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병
감염병은 세균, 스피로헤타, 리케차, 바이러스, 진균, 기생충과 같은 여러 병원체에 의해 감염되어 발병하는 질환이며, 특히 2019년 12월 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은 인류의 삶을 크게 변화시켰습니다.Collection
감염병
개념
감염병은 세균, 스피로헤타, 리케차, 바이러스, 진균, 기생충과 같은 여러 병원체에 의해 감염되어 발병하는 질환으로 병원체에 의한 감염은 음식의 섭취, 호흡에 의한 병원체의 흡입, 다른 사람과의 접촉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발생하며 제1급감염병, 제2급감염병, 제3급감염병, 제4급감염병, 기생충감염병, 세계보건기구 감시대상 감염병, 생물테러감염병, 성매개감염병, 인수(人獸)공통감염병 및 의료관련감염병을 말한다.
“제1급감염병”이란 생물테러감염병 또는 치명률이 높거나 집단 발생의 우려가 커서 발생 또는 유행 즉시 신고하여야 하고, 음압격리와 같은 높은 수준의 격리가 필요한 감염병으로서 다음 각 목의 감염병을 말한다. 다만, 갑작스러운 국내 유입 또는 유행이 예견되어 긴급한 예방ㆍ관리가 필요하여 질병관리청장이 보건복지부장관과 협의하여 지정하는 감염병을 포함한다.(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법률, 21.03 참조)
- 에볼라바이러스병, 마버그열, 라싸열, 크리미안콩고출혈열, 남아메리카출혈열, 리프트밸리열, 두창, 페스트, 탄저, 보툴리눔독소증, 야토병, 신종감염병증후군,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동물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 신종인플루엔자, 디프테리아
미국 등 주요 선진국들은 현재 감염병 발생을 글로벌 안보이슈로 인식하고 관련 연구개발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하면서 감염병연구개발과 대응관리 체계의 연계에 주력하는 추세이며, 2000년 이후 국제수역사무국(OIE)과 세계보건기구(WHO) 및 세계각국에서는 환경-동물-인간이 하나라는 개념으로 감염병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원헬스(One Health) 개념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2019년 12월 말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생하여 전세계로 확산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은 인류의 삶을 크게 변화시켰으며 의료, 교육, 문화·관광, 금융, 유통 등 거의 모든 분야가 비대면·디지털 방식으로 빠르게 전환되는 계기가 되었다.
여기에서는 바이오인에서 담고 있는 코로나19를 포함한 감염병에 관련된 다양한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글로벌 감염병 연구 프로그 램 |
|
국내외 감염병 정책연구 현황 |
|
코로나19 관련 동향 |
|
출처 |
|
지식
더보기-
BioINwatch동물 감염병 및 인수공통감염병 제어를 위한 자가 전파형 백신(Transmissible Vaccines)
동물 감염병 및 인수공통감염병 제어를 위한 자가 전파형 백신(Transmissible Vaccines) BioINwatch(BioIN+Issue+Watch): 24-67 ◇︎야생 동물에서 시작해 인간에게 전파되는 인수공통감염병(zoonosis)의 병원체는 전통적인 백신 접종으로 통제가 불가능. 이에 스스로 확산하며 특정 동물 집단에 백신을 전파하는 자가 전파형 백신을 주목. 그러나 백신으로 사용하는 바이러스의 예상치 못한 변이 발생과 같이 기술적, 윤리적 측면의 도전과제들도 존재 ▸주요 출처 : Science, Developing transmissible vaccines for animal infections, 2024.4.18 ◆야생 동물에서 시작해 인간에게 전파되는 인수공통감염병(zoonosis)의 병원체는 전통적인 백신 방법으로 통제가 불가능 ○야생 동물을 포획하여 개별적으로 백신을 접종할 수 없기 때문인데,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는 데에 자가 전파형 백신(Transmis
2024-10-24
-
BioINwatch기존 백신의 단점을 보완한 자가증폭 mRNA 코로나19 백신
기존 백신의 단점을 보완한 자가증폭 mRNA 코로나19 백신 BioINwatch(BioIN+Issue+Watch): 24-58 ◇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코로나19 예방용 백신 코미나티주는 초기 예방 효과를 입증했으나, 면역 지속성이 짧아 부스터 샷이 필요. 면역원성이 더 우수한 백신에 대한 미충족 수요 상황에서 저용량으로 더 강력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자가증폭 mRNA 코로나 백신을 주목 ▸주요 출처 : Global research, Replicon mRNA Vaccine: Japan Approves World’s First self-Amplifying mRNA Vaccine, 2024.1.3, Lancet, Persistence of immune response of a self-amplifying RNA COVID-19 vaccine(ARCT-154) versus BNT162b2, 2024.2.1 ■지난해 일본 후생노동성은 자가증폭(self-amp
2024-09-04
-
BioINwatch바이오의학 연구에 대한 코로나19의 교훈
