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성생물학
합성생물학은 생명현상의 매커니즘을 표준화ㆍ모듈화하고 새로운 기능의 바이오 부품ㆍ회로를 합성한 생명체 세포를 구축하여 산업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혁신적 기술 분야입니다.Collection
합성생물학
개념
합성생물학은 생명현상을 연구하는 분야 중 가장 근원적인 융합기술을 필요로 하는 영역으로 접근방법이나 데이터 해석 측면에서 BT에 기반한 IT, NT 등 고도의 융합기술이 뒷받침돼야 제대로 된 연구를 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는 방대한 양의 유전체 정보 데이터를 AI(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 로보틱스 등의 기술과 접목해야 엄청난 산업적·경제적 파급효과를 가져오는 미래 바이오 산업을 이끌 '혁신융합기술'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여기에서는 바이오인에서 담고 있는 합성생물학에 관련된 다양한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
|
|
||||||||||||||||||||||||||||||||||||||||||
|
합성생물학 시장 동향
|
|
||||||||||||||||||||||||||||||||||||||||||
|
내용 출처
|
|
지식
더보기-
BioINregulation합성생물학 육성법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
「합성생물학 육성법」의 주요 내용 및 시사점 경상국립대 류예리 교수 합성생물학 관련 법제는 크게 합성생물학의 규제에 관한 법제와 육성 및 진흥에 관한 법제로 구분할 수 있음. 우리나라는 합성생물학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활용 가능성에 주목하면서도, 그에 따른생명윤리, 생물안보, 환경위해 등의 잠재적 위험을 고려하여 신중한 법제적 접근을 취하고 있음. 그러나 2025년 세계 최초로 「합성생물학 육성법(Synthetic Biology Promotion Act)」을 제정하여합성생물학의 제도화와 전략적 육성에 본격적으로 착수하였음. 이 법은 2026년부터 전면 시행될예정이며, 향후 하위법령 정비, 위험관리 체계 고도화, 국제 기준과의 조화를 통해 합성생물학기술의 안전과 혁신을 아우르는 글로벌 경쟁력 확보가 핵심 과제로 부상하고 있음 1.법률의 제정 배경 □ 합성생물학에 대한 국제적 논의 동향 ●국제환경조약인 생물다양성협약(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2025-10-31
-
BioINpro[합성생물학 동향] 합성생물학 분야 기술경쟁력 및 정부 R&D 투자현황 분석
합성생물학 분야 기술경쟁력 및 정부 R&D 투자현황 분석 첨단바이오 국가기술전략센터 저자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첨단바이오 국가기술전략센터 김경남, 이휘섭 ◈ 목차 I.분석 개요 II.분석 결과 1.논문 기반 경쟁력 진단 2.특허 기반 경쟁력 진단 3.NTIS 과제 기반 정부R&D 투자 현황 III.분석 결과 요약 및 시사점 1.분석 결과 요약 2.정부 R&D 투자·육성 방향 시사점 ◈본문 I.개요 ◆︎ 분석 목적 ○ 합성생물학 분야 우리나라의 기술경쟁력 진단 및 정부 R&D투자 현황을 확인하여 향후 정부 R&D 투자전략을 위한 시사점 제공 ◆︎ 분석 유형별 분석 방법 및 내용 ○ (기술경쟁력) 논문/특허 기반 우리나라의 선도국 대비 경쟁력 진단 ○ (정부R&D투자) NTIS 과제 데이터를 중심으로 기투자 현황 분석 구분 분석 목적 분석 범위 분석내용 세부 내용 방법(일정) 논문 (연구) 논문 기반 한국 경쟁력 진단 합성생물학 전반 논문 현황 합성생물학 논문 추이
2025-09-10
-
BioINwatchLong-DNA 합성기술: 합성생물학 혁신의 핵심 동력
Long-DNA 합성기술: 합성생물학 혁신의 핵심 동력 BioINwatch(BioIN+Issue+Watch): 25-57 ◇ 단일합성생물학에 대한 트렌드가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상황에서 향후 DNA 합성기술은 합성생물학 역량에 있어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전망. 최근 Nature에서는 효소 기반 기술과 기존 화학적 방법을 개선한 기술로 더 접근하기 쉬운 DNA 합성 솔루션에 관한 소개 ▸주요 출처 : Nature, Made-to-order DNA goes big: new tech doubles size of custom genetic sequences, 2025.7.22 ◆︎ 합성생물학에 대한 트렌드가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상황에서 향후 DNA 합성기술은 합성생물학 역량에 있어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전망 ○ 합성생물학은 오염물질 정화를 위한 맞춤형 박테리아 개발부터 맞춤형 유전자 치료제 개발까지 다양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유 - 실험실 수준을 벗어
