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
노화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점진적으로 생명체의 기능이 떨어지며, 생명력, 생식력 또한 감소하면서 종국에는 죽음에 이르게 되는 일련의 생물학적 현상을 의미합니다.Collection
노화
개념
노화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점진적으로 생명체의 기능이 떨어지며, 생명력, 생식력 또한 감소하면서 종국에는 죽음에 이르게 되는 일련의 생물학적 현상을 의미한다.
지난 수십 년간 과학자들의 연구로 인해 노화에 관련된 수많은 유전자와 작용 기작이 알려짐에 따라 인류의 마지막 질병으로 여겨지는 노화를 진단, 치료, 예방할 수 있는 시대를 과학기술로 만들어가고 있다.
여기에서는 바이오인(BioIN)에서 담고 있는 노화과학에 관한 다양한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프로그램 |
주요 내용
|
연구동향
|
○ 노화 현상에 대한 이해가 깊어졌고, 다양한 수명연장 실험에서 의미 있는 결과가 속속 도출되면서 다양한 과학기술적 대안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노화 연구에 줄기세포, 마이크로바이옴, 인공지능 기술을 융합하는 추세이다.
[주요 R&D 트렌드] ▶ (노화 진단)노화 바이오마커를 통한 생체나이 측정 ▶ (노화 치료)노화세포 제거, 혈액 내 회춘인자 등 항노화 신약 개발 ▶ (노화 지연)운동 모방약, 디지털 치료제 등 노화 지연 치료제 개발 ▶ (새로운 가능성) 유도만능줄기세포 등 세포 역분화를 통한 역노화 연구, 마이크로바이옴과 노화, 수명과의 직접적인 연관성 연구 |
산업동향
|
○ 노화 극복 연구 트렌드 변화와 가능성이 점차 높아짐에 따라 글로벌 씽크탱크들은 항노화 신약 등 노화 극복기술을 미래 게임체인저로 주목하고 있는데, Science지는 노화세포 제거기술을 ‘Breakthrough of 2016’으로, MIT는 항노화 신약을 ‘10 Breakthrough Technologies 2020’ 중 하나로 선정한 바 있다. ○ 구글, 페이스북, 아마존 등 빅테크 기업들이 항노화 및 역노화 전문 스타트업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고 있다. 최근 실리콘밸리의 신생 스타트업인 알토스 랩스(Altos Labs)는 노벨상 수상자 등 세계적인 석학들이 합류하였으며, 아마존 창업자인 제프 베이조스를 포함하여 총 30억 달러의 투자를 유치하였다. |
시장 동향
|
○ 노화 관련 질환에 대한 미충족 수요로 인해 항노화 시장은 디지털치료제, 재생의료, 항노화 의약품, AI 신약개발 등 새로운 영역에서 기회를 모색 중이다. ○ 전 세계 항노화 치료 및 서비스 시장은 ’17년 625.3억 달러에서 연평균 6.5%로 성장하여 ’20년 885.5억 달러 규모로 전망하였다. ○ 특히, 항노화 치료제 시장은 ’20년 5.2억 달러에서 연평균 16.5%로 고성장하여 ’30년 20.1억 달러 규모 전망하였다.(출처 : InsightAce Analytic, ’22.6) |
내용 출처 |
○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BioINpro, KRIBB워킹그룹, 초고령화 대응 노화과학 R&D 현황, 2023.1 ○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BioINwatch 22-63, 세포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역노화(rejuvenation) 연구 활기, 2022.9.8 ○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BioINdustry No. 145, 항노화 치료 및 서비스 시장의 현황 및 전망, 2020.2 |
지식
더보기-
BioINwatch노화 시계(aging clock)를 늦추는 당뇨병 치료제
노화 시계(aging clock)를 늦추는 당뇨병 치료제 BioINwatch(BioIN+Issue+Watch): 24-63 ◇︎60년간 2형 당뇨병 치료제로 널리 사용된 메트포르민의 항노화 효과가 영장류에서 입증되며 향후 메트포르민을 통해 인간의 노화시계를 늦출 수 있다는 가능성으로 학계의 이목이 집중. 또한 이번 연구는 노화의 복잡한 생체지표를 발굴하고 노화 속도를 정밀하게 정량화하는 ‘노화시계 계산모델(ElasticNet)’을 구축하여 항노화 효과 연구의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한 점에서도 큰 의의 ▸주요 출처 : Cell, Metformin decelerates aging clock in male monkeys, 2024.10.31. ◆최근 영장류에서 당뇨병 치료제 메트포르민(metformin)의 항노화 효과가 최초로 보고, 향후 인간의 노화시계를 늦출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 ○2형 당뇨병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는 메트포르민이 노화시계를 늦출 수 있다는 영장류 연구
2024-10-10
-