바이오의학 연구에 대한 코로나19의 교훈 BioINwatch(BioIN+Issue+Watch): 23-25 ◇ 미국 NIH 원장이었던 프랜시스 콜린스(Francis Collins)를 비롯하여 다양한 관계자들이 참여하여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면서 얻은 바이오의학 연구에 대한 교훈을 정리하여 사이언스에 발표. 코로나19의 가장 가치 있는 교훈은 바이오 기초 및 응용연구의 통합 노력으로, 수천 명의 창의적인 과학자, 관리자 및 커뮤니티의 협력이 크게 기여했으며, 또한 수십 년 동안 발견한 과학적 성과와 내용을 신속하면서도 그것도 무료로 접근할 수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판단 ▸주요 출처 : Science, The NIH-led research response to COVID-19, 2023.2.2 ■ 미국 NIH 전 원장 프랜시스 콜린스(Francis Collins)가 다양한 관계자와 함께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면서 얻은 바이오의학 연구에 대한 교훈을 정리하여 사이언스에 발표
2023-04-11
-
BioIN4P감염병 분야 4P 분석
감염병 분야 4P 분석 -Paper(논문), Patent(특허), Product(산업), Portfolio(투자) - Paper(논문) 글로벌 국내 연도별 발표현황 연도별 발표현황 주요 국가 주요 국가(공동연구 현황) * 한국은 3,235건으로 18위 주요 연구기관 주요 연구기관 * 각 대학의 부속병원 논문 수 포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2022-06-29
-
BioIN4P코로나19 분야 4P분석
코로나19 분야 4P분석 - Paper(논문), Patent(특허), Product(산업), Portfolio(투자) - Paper(논문) 글로벌 국내 연도별 발표현황 연도별 발표현황 주요 국가 주요 국가(공동연구 현황) * 한국은 4,528건으로 18위 주요 연구기관 주요 연구기관 * 각 대학의 부속병원 논문 수 포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2022-06-27
-
BioINregulation바이오 분야 리스크의 인지 : 코로나19 이후 인지 비교
바이오 분야 리스크의 인지: 코로나19 이후 인지 비교 한양대학교 김태윤 교수 코로나19의 영향으로 4차 산업혁명은 더욱 가속화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바이오 분야 기술이 핵심 산업으로 주목받음. 미국의 비즈니스 미디어 매거진인 Inc.는 2022년 주요 기술과 비즈니스에 영향을 미친 10대 트렌드 중 하나로 바이오기술의 모멘텀을 선정함. 전 미국 IT매체 CNET(씨넷)은 2022년 5가지 기술 트렌드 중 하나로 팬데믹과 미래 건강이라고 함. 씨넷은 세계는 팬데믹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으며, 원격의료가 일반화되고 새로운 백신과 치료제가 개발될 것으로 전망함 이처럼 바이오 분야 이슈에 대한 다방면적 논의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님. 바이오 기술은 사람의 생명 현상과 직결되어 리스크의 파급효과를 예측하기 쉽지 않음. 이에 바이오 기술은 타 분야에 비해 기술의 리스크에 따른 갈등 및 수용거부 문제를 예민하게 다뤄야 함. 따라서 리
2022-05-31
-
BioINwatch미국 정부의 코로나19 후유증(Long COVID) 대응방안
BioINwatch(BioIN+Issue+Watch): 22-36 미국 정부의 코로나19 후유증(Long COVID) 대응방안 ◇ 코로나19 후유증(Long COVID)은 최대 2,300만 명의 미국인에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 그 원인과 경제·사회적 파급력이 미지수인 상황에서 미국 정부는 코로나19 후유증에 대처하는 지원방안을 마련 ▸주요 출처 : GAO, Science & Tech Spotlight: Long COVID, 2022.3.2.; The Lancet, Long COVID: aiming for a consensus, 2022.5.4.; S&T GPS, 미국, 롱코비드의 예방, 진단, 치료를 위한 범정부적 대응 정책 발표, 2022.4.5. ▣ 코로나19 후유증(Long COVID)은 최대 2,300만 명의 미국인에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되며, 원인과 경제·사회적 파급력 등은 미지수 ○ 코로나19 후유증은 일반적으로 코로나19 감염 이후 증상이 지속 혹은
2022-05-26
-
BioINwatch새로운 코로나19 mRNA 백신 개발을 위한 노력
BioINwatch(BioIN+Issue+Watch): 22-30 새로운 코로나19 mRNA 백신 개발을 위한 노력 ◇ Pfizer-BioNTech과 Moderna에서 개발한 2개의 mRNA 백신은 코로나19 극복에 큰 역할을 하였지만, 유통의 어려움과 기술 공개 거부로 저소득 국가는 접종이 어려운 상황. 이에 여러 국가에서 취급이 쉽고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mRNA 기반 백신 개발을 위해 노력 중 ▸주요 출처 : Science, New crop of COVID-19 mRNA vaccines could be easier to store, cheaper to use, 2022.4.5 ▣ Pfizer-BioNTech과 Moderna에서 개발한 코로나19 mRNA 백신은 전 세계 코로나19 대유행 극복의 돌파구를 제공 ○ 두 가지 백신 모두 최소한의 부작용으로 효과적인 면역 반응을 유발하며, 효능 시험에서도 인상적인 결과를 도출 - Pfizer-BioNTech과 Moder
2022-04-28
동향
더보기-
기술동향
호흡기 감염병 진단 기술 동향2024.10.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기술동향
신·변종 감염병 백신 연구개발 동향 정보집 발간2024.09.13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기술동향