2025-09-01
-
BioINpro[LMO 규제 동향] 신기술(합성생물학, 유전자편집기술) 발전에 따른 LMO 규제 동향
신기술(합성생물학, 유전자편집기술) 발전에 따른 LMO 규제 동향 LMO 규제 동향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평가센터 선임연구원 이주석 ◈ 목차 1. 개요 2. LMO의 정의와 범위 3. 바이오신기술의 정의와 범위 4. LMO승인 현황 5. 합성생물학 산물의 사례별 규제 논의 동향 6. 정책 제언 ◈본문 1. 개요 가. LMO의 상업화를 위한 규제 ① 개발된 유전자변형생물체(LMO)는 상업화를 위하여 반드시 국가별 국제적 법령 또는 규정에 따라 승인 절차를 거쳐야 하며, 적정한 규제 없이는 사회적 신뢰, 시장 진입, 국제 거래 등 전 분야에서 사업화가 불가능 함 ② LMO의 국가 간 이동 시 발생 가능한 위험 및 환경과 인체에 미치는 위해를 방지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생물다양성협약(CBD; Covention of Biological Diversity)의 부속 의정서인 카르타헤나의정서(Cartagena Protocol on Biosafety to the Conventi
2025-08-20
-
BioINglobal합성생물학의 미래: 정책 과제와 혁신 기회
합성생물학의 미래: 정책 과제와 혁신 기회 김민주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출처 : OECD Science, Technology and Industry Working Papers, 24 February 2025 https://www.oecd.org/en/publications/synthetic-biology-in-focus_3e6510cf-en.html 【요약】 ○ [합성생물학 정의와 현황] - 합성생물학은 생명 시스템을 설계·재설계·제조·변형하는 과학, 기술, 공학이 융합된 분야로, 유전자 편집, AI, 자동화 등과의 융합을 통해 빠르게 발전 - 건강, 식량, 환경,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 변화를 이끌고 있으며, 각국은 바이오경제 전략 강화 추세 ○ [주요 응용 및 기대효과] - (인간 건강) 맞춤형 유전자 및 세포치료, 신속한 백신 개발, 진단 혁신 - (식량안보 및 토양 복원) 고영양 작물, 미생물 비료, 지속가능한 농업 - (순환경제 및 탄소 감
2025-08-11
-
BioINpro[합성생물학 동향] 합성생물학을 활용한 항생제 개발 연구 동향
합성생물학을 활용한 항생제 개발 연구 동향 합성생물학 동향 고려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양동수 교수 남지우, 김유식 ◈ 목차 1. 서론 2. 새로운 항생제 발견을 위한 전략 3. 잠재적 생합성 유전자군(Cryptic BGCs) 활성화를 통한 새로운 항생제 발견 4. 항생제 생산량 증진 전략 5. 항생제의 다양화 6. Conclusion ◈본문 1. 서론 항생제의 오남용은 병원균의 빠른 진화를 촉진시켜 다제내성균(MDR pathogen)의 등장을 초래하였다. 2019년에는 전 세계적으로 약 500만 명이 항생제 내성균으로 인해 사망한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이는 새로운 항생제 개발의 시급성을 부각시키고 있다[1]. 그러나 병원균의 빠른 진화 속도에 비해 항생제의 개발 속도가 미처 따라가지 못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제약회사의 연구개발(R&D) 투자도 점차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신속한 항생제 발굴, 개발, 생산을 위한 연구는 필수적이며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2025-07-21
-
BioINpro[합성생물학 동향] 장기적 관점에서 본 합성생물학 성장 전략과 정책적 고려사항
장기적 관점에서 본 합성생물학 성장 전략과 정책적 고려사항 합성생물학 동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혁신성장실 연구위원 정일영 ◈ 목차 1. 서론 2. 합성생물학 기술기반 확대 및 융합 생태계 강화 3. 장기적 관점에 기반을 둔 정책 설계 4. 지속 가능하고 유연한 재정 지원 및 인재 육성 5. 결론 및 시사점 ◈본문 1. 서론 한국은 세계 최초로 ‘합성생물학 육성법’을 도입하였다. 합성생물학은 생명체의 구성 요소와 시스템을 공학적 방법으로 설계·제작·활용하는 생명공학의 한 분야이다. 즉, 바이오기술을 통해 경제적·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생명체의 기능적 소프트웨어인 DNA 부품을 조합하여 논리적 회로를 설계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생명 시스템을 공학적으로 제작·합성하거나 기존 생명체를 재설계하여 활용하는 기술 및 학문이다. [그림 1] 합성생물학 주요 제품 출처 : 정일영 외(2023), 합성생물학 산업생태계 형성과 기술 거버넌스 연구 합성생물학은
2025-07-15
-
BioINpro [국가 바이오 경쟁력] 국가 바이오 경쟁력 평가: 합성생물학(과학기술)과 바이오파운드리(인프라)를 중심으로
