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노화

노화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점진적으로 생명체의 기능이 떨어지며, 생명력, 생식력 또한 감소하면서 종국에는 죽음에 이르게 되는 일련의 생물학적 현상을 의미합니다.

노화

개념

노화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점진적으로 생명체의 기능이 떨어지며, 생명력, 생식력 또한 감소하면서 종국에는 죽음에 이르게 되는 일련의 생물학적 현상을 의미한다.


지난 수십 년간 과학자들의 연구로 인해 노화에 관련된 수많은 유전자와 작용 기작이 알려짐에 따라 인류의 마지막 질병으로 여겨지는 노화를 진단, 치료, 예방할 수 있는 시대를 과학기술로 만들어가고 있다.


여기에서는 바이오인(BioIN)에서 담고 있는 노화과학에 관한 다양한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프로그램

주요 내용

연구동향

○ 노화 현상에 대한 이해가 깊어졌고, 다양한 수명연장 실험에서 의미 있는 결과가 속속 도출되면서 다양한 과학기술적 대안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노화 연구에 줄기세포, 마이크로바이옴, 인공지능 기술을 융합하는 추세이다.


[주요 R&D 트렌드]

▶ (노화 진단)노화 바이오마커를 통한 생체나이 측정

▶ (노화 치료)노화세포 제거, 혈액 내 회춘인자 등 항노화 신약 개발

▶ (노화 지연)운동 모방약, 디지털 치료제 등 노화 지연 치료제 개발

▶ (새로운 가능성) 유도만능줄기세포 등 세포 역분화를 통한 역노화 연구, 마이크로바이옴과 노화, 수명과의 직접적인 연관성 연구

산업동향

○ 노화 극복 연구 트렌드 변화와 가능성이 점차 높아짐에 따라 글로벌 씽크탱크들은 항노화 신약 등 노화 극복기술을 미래 게임체인저로 주목하고 있는데, Science지는 노화세포 제거기술을 ‘Breakthrough of 2016’으로, MIT는 항노화 신약을 ‘10 Breakthrough Technologies 2020’ 중 하나로 선정한 바 있다.

○ 구글, 페이스북, 아마존 등 빅테크 기업들이 항노화 및 역노화 전문 스타트업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고 있다. 최근 실리콘밸리의 신생 스타트업인 알토스 랩스(Altos Labs)는 노벨상 수상자 등 세계적인 석학들이 합류하였으며, 아마존 창업자인 제프 베이조스를 포함하여 총 30억 달러의 투자를 유치하였다.

시장 동향

○ 노화 관련 질환에 대한 미충족 수요로 인해 항노화 시장은 디지털치료제, 재생의료, 항노화 의약품, AI 신약개발 등 새로운 영역에서 기회를 모색 중이다.

○ 전 세계 항노화 치료 및 서비스 시장은 ’17년 625.3억 달러에서 연평균 6.5%로 성장하여 ’20년 885.5억 달러 규모로 전망하였다.

○ 특히, 항노화 치료제 시장은 ’20년 5.2억 달러에서 연평균 16.5%로 고성장하여 ’30년 20.1억 달러 규모 전망하였다.(출처 : InsightAce Analytic, ’22.6)

내용 출처

○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BioINpro, KRIBB워킹그룹, 초고령화 대응 노화과학 R&D 현황, 2023.1

○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BioINwatch 22-63, 세포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역노화(rejuvenation) 연구 활기, 2022.9.8

○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BioINdustry No. 145, 항노화 치료 및 서비스 시장의 현황 및 전망, 2020.2



지식

더보기
  • BioINwatch노화 시계(aging clock)를 늦추는 당뇨병 치료제

      노화 시계(aging clock)를 늦추는 당뇨병 치료제 BioINwatch(BioIN+Issue+Watch): 24-63   ◇︎60년간 2형 당뇨병 치료제로 널리 사용된 메트포르민의 항노화 효과가 영장류에서 입증되며 향후 메트포르민을 통해 인간의 노화시계를 늦출 수 있다는 가능성으로 학계의 이목이 집중. 또한 이번 연구는 노화의 복잡한 생체지표를 발굴하고 노화 속도를 정밀하게 정량화하는 ‘노화시계 계산모델(ElasticNet)’을 구축하여 항노화 효과 연구의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한 점에서도 큰 의의 ▸주요 출처 : Cell, Metformin decelerates aging clock in male monkeys, 2024.10.31.     ◆최근 영장류에서 당뇨병 치료제 메트포르민(metformin)의 항노화 효과가 최초로 보고, 향후 인간의 노화시계를 늦출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 ○2형 당뇨병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는 메트포르민이 노화시계를 늦출 수 있다는 영장류 연구

