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병
감염병은 세균, 스피로헤타, 리케차, 바이러스, 진균, 기생충과 같은 여러 병원체에 의해 감염되어 발병하는 질환이며, 특히 2019년 12월 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은 인류의 삶을 크게 변화시켰습니다.Collection
감염병
개념
감염병은 세균, 스피로헤타, 리케차, 바이러스, 진균, 기생충과 같은 여러 병원체에 의해 감염되어 발병하는 질환으로 병원체에 의한 감염은 음식의 섭취, 호흡에 의한 병원체의 흡입, 다른 사람과의 접촉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발생하며 제1급감염병, 제2급감염병, 제3급감염병, 제4급감염병, 기생충감염병, 세계보건기구 감시대상 감염병, 생물테러감염병, 성매개감염병, 인수(人獸)공통감염병 및 의료관련감염병을 말한다.
“제1급감염병”이란 생물테러감염병 또는 치명률이 높거나 집단 발생의 우려가 커서 발생 또는 유행 즉시 신고하여야 하고, 음압격리와 같은 높은 수준의 격리가 필요한 감염병으로서 다음 각 목의 감염병을 말한다. 다만, 갑작스러운 국내 유입 또는 유행이 예견되어 긴급한 예방ㆍ관리가 필요하여 질병관리청장이 보건복지부장관과 협의하여 지정하는 감염병을 포함한다.(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법률, 21.03 참조)
- 에볼라바이러스병, 마버그열, 라싸열, 크리미안콩고출혈열, 남아메리카출혈열, 리프트밸리열, 두창, 페스트, 탄저, 보툴리눔독소증, 야토병, 신종감염병증후군,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동물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 신종인플루엔자, 디프테리아
미국 등 주요 선진국들은 현재 감염병 발생을 글로벌 안보이슈로 인식하고 관련 연구개발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하면서 감염병연구개발과 대응관리 체계의 연계에 주력하는 추세이며, 2000년 이후 국제수역사무국(OIE)과 세계보건기구(WHO) 및 세계각국에서는 환경-동물-인간이 하나라는 개념으로 감염병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원헬스(One Health) 개념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2019년 12월 말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생하여 전세계로 확산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은 인류의 삶을 크게 변화시켰으며 의료, 교육, 문화·관광, 금융, 유통 등 거의 모든 분야가 비대면·디지털 방식으로 빠르게 전환되는 계기가 되었다.
여기에서는 바이오인에서 담고 있는 코로나19를 포함한 감염병에 관련된 다양한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
글로벌 감염병 연구 프로그 램 |
|
|
국내외 감염병 정책연구 현황 |
|
|
코로나19 관련 동향 |
|
|
출처 |
|
지식
더보기-
BioINwatch기후변화에 따른 유럽 내 모기 매개 감염병 확산
기후변화에 따른 유럽 내 모기 매개 감염병 확산 BioINwatch(BioIN+Issue+Watch): 25-64 ◇ 2025년 여름, 유럽 전역에서 기록적으로 급증한 모기 매개 감염병은 기후변화가 공중 보건에 미치는 위협을 경고. 가장 두드러게 부상한 감염병은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west nile virus, WNV)와 치쿤구니야(chikungunya) 바이러스가 매개. 효과적인 항바이러스제나 백신과 같은 신속한 해결책이 부재한 현 상황에서 대응 패러다임의 근본적 전환 필요 ▸주요 출처 : Science, Mosquito-borne viruses surge in a warming Europe, 2025.9.3 ◆ 2025년 여름, 유럽 전역에서 기록적으로 급증한 모기 매개 감염병은 기후변화가 공중 보건에 미치는 위협을 경고 ○ 과거 특정 지역에 국한되었던 감염병이 유럽 대륙의 새로운 지역으로 확산 - 기후변화라는 거대한 동인이 보건 시스템에 가하는 문제는 더 이
2025-09-30
-
BioINwatch동물 감염병 및 인수공통감염병 제어를 위한 자가 전파형 백신(Transmissible Vaccines)
동물 감염병 및 인수공통감염병 제어를 위한 자가 전파형 백신(Transmissible Vaccines) BioINwatch(BioIN+Issue+Watch): 24-67 ◇︎야생 동물에서 시작해 인간에게 전파되는 인수공통감염병(zoonosis)의 병원체는 전통적인 백신 접종으로 통제가 불가능. 이에 스스로 확산하며 특정 동물 집단에 백신을 전파하는 자가 전파형 백신을 주목. 그러나 백신으로 사용하는 바이러스의 예상치 못한 변이 발생과 같이 기술적, 윤리적 측면의 도전과제들도 존재 ▸주요 출처 : Science, Developing transmissible vaccines for animal infections, 2024.4.18 ◆야생 동물에서 시작해 인간에게 전파되는 인수공통감염병(zoonosis)의 병원체는 전통적인 백신 방법으로 통제가 불가능 ○야생 동물을 포획하여 개별적으로 백신을 접종할 수 없기 때문인데,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는 데에 자가 전파형 백신(Transmis
2024-10-24
-
BioINwatch기존 백신의 단점을 보완한 자가증폭 mRNA 코로나19 백신
기존 백신의 단점을 보완한 자가증폭 mRNA 코로나19 백신 BioINwatch(BioIN+Issue+Watch): 24-58 ◇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코로나19 예방용 백신 코미나티주는 초기 예방 효과를 입증했으나, 면역 지속성이 짧아 부스터 샷이 필요. 면역원성이 더 우수한 백신에 대한 미충족 수요 상황에서 저용량으로 더 강력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자가증폭 mRNA 코로나 백신을 주목 ▸주요 출처 : Global research, Replicon mRNA Vaccine: Japan Approves World’s First self-Amplifying mRNA Vaccine, 2024.1.3, Lancet, Persistence of immune response of a self-amplifying RNA COVID-19 vaccine(ARCT-154) versus BNT162b2, 2024.2.1 ■지난해 일본 후생노동성은 자가증폭(self-amp