BioINwatch특정 줄기세포에 대한 항체로 노화된 면역체계의 회춘 가능성 제시
특정 줄기세포에 대한 항체로 노화된 면역체계의 회춘 가능성 제시 BioINwatch(BioIN+Issue+Watch): 24-30 ◇ 노화에 따른 면역력 저하로 감염에 취약해지고 만성 염증 질환이 증가하는데, 이런 면역노화의 주요 원인이 비정상적인 조혈줄기세포군의 증가 때문임을 발견. 연구팀은 마우스 모델에서 비정상적인 조혈줄기세포를 표적으로 제거하는 항체를 이용하여 노화된 면역시스템을 젊게 되돌릴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 향후 항체 치료로 노화된 면역체계를 젊게 유지할 수 있을지 기대 ▸주요 출처: Naure News, How to make an old immune system young again, 2024.3.27., Nature, depleting myeloid-biased haematopoietic stem cells rejuvenates aged immunity, 2024.3.27 ■노령(Aged) 쥐에서 증가된 비정상 조혈줄기세포를 표적으로 공격하는
2024-05-09
-
BioINpro[면역제어 기술]대사·후성유전학 기반 면역노화(immunosenescense)의 이해
대사·후성유전학 기반 면역노화(immunosenescense)의 이해 이원우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 목차 1. 시작하며 2. 면역노화의 개념 3. 면역세포에서의 후성유전 및 대사 리프로그래밍 가. 후성유전(epigenetics)이란? 나. 노화 면역세포의 후성유전적 변형 다. 대사 리프로그래밍 라. 노화 면역세포에서 나타나는 대사과정 교란 4. 면역세포에서의 대사·후성유전적 조절기전 5. 대사·후성유전적 조절기전 ◈본문 1. 시작하며 선진국을 중심으로 한 고령인구의 폭발적인 증가는 미래 사회를 위해 해결해야 할 중요한 난제가 되었다. 특히 우리나라의 고령화는 역사상 유례가 없을 정도로 빠르게 진행되어 2017년 이미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14% 이상이 되는 고령사회를 거쳐, 2025년에는 노인인구가 20% 이상인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을 앞두고 있다. 그림 1. 증가하는 기대수명과 건강수명과의 격차(통계청) 기대수명 증가는 축복으로 여겨질 수 있
2023-11-21
-
BioINwatch생식 노화를 복구하는 천연 폴리아민, 스페르미딘(spermidine)
생식 노화를 복구하는 천연 폴리아민, 스페르미딘(spermidine) BioINwatch(BioIN+Issue+Watch): 23-77 ◇ 천연 폴리아민 물질인 스페르미딘(spermidine)의 항노화 기능은 보고된 바 있으나, 생식 노화에 대한 역노화 효과는 처음으로 규명. 스페르미딘에 의한 항노화는 미토파지(mitophage) 활성화로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을 강화하여 대사 폐기물에 의한 세포 손상을 방지하는 원리로, 향후 불임·난임 치료의 잠재력을 제시 ▸주요 출처: Nature news, Anti-ageing molecule boosts fertility in aging mice, 2023.10.16., Nature aging, Polyamine metabolite spermidine rejuvenates oocyte quality by enhancing mitophage during female reproductive aging, 2023.10.16 ■ 천연 폴리아민(p
2023-11-09
-
BioINwatch젊은 혈액(young blood)에서 뇌 노화를 되돌리는 혈소판 인자 4(Platelet factor4) 발굴
젊은 혈액(young blood)에서 뇌 노화를 되돌리는 혈소판 인자 4(Platelet factor4) 발굴 BioINwatch(BioIN+Issue+Watch): 23-67 ◇ 10년 전 과학자들은 ‘젊은 혈액(young blood)’을 수혈 받은 늙은 쥐에서 학습능력과 인지능력을 포함한 젊음의 특성(youthful properties)이 복원된다는 사실을 발견. 이후 과학자들은 혈액 속 역노화 유도 물질을 찾기 위해 연구. 최근 캘리포니아대 비예다 교수 연구팀은 젊은 피에서 노화를 억제하는 혈액 성분인 혈소판 인자 4(Platelet factor4)를 발견하고 PF4가 늙은 쥐의 뇌 기능을 젊게 되돌린 역노화(rejuvenation) 효과를 보고 ▸주요 출처 : Nature, Platelet factors attenuate inflammation and rescue cognition in aging, 2023.8.16.,Nature communications, Plate
2023-09-19
-
BioINwatch노화에 따라 빨라지는 전사(DNA → RNA) 속도와 낮아지는 복제 정확도
