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기세포
줄기세포의 분화 및 운명 결정 등에 대한 우리의 이해가 높아짐에 따라 생명과학의 기초연구에서부터 질병 모델링, 약물 스크리닝 및 조직공학·장기 개발까지 다양한 응용분야의 in vitro 및 in vivo에서 줄기세포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Collection
줄기세포
개념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는 기존의 치료법으로 치료가 불가능했던 여러 난치 질환에 근본적인 치료법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나, 아직 기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많이 남아있고 윤리적인 문제도 남아있다.
바이오인(BioIN)에서는 줄기세포에 관련된 다양한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줄기세포 연구 중요성 및 연구개발 동향
|
|
|||||||||||||||||||||||||||||||||
주요국 및 국내 규제 동향, 윤리·안전성 이슈
|
|
|||||||||||||||||||||||||||||||||
줄기세포 관련 시장동향 및 전망
|
|
|||||||||||||||||||||||||||||||||
내용 출처 |
|
지식
더보기-
BioINwatch줄기세포 치료에 승부를 건 일본, 세계 최초의 iPSC 치료제 승인 기대
줄기세포 치료에 승부를 건 일본, 세계 최초의 iPSC 치료제 승인 기대 BioINwatch(BioIN+Issue+Watch): 25-34 ◇ 일본은 유도만능줄기세포(iPSC)를 중심으로 재생의학 분야에서 글로벌 선도 국가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대규모 투자 및 적극적 규제 완화를 추진. 향후 5∼10년 내 일부 줄기세포 치료가 의료 현장에 도입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추세에서 일본은 세계 최초의 iPSC 치료제 승인이라는 결실을 볼 것으로 기대 ▸주요 출처 : Nature, Japan’s big bet on stem-cell therapies might soon pay off with medical breakthroughs, 2025.4.16. Nature, Don’t rush promising stem-cell therapies, 2025.4.16. ◆︎ 줄기세포 치료가 실용적인 치료 옵션으로 부상하는 가운데 iPSC*에 대한 일본의 대규모 투자 성과 가시화 전망
2025-05-28
-
BioINwatch정교하고 안전한 방식으로 진화하는 줄기세포 치료
정교하고 안전한 방식으로 진화하는 줄기세포 치료 BioINwatch(BioIN+Issue+Watch): 25-5 ◇︎줄기세포 치료는 과거의 기술적·윤리적 한계를 극복하고, 대량생산, 맞춤형 치료, 안전성 개선 등 실질적 진전을 이루는 중. 특히 초기 임상시험의 성공적인 결과가 쌓이면서 줄기세포 치료가 실용적인 치료 옵션으로 부상하면서 향후 5∼10년 내 일부 줄기세포 치료가 의료 현장에 도입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추세 ▸주요 출처 : Nature, Stem cells head to the clinic: treatments for cancer, diabetes and Parkinson’s disease could soon be here, 2024.12.20.; Nature News, Stem cells reverse woman’s diabetes - a world first, 2024.11.26 ◆︎ 줄기세포 치료는 과거의 한계와 실패를 극복하며 더 정교하고 안전한 방식으로
2025-01-16
-
BioINpro[줄기세포 연구동향] 줄기세포를 활용한 인공자궁 개발 동향
줄기세포를 활용한 인공자궁 개발 동향 줄기세포 연구동향 홍인선 /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 목차 서론 1.저출산 문제와 인공자궁 개발의 중요성 2.자궁내막 재생에 활용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자궁 줄기세포 및 특징 2-1. 상피 유사 자궁내막 줄기세포 2-2. 자궁내막의 간질 유사 줄기세포 2-3. 혈관 주위 자궁내막 줄기세포 3.자궁줄기세포를 이용한 자궁내막의 재생 4.조직공학적 접근 5.결론 및 향후 전망 ◈본문 서론 (abstract) 저출산 문제와 난임 치료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자궁내막 재생을 목표로 한 재생 의학 기술, 특히 줄기세포를 활용한 인공 자궁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음. 자궁내막은 임신과 월경 주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손상된 자궁내막은 불임, 유산 및 자궁내 유착 등의 생식 문제를 유발할 수 있음. 자궁내막 줄기세포는 자가 재생 및 다양한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이를 활용한 자궁내막 재생 기술은 다양한 임상
2024-10-04
-
BioINpro[줄기세포 연구동향] off-the-shelf용 저면역원성 유도만능 줄기세포주 확립
off-the-shelf용 저면역원성 유도만능 줄기세포주 확립 줄기세포 연구동향 주지현 교수/ 가톨릭대학교 유도만능 줄기세포 연구소 ◈ 목차 1.개요 가. 유도만능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 유래 치료제 나.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세포치료제 개발 현황 다. 면역거부반응에 따른 만능유도줄기세포를 이용한 세포치료제 개발의 한계 라. off-the-shelf용 저면역원성 유도만능줄기세포주 제작(Universal iPSC) 기술을 통한 한계 극복 2.‘CRISPR-Cas9’을 이용한 off-the-shelf용 저면역원성 유도만능 줄기세포치료제 가. ‘CRISPR-Cas9’을 이용한 임상 허가 사례 나. off-the-shelf용 저면역원성 유도만능줄기세포주(Universal iPSC)의 제작 전략 3.유전자편집 기술을 이용한 유전자 치료제의 규제학적 업데이트 가. 식품의약품 안전처의 ‘유전자편집 기술을 이용한 첨단바이오의약품 품질 평가
2024-09-24
-
BioINpro[줄기세포 연구동향] 세포 전달용 마이크로/나노로봇