국가 바이오 경쟁력 평가: 합성생물학(과학기술)과 바이오파운드리(인프라)를 중심으로 [국가 바이오 경쟁력] 조원선 /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혁신성장실 부연구위원 ◈ 목차 1.서론 2.주요국 합성생물학 산업생태계 현황 3.글로벌 합성생물학 기술 경쟁력 분석 4.합성생물학 경쟁력의 정성적 평가: 바이오파운드리 역량을 중심으로 5.결론 및 시사점 ◈ 본문 1.서론 바이오 산업은 인공지능(AI)기반 디지털 전환과 맞물려 ‘첨단’ 바이오 산업으로서 새로운 혁신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바이오 산업은 다른 산업과 구분되는 특유의 산업적 특성을 지니는데, 연구개발(research & development, R&D) 전 과정에서 관련 제품이나 서비스가 파생·발전하여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한다는 점에서 성장 잠재력이 큰 분야로 주목받는다(곽노성,2022). 또한 COVID-19과 같은 팬데믹 상황과 국가 간 전략경쟁 심화에 따라 바이오 산업이 국가안보와 직결되는
2025-04-14
발간
더보기-
이슈 보고서2024 합성생물학 이슈페이퍼
2024 합성생물학 이슈페이퍼 Synbio Monthly Information 2024-1 1. 합성생물학 월간동향 (’24.1월) 01 언론 모니터링 1) 과기정통부, 2024년도 바이오 원천기술개발에 5,412억 원 투자 ◉︎ 과기정통부, 2024년도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시행계획 확정 및 추진('24.1.15) ■바이오 분야 미래유망기술을 확보하고, 바이오+디지털 융합을 통한 바이오 혁신 생대계 조성을 위해 '23년 5,594억 원 대비 173억 원(약 3%)이 감소한 5,421억 원 규모의 예산 편성 ※ 과기정통부 전체 예산은 전년도 총 R&D 예산 규모인 6조6천726억 원에 비해 약 12% 감소한 5조9천161억 원 규모로 확인(과학기술분야 연구개발 예산 4조 6,909억 원, ICT분야 1조 1,668억 원 규모) ■첨단바이오 등 전략 기술 확보를 위한 R&D 투자를 강화하기 위해, 합성생물학, 유전자 편집 등에 신규사업 47H에 대해 219억 원을 편성해 기술
2024-12-09
-
이슈 보고서2023 합성생물학 이슈페이퍼
2023 합성생물학 이슈페이퍼 Synbio Monthly Information 2023-1 1. 합성생물학 월간동향 (’23.1월) 01 언론 모니터링 1) 과기정통부, 2023년 바이오 원천기술 개발에 약 5,600억 투자 확정 - 합성생물학 분야에 760억 투입 ◉︎ 정부는 올해 첨단 뇌과학, 합성생물학, 마이크로바이옴, 유전체 등 미래 유망한 바이오 원천기술 개발에 5,594억 원을 투자한다고 밝힘 - 핵심산업육성(1,689억 원), 미래유망기술확보(1,225억 원), 국민건강증진(1,394억 원), 연구·활용 생태계 구축(1,285억 원) 등을 사업 축으로 진행 - 더불어, 바이오산업 육성을 위해 신약, 의료기기, 재생의료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국산 신약 개발에 총 571억 원을 투입해 인공지능을 활용한 플랫폼 고도화 및 구축 등 혁신 기술 개발을 위한 지원을 계획 - 의료기기(656억 원)와 재생의료(462억 원)을 투자해 재생의료를 대비하기 위한 줄기세포 데이터(A
2023-12-14
-
이슈 보고서2022 합성생물학 이슈페이퍼
2022 합성생물학 이슈페이퍼 1.합성생물학 월간동향 ('22.1월) 01.언론 모니터링 1)Forbes 세상을 변화시킬 10대 기술 트렌드 소개 ● 4차 산업혁명 이후 기술 간 융합과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강조되며, 세상을 변화시킬 10가지 주요기술 동향소개 ● 유전자 편집 및 합성생물학을 10대 주요 기술 중 하나로 선정 - 유전자 편집은 질병과의 싸움에서 획기적인 도약을 가져올 것이며, 합성생물학을 통해 제품 생산 방식의 변화가 초래할 것으로 예상 - 합성생물학은 긴 DNA 가닥을 엮어 유기체에 삽입하는 작업으로 이러한 유기체는 완전히 새로운 능력을 선사할 것으로 전망 ● 새로운 기술 트렌드가 결합되어 우리의 삶에 엄청난 변화를 가져오는 지속적이고 빠른 진화의 시대에 진입했으며, 지속적인 변화가 미래의 길임을 인지해야 함 출처 : Forbes, 2022.1.5 2)백신개발 및 제조 가속화를 위한 디지털 트윈 ● GSK, Atos·Siemes와 협력하여 백신 개발 및
2023-03-24
-
이슈 보고서2020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 제9화 “무세포 합성생물학”편