노화에 따라 빨라지는 전사(DNA → RNA) 속도와 낮아지는 복제 정확도 BioINwatch(BioIN+Issue+Watch): 23-39 ◇ 노화로 인해 유전자 변이가 증가하는 원인에 대하여 최근 연구에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DNA에서 mRNA를 형성하는 RNA 중합효소 II(RNA polymerase II)의 작용 속도가 빨라지고, 복제의 정확도(fidelity)가 떨어져 유전자 변이가 증가한다는 사실을 확인. 연구팀은 RNA 중합효소 II의 속도로 노화를 진단하고, 이를 타겟으로 신약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 ▸주요 출처: Nature, Ageing-associated changes in transcriptional elongation influence logevity, 2023.3.7. ■ 노화로 인해 유전자 변이가 증가한다는 연구결과는 많았지만, 구체적인 원인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었던 상황 ○ 최근 연구에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DNA에서 mRN
2023-05-30
-
BioINpro[2023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상)] 세포 역노화 연구 및 산업 동향
[2023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상)] 세포 역노화 연구 및 산업 동향 양재현/ 하버드 의대 책임연구원 김경규/ 성균관대 의대 교수 ◈ 목차 1. 개요 2. 해외 연구 동향 가. 후성유전정보와 노화 나. 세포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역노화 연구 다. 부분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역노화 연구 라. 저분자 물질을 이용한 부분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역노화 연구 3. 국내 연구 동향 4. 세포 역노화의 산업적 응용 5. 세포 역노화 연구의 전망 ◈본문 1. 개요 최근 의료기술의 발달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인해 인간의 기대수명은 크게 증가했지만, 노인인구가 증가하여 인구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노인성 질환 및 만성 질환의 발생률이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항노화 및 이와 관련된 바이오헬스 산업에 대한 관심이 과학적, 사회적, 경제적 측면에서 급증하고 있다. 학계에서는 항노화를 노화 과정을 지연하거나 예방하거나 노화 현상을 역전시키는 것으로 정의하며, 산업계에서는 노화로
2023-05-13
-
BioINdustry2023년 글로벌 항노화 치료제 시장 전망
[BioINdustry No.179] 2023년 글로벌 항노화 치료제 시장 전망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연구원 이송하, 책임연구원 김무웅 [목 차] 1. 개요 1) 항노화 시장의 정의 2) 항노화 치료제 시장의 급부상 배경 2. 항노화 치료제 시장 규모 및 전망 1) 글로벌 전체 시장 2) 분야별 글로벌 시장 3) 지역별 시장 3. 항노화 치료제 시장 분석 1) 산업 구조 2) 시장 트랜드 3) 주요 성장요인과 해결과제 4. 주요 기업 현황 【요약문】 □ 의·과학 발전으로 기대수명 증가와 동시에 노인성 질환 발생률도 증가, 노화 관련 질병의 발생을 예방하거나 지연시킬 수 있는 접근법을 찾는 것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여 항노화 치료제(Anti-aging Therapeutics) 시장이 주목 ○ 항노화 치료제 시장은 지속되는 글로벌 고령화, 항노화 제품에 대한 인식 증가, 건강 노화산업이라는 신흥 생태계 부상 등으로 급격한 성장 예상 - 다양한 미래보고서에서는 항노화
2023-04-06
발간
더보기-
이슈 보고서2020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 제4화 “조직내 노화세포 제거 기술” 편
[바이오로 열어가는 2040년 생명과학 미래사회- “조직 내 노화세포 제거 기술” 편] 제4화 “혼자 할 수 있는 일”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 지난 2월에 발표한 '2020 바이오 미래유망기술(클릭)'에 대해서 10화의 소설을 연재하고자 합니다. 바이오가 열어가는 행복하고 희망찬 미래상 제시를 통해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을 공감하고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갑작스럽게 중국 파견근무 지시를 받은 국가생명정보기술원 김수민 연구원. 그녀는 어느 날 오후 중국 상하이 푸둥 공항에 내렸다. 중국 의료유한공사에서 파견근무를 하기로 한 탓이다. 며칠 사이에 부리나케 짐을 싸 들고 온 탓에 짐은 굉장히 단출했다. 전자서류 한 묶음, 정보 단말기 하나, 얼굴에 쓴 스마트 안경 하나, 휴대용 키보드 하나. 그리고 당장 갈아입을 옷가지 몇 개와 간단한 화장품 등이 전부였다. 그래도 괜찮았다. 같은 아시아 지역에선 한국에서 보낸 국제
2020-10-30
-
이슈 보고서2019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 제4화 “역(逆)노화성 운동모방 약물” 편