세포 전달용 말이크로/나노로봇 줄기세포 연구동향 최홍수 / DGIST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교수 ◈ 목차 1.서론 2.세포 전달 또는 세포 기반 마이크로/나노로봇 가. IN Vitro 세포 전달 마이크로/나노로봇 나. 세포 기반 마이크로/나노로봇 3.마이크로/나노로봇 정밀 제어 기술 가.자기장 기반 마이크로/나노로봇 제어 나. 자기장 기반 마이크로로봇 제어를 위한 자기장 제어 시스템 다. 자기장 제어시스템을 이용한 마이크로/나노로봇 제어 기술 4.향후 과제와 연구개발 방향 5.참고문헌 ◈본문 1. 서론 마이크로/나노로봇은 인간이 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개발되고 있는 첨단로봇으로서, 일반적으로 크기는 수 밀리미터(mm: 1×10-3m)에서 수 나노미터(nm: 1×10-9m)에 이른다. 그러나 이러한 크기로만 마이크로/나노로봇을 정의하기보다는 이러한 크기의 첨단로봇을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학문적 분야를 의미한다. 넓은 의미에서 마이크로/나노로봇은 이러한
2024-09-19
-
BioINwatch종양 형성 과정에서의 줄기세포 상태 변화를 활용한 새로운 암 치료 전략
종양 형성 과정에서의 줄기세포 상태 변화를 활용한 새로운 암 치료 전략 BioINwatch(BioIN+Issue+Watch): 24-41 ◇ 최근 ‘세포기반 차단의학(cell-based interceptive medicine)’ 개념과 연관된 연구결과가 발표. 종양 형성 과정에서 줄기세포의 상태 변화를 분석한 연구팀은 빠른 세포 주기(상위 스파이크, low-가소성)와 느린 세포 주기(하위 스파이크, high-가소성)를 나타내는 2가지 세포 상태를 알게 되었고, 이러한 세포 상태의 전환을 조작함으로써 암 치료의 새로운 전략을 개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 ▸주요 출처 : Science, Stem-cell states converge in multistage cutaneous squamous cell carcinoma development, 2024.1 ■ EU의 LifeTime 이니셔티브*에서는 ‘세포기반 차단의학(cell-based interceptive medicine)’
2024-06-25
-
BioINwatch특정 줄기세포에 대한 항체로 노화된 면역체계의 회춘 가능성 제시
특정 줄기세포에 대한 항체로 노화된 면역체계의 회춘 가능성 제시 BioINwatch(BioIN+Issue+Watch): 24-30 ◇ 노화에 따른 면역력 저하로 감염에 취약해지고 만성 염증 질환이 증가하는데, 이런 면역노화의 주요 원인이 비정상적인 조혈줄기세포군의 증가 때문임을 발견. 연구팀은 마우스 모델에서 비정상적인 조혈줄기세포를 표적으로 제거하는 항체를 이용하여 노화된 면역시스템을 젊게 되돌릴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 향후 항체 치료로 노화된 면역체계를 젊게 유지할 수 있을지 기대 ▸주요 출처: Naure News, How to make an old immune system young again, 2024.3.27., Nature, depleting myeloid-biased haematopoietic stem cells rejuvenates aged immunity, 2024.3.27 ■노령(Aged) 쥐에서 증가된 비정상 조혈줄기세포를 표적으로 공격하는
2024-05-09
-
BioINdustry글로벌 줄기세포 시장 현황 및 전망
[BioINdustry No.189] 글로벌 줄기세포 시장 현황 및 전망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연구원 서순원 ※ 본 보고서는 FORTUNE BUSINESS INSIGHTS에서 발간한 ‘Stem Cells Global Market Analysis, Insights and Forecast, 2023-2030 (2023.9)’ 보고서를 참고로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 재구성한 것임 ◈ 목차 ●요약 ●본문 1.줄기세포 정의 및 시장 분석 범위 2.줄기세포 시장 영향 요인 1.시장 성장 요인 2.시장 저해 요인 3.줄기세포 시장 분석 1.세포 유형별 분석 2.응용 분야별 3.최종 사용자별 4.지역별 분서 4.줄기세포 시장의 주요 기업 [요약] □︎글로벌 줄기세포 시장 규모는 2022년 137억 840만 달러에서 연평균 14.9%로 성장하여 2030년 399억 3,560만 달러로 확대 전망 ○세포 유형별로는 중간엽줄기세포, 응용 분야별로는 연구 부문, 최종 사용자별로는 제약 및 생명공학 기
2024-02-05
발간
더보기-
정책/기획보고서2015년도 생명공학육성시행계획, 2015년도 줄기세포연구시행계획
2015년도 생명공학육성시행계획 (2015년도 줄기세포연구시행계획 포함) (생명공학육성시행계획) 미래창조과학부, 교육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환경부, 해양수산부, 식품의약품안전처 (줄기세포연구시행계획) 미래창조과학부, 교육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미래창조과학부 등 관계 부처는 ‘제2차 2단계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Bio-Vision 2016)’의 체계적 추진과 및 산업화 촉진을 위해 각 관계부처의 이행실적 및 2015년도 세부 추진계획을 종합, 조사·분석한 ‘2015년도 생명공학육성시행계획’과 ‘줄기세포연구종합추진계획(’07~’15)’에 따른 ‘2015년도 줄기세포연구시행계획’을 수립(2015. 9.)하였습니다. 특히, 2015년 생명공학육성시행계획은 ‘제2차 2단계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의 4대 전략에 따른 15대 실천과제의 효율적 이행 및 추진을 위해, 금년부터 4대 전략에 따른 세부추진과제를 설정하고
2015-11-17
-
정책/기획보고서2014년도 생명공학육성시행계획(줄기세포연구시행계획 포함)
(생명공학육성시행계획) 미래창조과학부, 교육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환경부, 해양수산부, 식품의약품안전처 (줄기세포연구시행계획) 미래창조과학부, 교육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미래창조과학부 등 관계 부처는 ‘제2차 2단계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Bio-Vision 2016)’의 효과적 추진을 위해 2013년 부처/관계기관별 실적을 점검하고, 대내외적 환경변화를 반영하여 2014년도 추진계획을 수립한 ‘2014년도 생명공학육성시행계획’ 및 ‘줄기세포연구종합추진계획(’07~’15)’에 따른 ‘2014년도 줄기세포연구시행계획’을 수립(2014. 4.)하였습니다.
