 노인의 인지기능저하를 예방 및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될 것이며, 인지건강 서비스의 수요를 적극 반영한 서비스 확충이 기대된다. 또한, 고령사회에서 노인의 인지건강을 위해 디지털치료(DTx) 적용으로 국가차원의 우수한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
- 6T관련효과
- 위의 미래유망신기술(6T) 103개 세분류에 속하지 않는 기타 연구
-
ntis예술체육 비약물 중재를 활용한 통증-불안 조절 디지털 치료제 개발에 관한 연구
닫기
연계정보(NTIS)
과제예술체육 비약물 중재를 활용한 통증-불안 조절 디지털 치료제 개발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정부투자연구비 18,501,000원 총연구비 18,501,000원-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최수빈
- 참여연구자
연구목표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340040008 기준년도 2025 연구책임자 최수빈 과제수행기관 중앙대학교 정부투자연구비 18,501,000 총연구비 18,501,000 -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체육 비약물 중재방법을 적용하여 통증?불안 조절 디지털치료제를 개발하는 것이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통증, 불안을 조절한 예술,체육 비약물 중재 연구 결과 및 백내장 수술 중 발생하는 불안, 통증을 음악청취의 방법으로 감소시킨 구체적 사례를 근거로 다음과 같은 연구 목표를 설정하였음. 1. 국내외 문헌고찰을 통한 통증·불안 조절 음악 ...
- 2023년 2월 불면증 개선 및 치료 목적의 한국 최초 디지털 치료제가 식약처의 허가를 받았음. 현존하는 대다수 디지털 치료제는 인지행동치료에 기반하여 연구개발 중이고, 리듬요소와 운동치료를 융합하여 보행 재활용 운동 디지털 치료제도 주목되는 기술임. 더불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적용 증상 및 질병은 우울, 중독, 불안, 등의 정서 건강영역으로써 디...
-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학문적 기여, 사회적 기여, 실무적 기여로 나눌 수 있음. ? 학문?인력양성 효과음악중재이론을 적용한 딥러닝 기반의 디지털음악치료제를 개발하는 과정에 필요한 다학제적(예술체육, 의학, 보건통계학, 컴퓨터 공학, AI 등) 연구 기반 조성에 기여함. 특히 정서적, 연주 기술이 강조되는 음악분야에 과학적 추론 관련 융합 교과를 도입하는 계...
- 6T관련효과
- 위의 미래유망신기술(6T) 103개 세분류에 속하지 않는 기타 연구
-
ntis만성통증 관리를 위한 행동과학 기반 AI 디지털 치료제 개발
닫기
연계정보(NTIS)
과제만성통증 관리를 위한 행동과학 기반 AI 디지털 치료제 개발
충남대학교 정부투자연구비 45,682,000원 총연구비 45,682,000원-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조성근
- 참여연구자박휴정;조승빈;문광수;김재정;노치현
연구목표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340040457 기준년도 2025 연구책임자 조성근 과제수행기관 충남대학교 정부투자연구비 45,682,000 총연구비 45,682,000 - --------------------------연구 목적------------------------------ 심리학, 컴퓨터공학, 의학 분야와의 협력을 통해만성통증 관리를 위한 행동과학 기반 AI 디지털 치료제를 개발하고자 함. -----------------------------------------------------------...
- --------------------1차년도-------------------- 만성통증 관련 행동의 전산화-----------------------------------------------1-1. 만성통증 환자의 기능행동 평가● 만성통증 환자모집(n=50)● 만성통증과 관련되는 선행사건 및 결과에 대한 정보 수집을 통해 만성...
- 1. 학문적 기여도● 만성통증에 대한 비약물적 치료 기법으로 활용할 수 있는 행동과학 기반의 DTx를 개발하고, 만성통증 완화 및 관리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일 것으로 기대됨.● 다양한 일상행동 및 통증예측에 대한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해 차후 기타 만성질환에 확대적용할 수 있는 임상자료의 제공이 가능함.● 만성통증에 특화된 약물준수 프로그램의 개발...
- 6T관련효과
- 위의 미래유망신기술(6T) 103개 세분류에 속하지 않는 기타 연구
-
ntis뉴노멀 시대, 스마트 치료 기기의 윤리· 법· 사회 기반 조성 : 전자약으로부터 디지털 치료제까지
닫기
연계정보(NTIS)
과제뉴노멀 시대, 스마트 치료 기기의 윤리· 법· 사회 기반 조성 : 전자약으로부터 디지털 치료제까지
동아대학교 정부투자연구비 48,787,000원 총연구비 48,787,000원-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박상혁
- 참여연구자손정우;김문정;엄주희;김도경;이은정
연구목표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340042907 기준년도 2025 연구책임자 박상혁 과제수행기관 동아대학교 정부투자연구비 48,787,000 총연구비 48,787,000 - 새로운 기술들이 시장에 나오고 국민들이 생활에 들어오기 위해서는 법제도의 틀 안에서 인허가의 규제를 통하게 되지만, 기존의 정책 결정 제도만으로는 잠재된 윤리, 법적, 사회적 영향에 대해서 심도있는 연구와 논의는 부족하고, 증강 기술(neuro-enhancement)이 유발하는 사회 불평등 문제나 인간의 뇌신경에 직접 개입함으로 인한 인간됨(humaness...
- 우울증, 파킨슨 질환 등 정신건강과 뇌 기능 장애 '치료' 관련 윤리적·사회적·법적 함의 연구: 전자약과 디지털치료제는 뇌신경 자극과 조절에 관여하는 기전이 있으므로 정신건강과 신경정신과적 질환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 정신건강과 뇌 기능 장애의 치료로 개발되는 전자약과 디지털치료제를 중심으로 사회적으로 가져올 파장과 변화, 윤리...
- 1. 스마트 기반 치료기기' 관련 용어집 발간2. '스마트 기반 치료기기' 관련 사람들의 '윤리 척도 개발3. '스마트 기반 치료기기' 관련 윤리 원칙 연구4. 후속세대 양성을 위한 프로그램: 국제학술대회에 해외 학자들과 대학원생들의 세션 마련5. 본 연구 분야 국내 연구자들의 활성화를 위한 기획: 학술지 특집호 기획6. 공개 대중토론회와 대중이 참여하는 ...
- 6T관련효과
- 위의 미래유망신기술(6T) 103개 세분류에 속하지 않는 기타 연구
-
ntis뇌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뇌자극 융합중재 디지털치료제(DTx) 개발
-
논문
더보기
- ntis10~30대 섭식장애 환자들을 위한 디지털치료제 (DTx) 서비스 설계
- ntis인공지능 활용 디지털 치료제의 지식재산권 문제 - 인공지능 생성 음악의 저작권 문제를 중심으로 -
-
ntis10~30대 섭식장애 환자들을 위한 인지행동치료 기반 디지털치료제(DTx) UX 디자인 연구
닫기
외부자료(NTIS)
논문10~30대 섭식장애 환자들을 위한 인지행동치료 기반 디지털치료제(DTx) UX 디자인 연구
사업 : 202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방송혁신인재양성(R&D)과제 : 2710008721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양자세계를 연결하는 초신뢰 양자인터넷 요소 기술 개발저자명(주공동저자),논문구분,학술지명,ISSN,학술지 출판연도 저자명(주공동저자) 신재은;유승헌 논문구분 학술지 학술지명 디자인융복합연구 = Design convergence study ISSN 2287-4089 학술지 출판연도 2024 - ntis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디지털 치료제 중재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 특허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