2024-09-04
-
BioINwatch바이오의학 연구에 대한 코로나19의 교훈
바이오의학 연구에 대한 코로나19의 교훈 BioINwatch(BioIN+Issue+Watch): 23-25 ◇ 미국 NIH 원장이었던 프랜시스 콜린스(Francis Collins)를 비롯하여 다양한 관계자들이 참여하여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면서 얻은 바이오의학 연구에 대한 교훈을 정리하여 사이언스에 발표. 코로나19의 가장 가치 있는 교훈은 바이오 기초 및 응용연구의 통합 노력으로, 수천 명의 창의적인 과학자, 관리자 및 커뮤니티의 협력이 크게 기여했으며, 또한 수십 년 동안 발견한 과학적 성과와 내용을 신속하면서도 그것도 무료로 접근할 수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판단 ▸주요 출처 : Science, The NIH-led research response to COVID-19, 2023.2.2 ■ 미국 NIH 전 원장 프랜시스 콜린스(Francis Collins)가 다양한 관계자와 함께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면서 얻은 바이오의학 연구에 대한 교훈을 정리하여 사이언스에 발표
2023-04-11
-
BioIN4P감염병 분야 4P 분석
감염병 분야 4P 분석 -Paper(논문), Patent(특허), Product(산업), Portfolio(투자) - Paper(논문) 글로벌 국내 연도별 발표현황 연도별 발표현황 주요 국가 주요 국가(공동연구 현황) * 한국은 3,235건으로 18위 주요 연구기관 주요 연구기관 * 각 대학의 부속병원 논문 수 포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2022-06-29
-
BioIN4P코로나19 분야 4P분석
코로나19 분야 4P분석 - Paper(논문), Patent(특허), Product(산업), Portfolio(투자) - Paper(논문) 글로벌 국내 연도별 발표현황 연도별 발표현황 주요 국가 주요 국가(공동연구 현황) * 한국은 4,528건으로 18위 주요 연구기관 주요 연구기관 * 각 대학의 부속병원 논문 수 포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2022-06-27
-
BioINregulation바이오 분야 리스크의 인지 : 코로나19 이후 인지 비교
바이오 분야 리스크의 인지: 코로나19 이후 인지 비교 한양대학교 김태윤 교수 코로나19의 영향으로 4차 산업혁명은 더욱 가속화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바이오 분야 기술이 핵심 산업으로 주목받음. 미국의 비즈니스 미디어 매거진인 Inc.는 2022년 주요 기술과 비즈니스에 영향을 미친 10대 트렌드 중 하나로 바이오기술의 모멘텀을 선정함. 전 미국 IT매체 CNET(씨넷)은 2022년 5가지 기술 트렌드 중 하나로 팬데믹과 미래 건강이라고 함. 씨넷은 세계는 팬데믹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으며, 원격의료가 일반화되고 새로운 백신과 치료제가 개발될 것으로 전망함 이처럼 바이오 분야 이슈에 대한 다방면적 논의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님. 바이오 기술은 사람의 생명 현상과 직결되어 리스크의 파급효과를 예측하기 쉽지 않음. 이에 바이오 기술은 타 분야에 비해 기술의 리스크에 따른 갈등 및 수용거부 문제를 예민하게 다뤄야 함. 따라서 리
2022-05-31
-
BioINwatch미국 정부의 코로나19 후유증(Long COVID) 대응방안
BioINwatch(BioIN+Issue+Watch): 22-36 미국 정부의 코로나19 후유증(Long COVID) 대응방안 ◇ 코로나19 후유증(Long COVID)은 최대 2,300만 명의 미국인에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 그 원인과 경제·사회적 파급력이 미지수인 상황에서 미국 정부는 코로나19 후유증에 대처하는 지원방안을 마련 ▸주요 출처 : GAO, Science & Tech Spotlight: Long COVID, 2022.3.2.; The Lancet, Long COVID: aiming for a consensus, 2022.5.4.; S&T GPS, 미국, 롱코비드의 예방, 진단, 치료를 위한 범정부적 대응 정책 발표, 2022.4.5. ▣ 코로나19 후유증(Long COVID)은 최대 2,300만 명의 미국인에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되며, 원인과 경제·사회적 파급력 등은 미지수 ○ 코로나19 후유증은 일반적으로 코로나19 감염 이후 증상이 지속 혹은
2022-05-26
동향
더보기-
정책동향
코로나19 백서2025.07.01
보건복지부
-
기술동향
감염병 현장 진단 기술 연구 동향2025.06.17
감염병기술전략센터
-
정책동향
트럼프 행정부와 글로벌 감염병 대응의 미래2025.05.29
감염병기술전략센터
-
정책동향
국내 첨단바이오·감염병 R&D 정책 동향2025.05.27
감염병기술전략센터
-
기술동향
호흡기 감염병 진단 기술 동향2024.10.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기술동향
신·변종 감염병 백신 연구개발 동향 정보집 발간2024.09.13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기술동향
감염병 백신・치료2024.06.20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정책동향
COVID-19 사회적 대응 결과 분석 및 향후 감염병 유행 시 적용 가능한 정책 대응 방안 연구2024.06.19
한국보건의료연구원
-
기술동향
만성 코로나19 증후군(Long COVID)의 증상 및 관련 연구 동향2024.01.23
한인과학기술자네트워크