[바이오로 열어가는 2040 미래사회 - “무세포 합성생물학” 편] 제9화 “그들이 만들어온 미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 지난 2월에 발표한 '2020 바이오 미래유망기술(클릭)'에 대해서 10화의 소설을 연재하고자 합니다. 바이오가 열어가는 행복하고 희망찬 미래상 제시를 통해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을 공감하고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2040년 겨울. 유엔 총회에서 ‘썩지 않는 플라스틱’의 사용을 완전히 금지하는 결의안이 3년의 유예기간을 조건으로 통과되었다. 플라스틱을 생산하고 사용할 수는 있지만, 앞으로는 유엔 회원국이라면 반드시 ‘썩는 플라스틱’만 사용해야 한다는 국제규약이 통과된 것이다.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는 2000년대 초반부터 사회문제로 꼽혀왔지만, 발전된 생명과학기술이 조금씩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었다.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인공미생물도 개발돼 쓰레기 처리장 등에서 쓰이고 있었지만, 아무래도 미생물 분해 공정으로 대규모의 플
2021-01-28
동향
더보기-
기술동향
합성생물학 기술 및 투자 동향2025.11.05
한국바이오협회
-
정책동향
합성생물학과 글로벌 환경 거버넌스 동향2025.10.20
합성생물학 지식·정보 허브
-
기술동향
합성생물학을 활용한 천연 색소 및 유도체 생산 기술 동향2025.10.17
합성생물학 지식·정보 허브
-
정책동향
OECD, 합성생물학 분야 정책 이슈 및 기회 분석 보고서 발표2025.09.1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정책동향
합성생물학의 미래: 정책 과제와 혁신 기회2025.08.27
합성생물학 지식·정보 허브
-
기술동향
기후위기 대응과 지속가능성을 위한 합성생물학 연구 동향2025.04.28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
기술동향
합성생물학의 데이터 기반 글로벌 연구동향과 국가경쟁력 분석2025.02.1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정책동향
합성생물학 및 적용산물 규제·관리 정책 전망보고서(개정판)2025.01.23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
산업동향
합성생물학 기반 정밀 발효의 최신 연구 동향과 식품 산업에서의 응용 가능성 검토(2024-19)2024.12.23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
산업동향
합성생물학의 미래: 주요 산업 영향과 중대한 도전 과제2024.12.10
합성생물학 지식·정보허브
-
기술동향
합성생물학의 발전과 도전과제: 스케일업, 지속가능성, 협력과 규제2024.11.15
합성생물학 지식·정보허브
-
산업동향
[합성생물학 월간동향 6월] 상하이 합성생물학혁신센터, 2024 중국 합성생물학 산업 백서 발표2024.07.09
합성생물학 지식·정보허브
-
기술동향
[합성생물학 월간동향] 합성생물학 연구의 조직적 변화: 상향식 접근법을 발전시키는 이머징 이니셔티브2024.06.17
합성생물학 지식·정보허브
-
제도동향
[합성생물학 월간동향] 유럽집행위원회(EC), EU의 생명공학 및 바이오 제조 활성화 방안 발표2024.05.03
합성생물학 지식·정보허브
-
기술동향
[과학기술&ICT 정책·기술 동향 261호] 합성생물학 및 바이오파운드리의 글로벌 동향과 시사점2024.05.02
S&T GPS
-
제도동향
[KBCH브리핑] CBD 제2차 합성생물학 온라인포럼 정리 및 검토2024.04.30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
인프라동향
[합성생물학 월간동향 3월호] 생명연, '바이오파운드리 베타시설'로 합성생물학 인프라 구축 본격화2024.04.03
합성생물학 지식·정보허브
-
기술동향
[ASTI Market Insight 230] 합성생물학2024.03.29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정책동향
[합성생물학 월간동향 2월호] 과기정통부, 12대 국가전략기술 로드맵 완성 및 핵심 프로젝트 선정2024.02.29
합성생물학 지식·정보허브
-
제도동향
[2024년 1월호] 합성생물학 월간동향2024.02.01
합성생물학 지식·정보허브
차트+
더보기뉴스
더보기-
R&D
韓美 석학 “합성생물학, 윤리 안전망과 AI·데이터가 관건”2025.09.26
조선비즈
-
R&D
합성생물학 실험 표준화, 한국이 주도2025.07.22
동아사이언스
-
R&D
[25.07.16.수] 합성생물학은 미래의 달과 화성 기지 건설 및 유지에 기여할 수 있다2025.07.16
Phys.org 외
-
R&D
전세계 최초 '합성생물학 육성법' 제정…"유연성 갖춘 공진화형 제도돼야"2025.07.04
뉴스1
-
R&D
합성생물학 육성법 하위법령 제정 본격 추진2025.06.13
동아사이언스
-
R&D
유전질환 치료·유전자 편집 … 합성생물학의 모든것2025.05.26
매일경제
-
R&D
대전시, 국내 최초 합성생물학 기반 첨단 바이오제조 특구 지정2025.05.22
연합뉴스
-
R&D
AI·합성생물학으로 바이오 혁신 가속…"세계 최대 바이오파운드리 구축 추진"2025.05.02
동아사이언스
-
R&D
AI 만난 합성생물학, 산업계 본격 투자 시작2025.04.07
조선비즈
-
R&D
"AI로 합성생물학 3.0 시대 도래…더 도전적 연구 가능해져"2025.04.04
연합뉴스
-
R&D
합성생물학 육성법 세계 최초 제정…AI·바이오 융합기술 선도2025.04.03
연합뉴스
-
