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편집기술
생명체의 유전자 정보를 원하는대로 바꿀수 있는 유전자편집기술(유전자가위라고도 함)은 질병 치료 및 농수축산 분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이러한 공로로 제3세대 유전자편집 기술인 크리스퍼(CRISPR-Cas9) 유전자편집기술을 개발한 과학자들에게 2020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하였습니다.Collection
유전자편집기술
개념
생명체의 유전자 정보를 원하는대로 바꿀수 있는 유전자편집기술(유전자가위라고도 함)은 질병 치료 및 농수축산 분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공로로 제3세대 유전자편집 기술인 크리스퍼(CRISPR-Cas9) 유전자편집기술을 개발한 과학자들에게 2020년 노벨화학상이 수상되었다.
유전자편집기술은 인류의 난제인 질병, 식량, 에너지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로 자리매김 했으나 안전성과 효능의 입증, 사회적 합의 및 법적·윤리적 문제 해결이 선행되어야 한다. 2018년 ‘유전자편집 아기’ 탄생 사건은 유전자편집기술에 대한 국제적인 논의 및 가이드라인 제정을 촉발시키는 계기가 되었고, 의도치않은 편집을 야기하는 오프타켓(off-target)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여기에서는 바이오인에서 담고 있는 유전자편집기술에 관련된 다양한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유전자 편집기술 관련 연구개발 동향
|
|
||||||||||||||||||||||||||||||
유전자편집기술 관련 이슈들 (특허, 제도, 규제 등)
|
|
||||||||||||||||||||||||||||||
유전자편집기술 시장
|
|
||||||||||||||||||||||||||||||
내용 출처
|
|
지식
더보기-
BioINwatch신기술(합성생물학, 유전자편집기술 등) 발전에 따른 유전자변형미생물(GMM)의 합리적 규제 방안
신기술(합성생물학, 유전자편집기술 등) 발전에 따른 유전자변형미생물(GMM)의 합리적 규제 방안 BioINwatch(BioIN+Issue+Watch): 25-21 ◇ 합성생물학, 유전자편집기술 등 신기술의 발전으로 맞춤형 GMM을 정교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되면서 농업과 환경정화 용도를 넘어 다양한 분야에서 GMM 연구와 활용이 증가하는 추세. 그러나 신기술의 정의와 규제 범위가 불분명하여 상업적 활용뿐 아니라 신기술 자체의 발전을 제한. 최근 리뷰 논문에서 GMM의 정교한 기능과 안전성을 동시에 담보하는 유전공학적 설계 및 합리적 규제 방안을 제안 ▸주요 출처 : Nature Microbiology, Design and regulation of engineered bacteria for environmental release, 2025.2.4 ◆︎ 유전자변형미생물(GMM)*의 정교한 기능과 안전성을 동시에 담보하는 유전공학적 설계 및 합리적 규제 방안을 제안
2025-03-27
-
BioINwatch크리스퍼 유전자편집기술의 새로운 트렌드
크리스퍼 유전자편집기술의 새로운 트렌드 BioINwatch(BioIN+Issue+Watch): 24-2 ◇ 1세대 크리스퍼 기술(CRISPR-Cas9, CRISPR 1.0)을 넘어 더 정밀하고 안전하며 효율적인 차세대 크리스퍼 기술(CRISPR2.0)로 도약을 기대. DNA 이중 가닥을 절단하여 표적 유전자의 기능 상실(loss-of-function)만 유도했던 1세대 기술에 비해 차세대 크리스퍼 기술은 DNA 절단 없이 단일 염기쌍을 치환거나 특정 염기서열을 표적 부위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치료 가능 범위를 확장할 것으로 전망 ▸주요 출처: Nature News, CRISPR 2.0: a new wave of gene editors heads for clinical trials, 2023.12.14 ■ 최초의 크리스퍼 유전자편집 치료제인 카스게비*가 승인된 상황에서 1세대 크리스퍼 기술(CRISPR-Cas9, CRISPR 1.0)을 넘어 더 정밀하고 효율적인 차세대 크리스퍼
2024-01-04
-
BioINwatch유전자편집기술 발전과 국내 역량, 그리고 규제 방향