[바이오로 열어가는 2035 미래사회 – “역(逆)노화성 운동모방 약물”편] 제4화 “홈오토메이션이 가져온 굶주림”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 지난 1월에 발표한 '2019 10대 바이오 미래유망기술(클릭)' 에 대해서 10화의 소설을 연재하고자 합니다. 바이오가 열어가는 행복하고 희망찬 미래상 제시를 통해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을 공감하고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휴. 이거 곤란하게 됐는데.” 휴일 아침. 식사 전 체중계에 올라가 본 강현은 나지막하게 탄식을 내뱉고 말았다. 몸무게가 어느덧 85㎏을 훌쩍 넘어섰기 때문이다. 사실 현은 자신의 체중에 그리 신경 쓰는 성격은 아니었다. 그가 걱정하는 건 다른 문제였다. 연인인 권하선이 잔소리를 늘어놓을 것이 뻔했기 때문이다. 85㎏은 그녀가 일방적으로 정해놓은 현의 한계 체중이다. 현은 저울에서 내려와 아침 식사로 먹을 빵 몇 개를 구우면서, 커피 한 잔을
2019-06-13
동향
더보기-
기술동향
면역계의 노화(immunosenescence)와 질병 치료_기초연구본부 선정 R&D 이슈 연구동향2025.03.24
한국연구재단
-
산업동향
[Business Focus] 피할 수 없다면 맞서라, 노화의 종말2024.06.18
삼정 KPMG
-
기술동향
[KISTEP Brief] 항노화 치료제2024.01.02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기술동향
[R&D Brief 2023-12호] 비만 및 노화_기초연구본부 선정 R&D 이슈 연구동향2023.12.27
한국연구재단
-
산업동향
2021년 항노화 제조산업 실태조사2023.07.27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기술동향
건강한 노화를 위한 식단 조절2023.06.22
한인과학기술자네트워크
-
산업동향
2020년 기준 항노화 제조산업 실태조사2022.06.22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기술동향
DNA 손상이 cGAS-cGAMP-STING 경로에 의해 염증, 노화, 암으로 이어진다2022.02.07
BRIC
-
산업동향
2020년 항노화 제조산업 실태조사2021.11.01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기술동향
항노화 기술의 연구 사례 및 기술 동향2021.07.27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기술동향
노화와 신경질환 상관관계의 이해 및 동향 보고서2020.11.25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기술동향
항암 치료에서 노화 세포의 역할: 친구인가 적인가?2020.11.02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기술동향
노화에 대한 분자 생물학적 이해와 응용 동향2019.06.24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기술동향
NAD+의 항노화제 활용 및 작용기작2019.04.24
지능형 바이오시스템 설계 및 합성 연구단
-
기술동향
노화학설의 통일을 추구하며: 노화 핵막 장애설2018.09.10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
기술동향
예쁜꼬마선충을 이용한 신경 노화 및 신경퇴행성 질환의 연구 동향2018.02.27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기술동향
포유류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와 노화: 최신 경향2017.08.10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기술동향
개체노화에 대한 새로운 치료전략 타겟, 세포노화와 노화연관 분비표현형(SASP)2017.06.29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
기술동향
노년기 주관적 연령과 건강노화와의 관계: 연령집단별 분석2017.06.14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기술동향
노화대응 신체활력 기술개발 현황 및 제언2017.03.21
한국보건산업진흥원 R&D조사분석팀
차트+
더보기뉴스
더보기-
R&D
늙는 것도 전염된다?…세포 노화 온몸에 퍼뜨리는 단백질 발견2025.04.22
한겨레
-
R&D
전북대, 골격근 노화 방지 단백질 규명…"근감소증 치료제 개발 도움"2025.04.03
뉴스1
-
R&D
[25.03.31.월] 차가운 물이 스트레스와 노화에 맞서 세포를 재구성하는 방법2025.03.31
Scitechdaily 외
-
R&D
국민 1만명 인체자원 개방…노화·노인성 질환 연구 활성화2025.03.28
뉴스1
-
R&D
뇌 노화 억제하는 유전자-약물 조합 찾았다2025.03.28
한겨레
-
R&D
[25.03.26.수] 노화된 피부의 시간을 정지시킬 수 있는 호르몬의 보고가 발견2025.03.26
ScienceAlert 외
-
R&D