R&D
'합성생물학 육성법' 소위 통과…국가 신성장동력 강화 기대감↑2025.03.12
뉴스1
-
R&D
바이오 분야 반도체 '합성생물학'…미‧중 경쟁 치열2025.01.21
아이뉴스24
-
R&D
제1차 한·영 과기혼성위…합성생물학·핵융합 등 협력 모색2024.11.13
연합뉴스
-
R&D
韓, `합성생물학` 글로벌 협력 강화2024.10.08
디지털타임스
-
R&D
합성생물학 협력위해 20개국이 한국에 모였다2024.10.07
파이낸셜뉴스
-
R&D
합성생물학 발전에 바이오파운드리 필수2024.09.27
매일경제
-
R&D
“레고처럼 유전자 조립 ‘합성생물학’… 반도체 3배 규모 성장할듯”2024.09.10
동아일보
-
R&D
한국 첨단바이오 기술수준 공개…합성생물학 7위, 감염병 백신·치료 11위2024.06.27
동아사이언스
-
R&D
바이오기술의 게임 체인저 ‘합성생물학’2024.05.31
사이언스타임즈
부처보도자료
더보기-
대한민국, 국제 합성생물학 규범 논의 본격 주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5-09-26
-
「합성생물학 육성법」 하위법령 제정 전문가 자문단 출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5-06-13
-
바이오경제 선도를 위한 핵심기반 마련, 「합성생물학 육성법」 제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5-04-03
-
“합성생물학 활용” 담뱃잎에서 식의약 소재 생산 성공
농촌진흥청
2025-02-18
-
“합성생물학 활용” 담뱃잎에서 식의약 소재 생산 성공
농촌진흥청
2025-02-18
-
합성생물학, 새로운 도약을 논의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4-12-24
-
한-국제 합성생물학 협력 주간 개최, 합성생물학 국제 협력의 선두에 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4-10-08
-
과기정통부, 합성생물학 연구현장을 방문하여 첨단바이오의 미래를 논의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4-03-05
-
한국 합성생물학 발전을 위해 산·학·연·정이 함께 모여 머리 맞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3-12-28
-
과기정통부, 「합성생물학 핵심기술개발 및 확산전략」 현장발표회 개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3-10-30
-
과기정통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합성생물학 정책을 논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3-05-11
-
과기정통부, 합성생물학의 미래 책자 발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3-03-31
-
제1회 한-미 합성생물학 공동 학술회의 개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12-12
-
「국가 합성생물학 이니셔티브」 발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11-30
-
「한국 합성생물학 발전협의회」 출범식 개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07-21
-
「합성생물학」기술이 가져올 미래, 시민 여러분의 의견을 듣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06-27
-
합성생물학 분야 전문가 간담회 개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1-08-06
-
차세대 바이오 혁명을 이끌 합성생물학 연구 본격 추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2-04-06
연계정보BICS는 바이오 R&D에서 산업화까지 다양한 정보 자료를 수집하여
이용자들이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더보기
-
기술혁신합성생물학 적용 미생물공장
합성생물학에 의해 재설계된 생합성 경로를 미생물에 구현하여 천연물질, 화학합성 대체물질 및 유용 단백질을 생산
2024-11-25
-
기술혁신무세포 합성생물학
생명활동에 필요한 최소요소(DNA, 단백질 등)로 구성된 무세포 환경에서 유용한 기능을 수행하는 생명 시스템을 제작하는 기술
2024-11-25
-
Bio지표글로벌 합성생물학 시장 현황 및 전망(2015-2030)
○ 글로벌 합성생물학 시장은 ’20년 86.4억 달러 규모를 형성하였으며 ’30년에는 7배 이상 확대되어 약 615.9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 – 연평균 성장률은 2015~2020년 22.5%, 2021~2025년 27.3%, 2025~2030년 16.3%로 성장할 전망
2024-11-12
-
Bio지표합성생물학 응용영역별 시장 비중 현황 및 전망
○ 합성생물학 응용영역을 의약품·진단, 화학, 바이오연료, 바이오플라스틱 등으로 분류하였을 때, 의약품·진단 시장이 가장 큰 규모의 시장을 형성
2024-11-12
-