감염병 백신・치료2024.06.20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정책동향
COVID-19 사회적 대응 결과 분석 및 향후 감염병 유행 시 적용 가능한 정책 대응 방안 연구2024.06.19
한국보건의료연구원
-
기술동향
만성 코로나19 증후군(Long COVID)의 증상 및 관련 연구 동향2024.01.23
한인과학기술자네트워크
-
제도동향
[생물의약품] 코로나19 백신 신속 국가출하승인 정보집2024.01.10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제도동향
[이슈 브리핑] 일본, 세계 최초 자가증폭 mRNA 코로나19 백신 승인2024.01.02
한국바이오협회
-
인프라동향
코로나19가 미국의 과학기술 연구 인력에 미친 영향2023.12.28
한인과학기술자네트워크
-
제도동향
코로나19 환자 치료를 위한 최신근거 기반 다학제 임상진료지침 개발 - living guideline 방법론 적용: 약물 외2023.12.07
한국보건의료연구원
-
제도동향
코로나19 환자 치료를 위한 최신근거 기반 다학제 임상진료지침 개발 - living guideline 방법론 적용: 약물2023.12.06
한국보건의료연구원
-
산업동향
[이슈 브리핑] 다이이찌산쿄, 일본 정부와 코로나19 mRNA 백신 공급계약 체결2023.11.28
한국바이오협회
-
정책동향
코로나19의 건강영향과 정부의 대응정책에 대한 인식 격차2023.10.04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정책동향
2022년 법정 감염병 신고 현황2023.09.26
질병관리청
-
제도동향
[이슈 브리핑] 일본 최초 코로나19 mRNA 백신 허가가 갖는 의미2023.08.14
한국바이오협회
-
기술동향
인천공항과 인천항을 통해 해외에서 유입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감시 현황2023.07.20
질병관리청
-
기술동향
2022년 신종ㆍ재출현 감염병 위기관리 대응훈련 실시 결과2023.07.03
질병관리청
-
제도동향
WIPO 특허현황보고서_코로나19 관련 백신 및 치료제2023.06.27
한국지식재산연구원
-
정책동향
국가 하수(下水) 기반 감염병 감시체계 구축 및 운영2023.04.19
질병관리청
-
산업동향
일본, 코로나19 감염증법(感染症法) 하향 조정으로 관련 품목 수요 변화2023.04.13
KOTRA
-
정책동향
코로나19 mRNA 백신 개발을 위한 미국 정부 투자액2023.03.20
한국바이오협회
차트+
더보기뉴스
더보기-
R&D
질병관리청, 감염병 대유행 대비 「국가비축물자 중장기 계획」 수립2025.04.21
바이오타임즈
-
R&D
"코로나19, 중국 실험실서 만들었다"…백악관 홈페이지 명시2025.04.21
동아사이언스
-
R&D
'미국 빼고' 미래 감염병 대응 WHO 협약 첫 합의2025.04.18
동아사이언스
-
R&D
올해 서울시 '모기 감시기간' 늘어난다…"감염병 확산 방지"2025.04.09
뉴스1
-
R&D
질병관리청, 라오스 보건부에 신종 감염병 대응 노하우 공유2025.04.03
뉴스1
-
R&D
코로나19로 늘었던 연구용 유전자변형생물체 수입 감소2025.04.03
연합뉴스
-
R&D
생명연구조합,학∙연∙산 잇는 현장경험 중개교육식 감염병 실무인재 양성2025.03.12
약업신문
-
R&D
코로나19가 멸종시킨 독감 바이러스…3가 백신 전환 시작2025.03.10
연합뉴스
-
R&D
국립감염병연구소, 민간에 '다제내성균 유전체 정보' 공개2025.02.28
뉴스1
-
R&D
국립감염병연구소, 미래 감염병 대비를 위한 항체개발 전문가 간담회 개최2025.02.26
메디포뉴스
-
R&D
'병원체 자원 보관' 글로벌생물자원센터 개소…"감염병 대응 협력"2025.02.24
연합뉴스
-
R&D
생명硏, 신약 개발 플랫폼 초기 기술 공개…감염병 대응2025.02.14
헬스통신
-
R&D
설 연휴 앞두고 독감 비상…의협 '감염병대응위원회' 발족2025.01.21
서울경제
-
R&D
호흡기 감염병 막는 RSV 백신 안전성 논란 '술렁'...희귀병 발생 경고2025.01.13
바이오와치
-
R&D
지영미 “올겨울 독감·코로나19 유행 이어질 것…HMPV, 과도한 불안 필요없어”2025.01.10
조선비즈
-
R&D
신종 감염병 유행 시 의료인 최장 6개월 ‘의무진료법’ 나와2025.01.07
청년의사
-
R&D
감염병 빅데이터 민간 개방 확대, 공유와 협력 통한 연구 촉진2025.01.03
약사공론
-
R&D
정부, 코로나19·인플루엔자 백신 접종률 제고방안 등 논의2025.01.03
메디포뉴스
-
R&D
질병청, R&D 예산 전년대비 25.1% 증가…감염병, 미래의료 투자 확대2024.12.26
동아사이언스
-
R&D
질병청, 중국·미국 등 19개국 감염병 중점검역관리지역 지정2024.12.17
메디포뉴스
부처보도자료
더보기-
국가방역체계와 감염병 R&D 연계강화를 위한 2016년 감염병연구 분과포럼 개최
보건복지부
2016-08-30
-
민·관 빅데이터 융합을 통한 해외유입 감염병 차단 본격화
미래창조과학부
2016-05-26
-
신종 감염병 공동대응을 위해 질병관리본부-의료계 협력한다
보건복지부
2016-04-28
-
아시아지역 보건장관, 신종 감염병 차단 및 항생제내성 예방·관리 체계 구축을 위한 협력 논의
보건복지부
2016-04-18
-
질병관리본부-국제백신연구소 감염병 대응 협력 추진
보건복지부
2016-04-15
-
감염병R&D와 국가방역체계 간 연계가 강화된다
보건복지부
2016-04-12
-
제12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 개최, 국가감염병 위기대응 범정부 기술개발 전략 마련
미래창조과학부
2016-04-12
-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제4군 법정감염병 지정
보건복지부
2016-02-01
-
질병관리본부, 감염병 위기 컨트롤타워 역량 대폭 강화한다.