2014-07-04
-
연구 보고서줄기세포 연구 및 활용기술
1. 줄기세포 연구 개요 가. 줄기세포란? 1) 줄기세포 정의 및 종류 □ 줄기세포(Stem cell)란 조직분화 과정에서 볼 수 있는 ‘미분화 세포’로, 인체를 구성하는 다양한 조직으로 분화 가능한 세포를 의미함 ○ 줄기세포는 분화능력(Differentiation), 자가복제능력(Self-Renewal), 호밍효과(Homing Effect) 등의 고유한 특성을 지님 - 줄기세포는 이론적으로 모든 종류의 기능세포로 분화 가능하며(분화능) 스스로 자기와 동일한 형태와 능력을 가진 세포를 만들어낼 수 있고 (자가복제능력) 정맥 내 투여 시 손상된 부위를 스스로 찾아가는 능력 (호밍 효과)을 가짐 ◆ 줄기세포 분화 기전을 이해하고 이러한 특성을 활용한다면, 손상된 각종 장기 기능의 근본적인 재생(regeneration)이 가능하며 난치병 치료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음 ○줄기세포는 분화 가능성을 기준으로 210여개의 모든 인체세포로 분화 가능한 ‘만능성(전분화능) 줄기세
2013-10-30
-
정책/기획보고서2013년도 줄기세포연구시행계획
Ⅰ 개 요 1. 계획수립의 근거 및 경위 □ 근 거 ◈ 舊과학기술부 주관으로 범정부 차원의「줄기세포연구 종합추진계획」수립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 ʼ06. 5. 29) - 관계부처는 종합추진계획에 따라 줄기세포연구의 연차별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시행 ※ 관계부처 : 미래창조과학부, 교육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 추진 경위 ○ 2006. 5월 줄기세포연구 종합추진계획(‘07~’15) 수립 - 2007. 3월 2007년도 줄기세포연구 시행계획 수립 - 2008. 6월 2008년도 줄기세포연구 시행계획 수립 - 2009. 7월 2009년도 줄기세포연구 시행계획 수립 - 2010. 6월 2010년도 줄기세포연구 시행계획 수립 - 2011. 6월 2011년도 줄기세포연구 시행계획 수립 - 2012. 5월 2012년도 줄기세포연구 시행계획 수립 - 2013. 6월 2013년도 줄기세포연구 시행계획 수립 ○ 2009. 7월 줄기세포연구 활성화 방
2013-08-08
-
정책/기획보고서2012년 줄기세포연구시행계획
[계획수립의 근거 및 경위] ● 근거 舊과학기술부 주관으로 범정부 차원의 「줄기세포연구 종합추진계획」수립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 '06.5.29) -관계부처는 종합추진계획에 따라 줄기세포연구의 연차별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시행 ※ 관계부처 : 교육과학기술부, 농림수산식품부, 지식경제부, 보건복지부 ● 추진 경위 ○ 2006. 1월 범부처 종합계획 수립 계획 발표(국정현안조정회의) - 2006. 2~5월 종합추진계획 수립을 위한 기획연구 추진 ○ 2006. 5월 줄기세포연구 종합추진계획(‘07~’15) 수립 - 2007. 3월 2007년도 줄기세포연구 시행계획 수립 - 2008. 6월 2008년도 줄기세포연구 시행계획 수립 - 2009. 7월 2009년도 줄기세포연구 시행계획 수립 - 2010. 6월 2010년도 줄기세포연구 시행계획 수립 - 2011. 6월 2011년도 줄기세포연구 시행계획 수립 - 2012
2012-06-29
-
정책/기획보고서2011년 줄기세포연구시행계획
2011년 줄기세포연구시행계획 교육과학기술부 등 4개 부처는 “줄기세포연구 종합추진계획(’06.5)"의 효율적 추진과 향후 줄기세포 연구분야 선진국 도약을 위해 연구개발, 인프라, 인력양성 등 분야별 2011년 계획을 마련하여 “2011년도 줄기세포연구시행계획”을 수립(2011.6) 하였습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활용을 부탁드립니다.