유전자편집기술 발전과 국내 역량, 그리고 규제 방향 BioINwatch(BioIN+Issue+Watch): 23-85 ◇ 유전자편집기술 개발 경쟁이 치열한 상황이지만 국내 역량이 우수하며, 발전 잠재력 또한 높은 것으로 평가. 의료, 농업, 제조 등 유전자편집기술의 파급력을 감안했을 때, 기술 혁신의 꽃이 산업적 열매로 성장할 수 있도록 규제를 합리화(미래지향적 열린 규제 방식)하고, 허가·심사 역량을 강화해나가는 방향으로 지속 발전할 필요 ▸주요 출처 :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BioINdustry No.187, 유전자편집기술의 발전 및 성장 전망, 2023.11; Cells, Cells, The bibliometric ladscape of gene editing innovation and regulation in the worldwide, 2022,11; Nature Biotechnologys, Worldwide CRISPR patent landscape shows st
2023-12-19
-
BioINwatch영국, 세계 최초로 크리스퍼 치료제 승인
영국, 세계 최초로 크리스퍼 치료제 승인 BioINwatch(BioIN+Issue+Watch): 23-80 ◇ 영국 의약품 규제청이 CRISPR-Cas9을 활용한 Ex-vivo 골수세포 치료제, ‘카스게비(Casgevy)’의 판매를 세계 최초로 승인(2023.11.16.). 크리스퍼 기술 발견 10년 만에 이룩한 역사적 이정표이나 높은 약가와 비표적 유전자편집에 대해 우려 ▸주요 출처: Nature News, UK first to approve CRISPR treatment for diseases: what you need to know, 2023.11.16 ■ 영국 의약품 규제청은 CRISPR-Cas9 유전자편집기술이 적용된 세포치료제, 카스게비(Casgevy,미국 상품명 Exa-cel)의 판매를 세계 최초로 승인 ○ 2020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CRISPR-Cas9 기술이 발견 10년 만에 ‘카스게비’ 라는 사상 첫 크리스퍼 치료제로 재탄생 - ‘카스게비’는 유전성 혈액
2023-11-24
-
BioINwatch크리스퍼(CRISPR) 유전자 편집기술, 유전적 예방 접종 시대를 열까?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편집기술, 유전적 예방 접종 시대를 열까? BioINwatch(BioIN+Issue+Watch): 23-18 ◇ 올해 초 네이처, 사이언스에서는 승인이 임박한 최초의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치료제가 올해 큰 이슈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는 가운데, 전 세계 사망 원인 1위인 심혈관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크리스퍼 유전자 편집기술에 대한 임상시험이 지난해 7월 시작. 일반적인 백신과 달리 주사 한 번으로 DNA를 영구적으로 바꿔 평생 예방할 수 있을지 주목 ▸출처 : MIT Technology Review, Next up for CRISPR: Gene editing for the masses? 2023.2.17 ■ 세계 최초의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편집 치료제 승인이 임박한 가운데 유전적 예방 접종의 개념으로 시도되는 크리스퍼 치료법 임상시험을 주목 ○ Vertex Pharmaceuticals와 CRISPR Therapeuti
2023-03-14
-
BioINwatch유전자 편집 CAR-T에 의한 환자 맞춤형 암 치료
유전자 편집 CAR-T에 의한 환자 맞춤형 암 치료 BioINwatch(BioIN+Issue+Watch): 22-81 ◇ 환자의 종양별로 특징적인 돌연변이 단백질을 인식할 수 있도록 유전자 편집기술로 고도화한 T세포는 2개의 첨단 바이오기술(CRISPR 유전자 편집기술, CAR-T 치료기술)을 결합한 새로운 치료방법으로, 그 효과를 확인하는 첫 번째 소규모 임상시험에서 가능성을 제시 ▸주요 출처 : Nature, CRISPR cancer trial success paves the way for personalized treatments, 2022.11.10 ■ CRISPR 등 유전자 편집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임상시험이 진행 중 ○ 임상시험은 유전자 편집기술에 의해 변형된 세포를 주입하는 ex vivo 방식과 유전자 편집 도구를 인체에 직접 주입하는 in vivo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 HIV, 혈우병, 단일 유전질환, 혈액암 및 림프암,