보건복지부
2015-12-30
-
국내 유입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 바이러스 감염병 진단기술 개발 착수
미래창조과학부
2015-12-14
-
국가방역체계 개편 추진탄력 「감염병예방법」 개정 법률안 국회 본회의 통과
보건복지부
2015-12-10
-
감염병 막는「특급소방수」역학조사관 크게 늘린다
보건복지부
2015-12-01
-
제3회 감염병연구 포럼 개최
보건복지부
2015-11-06
-
신.변종 감염병 선제적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2015년 감염병연구 분과포럼 개최
보건복지부
2015-09-23
-
해외 감염병 대응을 위해 외교부와 질병관리본부가 손잡아!
보건복지부
2015-09-10
-
신종감염병 대응 24시간 긴급상황실 설치 등 국가방역체계 개편
보건복지부
2015-09-02
-
최양희 장관, 감염병 관련 기업현장 소통 행보
미래창조과학부
2015-07-29
-
2014년도 감염병 감시연보 발간
보건복지부
2015-07-02
-
「감염병예방법」 개정 법률안 국회 본회의 통과
보건복지부
2015-06-26
-
「2015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감염병 대응)」실시
보건복지부
2015-05-21
성과
더보기-
코로나19 바이러스 빠른 대량 증식 원리 신규 규명 및 치료 후보물질 확대 가능성 제시
2024-07-03
-
코로나19·메르스·사스 바이러스의 가지각색 감염 전략
2024-04-30
-
AI 챗봇, 코로나19 불안감 해소 돕는다
2023-01-18
-
영장류 모델 실험을 통해 코로나19 바이러스 특성 확인
2020-08-05
-
의료현장에서 30분만에 감염병을 정확하게 진단
2015-07-31
-
감염병 매개 살인진드기 방제를 위한 바이오소재 개발
2014-12-19
연계정보BICS는 바이오 R&D에서 산업화까지 다양한 정보 자료를 수집하여
이용자들이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더보기
-
Bio지표감염병 분야-부처별 연구개발비(2018~2022)
2024-10-22
-
Bio지표감염병 분야-연도별 연구개발비(2018~2022)
2024-10-22
연계정보
-
연구보고서
더보기
-
ntis효과적인 감염병 대응을 위한 홈ㆍ생활치료센터의 비대면 환자 감염활동 추론(IAI) 및 보호관리 SW 기술 개발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효과적인 감염병 대응을 위한 홈ㆍ생활치료센터의 비대면 환자 감염활동 추론(IAI) 및 보호관리 SW 기술 개발/Development of non-face-to face patient infection activity prediction and protection management SW technology in home and community treatment center for effective response to infectious disease
사업 : 202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SW컴퓨팅산업원천기술개발과제 : 1711134751 서울대학병원 효과적인 감염병 대응을 위한 홈ㆍ생활치료센터의 비대면 환자 감염활동추론(IAI) 및 보호관리SW 기술 개발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402 발행기관명 서울대학교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최종 목표스마트 비대면 자가격리자경증 환자 보호 관리 HWSW 플랫폼 구축 및 실증 전체 내용 생활치료센터의 경증 환자 및 자가격리자의 상시 모니터링과 보호 관리를 위한 비대면 환자 감염 활동 추론 기술 기반 음압 이동병상 플랫폼 및 환자 보호 관리 플랫폼을 구축 개발함 감염 활동 추론 예측 보호 관리 기술 생체신호 문진 열화상 음성 데이터를 활용해 감염 중증도 행동 이상 상태 악화 예측을 수행하는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감염 활동 추론 및 예측 등을 통한 환자 상시 대응 보호 관리 기술 개발 환자 보호 관리 서비스 관제 시스템 개발 기술을 활용해 환자를 보호 관리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영하기 위한 서버 시스템 형태의 서비스 관제 시스템 개발 음압 이동 플랫폼 상태 악화가 예측되는 환자를 대상으로 음압유지 이동 중 환자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이동형 생활치료센터 플랫폼 개발 자가격리자경증 환자 감염 활동 추론 및 보호 관리 플랫폼 환자 상태를 상시 모니터링하고 신체 활동 및 정신 건강 상태를 조기 진단하여 자가격리에서부터 음압병실 입원 진료까지 이어질 수 있는 감염 활동의 전주기를 관리할 수 있는 환자 보호 관리 서비스 플랫폼 개발 임상 실증 개발 서비스 플랫폼에 대한 수요처 현장 실제 적용 및 사용자 피드백을 통한 기능 보완확장 1단계 목표감염 활동 지표 정의 및 데이터 구축 및 보호 관리 서비스 분석 및 설계 내용 감염 활동 추론을 위한 데이터 수집 전처리 정제 감염 활동 데이터 기반 감염 활동 지표 정의 생체신호 데이터 기반 감염 활동 이상 증상 모니터링 기술 개발 문진 데이터 기반 감염 활동 중증도 구분 기술 개발 영상 데이터를 통한 감염 행동 이상 증상 모니터링 기술 개발 자가격리자 보호 관리를 위한 APP 개발 생활치료센터 입소자 생체정보 수집을 위한 APP 개발 자가격리자 및 생활치료센터 보호 관리 서비스 구성 기술 개발 자가격리자 및 생활치료센터 보호 관리 서비스 요건 정의 자가격리자 및 생활치료센터 보호 관리 서비스 분석설계 구축 SW 운영을 위한 개발 및 운영서버 도입 2단계 목표멀티모달 데이터 융합 스마트 비대면 환자 감염 활동 추론 기술 개발 내용 감염병 보호 관리를 위한 환자 데이터의 수집 및 정제 현행화 자가격리자 조기 진단을 위한 감염 활동 추론 및 예측 기술 개발 감염병 환자 증상 악화 조기 탐지를 위한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 개발 영상 데이터 기반 감염 활동 추론 및 예측 기술 개발 신체 활동 증진을 위한 보호 관리 기술 개발 감염 활동 추론 및 예측 데이터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 개발 다양한 해상도 및 OS 대응을 위한 개발 플랫폼 제작 웨어러블 디바이스 정밀도 향상 및 추가 디바이스에 대한 기능 개발 자가격리자 및 