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병
감염병은 세균, 스피로헤타, 리케차, 바이러스, 진균, 기생충과 같은 여러 병원체에 의해 감염되어 발병하는 질환이며, 특히 2019년 12월 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은 인류의 삶을 크게 변화시켰습니다.Collection
감염병
개념
감염병은 세균, 스피로헤타, 리케차, 바이러스, 진균, 기생충과 같은 여러 병원체에 의해 감염되어 발병하는 질환으로 병원체에 의한 감염은 음식의 섭취, 호흡에 의한 병원체의 흡입, 다른 사람과의 접촉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발생하며 제1급감염병, 제2급감염병, 제3급감염병, 제4급감염병, 기생충감염병, 세계보건기구 감시대상 감염병, 생물테러감염병, 성매개감염병, 인수(人獸)공통감염병 및 의료관련감염병을 말한다.
“제1급감염병”이란 생물테러감염병 또는 치명률이 높거나 집단 발생의 우려가 커서 발생 또는 유행 즉시 신고하여야 하고, 음압격리와 같은 높은 수준의 격리가 필요한 감염병으로서 다음 각 목의 감염병을 말한다. 다만, 갑작스러운 국내 유입 또는 유행이 예견되어 긴급한 예방ㆍ관리가 필요하여 질병관리청장이 보건복지부장관과 협의하여 지정하는 감염병을 포함한다.(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법률, 21.03 참조)
- 에볼라바이러스병, 마버그열, 라싸열, 크리미안콩고출혈열, 남아메리카출혈열, 리프트밸리열, 두창, 페스트, 탄저, 보툴리눔독소증, 야토병, 신종감염병증후군,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동물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 신종인플루엔자, 디프테리아
미국 등 주요 선진국들은 현재 감염병 발생을 글로벌 안보이슈로 인식하고 관련 연구개발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하면서 감염병연구개발과 대응관리 체계의 연계에 주력하는 추세이며, 2000년 이후 국제수역사무국(OIE)과 세계보건기구(WHO) 및 세계각국에서는 환경-동물-인간이 하나라는 개념으로 감염병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원헬스(One Health) 개념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2019년 12월 말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생하여 전세계로 확산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은 인류의 삶을 크게 변화시켰으며 의료, 교육, 문화·관광, 금융, 유통 등 거의 모든 분야가 비대면·디지털 방식으로 빠르게 전환되는 계기가 되었다.
여기에서는 바이오인에서 담고 있는 코로나19를 포함한 감염병에 관련된 다양한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글로벌 감염병 연구 프로그 램 |
|
국내외 감염병 정책연구 현황 |
|
코로나19 관련 동향 |
|
출처 |
|
지식
더보기-
BioINwatch동물 감염병 및 인수공통감염병 제어를 위한 자가 전파형 백신(Transmissible Vaccines)
동물 감염병 및 인수공통감염병 제어를 위한 자가 전파형 백신(Transmissible Vaccines) BioINwatch(BioIN+Issue+Watch): 24-67 ◇︎야생 동물에서 시작해 인간에게 전파되는 인수공통감염병(zoonosis)의 병원체는 전통적인 백신 접종으로 통제가 불가능. 이에 스스로 확산하며 특정 동물 집단에 백신을 전파하는 자가 전파형 백신을 주목. 그러나 백신으로 사용하는 바이러스의 예상치 못한 변이 발생과 같이 기술적, 윤리적 측면의 도전과제들도 존재 ▸주요 출처 : Science, Developing transmissible vaccines for animal infections, 2024.4.18 ◆야생 동물에서 시작해 인간에게 전파되는 인수공통감염병(zoonosis)의 병원체는 전통적인 백신 방법으로 통제가 불가능 ○야생 동물을 포획하여 개별적으로 백신을 접종할 수 없기 때문인데,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는 데에 자가 전파형 백신(Transmis
2024-10-24
-
BioINwatch기존 백신의 단점을 보완한 자가증폭 mRNA 코로나19 백신
기존 백신의 단점을 보완한 자가증폭 mRNA 코로나19 백신 BioINwatch(BioIN+Issue+Watch): 24-58 ◇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코로나19 예방용 백신 코미나티주는 초기 예방 효과를 입증했으나, 면역 지속성이 짧아 부스터 샷이 필요. 면역원성이 더 우수한 백신에 대한 미충족 수요 상황에서 저용량으로 더 강력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자가증폭 mRNA 코로나 백신을 주목 ▸주요 출처 : Global research, Replicon mRNA Vaccine: Japan Approves World’s First self-Amplifying mRNA Vaccine, 2024.1.3, Lancet, Persistence of immune response of a self-amplifying RNA COVID-19 vaccine(ARCT-154) versus BNT162b2, 2024.2.1 ■지난해 일본 후생노동성은 자가증폭(self-amp
