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감염병

감염병은 세균, 스피로헤타, 리케차, 바이러스, 진균, 기생충과 같은 여러 병원체에 의해 감염되어 발병하는 질환이며, 특히 2019년 12월 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은 인류의 삶을 크게 변화시켰습니다.

감염병

개념

카드뉴스 이미지
카드뉴스 이미지
카드뉴스 이미지
카드뉴스 이미지
카드뉴스 이미지



감염병은 세균, 스피로헤타, 리케차, 바이러스, 진균, 기생충과 같은 여러 병원체에 의해 감염되어 발병하는 질환으로 병원체에 의한 감염은 음식의 섭취, 호흡에 의한 병원체의 흡입, 다른 사람과의 접촉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발생하며 제1급감염병, 제2급감염병, 제3급감염병, 제4급감염병, 기생충감염병, 세계보건기구 감시대상 감염병, 생물테러감염병, 성매개감염병, 인수(人獸)공통감염병 및 의료관련감염병을 말한다.


“제1급감염병”이란 생물테러감염병 또는 치명률이 높거나 집단 발생의 우려가 커서 발생 또는 유행 즉시 신고하여야 하고, 음압격리와 같은 높은 수준의 격리가 필요한 감염병으로서 다음 각 목의 감염병을 말한다. 다만, 갑작스러운 국내 유입 또는 유행이 예견되어 긴급한 예방ㆍ관리가 필요하여 질병관리청장이 보건복지부장관과 협의하여 지정하는 감염병을 포함한다.(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법률, 21.03 참조)

- 에볼라바이러스병, 마버그열, 라싸열, 크리미안콩고출혈열, 남아메리카출혈열, 리프트밸리열, 두창, 페스트, 탄저, 보툴리눔독소증, 야토병, 신종감염병증후군,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동물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 신종인플루엔자, 디프테리아


미국 등 주요 선진국들은 현재 감염병 발생을 글로벌 안보이슈로 인식하고 관련 연구개발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하면서 감염병연구개발과 대응관리 체계의 연계에 주력하는 추세이며, 2000년 이후 국제수역사무국(OIE)과 세계보건기구(WHO) 및 세계각국에서는 환경-동물-인간이 하나라는 개념으로 감염병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원헬스(One Health) 개념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2019년 12월 말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생하여 전세계로 확산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은 인류의 삶을 크게 변화시켰으며 의료, 교육, 문화·관광, 금융, 유통 등 거의 모든 분야가 비대면·디지털 방식으로 빠르게 전환되는 계기가 되었다.


여기에서는 바이오인에서 담고 있는 코로나19를 포함한 감염병에 관련된 다양한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글로벌 감염병

연구 프로그

  • ◯︎ CEPI (Coalition for Epidemic Preparedness Innovations)는 2017년 다보스에서 노르웨이와 인도 정부, 게이츠재단, 영국 웰컴트러스트, 세계경제포럼 등이 함께 설립한 공공부문-사적부문 파트너십으로,

  • −︎ 발생 가능성이 있는 질병을 선정하고, 이들에 대응할 수 있는 백신 후보물질을 확보하여 동물 모델에서 유효성을 검증하는 등 다양한 후보물질 라이브러리를 구축

  • −︎ 100 days mission: 다음 감염병이 출현할 경우 3개월 안에 세계적으로 접근 가능한 백신을 개발하여 승인 및 제조 후 보급하는 계획 수립

  • ◯︎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는 감염병에 대한 신속한 대응 위한 체계를 마련과 R&D 활성화를 통해서 감염병의 유행 대처를 위한 규제·정책 재정 추진

  • −︎ PRET(Preparedness and Resilience for Emerging Threats Initiative): 미래 대유행에 대한 준비를 더 잘 진행할 수 있도록 호흡기 병원체에 대응하기 위한 통합적 계획을 준비할 수 있는 가이드 및 체크리스트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 −︎ R&D Blueprint: 감염병 분야 대응연구가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다양한 워킹그룹을 운영하며, 데이터 공유, 임상시험 네트워킹, 규제기관과의 협력을 주도