생활치료센터 보호 관리 서비스 설계 자가격리자 및 생활치료센터 보호 관리 서비스 개발 자가격리자 및 생활치료센터 보호 관리 서비스 테스트 3단계 목표음압 이동 플랫폼 개발 및 임상 실증 내용 개발된 SW 및 HW를 임상 현장에서 실증 전문가 자문 및 피드백 수렴 생활치료센터에서 병원으로 이송 시 환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음압 유지 이동 플랫폼 개발 환자 정보 모니터링 플랫폼 유헬스케어 게이트웨이 자가격리자 및 생활치료센터 보호 관리 서비스 실증 및 운영 자가격리자 및 생활치료센터 보호 관리 서비스 보완 자가격리자 및 생활치료센터 보호 관리 서비스 결과분석 연구개발성과 감염 활동 지표 정의 보호 관리 알고리즘 개발감염 활동 인식 민감도 인식 성능 자가격리자 및 생활치료센터 사용자 어플리케이션SW 자가격리자 및 생활치료센터 보호관리서비스SW 음압 적용 이동형 생활치료센터 플랫폼SYS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활용계획 자가격리자 및 생활치료센터 입소자 대한 적절한 모니터링 및 관리 시스템이 미비한 상황이므로 추후 감염병 발생시 개발 시스템에 기반한 격리자에 대한 관리 시스템사용자앱 관리자 연계 디바이스을 수정 개발하여 국내 또는 해외에 직접 판매수출이 가능함 자가격리앱은 자가격리자의 신체적인 변화체온기침 등 현황 격리지 이탈 여부 현황 이탈자의 심리적 안정을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콘텐츠 등으로 구성됨 생활치료센터 입소자 관리 시스템은 입소자를 관리하기 위한 생체신호 측정 웨어러블 디바이스 화상통화 온라인 설문 등 다양한 기기에서 입력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며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입소자의 질병 심화 정도를 인공지능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입소자 및 관리자에게 알람하고 가이드하는 콘텐츠로 구성 사용자 게시용 앱은 결과물이 100 순수자체 기술로 개발되며 단일 원천 기술로 개발하여 안드로이드 iOS에서 구동할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모피어스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하며 격리자의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피드백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 및 백오피스도 자체적인 알고리즘과 기술로 구축 사업화를 위한 수익 모델 수립 배경 향후 지속적인 신규 바이러스 창궐로 인한 펜데믹의 환경이 도래될 가능성이 있음 따라서 자가격리 생활치료센터의 관리 모델은 지속적인 시장 요구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플랫폼화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함 목표 및 핵심 경쟁 요인 제공되는 플랫폼 중 HW는 납품모델로 진행하며 SW앱 인공지능 로직 관리자 등는 사용료 모델로 제공함 이를 통하여 단기적인 수익모델과 장기적인 월정액 모델을 같이 진행하여 수익 모델을 최적화함 핵심 경쟁 요인은 인공지능을 통하여 격리자의 질병 진척 정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하여 위험도를 낮추는 로직 및 콘텐츠임 목표시장 구조경쟁기업 현황 경쟁구조 시장진입 장벽 등 국내는 위니텍이 자가 격리 앱을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으나 기능 사용성 등이 부족하여 정부 관계자사용자의 만족을 주지 못하고 있으며 생활치료센터를 위한 적절한 플랫폼은 없는 상황임 사용성과 함께 모니터링 개선 기능이 보완된 제품은 국내 시장에 기회가 있을 것으로 판단됨 수익 확보 전략 상기 플랫폼은 고객은 국내 정부 부처 지자체 해외 정부 해외 지자체로 분류됨 수익 방안은 HW의 단순 납품과 함께 사용자 기반으로 라이센스 비용을 받는 것을 기본 모델로 하며 이후 인공지능의 질병 관리 기능콘텐츠가 추가될 때마다 추가적인 서비스 비용을 받는 것을 모델로 제시함기대효과 기술적 측면 본 서비스 플랫폼의 HW 및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관리자 애플리케이션의 구축은 기술적으로는 기존기술을 활용하는 수준임 자가격리자 생활치료센터 입소자의 활동 모니터링 데이터 및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관리감독 질병 발생 추론 등의 알고리즘은 향후 의료 빅데이터 측면에서 활용도가 높으며 기술적으로도 진보할 수 있는 영역으로 판단됨 K방역에 이은 K질병 관리 플랫폼 시장을 선도할 수 있음 경제적 산업적 측면 글로벌 방역물품 시장은 코로나 19의 대유행 이후 급격히 성장하고 있음 2020년 상반기 방역물품 세계 시장 규모는 1450억 달러159조 이상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0 이상 성장함 국내 수출은 2020120208 33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배 성장함 K방역의 효과로 방역물품과 시스템에 대한 수요는 지속해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이로 인한 관련 산업의 매출 증대 및 고용증대의 효과가 있을 것임 사회적 측면 코로나의 확산 및 사회적 거리두기의 장기화로 인하여 국내 2023년 경제 성장률은 14로 추정되고 있으며 외환위기 이상의 경제적인 피해가 불가피한 상황임 경제적인 피해와 함께 코로나 블루로 일컬어지는 사회적인 무력감 소외감 등으로 인한 손실은 외적으로 평가할 수 없으나 매우 심각한 상황이었음 자가격리자 생활지원센터 이용자에 대한 신체적 변화와 함께 정신적인 부분의 변화 및 관리를 지원하는 서비스의 제공은 향후에도 사회적으로 반드시 필요한 상황임출처 요약문 3p -
ntis감염병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사회-접촉 그래프 모델링 및 분석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감염병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사회-접촉 그래프 모델링 및 분석/Modeling and Analyzing a Contact Social Graph for Predicting and Managing Outbreak Disease