-
제도동향
[생물의약품] 코로나19 백신 신속 국가출하승인 정보집2024.01.10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제도동향
[이슈 브리핑] 일본, 세계 최초 자가증폭 mRNA 코로나19 백신 승인2024.01.02
한국바이오협회
-
인프라동향
코로나19가 미국의 과학기술 연구 인력에 미친 영향2023.12.28
한인과학기술자네트워크
-
제도동향
코로나19 환자 치료를 위한 최신근거 기반 다학제 임상진료지침 개발 - living guideline 방법론 적용: 약물 외2023.12.07
한국보건의료연구원
-
제도동향
코로나19 환자 치료를 위한 최신근거 기반 다학제 임상진료지침 개발 - living guideline 방법론 적용: 약물2023.12.06
한국보건의료연구원
-
산업동향
[이슈 브리핑] 다이이찌산쿄, 일본 정부와 코로나19 mRNA 백신 공급계약 체결2023.11.28
한국바이오협회
-
정책동향
코로나19의 건강영향과 정부의 대응정책에 대한 인식 격차2023.10.04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정책동향
2022년 법정 감염병 신고 현황2023.09.26
질병관리청
-
제도동향
[이슈 브리핑] 일본 최초 코로나19 mRNA 백신 허가가 갖는 의미2023.08.14
한국바이오협회
-
기술동향
인천공항과 인천항을 통해 해외에서 유입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감시 현황2023.07.20
질병관리청
-
기술동향
2022년 신종ㆍ재출현 감염병 위기관리 대응훈련 실시 결과2023.07.03
질병관리청
차트+
더보기뉴스
더보기-
R&D
"감염병 10분 만에 진단"…국내 연구진 '나노입자 기술' 개발2025.10.21
뉴스1
-
R&D
[25.09.29.월] 코로나19 후유증: 후각 상실의 원인2025.09.29
Medindia 외
-
R&D
질병청, '니파바이러스 감염증' 제1급감염병 신규 지정2025.09.09
전자신문
-
R&D
생명연, 28~29일 제4회 APIS 포럼 개최...아시아-태평양 감염병 공조 강화 논의2025.08.28
전자신문
-
R&D
한국, 감염병예방혁신연합 '중앙실험실 네트워크' 신규 참여2025.08.06
뉴스1
-
R&D
현대바이오사이언스, 코로나19 경구치료제 임상 결과 국제학술지 게재2025.08.04
매일경제
-
R&D
AI 과학자 모여 몇분이면 '회의 끝'..며칠 만에 코로나19 치료제 후보 92개 도출2025.08.01
동아사이언스
-
R&D
루카스바이오, ‘중증 코로나19 완치 성과’ 국제 학술지 게재2025.07.31
디지털타임스
-
R&D
3만 7000년 걸친 유라시아 감염병 지도…가축화, 전염병 불렀다2025.07.28
동아사이언스
-
R&D
[25.07.24.목] 코로나19에 걸리지 않아도, 팬데믹 속에서의 삶 자체가 뇌의 노화를 더 빠르게 만든다2025.07.24
Medical news 외
-
R&D
코로나19 팬데믹이 '뇌' 노화시켰나…"감염 없어도 평균 5개월 더 늙어"2025.07.23
동아사이언스
-
R&D
생명연 "공기 중 항생제 내성균 간편 검출…감염병 대응 패러다임 전환"2025.07.17
아시아경제
-
R&D
성홍열·A군 연쇄상구균 확산에 의료계 경고…“코로나 이후 감염병 대응 체계 붕괴 우려”2025.07.04
바이오타임즈
-
R&D
故 이건희 회장 기부 1조원, 감염병 막을 의료 인프라 만든다2025.07.04
조선비즈
-
R&D
[25.07.04.금] 기후 변화가 감염병에 미치는 영향2025.07.04
Gen 외
-
R&D
기후위기 속 인수공통감염병 대응, 정부·학계 머리 맞댔다 外2025.07.01
동아사이언스
-
R&D
헬리코박터·HPV…감염병만 예방해도 암 덜 걸린다2025.07.01
동아사이언스
-
R&D
2024년 감염병 전년 比 54.5%↑…호흡기감염병 유행 영향2025.06.26
메디포뉴스
-
R&D
"쥐 콧속 투여 후 100% 생존"…코로나19 원점 타격 기술 개발2025.06.24
연합뉴스
-
R&D
코로나19 바이러스 ‘증식 원점’ 타격…새 치료 전략 제시2025.06.23
동아사이언스
부처보도자료
더보기-
「제12회 감염병연구포럼」 개최, 국립감염병연구소 성과 및 향후 발전방향 논의
질병관리청
2025-09-26
-
니파바이러스감염증, 제1급 법정감염병 및 검역감염병으로 신규 지정
질병관리청
2025-09-09
-
질병관리청장, 신종감염병 발생 대비 방역물자 비축센터 현장 점검
질병관리청
2025-08-08
-
한국, 감염병예방혁신연합(CEPI) ‘중앙실험실 네트워크’ 참여기관으로 신규 지정
질병관리청
2025-08-06
-
건강한 나라지킴이! 질병청, 국방부, 지자체가 감염병 훈련으로 뭉친다
질병관리청
2025-07-09
-
‘글로벌 감염병 대응역량 확보’를 위한 국제연구협력 본격화
질병관리청
2025-07-04
-
질병관리청-감염병전문병원-지자체 의료대응 인프라 및 전략 논의
질병관리청
2025-06-24
-
mRNA에서 미래로: 감염병 대응을 위한 첨단 백신 기술 전략 논의
질병관리청
2025-06-20
-
미래감염병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국가첨단백신개발센터 착공
질병관리청
2025-06-13
-
사람-동물-환경 기반의 감염병 공동대응 체계 점검
농림축산식품부
2025-06-05
-
사람-동물-환경 기반의 감염병 공동대응 체계 점검
농림축산식품부
2025-06-05
-
태국과 감염병 대응 협력, 동남아 방역 공조 강화
질병관리청
2025-06-05
-
질병관리청 감염병 실험실 운영 표준, 글로벌 확산 첫발
질병관리청
2025-05-29
-
감염병 대응, 한·미 공중보건 실험실 진단 협력의 문을 열다
질병관리청
2025-05-29
-
‘박쥐 유사장기(오가노이드)’로 미래 감염병 세계적 대유행(팬데믹) 막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5-05-16
-
감염병 대유행 대비 「국가비축물자 중장기 계획(’25~’29)」 수립
질병관리청
2025-04-18
-
질병관리청-몽골 국립감염병센터 국제개발협력 사업 성과 도출을 위한 협력 논의
질병관리청
2025-04-07
-
국립감염병연구소, 미래 감염병 대비를 위한 항체개발 전문가 간담회 개최(2.25.화)
질병관리청
2025-02-26
-
국제백신연구소 글로벌생물자원센터 개소, 질병관리청과 신변종 감염병 대응 협력 강화 기대
질병관리청
2025-02-24
-
여행자 호흡기 감염병 검사 서비스 시범사업 시행