  • ◯︎ 미국 NIH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산하 NIAID(National Institute of Allergy and Infectious Diseases)에서는 감염병 대유행에 대비하는 프로젝트 PREMISE를 통해 100일 이내에 백신의 개발과 생산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

  • −︎ 코로나19 대유행 시기에는 'Operation Warp Speed'를 추진, 이후 '프로젝트 넥스트젠(Project NextGen)'을 통해 미래 공중보건 위기를 초래할 수 있는 바이러스 대응 백신・치료제 개발을 목적

  • ◯︎ 일본 AMED (Japan Agency for Medical Research and Development)는 일본의 의료 연구개발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지원하는 기관

  • −︎ 2022년 출범시킨 프로젝트 SCARDA (Strategic Center of Biomedical Advanced Vaccine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Preparedness and Response)를 통해 미래 감염병 비상사태 발생 시 가능한 빠른 시간에 안전하고 효율적인 백신을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이 목표

국내외 감염병

정책연구 현황

  • ◯︎ NIH 내 국립감염병·알러지연구소(NIAID)가 핵심기관으로, 2023년 연구비 예산은 약 69억 달러(9.2조원)로 NIH내 20개 연구소와 6개 센터 중 가장 많은 예산을 사용하며, 미국 뿐 아니라 전세계 감염병 연구를 주도

  • ◯︎ 일본은 의료연구개발기구(AMED)가 설립되어 감염병을 포함한 보건의료분야 R&D 예산을 조정, 호주는 도허티연구소(Doherty Institute)와 버넷연구소(Burnet Institute)가 각각 감염병과 관련된 공공보건기관과 의학연구소의 역할을 수행

  • ◯︎ 국내에서는 메르스 사태 이후, ’16년 4월 범부처감염병연구개발추진위원회 제1차 국가감염병위기대응기술개발추진전략(’12~’16)에 이어 2차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기술개발 추진전략(′17~′21)이 수립되었으며 현재는 제3차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기술개발 추진전략(′22~′26)과 제3차 감염병 예방관리 기본계획(′23~′27)이 추진 중

  • ◯︎ 국가전략기술 ‘첨단 바이오’에 속하는 ‘감염병 백신.치료’는 대유행 상황에서의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하고 국가안보 관점의 조기대응 시스템 구축 필요성에 따라 선정된, 신.변종 및 미해결 감염병이 발생하였을 때 예방.대응이 가능한 백신.치료제 개발을 위한 기반기술

코로나19

관련 동향

  • ◯︎ 2020년 코로나-19 대유행 당시 감염병에 대응하기 위한 백신.치료제 개발을 위한 전 세계적 경쟁이 벌어졌으며, 정부를 비롯한 공공 영역에서도 제약기업과 함께 개발 과정을 지원하고 참여

  • ◯︎ 코로나-19 대유행 시기와 함께 대유행 종식 후에도 각국 정부 및 국제기구에서는 신종 감염병 발생 시 빠른 시기에 대응할 수 있는 백신.치료제 개발에 지원을 계속하면서 자체적인 기술력 확보를 진행 중

  • ◯︎ 전 세계적으로 mRNA 백신 기술은 코로나-19 백신을 출시하였던 Modena 사와 Pifzer 사를 중심으로 Curevac 사(독일) 등이 주도하였으며, 글로벌 백신 시장 또한 코로나-19 대유행 시기에는 급격한 성장세를 나타냈었음

출처

  • ◯︎ S&T GPS, 글로벌 감염병 연구 추진 현황 및 시사점, 2020.3

  • ◯︎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국내·외 감염병 연구개발 및 정책동향, 2020.5

  •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감염병 백신치료, 2024.08

  •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감염병 방역기술, 2021.12

  •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3차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기술개발 추진전략(안)(′22~′26), 2021.10

