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미래유망기술 소개
생명현상 연구(생명과학)를 기반으로 향후 5∼10년 이내에 기술적 또는 산업적 실현이 가능하고, 향후 기술적 혁신성, 산업적 혁신성 및 사회문제 해결 가능성에 대한 파급효과가 높게 전망되는 기술(과학, 현상, 개념 포함)로 정의
- 바이오 - 생명현상 연구(생명과학)를 기반으로 과학적 지식의 발견을 촉진, 문제해결 또는 유용제품 생산에 활용할 수 있고
- 미래 - 향후 5∼10년 이내에 기술적 또는 산업적 실현이 가능하며,
- 유망기술 - 기술적 혁신성, 산업적 혁신성 및 사회문제 해결 가능성에 대한 파급효과가 높게 예측되는 기술

구분 | 정의 |
---|---|
기술적 혁신성 | 관련분야의 기술발전을 혁신하거나 기술적 문제해결에 영향력 발휘 |
산업적 혁신성 | 관련분야의 산업발전을 혁신하거나 광범위한 경제적 영향력 발휘 |
국내외 연구 동향
- 국외
세계경제포럼(WEF), MIT, 가트너(Gartner), 맥킨지(McKinsey), 테크캐스트 (Techcast) 등에서 미래유망기술 또는 전략기술 발표
- 국내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등에서 기관에 따라 주제별 미래유망기술 발표
연구 목적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요소로 인식되고 있는 바이오 분야 미래유망기술 발굴 프로세스 구축 및 이를 활용한 미래유망기술 발굴
- 국내외 주요 기관별 사례를 살펴보면 대상 기술은 과학기술 전분야 또는 ICT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바이오 분야를 대상으로 하는 사례는 전무
- 바이오 분야의 미래비전을 제시하여 선도적인 바이오 기술개발 및 산업발전에 활용 가능한 바이오 미래유망기술 발굴 방법을 정립
- 이를 통해 발굴된 바이오 기술이 우리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제시하고, 더 나아가 바이오 연구개발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는데 활용
- 또한 산학연 연구자들에게는 핵심기술 개발의 단초를 제공하고, 정책 입안자들에게는 정책 및 투자 방향의 참고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
- 또한 산학연 연구자들에게는 핵심기술 개발의 단초를 제공하고, 정책 입안자들에게는 정책 및 투자 방향의 참고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
연구 방법
- 2015년 '기술융합형', 2017년 '이슈대응형', 2018년 '혁신발견형', 2019년 이후 그간의 노하우가 결집된 '혁신공감형'으로 추진 중
-
- 2022년부터 KRIBB은 KISTI 미래기술분석센터와 협력을 통해 연구 추진
- 바이오 R&D 전문 역량(KRIBB)과 데이터 분석 전문역량(KISTI)을 융합하여, 객관적이고 정확한 결과 도출 기대
연구 과정
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이미지의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
1단계 혁신형 seed 발굴 혁신적 연구성과 모니터링
track1 과학기술 위크시그널 탐색 데이터 공유(kisti),전문가회의를 통한 혁신형 시드(키워드)발굴 track2 그간 발굴된 미래유망 후보기술 재평가 track3 nature,science 뉴스 및 연구 이슈 상시 모니터링(최근1년) -
2단계 미래유망기술 선정 인사이트 통합
미래유망 후보기술 도출:전문가 회의 및 인터뷰를 통한 논의,연구분야별 전문가,시니어과학자/미래유망 후보기술 평가:바이오인 회원 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시,후보기술 도출에 참여한 전문가 대상 평가 실시 3단계 공감 형성 동영상/SNS 홍보
기술설명 확대 및 SNS 홍보:유뷰트 동영상, 네이버 블로그, 페이스북 카드뉴스 등 친화적인 형태 전달,전문가 원고 집필 미래유망기술 선정
*워크시그널 : 논문 텍스트 데이터에서 추출한 기술 키워드를 대상으로 머신러닝 방법을 적용하여 최근 데이터 변화를 감지하여 단기간 내 급부상한 키워드를 발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