2024-09-04
-
BioINwatch바이오의학 연구에 대한 코로나19의 교훈
바이오의학 연구에 대한 코로나19의 교훈 BioINwatch(BioIN+Issue+Watch): 23-25 ◇ 미국 NIH 원장이었던 프랜시스 콜린스(Francis Collins)를 비롯하여 다양한 관계자들이 참여하여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면서 얻은 바이오의학 연구에 대한 교훈을 정리하여 사이언스에 발표. 코로나19의 가장 가치 있는 교훈은 바이오 기초 및 응용연구의 통합 노력으로, 수천 명의 창의적인 과학자, 관리자 및 커뮤니티의 협력이 크게 기여했으며, 또한 수십 년 동안 발견한 과학적 성과와 내용을 신속하면서도 그것도 무료로 접근할 수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판단 ▸주요 출처 : Science, The NIH-led research response to COVID-19, 2023.2.2 ■ 미국 NIH 전 원장 프랜시스 콜린스(Francis Collins)가 다양한 관계자와 함께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면서 얻은 바이오의학 연구에 대한 교훈을 정리하여 사이언스에 발표
2023-04-11
-
BioIN4P감염병 분야 4P 분석
감염병 분야 4P 분석 -Paper(논문), Patent(특허), Product(산업), Portfolio(투자) - Paper(논문) 글로벌 국내 연도별 발표현황 연도별 발표현황 주요 국가 주요 국가(공동연구 현황) * 한국은 3,235건으로 18위 주요 연구기관 주요 연구기관 * 각 대학의 부속병원 논문 수 포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2022-06-29
-
BioIN4P코로나19 분야 4P분석
코로나19 분야 4P분석 - Paper(논문), Patent(특허), Product(산업), Portfolio(투자) - Paper(논문) 글로벌 국내 연도별 발표현황 연도별 발표현황 주요 국가 주요 국가(공동연구 현황) * 한국은 4,528건으로 18위 주요 연구기관 주요 연구기관 * 각 대학의 부속병원 논문 수 포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2022-06-27
-
BioINregulation바이오 분야 리스크의 인지 : 코로나19 이후 인지 비교
바이오 분야 리스크의 인지: 코로나19 이후 인지 비교 한양대학교 김태윤 교수 코로나19의 영향으로 4차 산업혁명은 더욱 가속화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바이오 분야 기술이 핵심 산업으로 주목받음. 미국의 비즈니스 미디어 매거진인 Inc.는 2022년 주요 기술과 비즈니스에 영향을 미친 10대 트렌드 중 하나로 바이오기술의 모멘텀을 선정함. 전 미국 IT매체 CNET(씨넷)은 2022년 5가지 기술 트렌드 중 하나로 팬데믹과 미래 건강이라고 함. 씨넷은 세계는 팬데믹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으며, 원격의료가 일반화되고 새로운 백신과 치료제가 개발될 것으로 전망함 이처럼 바이오 분야 이슈에 대한 다방면적 논의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님. 바이오 기술은 사람의 생명 현상과 직결되어 리스크의 파급효과를 예측하기 쉽지 않음. 이에 바이오 기술은 타 분야에 비해 기술의 리스크에 따른 갈등 및 수용거부 문제를 예민하게 다뤄야 함. 따라서 리
2022-05-31
-
BioINwatch미국 정부의 코로나19 후유증(Long COVID) 대응방안
BioINwatch(BioIN+Issue+Watch): 22-36 미국 정부의 코로나19 후유증(Long COVID) 대응방안 ◇ 코로나19 후유증(Long COVID)은 최대 2,300만 명의 미국인에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 그 원인과 경제·사회적 파급력이 미지수인 상황에서 미국 정부는 코로나19 후유증에 대처하는 지원방안을 마련 ▸주요 출처 : GAO, Science & Tech Spotlight: Long COVID, 2022.3.2.; The Lancet, Long COVID: aiming for a consensus, 2022.5.4.; S&T GPS, 미국, 롱코비드의 예방, 진단, 치료를 위한 범정부적 대응 정책 발표, 2022.4.5. ▣ 코로나19 후유증(Long COVID)은 최대 2,300만 명의 미국인에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되며, 원인과 경제·사회적 파급력 등은 미지수 ○ 코로나19 후유증은 일반적으로 코로나19 감염 이후 증상이 지속 혹은