  • ◯︎ 질병관리청, 제3차 감염병 예방관리 기본계획(′23 ~′27), 2023.6

지식

더보기
  • BioINwatch기후변화에 따른 유럽 내 모기 매개 감염병 확산

        기후변화에 따른 유럽 내 모기 매개 감염병 확산 BioINwatch(BioIN+Issue+Watch): 25-64       ◇ 2025년 여름, 유럽 전역에서 기록적으로 급증한 모기 매개 감염병은 기후변화가 공중 보건에 미치는 위협을 경고. 가장 두드러게 부상한 감염병은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west nile virus, WNV)와 치쿤구니야(chikungunya) 바이러스가 매개. 효과적인 항바이러스제나 백신과 같은 신속한 해결책이 부재한 현 상황에서 대응 패러다임의 근본적 전환 필요 ▸주요 출처 : Science, Mosquito-borne viruses surge in a warming Europe, 2025.9.3 ◆ 2025년 여름, 유럽 전역에서 기록적으로 급증한 모기 매개 감염병은 기후변화가 공중 보건에 미치는 위협을 경고 ○ 과거 특정 지역에 국한되었던 감염병이 유럽 대륙의 새로운 지역으로 확산 - 기후변화라는 거대한 동인이 보건 시스템에 가하는 문제는 더 이

    2025-09-30

    썸네일 이미지
  • BioINwatch동물 감염병 및 인수공통감염병 제어를 위한 자가 전파형 백신(Transmissible Vaccines)

      동물 감염병 및 인수공통감염병 제어를 위한 자가 전파형 백신(Transmissible Vaccines) BioINwatch(BioIN+Issue+Watch): 24-67   ◇︎야생 동물에서 시작해 인간에게 전파되는 인수공통감염병(zoonosis)의 병원체는 전통적인 백신 접종으로 통제가 불가능. 이에 스스로 확산하며 특정 동물 집단에 백신을 전파하는 자가 전파형 백신을 주목. 그러나 백신으로 사용하는 바이러스의 예상치 못한 변이 발생과 같이 기술적, 윤리적 측면의 도전과제들도 존재 ▸주요 출처 : Science, Developing transmissible vaccines for animal infections, 2024.4.18 ◆야생 동물에서 시작해 인간에게 전파되는 인수공통감염병(zoonosis)의 병원체는 전통적인 백신 방법으로 통제가 불가능 ○야생 동물을 포획하여 개별적으로 백신을 접종할 수 없기 때문인데,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는 데에 자가 전파형 백신(Transmis

    2024-10-24

    썸네일 이미지
  • BioINwatch기존 백신의 단점을 보완한 자가증폭 mRNA 코로나19 백신

        기존 백신의 단점을 보완한 자가증폭 mRNA 코로나19 백신 BioINwatch(BioIN+Issue+Watch): 24-58   ◇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코로나19 예방용 백신 코미나티주는 초기 예방 효과를 입증했으나, 면역 지속성이 짧아 부스터 샷이 필요. 면역원성이 더 우수한 백신에 대한 미충족 수요 상황에서 저용량으로 더 강력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자가증폭 mRNA 코로나 백신을 주목     ▸주요 출처 : Global research, Replicon mRNA Vaccine: Japan Approves World’s First self-Amplifying mRNA Vaccine, 2024.1.3, Lancet, Persistence of immune response of a self-amplifying RNA COVID-19 vaccine(ARCT-154) versus BNT162b2, 2024.2.1   ■지난해 일본 후생노동성은 자가증폭(self-amp

    2024-09-04

    썸네일 이미지
  • BioINwatch바이오의학 연구에 대한 코로나19의 교훈

      바이오의학 연구에 대한 코로나19의 교훈 BioINwatch(BioIN+Issue+Watch): 23-25   ◇ 미국 NIH 원장이었던 프랜시스 콜린스(Francis Collins)를 비롯하여 다양한 관계자들이 참여하여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면서 얻은 바이오의학 연구에 대한 교훈을 정리하여 사이언스에 발표. 코로나19의 가장 가치 있는 교훈은 바이오 기초 및 응용연구의 통합 노력으로, 수천 명의 창의적인 과학자, 관리자 및 커뮤니티의 협력이 크게 기여했으며, 또한 수십 년 동안 발견한 과학적 성과와 내용을 신속하면서도 그것도 무료로 접근할 수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판단 ▸주요 출처 : Science, The NIH-led research response to COVID-19, 2023.2.2   ■ 미국 NIH 전 원장 프랜시스 콜린스(Francis Collins)가 다양한 관계자와 함께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면서 얻은 바이오의학 연구에 대한 교훈을 정리하여 사이언스에 발표