사업 : 202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과제 : 1711177620 성균관대학교 감염병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사회-접촉 그래프 모델링 및 분석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311 발행기관명 성균관대학교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연구목적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 사람 간의 온라인 및 물리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을 나타낼 수 있는 사회접촉 그래프 구축 및 분석 연구내용1 감염병 관련 빅데이터 수집 및 감염병 관련 정보 확산 유형 분석2 인포데믹 현상 판별 감염병의 미래 상황에 대한 예측 및 감염병의 시공간적 확산 패턴 특성화3 다중 계층 네트워크 모델 구축 및 분석 감염병 전파의 미래 상황 예측 연구결과1 감염병 관련 빅데이터 수집 및 감염병 관련 정보 확산 유형 분석 소셜미디어 내 코로나 가짜뉴스의 확산 유형에 관한 2가지 확산 패턴 발견 코로나 관련 가짜뉴스 트윗은 여러 사용자의 리트윗을 단계적으로 거쳐 확산됐지만 코로나 이외 가짜뉴스는 주로 하나의 트윗에서 바로 확산됨 상대적으로 정파적인 이슈는 상호확증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지만 코로나 관련 이슈는 상호확증 경향이 상대적으로 덜 나타나 여러 집단에서 루머가 공유됨 수집한 데이터셋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코로나 팬데믹 기간에 인간관계 사회와 관련된 스트레스 원인이 증가하였음2 인포데믹 현상 판별 감염병의 미래 상황에 대한 예측 및 감염병의 시공간적 확산 패턴 특성화 가짜뉴스 판별의 대상이 되는 뉴스 클레임의 정보와 함께 해당 클레임의 확산 정보 관련 뉴스 클레임의 정보를 모두 고려하는 것이 가짜뉴스 판별에 중요함을 확인하였음 감염병의 시공간적 확산 패턴을 분석한 결과 참여자들의 적극적인 접촉 사례 보고가 확진자 수 예측에 주요한 변수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음3 다중 계층 네트워크 모델 구축 및 분석 감염병 전파의 미래 상황 예측 사람 간 물리적 접촉을 의미하는 접초 그래프와 소셜 네트워크 상 정서와 담론을 모두 사용하는 것이 예측 성능을 개선한다는 점을 확인함 연구결과의 활용계획1 사람 간의 물리적 및 온라인 상호작용을 통한 감염병 전파 상황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 사람들의 물리접 접촉과 온라인 상호작용 관련 빅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감염병에 대한 사람들의 행동방식과 전염병의 확산과정 그리고 질병 관련 정보의 이동에 대한 분석 및 예측을 통하여 전반적인 감염병 전파 상황을 이해할 수 있음2 감염병 전파 상황 예측 모델 개발 다양한 종류의 빅데이터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향후 감염병 발생 시기와 장소를 예측하는 모델과 시간 순서에 따라 전염병의 확산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추후 감염병 전파 상황에 대한 예측 및 예방 관리가 가능함3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발생 시 해당 상황을 판단하고 관리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 구축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의 확산과정을 시공간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할 뿐 아니라 추후 발생할 수 있는 전염병을 관리하기 위한 가이드라인 제시출처 연구결과 요약문 국문 3p -
ntis인공지능·데이터 기반 감염병 역학조사 지원 체계 개발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인공지능·데이터 기반 감염병 역학조사 지원 체계 개발/Research and development for artificial intelligence·data-based infectious diseases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support system
사업 : 202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과제 : 1711164902 가천대학교 인공지능 · 데이터 기반 감염병 역학조사 지원 체계 개발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403 발행기관명 가천대학교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연구개요1 연구의 필요성1 역학조사의 감염병 위기 대응에서의 역할 및 중요성2 역학조사를 위한 과도한 인적 자원 소모와 지원체계 구축 요구3 감염병의 효과적 통제를 위한 역학조사 중 위험도 평가 및 의사결정 지원4 감염병 위기 중 축적된 자료의 수집 및 활용을 통해 미래 감염병 위기를 대비2 연구의 목표1 감염병 역학조사에 의한 유행 통제는 신종감염병뿐만 아니라 여러 다양한 감염병에서 효과적인 중재수단임2 COVID19 방역을 위해 시행된 역학조사와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수집된 대규모 데이터를 정제하여 데이터베이스화3 역학조사를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인공지능 기반 솔루션을 개발하여 역학조사 수행을 보조하고 사례별 전파 위험도 추정 전파고리 규명 등의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제공4 알고리즘의 목적은 특정 확진자가 그 다음 추가로 몇 차의 추가 감염을 일으킬지를 예측하여 사전 대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5 개발된 알고리즘을 지역사회 기반 역학조사 현장에서 실증하는 것을 목표로 