2022-05-26
-
BioINwatch새로운 코로나19 mRNA 백신 개발을 위한 노력
BioINwatch(BioIN+Issue+Watch): 22-30 새로운 코로나19 mRNA 백신 개발을 위한 노력 ◇ Pfizer-BioNTech과 Moderna에서 개발한 2개의 mRNA 백신은 코로나19 극복에 큰 역할을 하였지만, 유통의 어려움과 기술 공개 거부로 저소득 국가는 접종이 어려운 상황. 이에 여러 국가에서 취급이 쉽고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mRNA 기반 백신 개발을 위해 노력 중 ▸주요 출처 : Science, New crop of COVID-19 mRNA vaccines could be easier to store, cheaper to use, 2022.4.5 ▣ Pfizer-BioNTech과 Moderna에서 개발한 코로나19 mRNA 백신은 전 세계 코로나19 대유행 극복의 돌파구를 제공 ○ 두 가지 백신 모두 최소한의 부작용으로 효과적인 면역 반응을 유발하며, 효능 시험에서도 인상적인 결과를 도출 - Pfizer-BioNTech과 Moder
2022-04-28
동향
더보기-
정책동향
코로나19 백서2025.07.01
보건복지부
-
기술동향
감염병 현장 진단 기술 연구 동향2025.06.17
감염병기술전략센터
-
정책동향
트럼프 행정부와 글로벌 감염병 대응의 미래2025.05.29
감염병기술전략센터
-
정책동향
국내 첨단바이오·감염병 R&D 정책 동향2025.05.27
감염병기술전략센터
-
기술동향
호흡기 감염병 진단 기술 동향2024.10.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기술동향
신·변종 감염병 백신 연구개발 동향 정보집 발간2024.09.13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기술동향
감염병 백신・치료2024.06.20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정책동향
COVID-19 사회적 대응 결과 분석 및 향후 감염병 유행 시 적용 가능한 정책 대응 방안 연구2024.06.19
한국보건의료연구원
-
기술동향
만성 코로나19 증후군(Long COVID)의 증상 및 관련 연구 동향2024.01.23
한인과학기술자네트워크
-
제도동향
[생물의약품] 코로나19 백신 신속 국가출하승인 정보집2024.01.10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제도동향
[이슈 브리핑] 일본, 세계 최초 자가증폭 mRNA 코로나19 백신 승인2024.01.02
한국바이오협회
-
인프라동향
코로나19가 미국의 과학기술 연구 인력에 미친 영향2023.12.28
한인과학기술자네트워크
-
제도동향
코로나19 환자 치료를 위한 최신근거 기반 다학제 임상진료지침 개발 - living guideline 방법론 적용: 약물 외2023.12.07
한국보건의료연구원
-
제도동향
코로나19 환자 치료를 위한 최신근거 기반 다학제 임상진료지침 개발 - living guideline 방법론 적용: 약물2023.12.06
한국보건의료연구원
-
산업동향
[이슈 브리핑] 다이이찌산쿄, 일본 정부와 코로나19 mRNA 백신 공급계약 체결2023.11.28
한국바이오협회
-
정책동향
코로나19의 건강영향과 정부의 대응정책에 대한 인식 격차2023.10.04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정책동향
2022년 법정 감염병 신고 현황2023.09.26
질병관리청
-
제도동향
[이슈 브리핑] 일본 최초 코로나19 mRNA 백신 허가가 갖는 의미2023.08.14
한국바이오협회
-
기술동향
인천공항과 인천항을 통해 해외에서 유입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감시 현황2023.07.20
질병관리청
-
기술동향
2022년 신종ㆍ재출현 감염병 위기관리 대응훈련 실시 결과2023.07.03
질병관리청
차트+
더보기뉴스
더보기-
R&D
질병청, '니파바이러스 감염증' 제1급감염병 신규 지정2025.09.09
전자신문
-
R&D
생명연, 28~29일 제4회 APIS 포럼 개최...아시아-태평양 감염병 공조 강화 논의2025.08.28
전자신문
-
R&D
한국, 감염병예방혁신연합 '중앙실험실 네트워크' 신규 참여2025.08.06
뉴스1
-
R&D
현대바이오사이언스, 코로나19 경구치료제 임상 결과 국제학술지 게재2025.08.04
매일경제
-
R&D
AI 과학자 모여 몇분이면 '회의 끝'..며칠 만에 코로나19 치료제 후보 92개 도출2025.08.01
동아사이언스
-
R&D
루카스바이오, ‘중증 코로나19 완치 성과’ 국제 학술지 게재2025.07.31
디지털타임스
-
R&D
3만 7000년 걸친 유라시아 감염병 지도…가축화, 전염병 불렀다2025.07.28
동아사이언스
-
R&D
[25.07.24.목] 코로나19에 걸리지 않아도, 팬데믹 속에서의 삶 자체가 뇌의 노화를 더 빠르게 만든다2025.07.24