    2023-04-11

    썸네일 이미지
  • BioIN4P감염병 분야 4P 분석

        감염병 분야 4P 분석 -Paper(논문), Patent(특허), Product(산업), Portfolio(투자) -   Paper(논문) 글로벌 국내 연도별 발표현황   연도별 발표현황   주요 국가   주요 국가(공동연구 현황)   * 한국은 3,235건으로 18위 주요 연구기관   주요 연구기관     * 각 대학의 부속병원 논문 수 포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2022-06-29

    썸네일 이미지
  • BioIN4P코로나19 분야 4P분석

    코로나19 분야 4P분석 - Paper(논문), Patent(특허), Product(산업), Portfolio(투자) - Paper(논문) 글로벌 국내 연도별 발표현황   연도별 발표현황   주요 국가   주요 국가(공동연구 현황)   * 한국은 4,528건으로 18위 주요 연구기관   주요 연구기관   * 각 대학의 부속병원 논문 수 포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2022-06-27

    썸네일 이미지
  • BioINregulation바이오 분야 리스크의 인지 : 코로나19 이후 인지 비교

            바이오 분야 리스크의 인지: 코로나19 이후 인지 비교     한양대학교 김태윤 교수        코로나19의 영향으로 4차 산업혁명은 더욱 가속화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바이오 분야 기술이 핵심 산업으로 주목받음. 미국의 비즈니스 미디어 매거진인 Inc.는 2022년 주요 기술과 비즈니스에 영향을 미친 10대 트렌드 중 하나로 바이오기술의 모멘텀을 선정함. 전 미국 IT매체 CNET(씨넷)은 2022년 5가지 기술 트렌드 중 하나로 팬데믹과 미래 건강이라고 함. 씨넷은 세계는 팬데믹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으며, 원격의료가 일반화되고 새로운 백신과 치료제가 개발될 것으로 전망함   이처럼 바이오 분야 이슈에 대한 다방면적 논의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님. 바이오 기술은 사람의 생명 현상과 직결되어 리스크의 파급효과를 예측하기 쉽지 않음. 이에 바이오 기술은 타 분야에 비해 기술의 리스크에 따른 갈등 및 수용거부 문제를 예민하게 다뤄야 함. 따라서 리

    김태윤/한양대학교

    2022-05-31

    썸네일 이미지
  • BioINwatch미국 정부의 코로나19 후유증(Long COVID) 대응방안

        BioINwatch(BioIN+Issue+Watch): 22-36 미국 정부의 코로나19 후유증(Long COVID) 대응방안 ◇ 코로나19 후유증(Long COVID)은 최대 2,300만 명의 미국인에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 그 원인과 경제·사회적 파급력이 미지수인 상황에서 미국 정부는 코로나19 후유증에 대처하는 지원방안을 마련 ▸주요 출처 : GAO, Science & Tech Spotlight: Long COVID, 2022.3.2.; The Lancet, Long COVID: aiming for a consensus, 2022.5.4.; S&T GPS, 미국, 롱코비드의 예방, 진단, 치료를 위한 범정부적 대응 정책 발표, 2022.4.5. ▣ 코로나19 후유증(Long COVID)은 최대 2,300만 명의 미국인에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되며, 원인과 경제·사회적 파급력 등은 미지수  ○ 코로나19 후유증은 일반적으로 코로나19 감염 이후 증상이 지속 혹은