2022-11-23
-
BioINwatch끝이 보이지 않은 크리스퍼 유전자가위/편집 특허 분쟁
BioINwatch(BioIN+Issue+Watch): 22-29 끝이 보이지 않은 크리스퍼 유전자가위/편집 특허 분쟁 ◇ 2015년 이후 크리스퍼(CRISPR-Cas9) 유전자가위기술에 대한 미국 브로드 연구소와 UC버클리의 특허 분쟁이 지속. 미국과 EU에서 서로 다른 특허 결정을 내리고 있고 CRISPR 관련 신기술이 계속 개발되어 관련 특허가 증가함에 따라 크리스퍼 기술을 둘러싼 특허 이슈는 향후 수년간 더 복잡해질 것으로 예상 ▸주요 출처 : Nature, Major CRISPR patent decision won’t end tangled dispute, 2022.3.9.; 동아사이언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특허전쟁 다음 라운드가 오고 있다, 2022.3.7. ▣ 수십억 달러 이상의 가치가 예상되는 크리스퍼 유전자가위(CRISPR-Cas9) 원천 특허를 둘러싼 브로드연구소-UC버클리의 특허 분쟁 지속 ○ 유전체의 특정 DNA를 정확히 찾아 잘라내 교정할 수 있는
2022-04-26
-
BioINregulation인간 유전자 편집 : EU-IN Horizon Scanning 보고서
인간 유전자 편집 : EU-IN Horizon Scanning 보고서 인하대학교 최병현 교수 1. 서론 □유전체 편집은 질병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새로운 생명의학 기술 ㅇ 유전질환, 심혈관질환, 암 등 많은 난치성 질환에 대한 새로운 치료 접근법 제시 ㅇ 기존 치료의 한계를 극복하여 질병에 대한 장기 치료 효과 또는 완치 기대 ㅇ 질병의 치료뿐만 아니라 농업 등 여러 산업에서 활용도 증가 □ 본 Horizon Scanning 보고서의 범위 ㅇ 주요 학술 간행물과1-5 2017년 EMA 전문가 회의 내용 활용6 ㅇ 유전체 편집의 도전과제와 기회를 규제 관점에서 조망 ㅇ 체외(ex vivo) 및 체내(in vivo) 유전체 편집을 이용한 의약품 개발 현황 및 전망 ㅇ 유전체 편집 관련 기초연구, 중개연구 및 농업 등 타 산업 분야는 제외7-9 2. 현황 및 최근 주요 동향 □ 유전체 편집 관련 최근 동향 ㅇ 유전자 조작 및 분석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의약품
2021-12-28
동향
더보기-
기술동향
[이슈 브리핑] '혁명적'이라는 찬사를 받는 새로운 유전자 편집기술 발견2024.07.11
한국바이오협회
-
기술동향
[ASTI Market Insight 248] 유전자 편집 기술2024.04.30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기술동향
유전자 가위 기반 치료제의 비표적유전자(off-target gene) 분석방법 개발 동향2022.04.01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기술동향
CRISPR 이후 개발되는 염기 편집 도구들2021.12.09
BRIC
-
특허동향
CRISPR-Cas9 특허 전쟁의 전개와 분자생물학 연구에 주는 시사점2021.08.04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특허동향
[BIO-IP ISSUE PAPER VOL.01] CRISPR-Cas9 특허 저촉심사(Interference) 등2021.05.18
국가지식재산위원회
-
기술동향
크리스퍼 카스 스페이서 획득의 분자적인 메커니즘2020.12.23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기술동향
CRISPR/Cas9 기술을 이용한 질병 치료 동향2020.01.16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기술동향
단일 crRNA 어레이의 자율처리를 통한 CRISPR-Cpf1에 의한 복수 유전자 편집2018.07.16
BRIC (생물학연구정보센터)
-
기술동향
CRISPR-Cas 시스템 연구의 최신 동향: 유전체, 후성유전체 및 RNA 편집2017.12.12
한국분자 · 세포생물학회
-
기술동향