Medical news 외
-
R&D
코로나19 팬데믹이 '뇌' 노화시켰나…"감염 없어도 평균 5개월 더 늙어"2025.07.23
동아사이언스
-
R&D
생명연 "공기 중 항생제 내성균 간편 검출…감염병 대응 패러다임 전환"2025.07.17
아시아경제
-
R&D
성홍열·A군 연쇄상구균 확산에 의료계 경고…“코로나 이후 감염병 대응 체계 붕괴 우려”2025.07.04
바이오타임즈
-
R&D
故 이건희 회장 기부 1조원, 감염병 막을 의료 인프라 만든다2025.07.04
조선비즈
-
R&D
[25.07.04.금] 기후 변화가 감염병에 미치는 영향2025.07.04
Gen 외
-
R&D
기후위기 속 인수공통감염병 대응, 정부·학계 머리 맞댔다 外2025.07.01
동아사이언스
-
R&D
헬리코박터·HPV…감염병만 예방해도 암 덜 걸린다2025.07.01
동아사이언스
-
R&D
2024년 감염병 전년 比 54.5%↑…호흡기감염병 유행 영향2025.06.26
메디포뉴스
-
R&D
"쥐 콧속 투여 후 100% 생존"…코로나19 원점 타격 기술 개발2025.06.24
연합뉴스,
-
R&D
코로나19 바이러스 ‘증식 원점’ 타격…새 치료 전략 제시2025.06.23
동아사이언스
-
R&D
신종감염병 대응 '백신 개발지원'…'첨단백신개발센터' 세운다2025.06.13
뉴스1
-
R&D
질병청, 'AI로 매개체 실시간 분석'…감염병 막는다2025.06.12
뉴스1
부처보도자료
더보기-
니파바이러스감염증, 제1급 법정감염병 및 검역감염병으로 신규 지정
질병관리청
2025-09-09
-
질병관리청장, 신종감염병 발생 대비 방역물자 비축센터 현장 점검
질병관리청
2025-08-08
-
한국, 감염병예방혁신연합(CEPI) ‘중앙실험실 네트워크’ 참여기관으로 신규 지정
질병관리청
2025-08-06
-
건강한 나라지킴이! 질병청, 국방부, 지자체가 감염병 훈련으로 뭉친다
질병관리청
2025-07-09
-
‘글로벌 감염병 대응역량 확보’를 위한 국제연구협력 본격화
질병관리청
2025-07-04
-
질병관리청-감염병전문병원-지자체 의료대응 인프라 및 전략 논의
질병관리청
2025-06-24
-
mRNA에서 미래로: 감염병 대응을 위한 첨단 백신 기술 전략 논의
질병관리청
2025-06-20
-
미래감염병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국가첨단백신개발센터 착공
질병관리청
2025-06-13
-
사람-동물-환경 기반의 감염병 공동대응 체계 점검
농림축산식품부
2025-06-05
-
사람-동물-환경 기반의 감염병 공동대응 체계 점검
농림축산식품부
2025-06-05
-
태국과 감염병 대응 협력, 동남아 방역 공조 강화
질병관리청
2025-06-05
-
질병관리청 감염병 실험실 운영 표준, 글로벌 확산 첫발
질병관리청
2025-05-29
-
감염병 대응, 한·미 공중보건 실험실 진단 협력의 문을 열다
질병관리청
2025-05-29
-
‘박쥐 유사장기(오가노이드)’로 미래 감염병 세계적 대유행(팬데믹) 막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5-05-16
-
감염병 대유행 대비 「국가비축물자 중장기 계획(’25~’29)」 수립
질병관리청
2025-04-18
-
질병관리청-몽골 국립감염병센터 국제개발협력 사업 성과 도출을 위한 협력 논의
질병관리청
2025-04-07
-
국립감염병연구소, 미래 감염병 대비를 위한 항체개발 전문가 간담회 개최(2.25.화)
질병관리청
2025-02-26
-
국제백신연구소 글로벌생물자원센터 개소, 질병관리청과 신변종 감염병 대응 협력 강화 기대
질병관리청
2025-02-24
-
여행자 호흡기 감염병 검사 서비스 시범사업 시행
질병관리청
2025-02-17
-
질병청, 호흡기 감염병 유행 상황 집중 점검
질병관리청
2025-01-13
성과
더보기-
공기 중 부유 항생제 내성균의 간편 현장 검출 기술···감염병 대응 패러다임 전환
2025-07-29
-
폐 질환 모델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폐 손상 악화 입증
2025-06-12
-
코로나19 바이러스 빠른 대량 증식 원리 신규 규명 및 치료 후보물질 확대 가능성 제시
2024-07-03
-
코로나19·메르스·사스 바이러스의 가지각색 감염 전략
2024-04-30
-
AI 챗봇, 코로나19 불안감 해소 돕는다
2023-01-18
-
영장류 모델 실험을 통해 코로나19 바이러스 특성 확인
2020-08-05
-
의료현장에서 30분만에 감염병을 정확하게 진단
2015-07-31
-
감염병 매개 살인진드기 방제를 위한 바이오소재 개발
2014-12-19
연계정보BICS는 바이오 R&D에서 산업화까지 다양한 정보 자료를 수집하여
이용자들이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더보기
-
Bio지표감염병 분야-부처별 연구개발비(2018~2022)
2024-10-22
-
Bio지표감염병 분야-연도별 연구개발비(2018~2022)
2024-10-22
연계정보
-
연구보고서
더보기
-