질병관리청
2025-02-17
성과
더보기-
KBSI-KAIST, 신경퇴행성 질환·암·감염병·당뇨병 연결하는 분자 네트워크 규명
2025-10-22
-
공기 중 부유 항생제 내성균의 간편 현장 검출 기술···감염병 대응 패러다임 전환
2025-07-29
-
폐 질환 모델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폐 손상 악화 입증
2025-06-12
-
코로나19 바이러스 빠른 대량 증식 원리 신규 규명 및 치료 후보물질 확대 가능성 제시
2024-07-03
-
코로나19·메르스·사스 바이러스의 가지각색 감염 전략
2024-04-30
-
AI 챗봇, 코로나19 불안감 해소 돕는다
2023-01-18
-
영장류 모델 실험을 통해 코로나19 바이러스 특성 확인
2020-08-05
-
의료현장에서 30분만에 감염병을 정확하게 진단
2015-07-31
-
감염병 매개 살인진드기 방제를 위한 바이오소재 개발
2014-12-19
연계정보BICS는 바이오 R&D에서 산업화까지 다양한 정보 자료를 수집하여
이용자들이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더보기
-
Bio지표감염병 분야-부처별 연구개발비(2018~2022)
2024-10-22
-
Bio지표감염병 분야-연도별 연구개발비(2018~2022)
2024-10-22
연계정보
-
연구보고서
더보기
-
ntis옴 감염병 조기진단과 집단감염확산 예방을 위한진단 플랫폼 개발
닫기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옴 감염병 조기진단과 집단감염확산 예방을 위한진단 플랫폼 개발/Development of platform for early diagnosis of scabies and prevention of spreading
사업 : 2023 보건복지부 감염병 예방·치료 기술개발과제 : 1465040275 울산대학교 옴 감염병 조기진단과 집단감염확산 예방을 위한진단 플랫폼 개발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507 발행기관명 울산대학교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최종 목표1 옴 감염의 민감도 및 특이도 높은 진단을 위한 카트리지 필터 기반 핵산 전처리 기술 및 다중인자 검출법을 적용한 분자진단 플랫폼 개발 및 제품화1 기존 핵산 전처리 기술은 가피에서 핵산을 추출하기 위하여 용해 과정에서 ONOver night 하는 방법으로 가피를 용해하여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진단도 늦어짐2 이러한 단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본 연구과제에서는 검체 수집 직후 용해 lysis buffer를 포함한 수송배지와 혼합 이후 진단검사기관에 운반하는 플랫폼을 마련하여 검사 결과를 얻기까지 시간을 단축하고자 함3 옴 감염 부위에서 채취한 검체 내의 병원체로부터 핵산을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1등급 전처리 시약 개발4 추출된 핵산을 이용하여 qPCR 방식으로 진단할 수 있는 검사 시약 개발2 연구용 IRB로 수집된 임상 검체를 통하여 시제품 성능 검증 및 분석적 성능시험 수행3 품목허가를 위한 IRB로 수집된 임상 검체를 통하여 임상적 성능시험 진행4 옴 감염 전처리와 검사 시약에 대한 국내 품목허가 획득5 개발 제품의 국내외 마케팅 수행 전체 내용 1차년도1 주관연구개발과제서울아산병원1 옴 진단의 데이터 확보선행적으로 KOH 검경현미경 검사법을 통해 옴 진단의 데이터를 확보한 경험이 있음 선행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본 과제 연구개발 제품의 분석적 및 임상적 성능시험 진행에 필요한 진단 데이터 확보 예정 수집 되는 검체가 확실한 양성인지 음성인지 구분되도록 KOH 검경 결과 및 데이터 수집 예정2 임상적 성능시험 기반구축을 위해 가려움증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의 검체중 버려지는 피부 각질 세포층을 얻어서 PCR을 위한 프라이머 테스트 연구를 위한 임상시험을 승인받아 연구용 임상시험 진행 임상 시험 IRB 승인 옴 진료 공간 세부 셋업 역학조사 등3 PCR진단검사법의 테스트 기반 구축 사람의 각질세포 및 마우스 피부샘플에서 기존 DNA 추출 키트로 DNA를 추출한후 선행과제에서 사용된 옴 진단 primer및 사람과 마우스의 동일 유전자 primer로 테스트4 기타 선행연구와 관련 분야 SCI논문 출판 경험 활용하여 공동연구개발기관이 개발한 전처리와 검사시약의 설계 검토 및 성능분석확인 임상적 유용성 확인예정2 공동연구개발과제인퓨전텍1 3등급 옴 진단검사 시약 타겟 설정옴 개선충에 대한 유전정보 확보하여 를 표준 혈청형으로 결정하였고피부가피 용해시간을 최대한 단축할수 있는 1등급 전처리 키트로 개발예정qPCR을 이용한 진단법의 연구 진행을 위해 표준 혈청형으로 결정된 사람 옴진드기 Sarcoptes scabiei var hominis의 미토콘드리아 DNA에 존재하는 cox1 및 NAD 범용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SSUD의 유전자를 테스트하여 특이성이 높은 2개의 유전자를 Target gene으 로 설정 및 Internal controlIC은 GAPDH로 설정하여 3 Target Multiplex qPCR 설계 예정2 옴을 일으키는 개선충에 대한 미토콘드리아 염기서열외의 유전자 정보가 미흡하여 WGSWhole Genome Sequencing 의뢰 예정3 qPCR 위한 primer 및 probe 선정 WGS의 결과를 통해 개선충 유전자를 확보하여 성충 뿐 아니라 알에서도 동일 타겟유전자를 목표로 다수의 후보군 프라이머를 디자인 및 시험하여 최적의 primerprobe 세트 선정4 옴을 일으키는 개선충 진단 검사 시약의 시제품 성능 검증을 임상 검체현미경 검사에 의해 양성 및 음성이 명확하게 정의된 상태를 가지고 수행후 민감도와 특이도 확인5 옴 개선충 검사시약 시제품 개발 완료6 진단검사 시약 분석적 성능시험 완료 평가항목 분석적 민감도 분석적 특이도정밀도 정확도 2차년도1 주관연구개발과제서울아산병원1년차에 승인된 아산병원 IRB내용을 기반으로 임상적 성능시험의 식약처 허가를 득한 후 실시간 PCR을 이용한 옴 진단의 전향적 연구를 내용으로 하는 임상시험을 승인받고 환자를 공고한 후 임상시험진행 200명 목표2 공동연구개발과제인퓨전텍1 GMP 제조소 생산 준비를 위해 설계 및 개발 문서 작성 교육 이력 공정 밸리데이션 계획을 준비 및 시행2 내부 검증 및 주관연구기관에서 임상 검체를 사용한 외부 검증 수행3 국내 품목 허가 기준에 준하는 수준으로 진단 검사 시약의 임상적 성능 시험 수행4 국제 의료기기 전시회 참가 및 마케팅 수행출처 요약문 4p -