생명을 디자인하는 유전자 가위의 기술·산업 동향 및 연구 과제2017.12.06
KDB산업은행 리서치센터
-
기술동향
유전자 가위기술 연구개발 동향 보고서2017.06.07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기술동향
CRISPR를 기반으로 한 진핵생물 유전자 교정 기술2017.05.31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정책동향
[제90호 과학기술&ICT 동향] 미국, 인간 유전자 편집 기술 연구 조건적 허용 제안2017.03.21
미래창조과학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기술동향
인류의 미래 재단할 3세대 유전자 가위 CRISPR/Cas92017.01.26
LG경제연구원
-
기술동향
교정을 넘어서서: 정밀한 유전체 조절 및 연구를 위한 CRISPR-Cas9의 재목적화2016.12.27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기술동향
유전자 가위기술을 이용한 인간 임상시험 추진2016.07.13
한국산업기술진흥원 GT KOREA
-
기술동향
치료 목적의 유전자 편집: 앞으로의 전망과 해결해야 할 과제들2016.07.04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기술동향
CRISPR/Cas9을 이용한 혁신적 게놈편집 연구 동향과 윤리적 논쟁2016.01.20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기술동향
CRISPR-Cas 게놈 편집도구를 대체할 수단을 발견2015.11.05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차트+
더보기뉴스
더보기-
R&D
‘DNA 몽타주’ 기억했다 싹둑… 난치병 잡는 ‘3세대 유전자 가위’2025.04.28
문화일보
-
R&D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오류 줄인 고효율 유전자 편집 기술 개발2025.04.25
연합뉴스
-
R&D
[25.04.10.목] 스마트 전달 기술, CRISPR 효율성 높여 쥐의 시력 회복2025.04.10
Phys 외
-
R&D
세계 최초로 유전자 가위 적용…체액 암진단 성능 10배 향상2025.04.01
한국경제
-
R&D
이산화탄소 잡아먹는 미생물, 유전자 가위로 더 강력해진다2025.03.18
조선비즈
-
R&D
암세포 증식 82%까지 줄이는 소형 유전자 가위2025.01.22
동아사이언스
-
R&D
“새 생명까지 만든다는데”…3세대 유전자 가위가 못한 걸 2세대로 성공시킨 국내 연구진2024.10.07
매일경제
-
R&D
유전자 가위로 새로운 암 치료 표적 찾았다2024.08.14
조선비즈
-
R&D
[24.07.10 수] CRISPR를 능가하다: SeekRNA가 유전자 편집의 미래를 어떻게 재정의하는가2024.07.10
SciTechDaily 외
-
R&D
서울대 서상우 교수팀, RNA 타겟팅 CRISPR-dCas13 기반 유전자 번역 다수준 조절 시스템 개발2024.06.28
동아일보
-
R&D
[24.06.27 목] 향상된 CRISPR-Cas12f 시스템을 사용한 효율적이고 구체적인 유전자 발현2024.06.27
Nature 외
-
R&D
[24.06.17 월] 새로운 유전자 편집 치료법은 겸상 적혈구 환자에게 계속해서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줍니다2024.06.17
Eurekalert 외
-
R&D
[24.06.10 월] 과학자들은 정밀 의학 및 암 치료를 위한 새로운 CRISPR 유전자 편집 플랫폼을 개발합니다2024.06.10
Medical X press 외
-
R&D
[24.05.27 월] 간단한 새로운 전략으로 CRISPR 유전자 편집의 안전성과 정확성 향상2024.05.27
SciTechDaily 외
-
R&D
[24.05.22 수] 복잡한 질병을 다루는 새로운 유전자 편집 시스템2024.05.22
Eurekalert 외
-
R&D
헤르페스바이러스도 유전자 가위로 잡는다2024.05.16
조선비즈
-
R&D
[24.05.14 화] 유전자 편집을 통한 헤르페스 치료, 실험실 연구에서 진전2024.05.14
Medical X press 외
-
R&D
[24.05.07 화] 최첨단 CRISPR: 프린스턴 연구원, 보다 정확한 유전자 편집 도구 개발2024.05.07
SciTechDaily 외
-
R&D
챗GPT 닮은 생성형AI로 '유전자 가위' 만든다2024.05.07