Bio지표합성생물학 분야-연도별 연구개발비(2018~2022)
2024-10-22
-
Bio지표합성생물학 분야-부처별 연구개발비(2018~2022)
2024-10-22
연계정보
-
연구보고서
더보기
- ntis유전체 설계 기반 합성생물학 플랫폼 기술 구축 및 활용
-
ntis고부가 의약물질 생산을 위한 방선균 시스템 및 합성생물학 원천기술 개발
닫기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고부가 의약물질 생산을 위한 방선균 시스템 및 합성생물학 원천기술 개발/Development of systems and synthetic biology platform technologies of actinomycetes for the production of high value pharmaceuticals
사업 : 202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바이오의료기술개발과제 : 1711153624 한국과학기술원 고부가 의약물질 생산을 위한 방선균 시스템 및 합성생물학 원천기술 개발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212 발행기관명 한국과학기술원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연구개발 목표본 연구에서는 항생제 항암제 면역억제제 등 2차 대사산물 생산의 주요 원천인 방선균의 시스템 및 합성생물학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고부가 2차 대사산물 생산에 적용하고자 함 기 원천기술 개발의 결과로서 유전체 조작이 매우 제한적인 방선균의 유전체 편집엔지니어링 속도를 기존 대비 600 이상으로 증대시키는 것을 목표로함 궁극적으로는 본 과제를 통해 다양한 방선균 기반 고부가 2차 대사산물 대량생산에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방선균 시스템 및 합성생물학 원천기술들을 개발하고자 함 연구개발 내용본 연구과제를 통해 개발될 시스템 및 합성생물학 원천기술 및 이의 응용은 주요 2차 대사산물 생산용 방선균인 Streptomyces coelicolor Streptomyces tsukubaensis Streptomyces venezuelae 등을 대상으로 진행함주요 시스템 및 합성생물학 원천기술과 이의 응용분야 항목1 방선균 유전체 편집유전자 발현 조절 기술 개발 및 최적화 CRISPR를 이용한 방선균 유전체 편집 기술 최적화 제거 기술 삽입 기술 CRISPRai를 이용한 방선균 유전자 발현 미세조절 기술 개발 방선균 유전체 수준 CRISPRi 라이브러리 구축 유전자 발현전사번역 미세조절용 대용량 합성 올리고 기반 인공 PromoterRBS containing 5UTRTerminator PRUT 파트 라이브러리 디자인 및 제작2 빅데이터 및 AI 기반 고품질 방선균 대사 조절회로 모델 구축 및 재설계 유전자 타겟 예측 대사모델 구축 및 고생산성 원인 분석과 재설계 유전자 타겟 예측 방선균에 대한 고품질 대사모델 구축 자동화 및 성능 검증 배양 배지 조건에 따른 유전자 발현량 예측 딥러닝 모델 최적화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응용분야 및 활용범위 포함 FK506의 대량생산 균주개발은 이미 FK506을 시판하고 있는 국내외 제약회사들에게 기술이전 등의 직접적인 투자 대상이 될 수 있음 본 과제에서 개발된 방선균의 시스템생물학 및 합성생물학 원천기술을 통해 기존에 시도하지 못한 유전체 편집 및 새로운 유전자 표적 발굴 기반으로 2차 대사산물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음 본 과제에서 개발된 원천기술들은 pikromycin rapamycin 등 다양한 2차 대사산물에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을 검증함 본 과제에서 개발된 원천기술들은 국내 제약산업 뿐만 아니라 2차 대사산물 학문분야 전체에 걸쳐 상당한 기술 파급력이 있을 것으로 기대됨출처 요약문 3p -
ntis생물학적 금속 나노물질 합성기술을 이용한 바이오수소 생산 극대화 핵심기술개발
닫기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생물학적 금속 나노물질 합성기술을 이용한 바이오수소 생산 극대화 핵심기술개발/Core technology developments for maximizing biohydrogen production using biological metallic nano-material synthesis technology