ntis감염병 격리 치료 시설 확충을 위한 기존 의료시설 긴급 전환 기술 개발
닫기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감염병 격리 치료 시설 확충을 위한 기존 의료시설 긴급 전환 기술 개발/Development of emergency remodeling technology for medical facilities to quarantine infectious diseases
사업 : 2023 보건복지부 감염병의료안전강화기술개발사업과제 : 1465038480 세종대학교 감염병 격리 치료 시설 확충을 위한 기존 의료시설 긴급 전환 기술 개발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507 발행기관명 세종대학교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최종 목표본 연구는 감염병 위기 발생 시 감염병 격리 병동을 확충하기 위하여 일반병동을 감염병 격리 병동으로 긴급 전환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과제이며 최종 목표는 긴급 전환 기술 지침 및 긴급 전환 기술의 안정성 평가 지침을 개발하는 것임 각 연구개발기관별 최종목표는 아래와 같음 주 관 1 긴급 전환 감염병 격리 병동을 위한 공조시스템 기술 성능 평가2 요소 기술들의 적용 목업에서의 실증을 통한 긴급 전환 감염병 격리 병동 안전성 평가 지침 개발 공동1 1 국내 의료시설의 특성을 반영한 간이형 긴급 전환 감염병 격리 병동 기술 및 지침 개발2 요소 기술들의 적용 목업에서의 실증을 통한 간이형 긴급 전환 기술이동형 음압기의 표준 모델 개발 공동2 1 감염병 대응 의료시설 오염방지 위생설비 기술 및 지침 개발2 감염병 치료시 의료진 보호를 위한 국부환기정화 유닛 개발 및 Mockup 실험 평가 공동3 1 리모델링형 긴급 전환 감염병 격리 병동의 표준건축설계지침 개발2 간이형 긴급 전환 감염병 격리 병동의 표준건축설계지침 개발 공동4 1 긴급 전환 감염병 격리 병동 내 공간 유형별 표준설계도서 작성2 표준설계 제품화 아이템 개발 및 특허출원 공동5 긴급 전환 감염병 격리 병동의 의료기능과 시설 취약점 분석을 통한 개선 요구사항 도출 공동6 1 긴급 전환 기술 적용을 위한 시제품 개발2 긴급 전환 감염병 격리 병동 실증 위 탁 공간구획기술의 음압유지 및 감염원 확산 차단성능 수치해석 시뮬레이션 성능 평가 전체 내용본 연구내용은 크게 3가지로 구성되어 있음 첫째 기존 긴급 전환 감염병 격리 병동의 사례 조사를 통해 분석함 둘째 긴급 전환 기술 지침과 긴급 전환 기술의 안정성 평가 지침 표준설계도서 및 시제품을 개발함 셋째 요소 기술 적용 목업에서의 실증 평가를 통한 긴급 전환 기술 지침을 보완함 각 연구내용별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와 같음연구내용 1 기존 긴급 전환 감염병 격리 병동 사례 조사 및 분석 코로나19로 인한 기존 의료시설 병동의 긴급 전환 사례 조사 및 분석전체기관 1차년도 기존 의료시설 병동의 구조적 설비적 특성 분석주관 1차년도 기존 긴급 전환 병동의 환경설비적 특성 분석공동1 1차년도 감염 전파방지 위생설비국부환기정화 기초조사공동2 1차년도 의료시설의 병동부 건축유형 및 특성과 운영 중인 감염병 의료시설의 병동부 공간구조 특성 분석공동3 1차년도 중증환자 긴급치료 병동 설계현황조사 공동4 1차년도 해외 주요 감염관리지침 및 국내 코로나19 대응 병동 긴급 전환 사례 분석 공동5 1차년도 긴급 전환 감염병 격리 병동용 기존 기술 현황 조사 공동6 1차년도 기존 감염병 격리 병동 공간구획기술 관련 국내외 문헌 및 사례 검토 위탁 1차년도연구내용 2 긴급 전환 기술 지침과 긴급 전환 기술의 안정성 평가 지침 표준설계도서 및 시제품 개발 감염병 위기 단계 및 위중 정도에 따른 긴급 전환 감염병 격리 병동 시설 기준 및 긴급 전환 지침 도출주관 1차년도 간이형 긴급 전환 감염병 격리 병동 지침 개발공동1 1차년도 긴급 전환 위생설비 표준모델 도출공동2 1차년도 표준 병동 유형의 도출 및 감염병 격리 병동 리모델링을 위한 건축기본설계지침 작성공동3 1차년도 표준설계도서 기본안 작성공동4 1차년도 리모델링형 긴급 전환 감염병 격리 병동 공조시스템 개발 및 음압격리병실 실험챔버를 활용한 병동 안전 기준과 공사 시 안전 기준 개발주관 2차년도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간이 전환 기술 성능평가 및 지침 개발공동1 2차년도 긴급 전환감염전파 방지 위생설비국부환기정화 상세설계 성능해석 및 가이드라인 개발공동2 2차년도 리모델링형 및 간이형 긴급 전환 감염병 격리 병동의 건축상세설계지침 작성공동3 2차년도 표준설계도서 및 실시설계도서 작성공동4 2차년도 긴급 전환 기술 적용을 위한 시제품 개발공동6 2차년도연구내용 3 요소 기술들의 적용 목업에서의 실증 평가를 통한 긴급 전환 기술 지침 보완 요소 기술들의 적용 목업에서의 실증 평가 최종 감염병 위기 단계에 따른 설비 긴급 전환 지침 및 긴급 전환 안전 기준 개발주관 3차년도 간이 전환 기술의 적용 목업 실증 평가 및 표준 모델 개발공동1 3차년도 긴급 전환감염전파 방지 위생설비국부환기정화 목업 실험평가 및 위생설비 표준모델 지침서 개발공동2 3차년도 리모델링형 및 간이형 긴급 전환 감염병 격리 병동의 목업 실증 모니터링공동3 3차년도 완료 보고서 및 표준설계도서 수정 보완공동4 3차년도 긴급 전환 기술 및 지침을 요소 기술 적용 목업에 적용 및 평가공동5 3차년도 긴급 전환 감염병 격리 병동 요소 기술 적용 목업에서의 실증공동6 3차년도 긴급 전환 감염병 격리 병동 표준모델의 공간구획기술 및 지침 적용에 따른 성능평가위탁 3차년도출처 요약문 4p -
ntisFO-LSPR 기반의 해외유입 감염병 신속 현장 진단기기 개발
닫기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FO-LSPR 기반의 해외유입 감염병 신속 현장 진단기기 개발/Development of point-of care system based on FO-LSPR for imported infectious diseases detection