젊은 뇌 되찾는 단서 발견…노화 관련 유전자 64개 확인2025.03.14
동아사이언스
-
R&D
뇌 노화 늦출 약물 13개, AI가 찾았다2025.03.13
조선비즈
-
R&D
나는 폐 노화자일까 심장 노화자일까…장기별 노화 시기 다르다2025.01.10
한겨레
-
R&D
노화 늦추는 장내미생물 찾았다…"노인성 질환 개선 기대"2025.01.09
뉴시스
-
R&D
[25.01.06 월] 노화가 다양한 뇌세포에 미치는 영향 매핑2025.01.06
NeuroScience 외
-
R&D
뇌 노화 늦출 단서 찾았다2025.01.03
동아일보
-
R&D
[24.12.12 목] 세포 집단의 예상치 못한 변화가 노화 과정에 대한 이해를 수정하다2024.12.12
Phys 외
-
R&D
[24.11.08 금] 장내 박테리아는 건강한 노화를 촉진하는 열쇠를 쥐고 있을 수 있다2024.11.08
NeuroScience 외
-
R&D
“한 발로 서 있는 시간으로 신경근 노화 측정할 수 있다”2024.10.30
사이언스타임즈
-
R&D
“회춘이 돈 된다”… ‘노화 늦추기’ 넘어 ‘세포 재탄생’ 본격 연구2024.10.30
동아일보
-
R&D
[24.10.28 월] AI, 근육 노화의 비밀 유전자를 밝혀내다2024.10.28
Scitechdaily 외
-
R&D
[24.10.23 수] 새로운 발견으로 mRNA를 보존해 암과 노화에 맞서다2024.10.23
ScitechDaily 외
-
R&D
당뇨약 '메트포르민', 영장류 모델서 항노화 효능 확인2024.10.15
뉴스1코리아
-
R&D
세포 노화·사멸 핵심 '텔로미어' 메커니즘 밝혔다2024.10.04
동아사이언스
성과
더보기-
세계최초 천연물질 ‘노르하만’의 근육노화 지연 효과 규명
2025-04-16
-
근육노화 개선 물질로서 밤꽃의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다
2025-04-16
-
노화된 관절을 젊게 만들 실마리 찾았다
2025-03-27
-
단백질 밸런스 강화해 노화 진행 막는다
2024-09-20
-
신규 항노화 단백질 MON2에 의한 수명 연장
2021-12-06
-
1mm 크기 예쁜 꼬마선충에서 노화 늦추는 단백질 발굴
2020-07-02
-
농진청, 세계 최초 벼 노화 조절 유전자 밝혀 수량 증진 새 길 열어
2020-06-05
-
노화 치매의 뇌혈관장벽 조절 타깃 발견
2018-10-04
-
홀로그래픽 현미경, 인공지능 기반적혈구의 노화 진단기술 개발
2018-05-02
-
노화된 갑상선암 종양세포의 역할 최초 규명
2017-05-25
-
근육줄기세포 노화 원인 규명, 늙은 근육 회춘의 길 열려
2015-07-30
-
근육줄기세포 노화 원인 규명, 늙은 근육 회춘의 길 열려
2015-07-30
-
콩과 식물에서 피부 노화 개선 천연물질 개발
2014-09-05
-
줄기세포의 노화 및 스트레스 조절 기술 개발
2013-07-17
-
노화를 억제하면서 건강히 장수할 수 있도록 돕는 新물질 발견
2012-10-25
-
노화된 단백질을 복구하는 효소가 암을 촉진한다
2012-07-09
-
암 세포 노화 측정으로 치료효과 높인다
2009-06-03
기업
더보기연계정보BICS는 바이오 R&D에서 산업화까지 다양한 정보 자료를 수집하여
이용자들이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더보기
-
기술혁신항노화 항체치료제
노화 과정에서 증가하며 혈관을 통해 전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세포와 인자를 표적으로 제어하는 항체 기반 치료제
2025-01-21
-
기술혁신퍼스널 노화속도계
노인성질환 발병 후 진단이 아닌, 발병 전 예방을 위한 노화속도 측정 기술 (정확한 노인성질환 발병 시기 예측을 통한 예방)
2024-12-03
-
기술혁신세포 역노화
세포 리프로그래밍 등을 통해 세포의 건강을 유지하고, 세포의 재생 능력을 복원
2024-11-25
-
기술혁신조직 내 노화세포 제거기술
조직의 노화 및 기능 이상을 유발하는 노화세포를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조직 항상성을 유지하고 질병을 치료하는 기술
2024-11-25
-
기술혁신역노화성 운동모방 약물
실제 운동을 하지 않아도 운동효과를 나타내어 근육노쇠 등 노인성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약물
2024-11-25
연계정보
-
연구보고서
더보기
-
ntis생체유래 역노화 효능 물질 기반 노화제어 원천기술 개발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생체유래 역노화 효능 물질 기반 노화제어 원천기술 개발/Development of biologics technology to reverse aging processes