2011-08-11
-
정책/기획보고서2010년도 줄기세포연구시행계획
1. 계획수립의 근거 및 경위 근 거 ◈ 과학기술부 주관으로 정부차원의 「줄기세포연구 종합추진계획」수립(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 ‘06. 5. 29) - 관계부처는 종합추진계획에 따라 줄기세포연구의 연차별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시행 ※ 관계부처 : 교육과학기술부, 농림수산식품부, 지식경제부, 보건복지부 추진 경위 ● 2006. 1월 범부처적 종합계획 수립 계획 발표 (국정현안조정회의) ‑ 2006. 2~5월 종합추진계획 수립을 위한 기획연구 추진 ● 2006. 5월 줄기세포연구 종합추진계획(ʼ07〜ʼ15) 수립 ‑ 2007. 3월 2007년도 줄기세포연구 시행계획 수립 ‑ 2008. 5월 2008년도 줄기세포연구 시행계획 수립 ‑ 2009. 5월 2009년도 줄기세포연구 시행계획 수립 ● 2009. 7월 줄기세포 연구 활성화 방안 수립 ‑ 2010. 5월 2010년도 줄기세포연구 시행계획 수립 2. 줄기세포연구 종합추진계획(ʼ06〜ʼ15) 요약 종합추진계획 중점
2010-08-24
-
정책/기획보고서2009년도 줄기세포연구시행계획
Ⅰ. 개 요 1. 계획수립의 근거 및 경위 □ 근 거 ◈ 과학기술부 주관으로 정부차원의 「줄기세포연구 종합추진계획」수립(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 ’06. 5. 29) - 관계부처는 종합추진계획에 따라 줄기세포연구의 연차별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시행 ※ 관계부처 : 교육과학기술부, 농림수산식품부, 지식경제부, 보건복지가족부 □ 추진 경위 ○ 2006. 1월 범부처적 종합계획 수립 계획 발표 (국정현안조정회의) - 2006. 2~5월 종합추진계획 수립을 위한 기획연구 추진 ○ 2006. 5월 줄기세포연구 종합추진계획(’06~’15) 수립 - 2007. 3월 2007년도 줄기세포연구 시행계획 수립 - 2008. 5월 2008년도 줄기세포연구 시행계획 수립 - 2009. 5월 2009년도 줄기세포연구 시행계획 수립 2. 줄기세포연구 종합추진계획(’06~’15) 개요 ○ 종합추진계획 중점추진 방향 - 체계적이고
2009-09-23
동향
더보기-
기술동향
일본이 쏘아 올린 줄기세포 이용 인간배아 생성 연구2025.09.08
한국바이오협회
-
기술동향
노벨상 수상 이후, 유도만능줄기세포(iPS cell)의 임상적 응용2024.08.05
BRIC
-
기술동향
고순도 장 줄기세포 대량 배양 기술 개발2024.07.22
한국경제
-
기술동향
[NRF R&D Brief 2024-25호] 줄기세포의 근육분화를 통한 배양육 연구2024.07.12
한국연구재단
-
기술동향
인간배아줄기세포의 최근 연구동향 및 전망2024.01.03
BRIC
-
기술동향
중증 천식 환자에서의 자가 골수 줄기세포 치료술2023.09.13
NECA 신의료기술평가사업본부
-
기술동향
동물 실험 대체법으로서 인간 줄기세포를 이용한 약물 개발 현황 및 전망2022.06.29
BRIC
-
제도동향
줄기세포 유래 세포외소포치료제 품질, 비임상 평가정보집2022.03.30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기술동향
[BIO ECONOMY REPORT] 줄기세포 유래 세포외소포를 활용한 뇌졸중치료제 개발2022.03.23
한국바이오협회
-
기술동향
줄기세포 유래 세포외소포 치료제 연구개발 및 규제동향2021.12.29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정책동향
줄기세포 및 오가노이드_기초연구본부 선정 R&D 이슈 연구동향2021.11.22
한국연구재단
-
기술동향
신호전달 세포소기관으로서 미토콘드리아는 포유류 줄기세포 운명을 제어한다.2021.07.30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기술동향
-
기술동향
근육 줄기세포 지지 그룹: 근육 재생 과정 중 조직적인 세포 반응2020.08.21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기술동향
임상적용을 위한 생물공학적 기술을 이용한 줄기세포 배양법2020.08.03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기술동향
줄기세포 연구의 발전과 치료 개발2020.01.29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기술동향
메신저 RNA에 m6A를 쓰고, 지우고, 읽기를 통한 교모세포종 줄기세포에서의 유전자 발현 조절 연구 동향2019.12.02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기술동향
줄기세포 배양 관련 배양액, 성장인자, 소재 등의 국산 제품 개발 동향2019.07.10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기술동향
인공 난소 개발에 있어서 줄기세포의 활용2018.10.15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기술동향
KISTEP 기술동향브리프 줄기세포 (2018-07)2018.06.11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차트+
더보기뉴스
더보기-
R&D
반려동물 줄기세포·엑소좀 치료법은…벳아너스, 최신 증례 교류2025.09.16
뉴스1
-
R&D
365mc, 지방줄기세포 기반 '팽팽크림' 출시…"지방 빼고 팽팽"2025.09.16
뉴스1
-
R&D
줄기세포 기반 인공혈액 대량생산 핵심기술 확보2025.09.15
동아사이언스
-
R&D
우주 비행, 인간 줄기세포 노화 가속화2025.09.05
동아사이언스
-
R&D
[25.08.22.금] 치아 줄기세포 은행에 대한 우려 제기2025.08.22
The Medical News 외