사업 : 2023 보건복지부 감염병 예방·치료 기술개발과제 : 1465038782 제이더블유바이오사이언스(주) FO-LSPR 기반의 해외유입 감염병 신속 현장 진단기기 개발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507 발행기관명 제이더블유바이오사이언스 주식회사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최종 목표연구개발과제의 최종 목표 FOLSPR 방법을 이용한 고민감도 정밀진단 니파 바이러스 검출 제품 개발1 진단용 시작품FOLSPR Sensor와 프로브 포함 카트리지 및 시작품의 동작 기능성 조립성을 검토하여 완성 시제품 제작11 프로브 RNA를 FOLSPR의 금 나노입자에 부착하여 CRISPRㆍCas의 활성화 여부로 바이러스의 존재 유무와 검출 한계LOD를 실험적으로 산출해내어 목표치 만족 유무를 확인12 FOLSPR 리더기 소형화 센서 카트리지 개발 센서 성능 향상 등을 통해 고 민감도 진단기기 완성2 FOLSPR 센서가 포함된 시제품 제작21 2개의 fiber로 사용하여 1개는 control 표지용으로 센서의 정상 작동 유무를 확인하고 나머지 1개는 니파바이러스 검출용으로 사용 니파 바이러스의 유입으로 검출 수요가 더 증폭되면 카트리지의 수를 늘려 동시 검출 수를 늘리고자 함22 센서 카트리지를 일회용으로 쉽게 장착 및 교환이 가능하도록 제작23 카트리지 및 FOLSPR은 동결건조를 통해 파우치 포장으로 상온 보관 가능 제작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함24 검출 한계 등 FOLSPR 기기의 성능민감도 10 copyul 10 fM 와 비교을 평가하기 위해 신속 진단 키트와 RTPCR과 비교25 사용자 편의 반영한 FOLSPR 전용 소프트웨어 개발3 임상적 성능이 포함된 평가 결과 발표31 학술대회 및 논문 23년 차 사이에 임상적 민감도 95 이상 특이도 99 이상의 임상 결과를 도출 임상 결과를 바탕으로 한 학술대회 발표 혹은 논문 발표연차별 목표1 1차년도 목표 FOLSPR 기기 및 카트리지 시제품 생산 완료 주관 JW 바이오사이언스 해외유입 바이러스 검출 임상 IRB 승인 및 카트리지 양산 조건 수립 공동 엠비티 카트리지 시제품 제작 및 시약 구성 완료 및 생산 이관2 2차년도 목표 FOLSPR 기기 허가 완료 및 분석적 성능 평가 실시 주관 JW 바이오사이언스 임상 및 표준 물질 확보 및 분석적 성능 평가 실시 공동 엠비티 FOLSPR 기기 전기 안정성 평가 완료 및 식약처 허가 신청3 3차년도 목표 분석적 임상적 성능평가 완료 및 식약처 품목 허가 신청 주관 JW 바이오사이언스 JW 바이오사이언스 분석적 임상적 성능 평가 완료 식약처 품목 허가 신청 공동 엠비티 FOLSPR 기기 식약처 허가 완료 및 양산 계획 수립 전체 내용CRISPRCas system을 통한 니파 바이러스 검출 제품 개발1 현장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는 POCT의 신속진단검사법으로 엠비티에서 개발한 광섬유 국소 표면 플라즈몬 공명 센서 FOLSPR를 이용하여 니파 바이러스를 진단하고자 함2 니파 바이러스Nihpa virus NiV는 Paramyxoviridae family의 Henipavirus 속에 속하는 바이러스로 약 182 kb의 negativestrand RNA를 유전자로 갖고 있으며 이 유전자는 nucleocapsid N phosphoprotein P matrix M fusion F attachment glycoproteinG large protein or RNA polymerase protein L 구성되어 있음3 니파 바이러스와 헨드라 바이러스는 항원성 혈청학적 및 미세 구조적 특징을 공유하며 두 바이러스 모두 동물과 사람에 감염되어 증상을 나타냄4 NiV의 구조에서 N P 및 L 단백질은 바이러스 복제 및 전사의 역할을 담당하고 비구조 단백질 C는 독성에 영향을 미침5 서열 분석에서 N P L 및 C 유전자의 뉴클레오티드 서열 동일성은 각각 983 92 982 및 952의 상응하는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으로 각각 943 920 934 및 976로 확인됨 Harcourt et al 20056 NiV의 이러한 생물학적 특성으로 구조적으로 유사성이 많이 확보되어있는 N 부위에서 crRNA를 제작하여 특이적으로 감염체 검출 시 사용함개발 제품의 검출 과정1 니파바이러스 RNA가 들어있는 검체는 제품 구성품 중의 하나인 반응 튜브에 섞어 반응시킴2 반응액 속의 니파바이러스 특이적인 crRNA는 니파바이러스 RNA에 결합하게 되고 반응액의 Cas13 단백질이 결합하여 nuclease activityRNase activity를 갖게 됨3 이후 반응액을 카트리지에 떨어뜨려 FOLSPR의 골드나노파티클Gold Nanoparticle AuNP에 붙은 프로브 RNA를 표적 절단하여 신호 전달 변화를 통해 반응이 일어남개발 의의1 기존 타방법과 비교하여 고감도 반응으로 20분 이내의 반응을 나타낼 것으로 기대함출처 요약문 4p -
ntis의료현장 감염병 안정성 강화를 위한 디지털·환경데이터 기반 AI 방역공조 시스템 개발
닫기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의료현장 감염병 안정성 강화를 위한 디지털·환경데이터 기반 AI 방역공조 시스템 개발/Development of AI air conditioning system based on digital and environmental data to strengthen the stability of infectious diseases at medical sites