사업 : 202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주요사업비)과제 : 271000792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체유래 역노화 효능 물질 기반 노화제어 원천기술 개발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411 발행기관명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Ⅳ 연구개발결과 노화운동 마우스 혈액에서 오믹스 분석을 통한 후보인자 단백질 miRNA 발굴 혈액 단백체 및 RNA 오믹스 분석 퍼블릭 데이터의 메타 분석 등 발굴 인자의 효능을 다양한 조직세포주에서 검증 근육세포 골세포 신경세포 지방세포 등에서 노화조절 효과 검증 발굴 인자의 효능을 정상노화 및 노인성 질환모델 동물에서 검증 정상 노화 모델 유전자 형질 전환 모델 재조합단백질 주입 모델 등에서 효능 검증 근육근감소증 신경인지기능 골골다공증 대사당뇨비만 질병 모델에서 효능 검증 노인노쇠 코호트를 활용한 임상적 상관관계 규명 고령자운동 집단에서 혈액 내 노화조절인자 분석하고 노쇠운동과의 임상적 상관관계 규명 후보물질 생산 세포주 개발 및 최적화 논문 36건 IF10 이상 9건 NSC 자매지 4건 특허 출원 15건등록 2건 기술이전 3건 창업 1건출처 요약문 4p -
ntis노화제어 근육유래 인자 발굴 및 효능 검증 연구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노화제어 근육유래 인자 발굴 및 효능 검증 연구/Discovery and characterization of the novel myokines for healthy aging
사업 : 202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과제 : 1711131193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노화제어 근육유래 인자 발굴 및 효능 검증 연구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205 발행기관명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연구개발 목표노화에 따라 감소하고 운동에 의해 역전되는 혈액내 신규 근육유래인자를 발굴함 근육유래인자의 세포노화제어 기능을 규명하고 이에 의한 다양한 기관에서의 생리활성 효능과 개체 노화역전을 검증함으로서 새로운 노화제어 생체활력기술을 개발함 연구개발 내용 노화와 운동에 따라 상반되게 변화하는 신규 근육유래인자 발굴 노화동물모델 운동제한모델 등의 혈액 및 근육조직에서 단백체유전체 분석을 통한 신규근육유래인자 발굴 노화관련 지질 대사체에 의해 분비되는 근육유래인자 발굴 오믹스 결과를 통합적 분석하여 신규 근육유래인자 선별 다양한 기관multiple organ에서 근육유래인자의 효능 검증 및 기전 규명 신규 근육유래인자의 노화와 생체활력 증강 관련 효능을 뇌 지방 뼈 면역계 근육에서 유래한 세포주에서 검증하고 기전을 규명 세포주에서 검증한 근육유래인자의 효능을 동물모델에서 검증 해당 조직에서 나타나는 노화관련 표현형을 분석 발굴된 신규 근육유래인자의 임상적 상관관계 규명 운동 운동효과 약물 노인 노쇠 코호트의 혈액에서 근육유래인자의 변화를 측정하고 임상적 상관성을 검증 발굴한 근육유래인자의 바이올로직스 개발 근육유래인자 대량생산 동물세포주 개발 및 최적화 연구 세포 및 동물모델을 이용한 바이올로직스 효능 검증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 신규 근육유래인자들의 기능 검증과 작용기전을 규명하여 생체활력 제어 및 노인성 질환 치료에 적용하기 위한 원천기술 개발임 근육유래인자 운동효과 기술 개발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시작 단계이므로 신규 근육유래인자의 발굴은 고령화 대응 노화제어 기술로서 새로운 시장을 선점할것임 근육유래인자의 crosstalk 노화제어 기술은 국가와 개인차원의 의료비를 절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진단 및 치료분야에서 고부가가치 창출 예상출처 요약문 3p -
ntis신장노화에서 레독스의 기능 연구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신장노화에서 레독스의 기능 연구/Function of redox in aging kidney
사업 : 202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과제 : 1711133220 이화여자대학 신장노화에서 레독스의 기능 연구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206 발행기관명 이화여자대학교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연구개발 목표노화염증과 레독스의 컨버젼스를 통한 염증조절 기전연구1 레독스 제어를 통한 노화제어 연구2 신장 노화 관련 예측 및 진행 신규 바이오마커 발굴3 신장 노화관련 신규 바이오마커의 임상적 유용성 검증4 Nox 활성저해제를 이용한 노화신장질환 치료제의 개발 연구개발 내용1 신규노화인자에 의한 활성산소 생성 및 Nox 활성화 기전과의 연계성 규명① 신장 염증과 신장 노화에서 Nox4의 기능 규명함Sci Rep 814379 2018 Exp Mol Med 5178 2019 Cell Reports 33108245 2020 Kidney Internationalunder revision② 신규노화인자인 SH3YL1와 Nox4사이의 결합을 통한 활성화 기전 규명 Cell Reports 2020 33108245③ SH3YL1에 의한 신장 염증 생성인자에 의한 염증 및 노화신장 