함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1전파 예측 알고리즘 학습을 위해 인천광역시 경기도와 협업을 통해 확진자의 역학조사서 내 개인정보를 제외한 변수로 활용될 수 있는 모든 데이터를 약 25만건 수집함2확진자의 전후 전파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graph 기반의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개발 및 적용하였으며 인천 경기도 데이터 특성에 맞도록 전처리부터 모델링을 별도로 개발하여 수행함3평가를 위한 데이터를 분리하여 성능을 평가하고 검증하였으며 graph 기반의 여러 방법론 중 각 데이터에 맞는 높은 성능을 내는 알고리즘을 발굴해냄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1 기대효과1 감염병 위기 중 수집된 대규모 자료의 효과적 정제 및 활용2 감염병 역학조사의 효과 및 효율 개선3 향후 발생할 범유행 호흡기 감염병 대응의 기초 기술 개발4 발전하는 데이터 사이언스 및 인공지능 기술을 감염병에 접목한 융합 연구5 평시 유행 감염병 대응 역량 향상을 통한 사회경제적 손실 예방2 활용계획1 신종 감염병 유행 시 조기에 역학조사를 통한 추가 확산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음2 환자에 대한 빠른 조치가 가능하며 사회적으로는 더 나은 방역정책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음3 역학조사서 내 다양한 항목 중 분석 및 향후 예측을 위한 역학 지표를 산출하여 연구에 활용할 수 있음4 여러 감염병에 대한 역학 지표를 산출하여 역학조사서 기반의 분석 수행 시 해당 지표들을 중요 변수로 활용하여 분석의 편의성 및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음출처 연구결과 요약문 2p -
ntis웹기반 감염병재난관리 시뮬레이션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웹기반 감염병재난관리 시뮬레이션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Development and Effect of Web-based infectious disease disaster management Simulation education programs
사업 : 202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과제 : 1711169132 고신대학교 웹기반 감염병재난관리 시뮬레이션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403 발행기관명 고신대학교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연구개요본 연구는 COVID 19이 창궐하던 시기에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감염병 재난관리 시뮬레이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로 계획되었으며 이를 위해 감염병 재난관리 역량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이후에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1 2 3차년도감염병재난관리 역량 측정도구 개발본 연구자는 감염병재난관리 역량을 확인하기 위한 측정도구 개발을 위하여 여러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여러 선행연구에서 측정도구가 미흡하여 본 연구자는 간호사 및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감염병재난관리에 대한 요구와 실정들을 확인하고 델파이 조사 등을 통하여 감염병 재난관리 역량 수준 확인을 위한 사전작업들을 진행하였다 이를 근거로 감염병 재난관리 역량의 하부 구성요소를 조직하고 이에 따른 세부문항들을 개발함으로써 측정도구 개발을 수행하였다 개발한 감염병 재난관리 역량 측정도구를 간호대학생 440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여 요인분석과 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해냈다감염병재난관리 교육프로그램 개발교육프로그램은 사전학습을 감염병 관리단계를 포함하여 학습해야 할 내용을 구성하였으며 이후 사전브리핑 5분 시뮬레이션 20분 디브리핑 510분으로 총 40여분 시간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B지역의 간호학과 학생을 기준으로 실험군 30명이 참여하였고 자료수집은 감염병 재난관리 시뮬레이션 교육프로그램 학습 전사전조사를 실시하고 교육 이후 사후조사로 진행하였다 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일반적 특성 문제해결능력 감염병관리에 대한 지식태도수행능력을 확인하였으며 자료수집은 SPSS 250프로그램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문제해결능력 감염병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수행능력이 교육 전에 비해 교육 이후 유의하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1 연구개발 성과의 활용 계획1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표준화 개발된 측정도구와 교육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간호사 및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감염병 재난관리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표준화할 수 있다 이 표준화된 프로그램은 감염병 재난 시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기본적인 지식과 기술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2 정책 개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감염병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3 지속적인 교육 및 평가 시스템 구축 개발된 도구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교육과정의 효과를 정기적으로 평가하고 필요에 따라 교육 내용을 업데이트하여 감염병 재난관리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수 있다2 기대효과감염병 대응 역량의 향상 체계적인 교육과 정기적인 역량 평가를 통해 간호 인력의 감염병 대응 역량이 지속적으로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는 감염병 재난 발생 시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출처 연구결과 요약문 2p