    2022-05-26

    썸네일 이미지

동향

더보기

차트+

더보기


부처

사업명

세부사업

예산(백만원)

2013

2014

복지부

감염병위기대응기술개발

면역백신개발

4,500

4,500

신종인플루엔자 대응기술

10,000

9,500

다제내성 감염병 대응기술

2,500

2,500

난치성 결핵 극복기술

3,500

3,500

감염병조기감시및조기대응기반구축

‘15신규(20) 

감염병관리기술개발연구(질병관리본부)

국가관리 114개 감염병 중 주요감염병 연구

7,700

7,700

공공백신 실용화 및 기반기술 확보 연구

국가표준병원체자원 개발 및 활용

-

920

기후변화급만성질병연구(질병관리본부) 

기후변화 질환 발생예측 및 피해저감 연구

1,500

1,500

기후변화 질환 제어연구

SFTS 감시 및 병원체 특성연구

-

1,000

농식

품부

수산동물전염병방역및검역체계구축

방역기관운영

9,982*

8,000**

수의과학기술개발연구

7,486*

9,253**

미래부

글로벌프론티어사업

바이오나노헬스가드연구단

3,500

10,000

- 나노헬스가드용 3D나노-마이크로 구조체 제작 및 응용기술 개발

- 바이오나노 융합 헬스가드용 바이오컨텐츠 확보 및 활용기술 개발

- 3D 구조체 기반 실시간 연동형 전처리 및 고속 검출기술 개발

National Agenda Project

바이러스감염대응연구단(생명연)

2,000

2,000

- 인플루엔자 대응 백신 기술 연구

- 백신 아쥬번트 개발 및 면역조절 기전 연구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역학 및 병원성 기초연구

합계

52,668

60,373



감염병에 특화된 국가연구개발사업


부처

사업명

과제 수

정부연구비(백만원)