-
R&D
혈액줄기세포 이식 면역합병증 예측 바이오마커 규명2025.08.20
뉴스1
-
R&D
난자·정자 없이 배아 만든다…日, 줄기세포 연구 승인2025.08.19
조선비즈
-
R&D
부산대, 암 줄기세포 표적 치료 방안 개발2025.08.12
전자신문
-
R&D
일본서 자폐증 줄기세포 치료 허가…국산 기술로2025.08.07
연합뉴스
-
R&D
악명 높은 '교모세포종' 줄기세포 면역치료 길 열릴까2025.08.07
동아사이언스
-
R&D
지방줄기세포 보관, 미래 필요할 때 활용 충분…"타이밍 중요"2025.08.01
뉴스1
-
R&D
멸종위기 산양 체세포를 '유도만능줄기세포'로 전환 성공2025.07.30
연합뉴스
-
R&D
뇌 손상 부위 신경줄기세포 이동 가능성 메커니즘 규명2025.07.22
연합뉴스
-
R&D
황우석 이후 학계 지킨 김동욱 "우리 줄기세포 치료제도 상용화 문턱"2025.07.03
조선일보
-
R&D
규제 푸는 한국… '줄기세포 치료제' 일본 추격 나섰다2025.07.03
조선일보
-
R&D
'6억짜리 희귀 산삼' 줄기세포 배양기술로 대량 생산 성공2025.07.02
뉴스1
-
R&D
한국이 황우석에 갇힌 사이, 일본은 줄기세포 파고들어 '의료 혁명'2025.07.02
조선일보
-
R&D
난치성 질환 ‘간질성방광염’ 줄기세포치료제로 세계 첫 임상시험 성공2025.07.01
매일경제
-
R&D
듀센병 유전자치료제 잇따라 좌초…韓 줄기세포가 대안 되나2025.06.19
조선비즈
-
R&D
호날두·히딩크도 택한 줄기세포 치료…'지방'이 뜨는 이유는?2025.06.19
뉴스1
부처보도자료
더보기-
국내 최초로 멸종위기 산양에서 줄기세포 유도 성공
환경부
2025-07-30
-
국가줄기세포은행, 질환자 유래 줄기세포 분양으로 희귀·난치 질환 맞춤형 치료법 개발 활용 기대
질병관리청
2025-02-20
-
국립줄기세포재생센터에서 공급한 줄기치료제, 처음으로 임상시험 승인
질병관리청
2024-10-02
-
국립줄기세포재생센터 제조시설 활용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질병관리청
2024-01-23
-
줄기세포 기술 특허출원, 한국 성장률 2위
특허청
2023-06-05
-
국가줄기세포은행, 값비싼 세포치료제 ‘생산비용 절감을 위한 점검항목’ 발표
질병관리청
2022-09-30
-
줄기세포, 유전자치료 등 첨단재생의료 치료 기반 마련하다!
보건복지부
2020-11-19
-
줄기세포, 유전자치료 등 첨단재생의료 치료 기반 마련하다!
보건복지부
2020-11-19
-
줄기세포, 유전자치료 등 첨단재생의료 치료 기반 마련하다!
보건복지부
2020-11-19
-
국립줄기세포재생센터 GMP 제조시설 본격 가동
보건복지부
2018-05-17
-
말 골질환 줄기세포치료제 국내 최초 개발
농림축산식품부
2017-10-31
-
한국, 줄기세포치료제 임상연구 세계 2번째로 많아
식품의약품안전처
2017-04-24
-
황우석 박사 배아줄기세포주 등록
보건복지부
2016-11-15
-
줄기세포 연구에서 실용화까지 지원하는 국립줄기세포재생센터 문 연다
보건복지부
2016-10-19
-
2015「실용화형 융합연구단」선정, ‘3D 프린팅’, ‘스마트팜’, ‘줄기세포’ 분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5-09-16
-
말 ‘줄기세포’ 치료로 경주마 치료 성적도 올리고, 동물줄기세포 치료 실용화에 박차
농림축산식품부
2015-07-24
-
식약처, 국내·외‘줄기세포치료제 개발 및 규제동향 2014’발간
식품의약품안전처
2015-04-07
-
줄기세포치료제 개발 및 규제동향 2013
식품의약품안전처
2014-03-28
-
국가 줄기세포 관리 분양 체계 구축
보건복지부
2014-03-04
-
국가 줄기세포 관리 분양 체계 구축
보건복지부
2014-03-04
성과
더보기-
오가노이드에서 고순도 줄기세포를 대량 배양하는 기술 개발
2024-03-07
-
영양상태가 줄기세포의 효율을 좌우한다
2012-05-18
-
기존 줄기세포의 한계를 극복한 새로운 세포치료 성공
2012-03-21
-
체세포로부터 신경줄기세포 형성을 통한 새로운 역분화 유도만능줄기세포 제조기술 개발
2011-12-16
-
국내연구진 성체줄기세포의 성장과 분화 조절기전 규명
2011-11-10
-
세계 표준화 줄기세포 분화기술, 상용화된다
2011-11-08
-
물리적 환경 조절만으로도 배아줄기세포의 대량 배양이 가능한 배양 플랫폼 개발
2011-11-01
-
줄기세포 증식․분화 효율 높이는 신개념 세포배양 기판 대량생산기술 개발
2011-10-11
-
환자유래 역분화 줄기세포로 부신백질이영양증의 원인확인 및 신약개발의 플랫폼 제공
2011-07-01
-
역분화 줄기세포를 이용 파킨슨병 치료 가능성 높였다
2011-05-20
-
배아줄기세포와 역분화줄기세포에서 직접 기능성 혈관전구세포로 분화 성공
2010-12-27
-
지방 흡인술로 버려지는 지방 줄기세포를 이용한 골격 재생기술 개발
2010-10-22
-
국내 배아줄기세포 분화 방법, 세계 줄기세포 표준화 프로토콜로 채택
2010-10-21
-
척수 손상 후 발생하는 만성적 신경병증 통증,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가능성 발견
2010-10-08
-
국내서 개발된 배아줄기세포 한국인의 최대 25%에게 이식가능
2010-08-03
-
새로운 혈액줄기세포 공급원으로 “지방조직” 이용가능성 규명
2010-02-05
-
줄기세포 분화 및 역분화의 새로운 기작 발견
2010-01-25
-
사람 지방줄기세포를 이용한 혈관세포 분화기술개발
2008-08-07
-
뇌종양 줄기세포 발생기전 규명
2008-08-01
-
인간 배아줄기세포로부터 세계 최고 수율의 도파민 신경세포 대량 분화 성공
2008-02-26
연계정보BICS는 바이오 R&D에서 산업화까지 다양한 정보 자료를 수집하여
이용자들이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더보기
-
Bio지표글로벌 줄기세포 시장 현황 및 전망(2022~2030)