분석Gerontology투고중2 Nox 저해제의 신장노화 치료효과 검증① Nox 저해제 스크리닝 시스템으로부터 개발된 저분자화합물 Ewha18278화합물을 개발함 Nox 저해제가 고농도의 혈당에 의한 신장 염증을 억제함 J Mol Structure 1215128272 2020 Biomol Ther 2825 2020 특허 유럽 출원168037687② Nox저해제 화합물이 LPS에 의한 acute kidney injury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함① 노화 쥐생후 52주에 당뇨1형을 유발한 후 Ewha18278에 의하여 소변내 단백질 분비 nephrin 분비 및 산화형 인자의 분비가 감소되며 당뇨에 의한 신장조직에서 사구체비대 염증세포 침윤 PA1 및 TGFb 의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함3 임상시료를 활용한 확보한 노화관련 단백의 측정을 통한 임상적 유용성 평가① 노화 동물모델에서 확보한 시료를 통해 노화관련 단백질의 유용성을 평가함 Nutrition Metabolism and Cardiovascular diseases 31 498 2021 Acta Diabetologica 58 495 2021② 60세 미만의 158명과 60세 이상의 193명의 코호트에서 분석을 한 결과 60세 이상의 노령군에서 소변의 미세단백뇨의 증가 소변의 MCP1 농도 경동맥 IMT 증가가 관찰됨 신질환 CKD의 기수에 따라 1기4기 환자 총 200명의 환자로 Cohort 유지함 당뇨 신질환자 102명 비당뇨 신질환자 98명③ 당뇨 신질환 환자와 비당뇨 신질환 환자의 혈액에서 SH3YL1 단백질의 농도가 사구체여과율 감소사이의 연계성을 확인함 혈액내 분비된 SH3YL1이 신장질환 환자의 새로운 바이오마커와 약물 타겟이라는 것을 제시한 것임 분비 SH3YL1단백질은 활성산소 생성 유발을 확인함④ SH3YL1단백질의 항체를 제작하여 노화 당뇨에서의 신장노화 관련 차단제 치료효과 확인4 노화 당뇨 및 비당뇨동물 모델에서의 신장노화 관련 차단제 치료효과 검증① 신규노화인자인 SH3YL1와 Nox4사이의 결합을 통한 활성화 기전 규명 SH3YL1에 의한 신장염증 및 노화신장 분석Cell Reports 33108245 2020 Acta Diabetologica 58 495503 2021 Nutrition Metabolism and Cardiovascular diseases 31 498 2021② SH3YL1의 항체를 개발함 이 항체를 주입하여 dbdb mice model에서 urinary albumin의 감소와 ACR의 완화를 확인함 SH3YL1의 항체에 의하여 당뇨 2형에 의한 신장 조직의 변형 및 염증 섬유화증이 억제됨 미국 특허 출원 7474359 PCT IB2021 058373 기술이전 셀로스바이오텍 2019년 12월 1억원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① 만성신장질환에서 노화 염증 조절인자에 대한 원천기술 확보함 노화레독스 및 만성 염증간의 컨버젼스 연구를 통하여 노인성 만성 신장질환의 새로운 발병 원인에 대한 원천지식기술 확보함② 노화 레독스염증 통합 제어제의 개발을 통해서 노인성 신장치료제 개발③ 논문10건 Sci Rep 8143792018 BMB Rep 524344382019 Exp Mol Med 5178 2019 Cell Rep 331082452020 J Mol Struc12151282722020 Biomol Ther 28252020 Nutr Metab Cardiovasc Dis314982021 Neoplasia 23993 2021 Acta Diabetologica 58 4952021 Stem Cell Rev Rep 1811812022④ 특허 유럽 출원168037687 미국 특허 출원 7474359 PCT IB2021 058373⑤ 기술이전 셀로스바이오텍 2019년 12월 1억원 인력양성박사 2인 석사 1인출처 요 약 문 3p -
ntis노화임상코호트를 이용한 근육유래인자의 생리적 효능 분석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노화임상코호트를 이용한 근육유래인자의 생리적 효능 분석/Physiologic Utility of Myokines in Elderly Cohort
사업 : 202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바이오.의료기술개발(R&D)과제 : 1711131344 서울대학 노화임상코호트를 이용한 근육유래인자의 생리적 효능 분석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205 발행기관명 서울대학교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연구개발 목표 코호트를 활용하여 노화에 따른 근육유래인자를 새로이 발굴하고 임상적 효용성을 밝히고자 함 노화제어 기술을 노화 임상 코호트 대상으로 적용하여 근육유래인자의 다양한 조직에 대한 생리적 효과를 규명하고자 함 노화 제어 기술을 통해 노인성 근감소증을 해결함과 동시에 다양한 신체 기능을 활성화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함 연구개발 내용 노화 임상 코호트를 활용한 한국 근감소증 환자의 신체활동 지표 및 노화 지표 평가 신체활동 지표를 설문지와 