ntis감염병 대응을 위한 비대면 기반 의료인 교육프로그램 국제표준 개발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감염병 대응을 위한 비대면 기반 의료인 교육프로그램 국제표준 개발/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based clinical practice support system and international standard
사업 : 2020 산업통상자원부 국가표준기술개발및보급과제 : 1415169587 플라잉마운틴 감염병 대응을 위한 비대면 기반 의료인 교육프로그램 국제표준 개발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110 발행기관명 플라잉마운틴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최종 목표최종목표ㅇ 가상현실기반 임상실습 시뮬레이션 참조콘텐트모델 PWI제안ㅇ VRARMR 기반 임상실습 정보 시스템 PWI 제안ㅇ VR기반 임상실습지원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 및 시범적용 전체 내용1차년도 개발내용ㅇ 가상현실기반 임상실습 시뮬레이션 참조콘텐트모델 PWI제안 Reference content model for VR based clinical practice simulation표준화기구명 ISO TC215ㅇ VRARMR 기반 임상실습 정보 시스템 PWI 제안 VRARMR based clinical practice information systems 표준화기구명ISOIEC JTC 1AG 13 JTC1ㅇ VR기반 임상실습지원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 및 시범적용ㅇ 의장 수임 1건 유지 ISOIEC JTC 1SC 24 Chair 수임 유지ㅇ Convenor 수임 1건 유지 ISOIEC JTC 1AG 13 Use cases for VRAR Based ICT integration systems Convener 수임유지ㅇ 국제회의 개최 11회 비대면ㅇ 국제회의 참가 22회 비대면출처 요약문 2p -
ntis감염병 필수 진단기기.의약품.방역품.개인보호장비(PPE)의 재고. 유통. 물류 관리 플랫폼 요구사항 국제표준 개발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감염병 필수 진단기기.의약품.방역품.개인보호장비(PPE)의 재고. 유통. 물류 관리 플랫폼 요구사항 국제표준 개발/Development of International Standards for Requirements of Stock. Distribution. Logistics Management Platforms for Essential Diagnostic Device. Medicine. Quarantine Supplies. Personal Protective Equip...
사업 : 2020 산업통상자원부 국가표준기술개발및보급과제 : 14151696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감염병 필수 진단기기.의약품.방역품.개인보호장비(PPE)의 재고. 유통. 물류 관리 플랫폼 요구사항 국제표준 개발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110 발행기관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최종 목표최종목표 감염병 필수 의료자원의 식별 및 재고유통물류 관리 플랫폼 요구사항 국제표준 개발 PWI 등록1차년도 목표 감염병 필수 의료자원의 식별 및 재고유통물류 관리 플랫폼 요구사항 국제표준 개발 PWI 등록 PWI 등록 ISO stage code 0060 PreliminaryClose of review 전체 내용1차년도 개발내용 감염병 필수 의료자원의 식별 및 재고유통물류 관리 플랫폼 요구사항 국제표준 개발 Requirements of a stock management platform for infectious disease emergency response IDER출처 요약문 3p -
ntis감염병 재난 상황에서 체외진단기기 등의 긴급사용승인 및 후속 평가 국제표준 개발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감염병 재난 상황에서 체외진단기기 등의 긴급사용승인 및 후속 평가 국제표준 개발/Development of international standards for emergency use authorization and follow-up evaluation of in vitro diagnostic medical devices in pandemic crisis