    2024-10-10

    썸네일 이미지
  • BioINwatch특정 줄기세포에 대한 항체로 노화된 면역체계의 회춘 가능성 제시

     특정 줄기세포에 대한 항체로 노화된 면역체계의 회춘 가능성 제시 BioINwatch(BioIN+Issue+Watch): 24-30        ◇ 노화에 따른 면역력 저하로 감염에 취약해지고 만성 염증 질환이 증가하는데, 이런 면역노화의 주요 원인이 비정상적인 조혈줄기세포군의 증가 때문임을 발견. 연구팀은 마우스 모델에서 비정상적인 조혈줄기세포를 표적으로 제거하는 항체를 이용하여 노화된 면역시스템을 젊게 되돌릴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 향후 항체 치료로 노화된 면역체계를 젊게 유지할 수 있을지 기대 ▸주요 출처: Naure News, How to make an old immune system young again, 2024.3.27., Nature, depleting myeloid-biased haematopoietic stem cells rejuvenates aged immunity, 2024.3.27    ■노령(Aged) 쥐에서 증가된 비정상 조혈줄기세포를 표적으로 공격하는

    2024-05-09

    썸네일 이미지
  • BioINpro[면역제어 기술]대사·후성유전학 기반 면역노화(immunosenescense)의 이해

        대사·후성유전학 기반 면역노화(immunosenescense)의 이해 이원우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 목차 1. 시작하며 2. 면역노화의 개념 3. 면역세포에서의 후성유전 및 대사 리프로그래밍   가. 후성유전(epigenetics)이란?   나. 노화 면역세포의 후성유전적 변형   다. 대사 리프로그래밍   라. 노화 면역세포에서 나타나는 대사과정 교란 4. 면역세포에서의 대사·후성유전적 조절기전 5. 대사·후성유전적 조절기전     ◈본문 1. 시작하며  선진국을 중심으로 한 고령인구의 폭발적인 증가는 미래 사회를 위해 해결해야 할 중요한 난제가 되었다. 특히 우리나라의 고령화는 역사상 유례가 없을 정도로 빠르게 진행되어 2017년 이미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14% 이상이 되는 고령사회를 거쳐, 2025년에는 노인인구가 20% 이상인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을 앞두고 있다. 그림 1. 증가하는 기대수명과 건강수명과의 격차(통계청)  기대수명 증가는 축복으로 여겨질 수 있

    이원우/서울대학교 의과대학

    2023-11-21

    썸네일 이미지
  • BioINwatch생식 노화를 복구하는 천연 폴리아민, 스페르미딘(spermidine)

        생식 노화를 복구하는 천연 폴리아민, 스페르미딘(spermidine) BioINwatch(BioIN+Issue+Watch): 23-77 ◇ 천연 폴리아민 물질인 스페르미딘(spermidine)의 항노화 기능은 보고된 바 있으나, 생식 노화에 대한 역노화 효과는 처음으로 규명. 스페르미딘에 의한 항노화는 미토파지(mitophage) 활성화로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을 강화하여 대사 폐기물에 의한 세포 손상을 방지하는 원리로, 향후 불임·난임 치료의 잠재력을 제시 ▸주요 출처: Nature news, Anti-ageing molecule boosts fertility in aging mice, 2023.10.16., Nature aging, Polyamine metabolite spermidine rejuvenates oocyte quality by enhancing mitophage during female reproductive aging, 2023.10.16 ■ 천연 폴리아민(p

    2023-11-09

    썸네일 이미지
  • BioINwatch젊은 혈액(young blood)에서 뇌 노화를 되돌리는 혈소판 인자 4(Platelet factor4) 발굴