사업 : 2023 보건복지부 감염병의료안전강화기술개발사업과제 : 1465039518 한국재료연구원 의료현장 감염병 안정성 강화를 위한 디지털·환경데이터 기반 AI 방역공조 시스템 개발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505 발행기관명 한국재료연구원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최종 목표 최종목표 의료현장 감염병 안정성 강화를 위한 디지털환경데이터 기반 AI 방역공조 시스템 개발 세부목표 디지털트윈 기반 의료현장 바이오에어로졸 확산 분석 및 방역공조기기 운영 시나리오 개발 재료연 디지털트윈 기반 감염병 확산 위험도 실시간 알림 시스템 개발 온품 실시간 의료현장 모니터링용 복합환경센서 개발 피아이앤이 센서 기반 의료현장 위험요소 실시간 모니터링 및 방역공조 통합관제 기술 개발 아스크스토리디에스 감염성 바이오에어로졸 특성분석 및 실용실증위원회 운영 국립마산병원 의료현장용 복합환경센서 및 AI 방역공조 시스템 성능 평가 KCL 의료현장용 복합환경센서 및 AI 방역공조 시스템 관련 단체표준 제정 KEAA 의료현장용 방역공조 시스템의 병원 실증평가를 통한 개발 시제품 유효성 검증 전체 내용 1차년도1단계 목표 의료현장 AI 방역공조 시스템용 복합환경센서 및 디지털트윈 핵심기술 개발 주관연구개발과제 디지털트윈 기반 바이오에어로졸 확산 예측 모델 개발 및 방역기기 사양 도출 공동연구개발과제 감염성 바이오에어로졸 특성 분석 및 디지털트윈용 DB 도출 공동연구개발과제 국제표준 기반 공유확장형 의료현장 디지털트윈 공간정보 제작 공동연구개발과제 실시간 의료현장 모니터링용 에어로졸 센서 개발 공동연구개발과제 복합환경센서 기반 의료현장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공동연구개발과제 의료현장용 방역공조기기 및 복합환경센서 평가 위탁연구개발과제 의료현장용 AI 방역공조 시스템 관련 국내외 표준 검토 2차년도1단계 목표 의료현장 디지털환경데이터 기반 AI 방역공조 시스템 개발 주관연구개발과제 디지털트윈 기반 방역공조 운영 시나리오 도출 및 방역기기 중앙관제 연계기술 개발 공동연구개발과제 의료현장 디지털트윈 기반 감염병 확산 위험도 실시간 알림 시스템 개발 공동연구개발과제 복합환경센서 고도화 및 중앙관제 연계기술 개발 공동연구개발과제 감염성 바이오에어로졸 활용 복합환경센서 평가 및 의료현장 실증안 도출 공동연구개발과제 복합환경센서 기반 의료현장 방역공조기기 중앙관제 시스템 개발 공동연구개발과제 디지털환경 데이터 기반 AI 방역공조 시스템 종합 성능 평가 위탁연구개발과제 의료현장용 AI 방역공조 시스템 관련 단체표준안 도출 3차년도1단계 목표 디지털환경데이터 기반 방역공조 시스템 의료 현장 실증 주관연구개발과제 의료현장 방역공조 시스템 실증 Site 관리 및 운영 결과 분석을 통한 시나리오 최적화 공동연구개발과제 실증 Site 환경분석 및 실증 지원 공동연구개발과제 실용실증위원회 운영을 통한 실증 계획 도출 공동연구개발과제 의료현장 실시간 복합환경센서 시제품 제작 및 실증 공동연구개발과제 의료현장 AI 방역공조 시스템 시제품 제작 및 실증 공동연구개발과제 의료현장 감염병 확산 위험도 알림 시스템 시제품 제작 및 실증 위탁연구개발과제 AI 방역공조 시스템 단체표준 제정출처 요약문 4p
-
ntis옴 감염병 조기진단과 집단감염확산 예방을 위한진단 플랫폼 개발
-
과제
더보기
-
ntis국가 재난형 동물감염병 FMDV(구제역)예방 바이러스유사입자(VLP) 차세대백신개발
닫기
연계정보(NTIS)
과제국가 재난형 동물감염병 FMDV(구제역)예방 바이러스유사입자(VLP) 차세대백신개발
나노백스 정부투자연구비 253,300,000원 총연구비 337,750,000원 보건의료 신약·의약품개발 백신-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김봉윤
- 참여연구자한재택;유상철;이서호;문은영;이인규;강두현;권혜준;안혜수;천지혜;정소원
연구목표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420015870 기준년도 2025 연구책임자 김봉윤 과제수행기관 나노백스 정부투자연구비 253,300,000 총연구비 337,750,000 - 1. 현재 상용 불활화 백신의 단점을 극복한 바이러스유사입자(VLP)기반의 차세대 구제역 백신 국산화.- 현재, 국내에서 수입되어 상용화 되고 있는 백신은 전량 불활화 백신으로서, 일정한 화학적 처리를 통하여 안전성을 확보했다고 할 수 있으나, 항상 백신에 사용된 바이러스의 재 활성화 위험이 상존함-현재 우리나라는, 2013년 구제역의 대유행 이후, 전국의...
- 1. 구제역의 외피 단백질을 이용한 바이러스유사입자 항원 발현 시스템의 구축-대장균 발현 시스템을 이용하여, 현재의막대한 비용이 투여되는 불활화 백신 생산방법의 단점을 극복한 바이러스유사입자(VLP)기반 구제역 백신 항원 발현 시스템을 확립2. 구축된 구제역 바이러스유사입자 항원 발현 시스템의 발현 최적화-구축된 발현 시스템에서 최적의 발현 항원을 선별하...
- 1. 바이러스유사입자(VLP)구제역 백신 플랫폼 구축-현재, 국내에서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다양한 동물백신 국산화 기술개발에 활용 -농림축산검역본부, 질병관리청등 백신 미개발 재난형 감염병질환 대응 주무부처와의 기술개발협력-동물 감염병 및 COVID-19과 같은 VLP 플랫폼을 이용한 백신개발에 관심이 있는 민간산업체와의 협력강화2.대장균 발현 바이러스유사...
- 6T관련효과
- 동식물 병해충 제어기술
-
ntis반려동물 대상 인수공통감염병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SFTS) 백신 개발
닫기
연계정보(NTIS)
과제반려동물 대상 인수공통감염병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SFTS) 백신 개발
주식회사 유틸렉스 정부투자연구비 107,500,000원 총연구비 120,700,000원 보건의료 신약·의약품개발 백신-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이형태
- 참여연구자임선우;권지희;이은지
연구목표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420021508 기준년도 2025 연구책임자 이형태 과제수행기관 주식회사 유틸렉스 정부투자연구비 107,500,000 총연구비 120,700,000 - ○ 차세대 면역증강제 및 재조합 단백질 기반 SFTS 백신의 생체내 방어 효능을 검증함.○ 반려동물(개)용 SFTS 백신 임상시험 신청 및 사업화를 목표로 함.
- [사업화R&D - 2단계]○ SFTSV 감염 실험동물(마우스) 모델 대상 다양한 SFTS 바이러스 유전형 대상으로 백신 접종에 따른 교차 방어 효능 평가○ SFTSV 감염 목적동물(개) 모델 대상 차세대 면역증강제 및 재조합 단백질 기반 SFTS 백신의 방어 효능 평가○ SFTS 백신 항원, 면역증강제의 품질관리 분석법 확립 및 안정성 평가○ 반려동물(개)...