사업 : 2020 산업통상자원부 국가표준기술개발및보급과제 : 1415169616 순천향대학교산학협력단 감염병 재난 상황에서 체외진단기기 등의 긴급사용승인 및 후속 평가 국제표준 개발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110 발행기관명 순천향대학교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최종 목표최종 목표ㅇ 감염병 재난 상황에서 체외진단기기 긴급사용승인 및 후속 평가 표준개발과 국제표준화 진행1차년도 목표 표준제안제정ㅇ NP 제안 1건 표준명 감염병 재난 상황에서 체외진단 의료기기의 긴급사용승인 및 시판 후 안전관리 국제표준 ISO TC 212 WG3 Form 4형식 초안 작성 및 TC 212 전문위원을 통한 NP 제안 IMDRF Working Item 초안 작성 및 working item 제안ㅇ 국가표준 신청 KS표준안 마련 및 KS표준안 상정ㅇ 기타 정부 및 산학연 전문가위원회 구성 1건 전문가위원회 및 COSD TC212 등의 표준검토위원회 개최 분기별 1회 총4건 이상 표준안 검증 2건 KS 진행 전문위원회 동의서 ISO NP 진행 전문위원회 동의서 국제표준화 활동 국제회의 참가 2회 과제책임자 GD 등록 전체 내용1차년도 개발내용ㅇ ISO TC212 WG3 NP 제안 완료 1건 표준명 Considerations for emergency use in vitro diagnostic medical devices in pandemic crisisㅇ 국가표준 초안 마련 표준명 감염병 재난 상황에서의 체외진단의료기기의 긴급사용 승인을 위한 고려사항ㅇ 기타 정부 및 산학연 전문가위원회 구성 1건 전문가위원회 및 COSD TC212 등의 표준검토위원회 개최 분기별 1회 총4건 이상 표준안 검증 2건 KS진행 전문위원회 동의서 ISO NP 진행 전문위원회 동의서 국제표준화 활동 국제회의 참가 3건 ISOTC 212 W3 국제회의 참가 2건 APEC 국제규제조화회의 참가 1건 과제책임자 GD 등록 1건출처 요약문 2p -
ntis초고령화 대응 감염병 극복을 위한 차세대 항균 나노섬유 개발 및 생체적합성 평가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초고령화 대응 감염병 극복을 위한 차세대 항균 나노섬유 개발 및 생체적합성 평가/Development of Next-Generation Antibacterial Nanofibers and Biocompatibility Assessment for Infectious Diseases in The Super-Aged Society
사업 : 202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과제 : 2710035728 한국과학기술원 화 대응 감염병 극복을 위한 차세대 항균 나노섬유 개발 및 생체적합성 평가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502 발행기관명 한국과학기술원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ㆍ 최종 목표초고령화 대응 항균섬유의 항균 효과 검증과 항균 메커니즘 규명 및 생체적합성 평가를 통해 개발한 산화 그래핀 기반 나노섬유의 의료용 소재 및 의복으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후속 개발을 위해 대형과제 유치를 위한 기반을 마련함ㆍ 전체 내용 연구 목표 초고령화 대응 감염병 극복율 위한 차세대 항균 나노섬유 개발 및 생체적합성 평가 산화 그래핀의 항균 효과 확인 및 검증 산화 그래핀을 물리화학적으로 개질하여 항균 효과를 in vitro 에서 검증함으로써 최적의 조건을 도출함 산화 그래핀의 항균 메커니즘 규명 산화 그래핀으로 인한 항균 작용의 원리를 규명하기 위해 여러 조건에서의 항균 메커니즘을 연구함 산화 그래핀 복합 나노섬유 제작 및 항균성 검증 항균 후보 물질로 산화 그래핀을 이용하여 산화 그래핀의 함유량을 최적화하여 복합 나노섬유를 제작 및 생산하고 산화 그래핀 복합 나노섬유의 항균을 검증함 산화 그래핀 복합 나노섬유의 생체적합성 및 피부 상처 감염 동물 모델 치료 효능 연구 산화 그래핀 복합 노섬유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in vitro에서의 세포독성 확인 및 in vivo에서의 감염 상처 극복 정도와 생체적합성을 CFU 측정 및 조직 분석 등을 통해 확인함출처 요약문 3p
-
ntis감염병 대응을 위한 비대면 기반 의료인 교육프로그램 국제표준 개발
-
과제
더보기
-
ntis면역 반응 및 바이러스 동역학 기반 감염병 수리 모델링
연계정보(NTIS)
과제면역 반응 및 바이러스 동역학 기반 감염병 수리 모델링
경희대학교산학협력단 정부투자연구비 12,500,000원 총연구비 12,500,000원 수학 응용수학 바이오수학-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이효순
- 참여연구자
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340048830 기준년도 2025 연구책임자 이효순 과제수행기관 경희대학교산학협력단 정부투자연구비 12,500,000 총연구비 12,500,000 - 본 연구개발과제의 최종 목표는 면역 반응과 체내 바이러스 증식 동역학으로부터 도출된 감염력을 기반으로 하여 개인 수준과 집단 수준의 전파 과정을 통합적으로 반영하는 멀티스케일 수리 모델을 구축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바이러스 부하와 면역계 반응을 수리적으로 구조화하고,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감염력을 정량적으로 산출한다. 해당 감염력은 개인 내 동태에서 집...