사업 : 202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과제 : 1711191345 동국대학교 생물학적 금속 나노물질 합성기술을 이용한 바이오수소 생산 극대화 핵심기술개발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403 발행기관명 동국대학교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연구개요 21년 발표된 파리기후협약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규제 및 친환경 에너지 도입 등 정책이 국내외 추진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수소 산업은 친환경 미래 에너지로 주목받으며 그 육성이 중요시되고 있음 최근 바이오 수소 생산 시 nano metal oxide 및 nano composite의 주입을 통해 생산량이 증가할 수 있다는 결과가 보고되나 그 합성 과정에서 사용되는 환원제 및 안정화제 독성이 문제시되고 있음 이에 따라 본 과업에서는 농산 폐기물 및 부산물에 포함된 flavonoides phenolics 및 protein 등의 biomolecules를 추출 이를 환원제 및 안정화제로 사용하여 바이오 수소 생산량 증대를 목표로 하고 있음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과업 최종목표 생물학적 금속나노물질 합성 원천기술 개발을 통한 바이오 수소 생산 극대화 핵심기술 개발 세부 목표 1 농산 부산물 및 폐기물의 추출물을 이용 생물학적 금속나노물질 합성 원천기술 개발 합성 시 입자의 주요 특징인 크기 및 형태는 온도 pH 반응물의 혼합비 등에 영향을 받으며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영향 인자를 개별 구분하여 각각의 인자별 최적 조건을 규명하였음 또한 합성된 각각의 은 나노입자 3종SNP1 SNP2 SNP3의 크기 및 형태와 더불어 추출물에 포함된 biomolecule과 Ag의 결합에 따른 최종 원소의 조성과 산화상태를 조사하였음 세부 목표 2 생물학적 금속나노물질이 적용된 바이오 수소 생산 극대화 기술 개발 은 나노입자를 포함한 zerovalent metalic NPs의 혐기성 소화 적용 시 영향을 다룬 선행연구를 조사하여 은 나노입자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할 예정임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는 생물학적 나노물질 합성과 관련하여 핵심기술 개발의 바탕이 되는 합성 시 최적 조건을 분석하였으며 이는 농업부산물의 자원화를 도모하여 농산물의 새로운 활용처 제안이 기대되며 이로 인한 농가소득 증대 및 환경오염 감소를 달성할 수 있음 또한 본 연구수행 과정은 타 농업 폐기물 및 부산물에 적용할 수 있으며 해당 기질의 환원제로서의 영향을 확인 가능함 따라서 해당 기술을 바이오 수소 생산 극대화 개발에 사용하여 수소 경제 및 그린 뉴딜 등의 국가 주요정책에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출처 연구결과 요약문 2p -
ntis합성생물학과 초고해상도 염색질 3차구조 트레이싱 기술을 이용한 정량적 후성유전조절 메커니즘 연구
닫기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합성생물학과 초고해상도 염색질 3차구조 트레이싱 기술을 이용한 정량적 후성유전조절 메커니즘 연구/Quantitative assessment of epigenetic regulation using synthetic biology and super-resolution chromatin tracing technique
사업 : 202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과제 : 1711203160 한국과학기술원 합성생물학과 초고해상도 염색질 3차구조 트레이싱 기술을 이용한 정량적 후성유전조절 메커니즘 연구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312 발행기관명 한국과학기술원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
과제
더보기
-
ntis고부가 식의약소재 생산을 위한 합성생물학 기반기술 연구
닫기
연계정보(NTIS)
과제고부가 식의약소재 생산을 위한 합성생물학 기반기술 연구
국립농업과학원 정부투자연구비 209,000,000원 총연구비 209,000,000원 농림수산식품 식량작물과학 식량작물 생명공학-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김범기
- 참여연구자이종열;이샛별;최상철;김세원;이성은;이소라;박상규;송재은;심재령;이효;김지수;최효선
연구목표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390001950 기준년도 2025 연구책임자 김범기 과제수행기관 국립농업과학원 정부투자연구비 209,000,000 총연구비 209,000,000 - ○ 합성생물학 및 유전자교정기술 활용 식의약소재 및 기능성 육종 소재 개발
- ○ 고부가 식의약소재 생산을 위한 부품개발, 아그로박테리아를 이용한 밀 유전자 편집 형질전환 효율 증진 및 배추 편집 식물체의 대사산물 프로파일링 ○ 고부가 식의약소재 생산을 위한 모듈/디바이스 개발, 알러지저감 밀 유전자 ○ 편집 형질전환체 선발 및 배추 편집 식물체의 당, 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 조사 ○ 고부가 식의약 소재 생산 최적화, 기능평가 및...
- ○ 합성생물학 기술을 활용한 식물에서 기능성물질 대량 생산 기술 확보로 농업의 새로운 영역 창출 - 프레닐 페놀화합물의 식·의약품 등의 다양한 산업 소재 생산 적용 가능 - 의료용 플라보노이드 대량 생산 기술 개발로 원료 국내 수급에 기여 ○ 밀 대사공학 기반 기술 개발로 국내 개발 건강 기능성 밀 육종소재의 글로벌 종자 시...