웨어러블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통해 평가하여 실태 파악 고령자 집단에서 근육유래인자를 포함한 노화 지표 확인 신규 근육유래인자의 임상적 효용성 규명 타 세부과제에서 노화동물모델 운동제한모델 등을 통해 검증한 신규 근육유래 인자의 임상적 상관성을 근감소증 환자에서 규명 운동 프로그램의 노화 제어 효능 검증 근육유래인자를 포함한 노화 지표 분석 근육 지방 뇌 면역 뼈에 이르는 다양한 조직의 생리기능 활성화를 통한 노화제어 효과 검증 신규 근육유래인자 및 근노화 지표 변화 양상 확인하여 근육유래인자와 생체활력 간의 임상적 상관관계 규명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 미래 원천기술 확보 운동 또는 약물에 의해 유도되는 신규 근육유래인자를 발굴하고 생체 각 기관의 노화를 제어하는 다양한 생리적 효과를 임상 연구를 통해 규명 근감소증 분자 지표 개발에 기여 항노화 바이오의약품 후보 개발 건강한 노화 및 건강보험 비용감소 노화성 근감소증에 의한 신체기능 저하를 억제함으로써 건강한 노화를 맞이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음출처 요약문 2p
-
ntis생체유래 역노화 효능 물질 기반 노화제어 원천기술 개발
-
과제
더보기
-
ntis저분자 화합물을 이용한 노화세포운명 조절방법 개발
연계정보(NTIS)
과제저분자 화합물을 이용한 노화세포운명 조절방법 개발
주식회사 퓨전바이오텍 정부투자연구비 136,600,000원 총연구비 197,330,000원 화학 고분자화학 생체 의료용 고분자-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김채규
- 참여연구자권영상;황선영;김수현;김지예;박현서
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710074654 기준년도 2024 연구책임자 김채규 과제수행기관 주식회사 퓨전바이오텍 정부투자연구비 136,600,000 총연구비 197,330,000 - 6T관련효과
- 생명현상 및 기능연구
-
ntis젊은세포 유래 역노화인자 발굴을 통한 중간노화세포의 기능역노화 기술 개발
연계정보(NTIS)
과제젊은세포 유래 역노화인자 발굴을 통한 중간노화세포의 기능역노화 기술 개발
아주대학교 정부투자연구비 471,000,000원 총연구비 471,000,000원 보건의료 의생명과학 분자세포생물학-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박태준
- 참여연구자강희영;윤계순;김영화;이동현;김장희;김유나;이애진;이영경;변해옥;박소현;박순상;홍지원;심재현;임수빈;Prazanowska Karolina Hanna;NGTIANTHINGJESTLIN;고윤진;JUNAIDMUHAMMAD;차지희;이형래;UESUGI AKI;이진구
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710074651 기준년도 2024 연구책임자 박태준 과제수행기관 아주대학교 정부투자연구비 471,000,000 총연구비 471,000,000 - 6T관련효과
- 바이오신약 개발기술
-
ntis골대사 정밀의료 구현을 위한 디지털 근골격 노화 바이오마커 개발 및 검증
연계정보(NTIS)
과제골대사 정밀의료 구현을 위한 디지털 근골격 노화 바이오마커 개발 및 검증
연세대학교산학협력단 정부투자연구비 90,000,000원 총연구비 90,000,000원 보건의료 임상의학 근골격학-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홍남기
- 참여연구자박나래;한수경;박은영;조상욱;김규섭;박소은;강민지;조성준
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800000804 기준년도 2024 연구책임자 홍남기 과제수행기관 연세대학교산학협력단 정부투자연구비 90,000,000 총연구비 90,000,000 - 6T관련효과
- 의과학·의공학 기술
-
ntis수용체 인간화 생쥐 및 호흡기 오가노이드 모델을 이용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폐 병리의 면역노화 상관성 연구
연계정보(NTIS)
과제수용체 인간화 생쥐 및 호흡기 오가노이드 모델을 이용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폐 병리의 면역노화 상관성 연구
서울대학교 정부투자연구비 170,200,000원 총연구비 170,200,000원 보건의료 의생명과학 미생물/기생생물학-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이원우
- 참여연구자공환석;장지연;김혜영;김희영;최윤수;김예지;김기욱;강연준;임민영;안유진;오지인;이윤진;김동모;송우림;서효정;신은소;최유정
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710074684 기준년도 2024 연구책임자 이원우 과제수행기관 서울대학교 정부투자연구비 170,200,000 총연구비 170,200,000 - 6T관련효과
- 생명현상 및 기능연구
-
ntis저분자 화합물을 이용한 노화세포운명 조절방법 개발
- 논문 더보기
- 특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