- 본 연구는 감염병의 개인 내 면역 반응과 바이러스 증식 과정을 수리적으로 구조화하고, 이를 집단 수준의 전파 모델과 연계하는 멀티스케일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중심으로 한다. 먼저, 체내에서 일어나는 바이러스 감염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건강한 세포, 감염된 세포, 체내 바이러스, 활성화된 면역세포 및 면역 기억세포 간의 상호작용을 수리모델로 구성한다. 이 과...
- 본 연구개발과제를 통해 구축되는 멀티스케일 감염병 수리 모델은 다양한 측면에서 실질적인 활용 가능성과 기대효과를 지닌다. 먼저, 공중보건 정책 수립 및 평가 분야에서는 지역별, 연령별 감염력 차이를 반영한 정밀 방역 전략 설계가 가능해진다. 체내 바이러스 동역학을 기반으로 한 감염력 분석을 통해 사회적 거리두기 수준 설정, 백신 접종 우선순위 조정, 진단검...
- 6T관련효과
- 위의 미래유망신기술(6T) 103개 세분류에 속하지 않는 기타 연구
-
ntis날개불구병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꿀벌에서의 사회적 행동 변화와 분자생리학적 반응과의 상관관계 연구
연계정보(NTIS)
과제날개불구병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꿀벌에서의 사회적 행동 변화와 분자생리학적 반응과의 상관관계 연구
경북대학교산학협력단 정부투자연구비 12,500,000원 총연구비 12,500,000원 농림수산식품 농생물학 곤충 생리/병리/활용-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박예은
- 참여연구자
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340049200 기준년도 2025 연구책임자 박예은 과제수행기관 경북대학교산학협력단 정부투자연구비 12,500,000 총연구비 12,500,000 - 날개불구병 바이러스(deformed wing virus, DWV)에 감염된 꿀벌의 행동 변화를 관찰하고, 이러한 행동 변화가 어떤 기작으로 유발되는지 행동 관련 분자 마커의 발현 변화, CHC 구성성분의 변화를 분석하여 분자 생리학, 화학 생태학적인 관점으로 구명하고자 함.
- Aim 1. DWV에 감염된 내/외역봉의 행동 변화와 유전자 발현 변화 비교 분석- 내역봉의 경우 영양교환(trophallaxis)의 감소, 영양교환 실패로 인해 다른 상대를 찾기 위한 군집 내 활동성 증가, 접촉을 통한 바이러스 전파를 위해 육아행동(nursing)의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외역봉의 경우 꿀벌 뇌의 optic lobes, ante...
- 꿀벌의 병원체 감염에 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고 있지만, 주로 이스라엘 급성마비병 바이러스(Israeli acute paralysis virus, IAPV), 노제마병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므로 DWV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임. 이에 본 연구과제에서 DWV 감염에 따른 행동 변화와 분자 생리학, 화학 생태학적 분석을 통해 [DWV-감염 개...
- 6T관련효과
- 농업·해양 생물자원의 보존 및 이용기술
-
ntis감염병 이해를 위한 숙주-병원체 단백질 상호작용 예측 인공지능 모델 개발
연계정보(NTIS)
과제감염병 이해를 위한 숙주-병원체 단백질 상호작용 예측 인공지능 모델 개발
서울대학교 정부투자연구비 148,927,000원 총연구비 148,927,000원 생명과학 융합바이오 생물정보학-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백민경
- 참여연구자김윤지;박상근;윤민수;박창욱;이호원;강민지;박정훈;배준혁;김관욱
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710087666 기준년도 2025 연구책임자 백민경 과제수행기관 서울대학교 정부투자연구비 148,927,000 총연구비 148,927,000 - 본 연구는 숙주-병원체 단백질 결합구조 및 상호작용을 예측하는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숙주-병원체 단백질 상호작용 인실리코 스크리닝 수행하여 감염병에 대한 이해를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구조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숙주-병원체와 같은 이종 단백질 간의 결합구조 예측에 특화된 인공지능을 개발하고, 상호작용에 대한 실험 스크...
- 기존의 같은 종끼리 짝지어진 서열모음(paired MSA)에 의존하지 않는 이종 단백질-단백질 결합구조 예측에 특화된 인공지능 모델을 perceiver와 같은 cross-attention을 활용하여 설계한다. 구조 데이터베이스에 일차적으로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을 물리화학 원리를 보상함수로 사용하는 강화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추가학습을 진행하여 과적합 위험...