○ 글로벌 줄기세포 시장 규모는 2022년 137억 840만 달러에서 연평균 14.9%로 성장하여 2030년 399억 3,560만 달러로 확대 전망
2024-11-12
-
Bio지표아시아/태평양 국가별 줄기세포 시장 현황 및 전망(2022~2030)
○ 한국은 아시아/태평양 시장의 12.5%를 차지하며 중국(35.5%), 일본(21.5%)에 이어 시장을 점유 - 시장 규모는 2022년 3억 8,810만 달러에서 연평균 17.5%로 성장하여 2030년 13억 3,91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
2024-11-12
-
Bio지표지역별 줄기세포 시장 현황 및 전망(2022~2030)
○ 북미(전체 시장의 53%), 아시아/태평양(23%), 유럽(18%) 순으로 시장을 점유하고 있으며,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연평균 성장률은 16.8%로 가장 높은 성장세 전망
2024-11-12
-
Bio지표최종 사용자별 글로벌 줄기세포 시장 현황 및 전망(2022~2030)
○ 제약 및 생명공학 기업(전체 시장의 35.8%), 학술 및 연구 기관(30.4%), 병원(21.2%), 기타(12.6%) 순으로 시장을 점유
2024-11-12
-
Bio지표응용 분야별 글로벌 줄기세포 시장 현황 및 전망(2022~2030)
○ 연구 부문은 전체 시장의 65.6%, 임상 부문은 34.4%를 차지하며 시장을 점유
2024-11-12
-
Bio지표세포 유형별 글로벌 줄기세포 시장 현황 및 전망(2022~2030)
○ 중간엽줄기세포(전체 시장의 36.1%), 유도만능줄기세포(28.8%), 성체줄기세포(22.4%) 배아줄기세포(12.7%) 순으로 시장을 점유
2024-11-12
연계정보
-
연구보고서
더보기
-
ntis소장 줄기세포로부터 분비되는 조직 항상성 및 재생 핵심인자 발굴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소장 줄기세포로부터 분비되는 조직 항상성 및 재생 핵심인자 발굴/Identifying the key factors of tissue homeostasis and regeneration secreted from the intestinal stem cells
사업 : 202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과제 : 2710060436 한국과학기술원 소장 줄기세포로부터 분비되는 조직 항상성 및 재생 핵심인자 발굴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501 발행기관명 한국과학기술원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 ntis복합줄기세포(MSC/EPC)를 이용한 뇌졸중 치료제 개발
-
ntis노화된 근육줄기세포에서 자가포식을 억제하는 미토콘드리아 표면 수용체 탐색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노화된 근육줄기세포에서 자가포식을 억제하는 미토콘드리아 표면 수용체 탐색/Searching for a mitochondrial "don't eat me" signal in senescent muscle stem cells
사업 : 202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과제 : 2710060437 한국과학기술원 노화된 근육줄기세포에서 자가포식을 억제하는 미토콘드리아 표면 수용체 탐색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501 발행기관명 한국과학기술원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ㆍ 최종 목표세포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미토파지 과정에서 손상된 미토 콘드리아에서 미토파지를 활성화하는 수용체와는 별개로 정상적인 미토콘드리아에서 미토파지를 억제하는 수용체가 존재하는 지 알아보고자 함 또한 해당 수용체가 세포노화 같은 병태생리학적 상황에서 미토파지를 억제하는데 악용되는지 알아보고자 함ㆍ 전체 내용본 연구에서는 정상 미토콘드리아에서 미토파지를 억제하는 소위 Dont eat mesignal과 같은 역할을 하는 표면 수용체가 존재하는지 그리고 그런 수용체가 세포노화 등의 병태생리학적 상황에서 미토파지를 막는데 악용되진 않는지 알아보고자 함 수용체 후보군 screening을 위해서 먼저 미토파지와 세포노화를 각각 유발하는 실험조건을 확립하여 근접 표지 기법을 이용하 여 해당 조건들에서 감소증가하는 미토콘드리아 외막 단백질들을 탐색하고자 함 또한 단백질 서열 및 구조 분석을 통해 해당 단백질들 중 수용체 후보군을 추려내고 최종 후보군들에 대한 기능분석을 RNAi를 이용하여 진행하고자 함출처 요약문 2p -
ntis고효율/고기능 줄기세포 엑소좀 대량 생산 기술 기반 난치성 질환 치료제 개발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고효율/고기능 줄기세포 엑소좀 대량 생산 기술 기반 난치성 질환 치료제 개발/Development of treatment for intractable diseases based on high-efficiency/high-functioning stem cell and exosome mass production technology
사업 : 2024 중소벤처기업부 TIPS과제과제 : 2420012817 스템엑소원주식회사 고효율/고기능 줄기세포 엑소좀 대량 생산 기술 기반 난치성 질환 치료제 개발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410 발행기관명 스템엑소원(주)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
ntis소장 줄기세포로부터 분비되는 조직 항상성 및 재생 핵심인자 발굴
-
과제
더보기
-