- [연구개발성과의 기대효과 - 기술적 측면]○ 차세대 면역증강제 및 재조합 단백질 기반 SFTS 백신의 원천기술 확보 가능함.○ 예비연구의 성과로서, 기존 연구와는 차별화되는 부분으로 NP 항원 및 유틸렉스 면역증강제 혼합 백신의 학술적 우수성(중화항체 외 면역기전을 통한 생존율 확보) 검증하였음.○ 면역증강제는 플랫폼 기술로서, 다양한 항원 유형에 적용하여...
- 6T관련효과
- 동식물 병해충 제어기술
-
ntis감염병 대응을 위한 EMR연동 및 진료 콘텐츠 기반 환자맞춤형 비대면 진료 플랫폼 개발과 실증
닫기
연계정보(NTIS)
과제감염병 대응을 위한 EMR연동 및 진료 콘텐츠 기반 환자맞춤형 비대면 진료 플랫폼 개발과 실증
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정부투자연구비 2,000,000,000원 총연구비 2,440,000,000원 보건의료 의료정보/ 시스템 u-Health 서비스 관련기술(u-EHR)-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조재형
- 참여연구자최재기;김자현;김보희;양여리;윤재승;김경훈;이윤미;김소희;조윤성;이경애;정지윤;김국례;심미진;홍은기;김승연;성경헌;김경준;한주희;손경완;권동표
연구목표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460002243 기준년도 2025 연구책임자 조재형 과제수행기관 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정부투자연구비 2,000,000,000 총연구비 2,440,000,000 - □ ICT 기술을 활용한 EMR 연동 및 진료 콘텐츠 기반 환자맞춤형 비대면 진료 플랫폼 개발 및 임상 현장에서의 실증1. 1차년도?유관기관 네트워크 구축 및 연계 지원?감염병 환자 특성별 진료 및 관리, 통합 플랫폼 설계(1)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유관기관 네트워크 구축 및 연계 지원-감염병 환자 특성별 진료 및 관리, 통합 플랫폼 방향 도출(2)아이쿱-...
- 1. 1차년도(1)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비대면 집중 관리 시스템 모델링 및 과제간 통합 프로세스 확립-연구협의체 및 자문단 구축과 운영-실증 참여 병원간 연계 방안 마련-내역과제 간 데이터 표준화 방안 착수-감염병 환자 특성별 진료 및 관리 시나리오, 매뉴얼 구축,진료 및 관리, 기술개발 방안-국내외 비대면진료 연구개발,인허가 동향조사(2)아이쿱(가)감염...
- (1) 신종 감염병 발생시 정부주도하 전국적 감염병 관리 시스템으로 활용- COVID-19의 경우와 같이 신종 감염병이 전국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이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관리 시스템으로 활용- 전국적으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 환자를 의원급에서부터 선별 관리함으로써 효과적인 자원 배분이 가능.- 고위험군 환자를 비대면으로 집중 관리함으로써 감염병의 악...
- 6T관련효과
- 기타 정보기술
-
ntis안정하고 경제적인 고효율 지질 나노큐보좀 기반 고위험 동물감염병 백신 전달시스템 개발
닫기
연계정보(NTIS)
과제안정하고 경제적인 고효율 지질 나노큐보좀 기반 고위험 동물감염병 백신 전달시스템 개발
나노백스 정부투자연구비 500,000,000원 총연구비 666,667,000원 생명과학 융합바이오 나노바이오소재-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김봉윤
- 참여연구자한재택;유상철;이서호;박종현;문은영;이인규;강두현;박성한;안혜수;천지혜;안유진
연구목표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540000604 기준년도 2025 연구책임자 김봉윤 과제수행기관 나노백스 정부투자연구비 500,000,000 총연구비 666,667,000 - 지질 나노큐보좀을 이용한 차세대 고위험 동물감염병 국산 백신 전달시스템 개발
- 1차년도 1) 바이러스유사입자(VLP) 항원 의 안정적 생산 기술 확립2) VLP항원 정량 및 안정성 평가 고도화 기술 확립 3) Cubo-FMDV-VLPs 항원의 면역원성 평가시스템 구축 4) 안정적인 VLP 전달이 가능한 피내접종 및 경구투여가 가능한 두 가지 제형(Cubo-FMDV-VLPs, Cubo-FMDV-VLP NEXT) 제작 기술 개발 5) C...
- ● 농림축산검역본부, 질병관리청등 미개발 고위험 재난형 감염병 질환 대응 백신 개발에 활용● VLP 플랫폼을 이용한 백신개발에 관심이 있는 산업체와의 공동연구 협력을 통한 다양한 백신 국산에 활용● 백신의 효과를 증대 시킬 수 있는 면역보조물질을 발현하여 기존 백신의 면역증강효과를 높일 수 있는 면역증강제 개발에 활용● 생체내에서 항바이러스를 극대화 할 ...
- 6T관련효과
- 동식물 병해충 제어기술
-
ntis국가 재난형 동물감염병 FMDV(구제역)예방 바이러스유사입자(VLP) 차세대백신개발
-
논문
더보기
-
ntis감염병에 대응한 리질리언스 지역재생모델 개발 및 적용 -핫스팟분석을 활용한 감염취약지역 분석 및 설계적 대안
닫기
외부자료(NTIS)
논문감염병에 대응한 리질리언스 지역재생모델 개발 및 적용 -핫스팟분석을 활용한 감염취약지역 분석 및 설계적 대안
사업 : 202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과제 : 2710064548 공주대학교 COVID-19의 교훈 : 감염병에 대응한 리질리언스 도시재생모델 개발 및 활용 -딥러닝과 가상현실 기반 시뮬레이터 활용을 중심으로저자명(주공동저자),논문구분,학술지명,ISSN,학술지 출판연도 저자명(주공동저자) 윤정환;이장훈김태우;이경환 논문구분 학술지 학술지명 방재연구센터 논문집 ISSN 1229-2281 학술지 출판연도 2024 - ntis신종감염병과 보건의료 빅데이터 분석의 윤리
- ntis감염병 위기상황에서 의료자원의 공정한 분배를 위한 의사결정과 민주적 거버넌스
- ntis감염병의 시대, 간(間)존재로서의 타자: 드라마 시즌1과 시즌1 분석을 중심으로
-
ntis감염병에 대응한 리질리언스 지역재생모델 개발 및 적용 -핫스팟분석을 활용한 감염취약지역 분석 및 설계적 대안
- 특허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