2010

2011

2012

합계

2010

2011

2012

총합계

교과부

(기초)일반연구자지원

222

263

266

751

11,778

13,358

13,679

38,815

(기초)중견연구자지원

35

46

55

136

5,478

7,791

8,810

22,079

(원천)바이오·의료기술개발

40

26

21

87

9,236

7,388

5,316

21,941

(국제)국제백신연구소지원

0

1

1

2

0

7,982

2,363

10,345

(기초)선도연구센터지원

20

16

19

55

2,335

2,031

2,675

7,041

(기관)기초기술연구회

1

1

1

3

2,000

2,500

2,000

6,500

(기관)한국생명공학연구원

3

3

2

8

1,437

1,274

3,191

5,903

(국제)해외우수연구기관유치

2

1

0

3

1,300

900

0

2,200

(기초)리더연구자지원

1

1

1

3

692

736

736

2,164

(원천)공공복지안전연구

3

3

3

9

400

710

770

1,880

(국제)글로벌연구실사업

0

2

2

4

0

926

924

1,850

(원천)21세기프론티어

9

5

0

14

912

602

0

1,514

(원천)국가그린나노기술개발

0

2

2

4

0

700

700

1,400

(인력)지역기초연구활성화

4

3

2

9

495

420

300

1,215

농식

품부

수산동물전염병방역및검역체계구축

1

1

1

3

7,462

9,982

8,000

25,444

수의과학기술개발연구

70

87

96

253

5,377

7,486

9,253

22,115

생명산업기술개발

0

28

60

88

0

6,445

4,818

11,263

농림기술개발

35

0

0

35

6,585

0

0

6,585

가축질병대응기술개발

0

0

23

23

0

0

2,613

2,613

수산실용화기술개발사업

0 

6

15

21

0

793

1,383

2,175

고부가가치식품기술개발

2

4

7

13

210

605

395

1,210

수산시험연구

2

2

3

7

510

255

435

1,200

농진청

국책기술개발

2

9

38

49

205

2,031

2,344

4,580

차세대바이오그린21

0

14

20

34

0

2,267

1,340

3,607

바이오그린21

18

0

0

18

3,176

0

0

3,176

농업현장실용화기술개발

4

0

1

5

1,080

0

60

1,140

복지부

감염병위기대응기술개발

6

6

61

73

14,416

14,000

16,500

44,916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

41

39

56

136

6,045

6,725

6,759

19,529

감염병관리기술개발연구

69

59

65

193

5,656

4,540

5,885

16,081

국립암연구소

5

9

9

23

389

781

930

2,100

식약청

식품 등 안전관리

11

16

8

35

2,630

2,500

1,105

6,235

의약품 등 안전관리

13

19

21

53

1,300

1,670

2,295

5,265

중기청

기술혁신개발사업

8

8

12

28

1,547

1,720

2,666

5,933

산학연공동기술개발

13

16

19

48

1,010

1,513

1,706

4,229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0

4

3

7

0

587

463

1,049

지경부

지역전략산업육성

9

14

11

34

3,920

4,337

2,941

11,198

바이오의료기기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

7

6

6

19

2,768

2,800

2,730

8,298

한국화학연구원

1

1

2

4

2,000

2,000

3,690

7,690

광역경제권선도산업육성

6

6

7

19

2,377

2,521

2,000

6,898

산업융합기술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

4

0

4

8

1,650

0

1,627

3,277

연구개발특구육성

1

2

2

5

300

900

624

1,824

산업기술국제협력

0

2

1

3

0

370

680

1,050

10억원 이상 사업 소계 

668

731

926

2,325

106,677

124,146

124,705

355,528

전체 사업 총계

774

833

1,081

2,688

114,433

131,491

138,828

384,752

10억원 이상 사업 비중 

86.3%

87.8%

85.7%

86.5%

93.2%

94.4%

89.8%

92.4%



감염병 연구를 지원하는 주요 사업(3년간 10억원 이상 지원)

뉴스

더보기

부처보도자료

더보기

연계정보BICS는 바이오 R&D에서 산업화까지 다양한 정보 자료를 수집하여
이용자들이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더보기

연계정보

  • 연구보고서 더보기
    • ntis감염병 조기진단과 집단감염확산 예방을 위한진단 플랫폼 개발
    • ntis감염병 격리 치료 시설 확충을 위한 기존 의료시설 긴급 전환 기술 개발
    • ntisFO-LSPR 기반의 해외유입 감염병 신속 현장 진단기기 개발
    • ntis의료현장 감염병 안정성 강화를 위한 디지털·환경데이터 기반 AI 방역공조 시스템 개발
  • 과제 더보기
    • ntis국가 재난형 동물감염병 FMDV(구제역)예방 바이러스유사입자(VLP) 차세대백신개발
    • ntis반려동물 대상 인수공통감염병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SFTS) 백신 개발
    • ntis감염병 대응을 위한 EMR연동 및 진료 콘텐츠 기반 환자맞춤형 비대면 진료 플랫폼 개발과 실증
    • ntis안정하고 경제적인 고효율 지질 나노큐보좀 기반 고위험 동물감염병 백신 전달시스템 개발
  • 논문 더보기
    • ntis감염병에 대응한 리질리언스 지역재생모델 개발 및 적용 -핫스팟분석을 활용한 감염취약지역 분석 및 설계적 대안
    • ntis신종감염병과 보건의료 빅데이터 분석의 윤리
    • ntis감염병 위기상황에서 의료자원의 공정한 분배를 위한 의사결정과 민주적 거버넌스
    • ntis감염병의 시대, 간(間)존재로서의 타자: 드라마 시즌1과 시즌1 분석을 중심으로
  • 특허 더보기
    • ntis감염병에 대한 확진자 수 변화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 ntis감염병 전파 방지를 위한 공조 설비
    • ntis감염병 감시를 위한 하수측정망 최적화 및 하수역학 기반 감염규모 예측 방법 및 시스템
    • ntis제한된 임상 데이터 및 의료 자원 하에서 감염병 환자를 최적 분류하기 최적의 임계 값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영상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는 바이오 분야의 전문 지식을 영상 콘텐츠로 제공하여,
바이오 분야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있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