        젊은 혈액(young blood)에서 뇌 노화를 되돌리는 혈소판 인자 4(Platelet factor4) 발굴 BioINwatch(BioIN+Issue+Watch): 23-67 ◇ 10년 전 과학자들은 ‘젊은 혈액(young blood)’을 수혈 받은 늙은 쥐에서 학습능력과 인지능력을 포함한 젊음의 특성(youthful properties)이 복원된다는 사실을 발견. 이후 과학자들은 혈액 속 역노화 유도 물질을 찾기 위해 연구. 최근 캘리포니아대 비예다 교수 연구팀은 젊은 피에서 노화를 억제하는 혈액 성분인 혈소판 인자 4(Platelet factor4)를 발견하고 PF4가 늙은 쥐의 뇌 기능을 젊게 되돌린 역노화(rejuvenation) 효과를 보고 ▸주요 출처 : Nature, Platelet factors attenuate inflammation and rescue cognition in aging, 2023.8.16.,Nature communications, Plate

    2023-09-19

    썸네일 이미지
  • BioINwatch노화에 따라 빨라지는 전사(DNA → RNA) 속도와 낮아지는 복제 정확도

       노화에 따라 빨라지는 전사(DNA → RNA) 속도와 낮아지는 복제 정확도 BioINwatch(BioIN+Issue+Watch): 23-39   ◇ 노화로 인해 유전자 변이가 증가하는 원인에 대하여 최근 연구에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DNA에서 mRNA를 형성하는 RNA 중합효소 II(RNA polymerase II)의 작용 속도가 빨라지고, 복제의 정확도(fidelity)가 떨어져 유전자 변이가 증가한다는 사실을 확인. 연구팀은 RNA 중합효소 II의 속도로 노화를 진단하고, 이를 타겟으로 신약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 ▸주요 출처: Nature, Ageing-associated changes in transcriptional elongation influence logevity, 2023.3.7.    ■ 노화로 인해 유전자 변이가 증가한다는 연구결과는 많았지만, 구체적인 원인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었던 상황 ○ 최근 연구에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DNA에서 mRN

    2023-05-30

    썸네일 이미지
  • BioINpro[2023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상)] 세포 역노화 연구 및 산업 동향

      [2023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상)] 세포 역노화 연구 및 산업 동향 양재현/ 하버드 의대 책임연구원 김경규/ 성균관대 의대 교수   ◈ 목차 1.  개요 2. 해외 연구 동향  가. 후성유전정보와 노화  나. 세포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역노화 연구  다. 부분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역노화 연구  라. 저분자 물질을 이용한 부분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역노화 연구 3. 국내 연구 동향 4. 세포 역노화의 산업적 응용  5.  세포 역노화 연구의 전망   ◈본문 1. 개요 최근 의료기술의 발달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인해 인간의 기대수명은 크게 증가했지만, 노인인구가 증가하여 인구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노인성 질환 및 만성 질환의 발생률이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항노화 및 이와 관련된 바이오헬스 산업에 대한 관심이 과학적, 사회적, 경제적 측면에서 급증하고 있다. 학계에서는 항노화를 노화 과정을 지연하거나 예방하거나 노화 현상을 역전시키는 것으로 정의하며, 산업계에서는 노화로

    양재현, 김경규/하버드 의대, 성균관대 의대

    2023-05-13

    썸네일 이미지
  • BioINdustry2023년 글로벌 항노화 치료제 시장 전망

       [BioINdustry No.179] 2023년 글로벌 항노화 치료제 시장 전망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연구원 이송하, 책임연구원 김무웅 [목 차] 1. 개요  1) 항노화 시장의 정의  2) 항노화 치료제 시장의 급부상 배경 2. 항노화 치료제 시장 규모 및 전망  1) 글로벌 전체 시장  2) 분야별 글로벌 시장  3) 지역별 시장 3. 항노화 치료제 시장 분석  1) 산업 구조  2) 시장 트랜드  3) 주요 성장요인과 해결과제 4. 주요 기업 현황 【요약문】 □ 의·과학 발전으로 기대수명 증가와 동시에 노인성 질환 발생률도 증가, 노화 관련 질병의 발생을 예방하거나 지연시킬 수 있는 접근법을 찾는 것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여 항노화 치료제(Anti-aging Therapeutics) 시장이 주목 ○ 항노화 치료제 시장은 지속되는 글로벌 고령화, 항노화 제품에 대한 인식 증가, 건강 노화산업이라는 신흥 생태계 부상 등으로 급격한 성장 예상 - 다양한 미래보고서에서는 항노화

    2023-04-06

    썸네일 이미지

발간

더보기
  • 썸네일 이미지 이슈 보고서2020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 제4화 “조직내 노화세포 제거 기술” 편