-
ntis효과적인 감염병 대응을 위한 홈ㆍ생활치료센터의 비대면 환자 감염활동 추론(IAI) 및 보호관리 SW 기술 개발
-
과제
더보기
-
ntis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의 초저온 현미경 구조기반 신개념 감염병 제어기술 개발
연계정보(NTIS)
과제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의 초저온 현미경 구조기반 신개념 감염병 제어기술 개발
고려대학교 정부투자연구비 150,000,000원 총연구비 150,000,000원 생명과학 생화학/구조생물학 구조생물학-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송현규
- 참여연구자이현정;김혜경;김봉헌;양우석;고슬기;한주현;이소해;이주연;이륜석
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710074696 기준년도 2024 연구책임자 송현규 과제수행기관 고려대학교 정부투자연구비 150,000,000 총연구비 150,000,000 - 6T관련효과
- 생명현상 및 기능연구
-
ntis감염병 대응 연구개발 서비스 전문인력 양성
연계정보(NTIS)
과제감염병 대응 연구개발 서비스 전문인력 양성
한국생명기술연구조합 정부투자연구비 2,000,000,000원 총연구비 2,000,000,000원 보건의료 신약·의약품개발 의약품 합성/탐색-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박미영
- 참여연구자박인용;김현진;한상섭;남승주;김기모;우근정;변재희;박형민;김주안;임은정;양민수;손혜정;오성동;고민선
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710074805 기준년도 2024 연구책임자 박미영 과제수행기관 한국생명기술연구조합 정부투자연구비 2,000,000,000 총연구비 2,000,000,000 - 6T관련효과
- 바이오신약 개발기술
-
ntis감염병 기술전략 수립 및 정책 지원
연계정보(NTIS)
과제감염병 기술전략 수립 및 정책 지원
한국화학연구원 정부투자연구비 1,728,000,000원 총연구비 1,728,000,000원 생명과학 기타 생명과학 달리 분류되지 않는 생명과학-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최길돈
- 참여연구자정주혜;김홍기;박지혜;이정현;한수봉;고천규;김남훈;김정;이성균;조경진;김동수;김혜진;이종환;정명은;강민주;심수용;성시광;김유영;안대균;제민지;박천규;권연경;정혜윤;전세린;조병희
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710071203 기준년도 2024 연구책임자 최길돈 과제수행기관 한국화학연구원 정부투자연구비 1,728,000,000 총연구비 1,728,000,000 - 6T관련효과
- 기타기초·기반기술
-
ntis감염병 대응 기초연구 및 치료제/진단/백신 기술 개발 연구인력 양성
연계정보(NTIS)
과제감염병 대응 기초연구 및 치료제/진단/백신 기술 개발 연구인력 양성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정부투자연구비 1,000,000,000원 총연구비 1,000,000,000원 보건의료 신약·의약품개발 의약품 합성/탐색-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이홍원
- 참여연구자김준영;남혜련;민세홍;권석윤;진종우;김선영;정문규;오심권;함영욱;김민정;손성욱;조선아;김주원;하승환;이서윤;육승연;김민우;이지정;홍수민;문유빈;허성희;황서영;김사무엘;배유정;박소현;이진아;문채은;이언진;정우성;우상규;박지수;윤지연;강지현;손리정;박수빈;서지원;박민정;정현지;이호준;박범경;이소현;김다빈;남유선;전창현;이해련;박성수;이민주;라현수;신희라;이준혁...
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710074804 기준년도 2024 연구책임자 이홍원 과제수행기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정부투자연구비 1,000,000,000 총연구비 1,000,000,000 - 6T관련효과
- 바이오신약 개발기술
-
ntis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의 초저온 현미경 구조기반 신개념 감염병 제어기술 개발
-
논문
더보기
-
ntis밀폐공간 내 감염병 위험도 모니터링을 위한 열화상 온도 스크리닝 시스템 설계 및 구현에 대한 연구
외부자료(NTIS)
논문밀폐공간 내 감염병 위험도 모니터링을 위한 열화상 온도 스크리닝 시스템 설계 및 구현에 대한 연구
사업 : 202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ICT융합산업혁신기술개발과제 : 171119323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밀폐공간내 감염병 위험도 감시를 위한 멀티모달 센싱 기반 감시지능 시스템 기술 개발저자명(주공동저자),논문구분,학술지명,ISSN,학술지 출판연도 저자명(주공동저자) 정재영 논문구분 학술지 학술지명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ISSN 2287-5891 학술지 출판연도 2023 - ntis대규모 감염병 발병에 따른 의료폐기물 발생량 예측에 관한 연구
- ntis정부출연 연구기관의 사회적 현안 대응 영역 도출 연구 : 감염병 분야를 중심으로
- ntis정부출연 연구기관의 사회적 현안 대응 영역 도출 연구 : 감염병 분야를 중심으로
-
ntis밀폐공간 내 감염병 위험도 모니터링을 위한 열화상 온도 스크리닝 시스템 설계 및 구현에 대한 연구
- 특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