동아사이언스
-
R&D
챗GPT 같은 생성형 AI로 질병 고치는 유전자 편집 도구도 만든다2024.04.30
조선비즈
연계정보BICS는 바이오 R&D에서 산업화까지 다양한 정보 자료를 수집하여
이용자들이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더보기
-
기술혁신임상 적용 가능 유전자편집기술
빠르게 진전되고 있는 유전자편집기술을 활용하여 환자 치료 등 임상에 적용하기 위한 고도화 기술
2024-11-25
연계정보
-
연구보고서
더보기
-
ntis토착 담수미생물의 High-throughput screening 및 유전자 편집기술에 의한 화장품용 천연색소 개발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토착 담수미생물의 High-throughput screening 및 유전자 편집기술에 의한 화장품용 천연색소 개발/Development of high-throughput screening system and genome-editing technology to produce natural pigment from indigenous microbe s for cosmetics
사업 : 2023 환경부 야생생물 유래 친환경 신소재 및 공정 기술개발사업과제 : 148501925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토착 담수미생물의 High-throughput screening 및 유전자 편집기술에 의한 화장품용 천연색소 개발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405 발행기관명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
ntis유전자편집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동종 항암면역세포치료제 플랫폼 기술 개발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유전자편집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동종 항암면역세포치료제 플랫폼 기술 개발/Development of platform technology for universal immune cell therapy derived from gene edited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사업 : 2022 중소벤처기업부 산학협력(예비연구)과제 : 1425164741 마루테라퓨틱스 유전자편집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동종 항암면역세포치료제 플랫폼 기술 개발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301 발행기관명 마루테라퓨틱스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 ntis프라임 유전자 편집 기술을 활용한 듀이센형 근이영양증 치료
-
ntisCRISPR/Cas9 유전자편집 기반 HLA-B 혈청형 치환기술 개발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CRISPR/Cas9 유전자편집 기반 HLA-B 혈청형 치환기술 개발/Establishment of the replacing HLA-B serotype system using CRISPR/Cas9
사업 : 2021 교육부 이공학학술연구기반구축(R&D)과제 : 1345333122 한양대학 CRISPR/Cas9 유전자편집 기반 HLA-B 혈청형 치환기술 개발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201 발행기관명 한양대학교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최종 목표HLAB 제거나 HLAB 세로타입 교체 가능한 시스템을 확립하여 HLAB 항원을 조절하여 면역성이 제어된 범용 줄기세포주 제작 1단계 목표CRISPRCas9 기반 HLAB 세로타입 교체 세포주 확립 내용 CRISPRCas9 기반 HLAB 넉아웃 세포주 확립 HLAB 넉아웃 세포주에 CRISPRCas9을 이용하여 HLAB 세로 타입 교체 유전자 넉인 세포주 확립 n단계 목표확립된 HLAB 세로타입 교체된 세포주의 기능 분석 내용 확립된 HLAB 세로타입 교체된 세포주에서 T세포 활성억제 분석 확립된 HLAB 세로타입 교체된 세포주의 전분화능 관련 분석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HLA 동형접합 세포주의 HLA을 조절하는 유전자를 제어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다른 항원 조합의 줄기세포주를 제작할 수 있다면 다양한 HLA 조합을 가진 환자들에게 사용될 수 있는 범용 줄기세포를 개발 할 수 있음 이러한 줄기세포주를 이용하여 개발될 면역원성 제어 범용 줄기세포주는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향후 전 세계인에게 적용될 수 있는 신개념 줄기세포 치료제로 개발 될 수 있음출처 요약문 2p