ntis고형암 치료 목적 면역회피능 및 지속성 향상 Universal iPSC(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NK세포치료제 개발
연계정보(NTIS)
과제고형암 치료 목적 면역회피능 및 지속성 향상 Universal iPSC(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NK세포치료제 개발
테라베스트 정부투자연구비 300,000,000원 총연구비 400,000,000원 보건의료 신약·의약품개발 세포/조직치료제-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김신일
- 참여연구자박성진;성진재;이나리;백승기
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710087509 기준년도 2025 연구책임자 김신일 과제수행기관 테라베스트 정부투자연구비 300,000,000 총연구비 400,000,000 - 진행성 간암에 대한 비임상 진입 후보물질 도출을 위한 고형암 치료 목적 면역회피능 및 지속성 향상 Universal iPSC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NK 세포치료제의 생산 및 기능 평가
- 1. 비임상 진입 후보물질 최적화 : 최적화된 면역관용 능력을 갖춘 B2M-HLA-G fusion 재조합 단백질 선별. 2. 비임상 진입 후보물질의 R&D 시설내 대량 생산 : 유전자 편집 벡터 제작 및 donor 벡터 기반 IL15RF/HLA-G knock-in, B2M Knock-out iPSC (Universal iPSC) 제작....
- 임상단계 연구 진입 가능한 Universal iPSC유래 NK세포 비임상 후보물질을 확보하여, 본 과제 완료 후 임상단계 연구 진입 기반을 수립함. 해당 비임상 진입 후보물질은, 이미 임상 시험에서 검증된 NK세포치료제를 동종으로 개발하여 기존 치료 방법으로 간암이 호전 되지 않은 다수의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며 국내에서 생산된 N...
- 6T관련효과
- 바이오신약 개발기술
-
ntis폐 재생 및 섬유화 과정에서 폐 마이크로바이옴에 의한 면역 시스템 및 줄기세포 가소성 조절에 관한 연구
연계정보(NTIS)
과제폐 재생 및 섬유화 과정에서 폐 마이크로바이옴에 의한 면역 시스템 및 줄기세포 가소성 조절에 관한 연구
광주과학기술원 정부투자연구비 12,500,000원 총연구비 12,500,000원 생명과학 면역학/생리학 면역계 발생/기능-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이혜영
- 참여연구자
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340048002 기준년도 2025 연구책임자 이혜영 과제수행기관 광주과학기술원 정부투자연구비 12,500,000 총연구비 12,500,000 - 1. 오가노이드 공배양과 바이오 인포매틱스를 통해 폐 재생과정에서 폐 마이크로바이옴의 다양성을 동정하고 그 역할을 규명하고자 함. 이를 통하여 폐 마이크로바이옴과 줄기세포 분화 가소성 및 면역계 조절을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함. 2. 최종적으로 마이크로바이옴 및 이들 유래의 중요 대사체를 규명함으로써, 폐의 섬유화 질병 발병의 중요 인자를 동정하고 아직까지...
- 1. 배경 이론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물체는 미생물과 상호작용하면서 살아가는 생명체임. 미생물과 그들이 생성하는 대사물질로 구성된 마이크로바이옴은점액질이 있는 장기 (폐, 장등)에 존재함. 이들은 각 장기의 면역계를 조절함. 특히 장 마이크로바이옴은 많이 연구된 바 있지만, 폐 마이크로바이옴은 장 마이크로바이옴에 비해 양이 적기에 제대로 된 연구가 이뤄지지...
- 1. 폐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조기 진단 마커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음. 폐 마이크로바이옴 이상균총(dysbiosis) 패턴과 상응하는 면역 세포 전사체를 파악하여 초기에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는 미생물군을 조기 진단 마커 후보로 선정할 수 있음. 2. 폐 재생을 촉진하는 새로운 치료 전략 연구로 확장 가능함. 폐 마이크로바이옴과 면역세포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
- 6T관련효과
- 생명현상 및 기능연구
-
ntis만능줄기세포를 활용한 합성 배아 착상 인공 자궁 플랫폼 개발
연계정보(NTIS)
과제만능줄기세포를 활용한 합성 배아 착상 인공 자궁 플랫폼 개발
건국대학교 정부투자연구비 12,500,000원 총연구비 12,500,000원 농림수산식품 동물자원과학 동물 번식/발생-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오승연
- 참여연구자
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340048000 기준년도 2025 연구책임자 오승연 과제수행기관 건국대학교 정부투자연구비 12,500,000 총연구비 12,500,000 -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만능줄기세포로부터 유래한 자궁 내막 오가노이드를 기반으로 합성 배아의 체외 착상 플랫폼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여성 생식기관 발달과 배아 착상의 초기 기전을 규명할 수 있는 모사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입니다. 특히 생체 유사성이 높은 자궁 조직 모델을 확립함으로써, 배아와 자궁 간의 상호작용을 재현할 수 있는 인공 자궁 환경을 구현하...