- 6T관련효과
- 유전자 변형 생물체 개발기술
-
ntis설계-제작 플랫폼 구축을 통한 합성생물학 고도화 핵심기술 개발
닫기
연계정보(NTIS)
과제설계-제작 플랫폼 구축을 통한 합성생물학 고도화 핵심기술 개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정부투자연구비 637,500,000원 총연구비 637,500,000원 생명과학 융합바이오 달리 분류되지 않는 융합바이오-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이승구
- 참여연구자박성현;이민주;김하성;이대희;권길광;성원재;김성근;전은정;나유진;신종혁;오주성;이진주;김하늘;백수빈;EMELIANOV GEORGII;진채원;박지영;서수민;유정민
연구목표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710068728 기준년도 2025 연구책임자 이승구 과제수행기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정부투자연구비 637,500,000 총연구비 637,500,000 - [데이터이관 글자수 검증으로 인한 추가 텍스트 입력][데이터이관 글자수 검증
- □ DNA 설계/제작/조립 기반 합성생물학 고도화 핵심기술 개발 ㅇ AI 연계 DNA 설계 기술 개발 - AI 기반 유용유전자 발굴 및 예측 기술 개발 - AI 기반 단백질 설계 및 개량 기술 개발 ㅇ 단백질/효소 개량을 위한 머신러닝 기반 유전자 라이브러리 설계, 구축 및 검증 ㅇ 올리고머 설계 소프트웨어 개발(웹기반 Dsembler 소프트웨어) ㅇ ...
- [데이터이관 글자수 검증으로 인한 추가 텍스트 입력][데이터이관 글자수 검증
- 6T관련효과
- 유전체기반 기술
-
ntis합성생물학 응용 확대를 위한 생체모사칩 기반 유전자재조합 생균치료제 검증 파이프라인 확립
닫기
연계정보(NTIS)
과제합성생물학 응용 확대를 위한 생체모사칩 기반 유전자재조합 생균치료제 검증 파이프라인 확립
한국과학기술원 정부투자연구비 191,725,000원 총연구비 191,725,000원 생명과학 유전학·유전체학 형질전환 생물모델-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신우정
- 참여연구자최은호;박지민;조성찬;이호성;김지은;김정민;윤소윤
연구목표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710089957 기준년도 2025 연구책임자 신우정 과제수행기관 한국과학기술원 정부투자연구비 191,725,000 총연구비 191,725,000 - Group B Streptococcus (GBS)에 특이적으로 부착하여 감염병을 치료할 수 있는 유전자재조합 Lactobacillus acidophilus 균주를 개발하고, GBS 저해의 효능과 잠재적 독성을 사람 질 모사칩(Vagina Chip) 플랫폼에서 검증하고자 목표함. 추후 합성생물학 분야에서 두루 활용할 수 있도록 생체모사칩으로 유전자재조합 생균...
- ○ 연구목표 1. GBS 타겟 유전자재조합 생균치료제 개발 (1-2차년도)- GBS에 특이적으로 부착하여 산소 농도에 따라 운동성을 가질 수 있는 유전자회로 설계- Lactobacillus acidophilus 균주 염색체 내 유전자회로 결합- GBS 타겟 생균치료제의 기능 확인○ 연구목표 2. 유전자재조합 생균치료제의 효능 검증 파이프라인 구축 (2-3차...
- [활용계획]- 차세대 eLBP 개발 플랫폼 확장: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유전자 설계 및 기능 부여 전략을 다른 난치성 세균 감염(예: 질염 유발균, 장내 병원균) 타겟 eLBP 개발에 확장 적용.- eLBP 검증 파이프라인 확장: 타 장기의 GBS 감염 모델(대장 등) 혹은 타 질병 타겟 eLBP 검증에 확립한 파이프라인 확장 적용.[기대효과]○ 과학·기술적...
- 6T관련효과
- 바이오신약 개발기술
-
ntis인공유전체 기반 미생물 컨소시엄 제어 합성생물학 기술 개발
닫기
연계정보(NTIS)
과제인공유전체 기반 미생물 컨소시엄 제어 합성생물학 기술 개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정부투자연구비 1,125,000,000원 총연구비 1,125,000,000원 생명과학 융합바이오 달리 분류되지 않는 융합바이오-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이대희
- 참여연구자유지현;이민주;이승구;김하성;강두경;성원재;김성근;이지연;나유진;성봉현;신종혁;연건휘;김하늘;허성보;강호범;김태현;박성군;성민준;최형록;박경민;김수빈;김유신;홍수진;전지수;강윤경;전은하;서수민
연구목표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710068918 기준년도 2025 연구책임자 이대희 과제수행기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정부투자연구비 1,125,000,000 총연구비 1,125,000,000 - [데이터이관 글자수 검증으로 인한 추가 텍스트 입력][데이터이관 글자수 검증
- 1단계(2018-2020): 기계학습 기반 인공유전체 설계기술 개발대표 장내세균 Bacteroidetes의 유전체 분석 및 지능형 유전자회로 개발(2018)Bacteroidetes 유전체의 구조적 연관성 및 다중 오믹스 통합 분석크리스퍼 유전가가위 기반 게놈 스케일 필수유전자 분석 및 게놈 조작 기술염증 지표물질 발굴 및 감지 유전자회로 개발Bacteroi...
- [데이터이관 글자수 검증으로 인한 추가 텍스트 입력][데이터이관 글자수 검증
- 6T관련효과
- 유전체기반 기술
-
ntis고부가 식의약소재 생산을 위한 합성생물학 기반기술 연구
- 논문 더보기
- 특허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