-
ntis토착 담수미생물의 High-throughput screening 및 유전자 편집기술에 의한 화장품용 천연색소 개발
-
과제
더보기
-
ntisCRISPR 기반 유전체편집기술을 통한 치료 효능 유전자 전달 Biodelivery 시스템 구축 및 유효성 검증
연계정보(NTIS)
과제CRISPR 기반 유전체편집기술을 통한 치료 효능 유전자 전달 Biodelivery 시스템 구축 및 유효성 검증
연세대학교 정부투자연구비 1,125,000,000원 총연구비 1,125,000,000원 보건의료 의생명과학 미생물/기생생물학-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윤상선
- 참여연구자주혜민;박윤지;김예진;유구상;이원준;정연욱;윤이;김형범;김시형;유지환;김영혜;유진선;권경은;박수연;김태현;이우성;김동영;이민영;이한아래;마성혁;류선주;성현아;정욱진;조준호
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710074766 기준년도 2024 연구책임자 윤상선 과제수행기관 연세대학교 정부투자연구비 1,125,000,000 총연구비 1,125,000,000 - 6T관련효과
- 유전자 치료기술
-
ntis유전자편집기술에 의한 고기능성 항산화물질 생산 토마토 육성과 사회적 수용을 위한 거버넌스 방안
연계정보(NTIS)
과제유전자편집기술에 의한 고기능성 항산화물질 생산 토마토 육성과 사회적 수용을 위한 거버넌스 방안
한경국립대학교 정부투자연구비 58,500,000원 총연구비 58,500,000원 농림수산식품 원예특용작물과학 원예특용작물 생명공학-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강권규
- 참여연구자신창선;왕재선;안미정;김종미;강동민;김진영;김학동;NEUPANE BASHU DEV
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340034464 기준년도 2024 연구책임자 강권규 과제수행기관 한경국립대학교 정부투자연구비 58,500,000 총연구비 58,500,000 - 6T관련효과
- 유전자 변형 생물체 개발기술
-
ntis외래 유전자가 남지 않는 임목 유전자 편집 기술 개발
연계정보(NTIS)
과제외래 유전자가 남지 않는 임목 유전자 편집 기술 개발
국립산림과학원 정부투자연구비 741,000,000원 총연구비 741,000,000원 농림수산식품 산림자원학 달리 분류되지 않는 산림자원학-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최영임
- 참여연구자
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400000233 기준년도 2024 연구책임자 최영임 과제수행기관 국립산림과학원 정부투자연구비 741,000,000 총연구비 741,000,000 - 6T관련효과
- 기타 환경기반기술
-
ntis세계 최초 RIDE 기반 유전자 편집 및 치료 기술 개발
연계정보(NTIS)
과제세계 최초 RIDE 기반 유전자 편집 및 치료 기술 개발
제르나바이오텍 정부투자연구비 230,000,000원 총연구비 252,500,000원 생명과학 유전학·유전체학 유전자 편집·치료-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송기태
- 참여연구자서가영
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420011764 기준년도 2024 연구책임자 송기태 과제수행기관 제르나바이오텍 정부투자연구비 230,000,000 총연구비 252,500,000 - 6T관련효과
- 유전자 치료기술
-
ntisCRISPR 기반 유전체편집기술을 통한 치료 효능 유전자 전달 Biodelivery 시스템 구축 및 유효성 검증
- 논문 더보기
- 특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