- 연구는 크게 세 단계로 구성됩니다. 첫째, 만능줄기세포를 이용해 자궁 내막 상피세포 및 기질세포로 분화 유도하는 기술을 확립하고, 이들을 조합하여 자연적 자궁 내막의 세포 분포를 온전히 모사하는 자궁 오가노이드를 제작합니다. 이 과정에서 HOX 유전자, WNT/RA 신호 등을 조절하여 발생학적 경로를 모사할 예정입니다. 둘째, 합성배아 또는 배반포 유사체와...
- 본 연구의 성과는 생식의학, 조직공학, 동물 번식학 분야 전반에 파급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첫째, 체외에서 인간 착상 과정을 재현할 수 있는 플랫폼 기술은 착상장애의 병태생리 규명과 치료 전략 수립에 핵심적인 기반이 됩니다. 둘째, 자궁 오가노이드를 활용한 약물 독성 평가 및 생식독성 시험은 기존 동물실험을 대체할 수 있는 고정밀 전임상 모델로 기능...
- 6T관련효과
- 생명현상 및 기능연구
-
ntis집단적 리간드 노출 기반 줄기세포 제어를 위한 분자 다중 입체구조 조절형 소재 개발
연계정보(NTIS)
과제집단적 리간드 노출 기반 줄기세포 제어를 위한 분자 다중 입체구조 조절형 소재 개발
고려대학교 정부투자연구비 12,500,000원 총연구비 12,500,000원 생명과학 융합바이오 나노바이오소재-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김다희
- 참여연구자
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340047865 기준년도 2025 연구책임자 김다희 과제수행기관 고려대학교 정부투자연구비 12,500,000 총연구비 12,500,000 - □ 본 연구개발의 최종 목표는 광자극에 따라 다중 입체구조 전환이 가능한 분자를 2차원 자가조립 단분자층으로 배열하여, 리간드의 집단적 노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성 표면 소재를 구현하고, 광반응성 단위 수에 따른 리간드 노출 정도 조절을 통해 줄기세포의 부착 및 분화 반응을 제어함으로써, 재생의학에 활용 가능한 줄기세포 반응 조절 플랫폼을 개발하는 ...
- □ 1차년도 연구내용은 광유도 다중 입체구조 전환 분자의 자가조립 기반 리간드 노출 조절 인터페이스 최적화임○ 세부 내용 1: 광자극에 따라 다중 입체구조 전환이 가능한 분자 3종 이상 합성 및 핵자기공명분광법, 고분해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 등을 이용하여 분자의 구조 및 순도 검증○ 세부 내용 2: 생체 적용성을 고려하여, 적외선 조사 시 자외선을...
- □ 본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 본 연구에서 개발된 광반응성 분자 다중 입체구조 기반 소재는 외부 광자극으로 세포 부착 및 분화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줄기세포 기반 치료제의 전달 효율을 높이는 플랫폼으로 활용 가능함○ 줄기세포 뿐 아니라 재생성·면역성 세포에도 적용 가능하며, 향후 면역분석 칩, 장기재생 플랫폼 등 정밀의학 분야로 응용 가능함○ 반복...
- 6T관련효과
- 기능성 바이오소재 기반기술
-
ntis고형암 치료 목적 면역회피능 및 지속성 향상 Universal iPSC(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NK세포치료제 개발
-
논문
더보기
- ntisPolydatin 처리에 의한 사람치수줄기세포(hDPSCs)의 증식과 분화촉진 효과
- ntis치과 질환 극복을 위한 줄기세포의 적용
-
ntis무릎 골관절염에 대한 고주파 절제술과 관절 내 중간엽 줄기세포 주사의 비교: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네트워크 메타분석
외부자료(NTIS)
논문무릎 골관절염에 대한 고주파 절제술과 관절 내 중간엽 줄기세포 주사의 비교: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네트워크 메타분석
사업 : 202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과제 : 2710066041 가톨릭관동대학교 요추 신경협착으로 인한 만성 하지 방사통 환자에서 요추 후근 신경절에 대한 박동성 고주파 절제술의 시간에 따른 비교 및 진통 효과 기전 규명저자명(주공동저자),논문구분,학술지명,ISSN,학술지 출판연도 저자명(주공동저자) 박석희;박소윤장재니최영순김동성손정은;박지훈 논문구분 학술지 학술지명 Reg Anesth Pain Med ISSN 1098-7339 학술지 출판연도 2024 -
ntis유치치수유래 줄기세포치료제의 조직재생 임상적용 위한 가능성 고찰
외부자료(NTIS)
논문유치치수유래 줄기세포치료제의 조직재생 임상적용 위한 가능성 고찰
사업 : 202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과제 : 1711184087 (주)셀앤매터 세포배양기질의 강성조절 및 후성유전학적 활성화를 통한 고성능 줄기세포의 확보 및 치수재생에의 활용저자명(주공동저자),논문구분,학술지명,ISSN,학술지 출판연도 저자명(주공동저자) 윤지영 논문구분 학술지 학술지명 대한치과의사협회지 (Journal of Korean Dental Association) ISSN 0376-4672 학술지 출판연도 2024
- 특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