- 개발된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하여 새로운 감염병이 발생했을 때 빠르게 숙주-병원체 단백질 상호작용 및 결합체 구조를 예측하여 구조 기반 백신/치료제 개발의 핵심인 감염병의 기전 이해와 그 결합구조들을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통해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숙주-병원체 상호작용에 대한 원자수준의 이해를 확대하고, 인실리코 스크리닝 연구를 수행함으로...
- 6T관련효과
- 생물정보학 기술
-
ntis사회 정치적 양극화 및 백신 접종 거부를 반영한 감염병 확산의 수리적 모델링
연계정보(NTIS)
과제사회 정치적 양극화 및 백신 접종 거부를 반영한 감염병 확산의 수리적 모델링
경희대학교산학협력단 정부투자연구비 6,000,000원 총연구비 6,000,000원 보건의료 보건학 감염병역학-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윤강현
- 참여연구자
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340048628 기준년도 2025 연구책임자 윤강현 과제수행기관 경희대학교산학협력단 정부투자연구비 6,000,000 총연구비 6,000,000 - 본 연구는 감염성이 매우 높은 고위험 병원체를 대상으로, 사회 정치적 양극화에서 비롯된 백신 거부 등 사회적 행동이 전파 역학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 행동 기반 감염병 확산 모델'을 통해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함.
- 백신 접종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양극화 기반 의견 확산 과정을 통합하여, 감염병 확산을 설명하는 SEIR ODE 모델 개발을 진행함.개인별 이질성을 반영한 사회적 양극화 상황 속 백신 접종과 감염병 확산을 설명하는 행위자 기반 모델 개발을 진행함.
- 본 연구를 통해 지구 온난화, 인구 증가 등으로 인해 향후 발생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감염병에 대해, 국내의 사회·정치적 양극화가 팬데믹 대응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음. 이러한 분석 결과는 사회적 양극화가 공중보건 위기에 미치는 잠재적 위험성을 제시함으로써 사회 통합을 위한 정책적 개입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음. 또한 본 연구는 감염병 유...
- 6T관련효과
- 위의 미래유망신기술(6T) 103개 세분류에 속하지 않는 기타 연구
-
ntis면역 반응 및 바이러스 동역학 기반 감염병 수리 모델링
-
논문
더보기
-
ntis감염병에 대응한 리질리언스 지역재생모델 개발 및 적용 -핫스팟분석을 활용한 감염취약지역 분석 및 설계적 대안
외부자료(NTIS)
논문감염병에 대응한 리질리언스 지역재생모델 개발 및 적용 -핫스팟분석을 활용한 감염취약지역 분석 및 설계적 대안
사업 : 202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과제 : 2710064548 공주대학교 COVID-19의 교훈 : 감염병에 대응한 리질리언스 도시재생모델 개발 및 활용 -딥러닝과 가상현실 기반 시뮬레이터 활용을 중심으로저자명(주공동저자),논문구분,학술지명,ISSN,학술지 출판연도 저자명(주공동저자) 윤정환;이장훈김태우;이경환 논문구분 학술지 학술지명 방재연구센터 논문집 ISSN 1229-2281 학술지 출판연도 2024 - ntis다중흐름모형을 활용한 코로나19 시기의 감염병 정책변동 분석
-
ntis보호동기이론과 대처이론에 기반한 여행 위험지각, 대처, 여행 반응에 관한 연구 : 코로나19 팬데믹 말기 감염병 위험을 중심으로
외부자료(NTIS)
논문보호동기이론과 대처이론에 기반한 여행 위험지각, 대처, 여행 반응에 관한 연구 : 코로나19 팬데믹 말기 감염병 위험을 중심으로
사업 : 2022 교육부 인문사회기초연구과제 : 1345357465 (사)한국대학교육협의회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여행의도와 여행 회피의도: 위험인식, 정서적 두려움, 보호동기, 행동대응, 심리적 회복탄력성, 그리고 여행 동기의 영향관계저자명(주공동저자),논문구분,학술지명,ISSN,학술지 출판연도 저자명(주공동저자) 김성조;김재학;김재학 논문구분 학술지 학술지명 地域政策硏究(충북연) ISSN 1976-2755 학술지 출판연도 2024 - ntisLAD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미래감염병 관리 방안 분석
-
ntis감염병에 대응한 리질리언스 지역재생모델 개발 및 적용 -핫스팟분석을 활용한 감염취약지역 분석 및 설계적 대안
- 특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