      [바이오로 열어가는 2040년 생명과학 미래사회- “조직 내 노화세포 제거 기술” 편]     제4화 “혼자 할 수 있는 일”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 지난 2월에 발표한 '2020 바이오 미래유망기술(클릭)'에 대해서 10화의 소설을 연재하고자 합니다.   바이오가 열어가는 행복하고 희망찬 미래상 제시를 통해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을 공감하고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갑작스럽게 중국 파견근무 지시를 받은 국가생명정보기술원 김수민 연구원. 그녀는 어느 날 오후 중국 상하이 푸둥 공항에 내렸다. 중국 의료유한공사에서 파견근무를 하기로 한 탓이다. 며칠 사이에 부리나케 짐을 싸 들고 온 탓에 짐은 굉장히 단출했다. 전자서류 한 묶음, 정보 단말기 하나, 얼굴에 쓴 스마트 안경 하나, 휴대용 키보드 하나. 그리고 당장 갈아입을 옷가지 몇 개와 간단한 화장품 등이 전부였다. 그래도 괜찮았다. 같은 아시아 지역에선 한국에서 보낸 국제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20-10-30

  • 썸네일 이미지 이슈 보고서2019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 제4화 “역(逆)노화성 운동모방 약물” 편

       [바이오로 열어가는 2035 미래사회 – “역(逆)노화성 운동모방 약물”편]   제4화 “홈오토메이션이 가져온 굶주림”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 지난 1월에 발표한 '2019 10대 바이오 미래유망기술(클릭)' 에 대해서 10화의 소설을 연재하고자 합니다.   바이오가 열어가는 행복하고 희망찬 미래상 제시를 통해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을 공감하고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휴. 이거 곤란하게 됐는데.” 휴일 아침. 식사 전 체중계에 올라가 본 강현은 나지막하게 탄식을 내뱉고 말았다. 몸무게가 어느덧 85㎏을 훌쩍 넘어섰기 때문이다. 사실 현은 자신의 체중에 그리 신경 쓰는 성격은 아니었다. 그가 걱정하는 건 다른 문제였다. 연인인 권하선이 잔소리를 늘어놓을 것이 뻔했기 때문이다. 85㎏은 그녀가 일방적으로 정해놓은 현의 한계 체중이다.  현은 저울에서 내려와 아침 식사로 먹을 빵 몇 개를 구우면서, 커피 한 잔을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19-06-13

동향

더보기

차트+

더보기

4대 주요목표

세부목표

실행방안

노인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

노화 관련 질환, 장애 예방 및 감소

1. 질환의 원인규명 및 초기진단 향상

2. 신규 치료 및 예방법 개발

3. 건강한 생활습관 및 의약품 사용

4. 질환부담 경감 및 건강증진을 위한 임상연구 실시

5. 임상시험 및 임상연구에 필요한 인프라와 자원 확대

육체적 건강과 기능 유지

1. 노인의 신체장애 속도 감소에 대한 이해

2. 건강한 생활습관 증진을 위한 방법 개발

3. 호르몬 대체법 및 건강보조식품 평가

4. 의료시스템에서 노인과의 상호작용 향상

5. 만성질환 개인대처 향상 및 간병인과 가족부담 경감

노인들의 사회적 역할과 대인관계 형성 기회증가 및 사회적 고립 감소

1. 노인의 가치 있는 역할과 독립성 유지에 대한 방법 연구

2. 가족기능 증대

3. 노인 무시 및 학대 감소

4. 건강관리 및 장기요양 향상

5. 임종에 대한 관리 증진

6. 노인과 그 가족들이 질환에 의한 건강, 수입, 기능변화에 대한 대처방안 연구

건강한 노화과정의 이해

노화, 건강, 장수의 비밀 규명

1. 노화과정 조절인자 연구

2. 인지, 감각 및 물리적 기능을 최대화하는 생물학적·환경적 요소 규명

3. 노화, 장수, 노화질환 및 행동 관련 유전자 발견

4. 건강, 웰빙 및 장수를 증진하는 사회적, 정신적 요소 및 생활습관 연구

5. 정상적 노화와 질환의 연관을 없애는 연구

뇌의 기능, 인지 및 기타 다른 행동의 유지 및 향상

1. 정상 두뇌의 노화와 신경퇴화질환 사이의 차이점 규명

2. 장수노인의 정상인지와 뇌기능 규명

3. 최적의 인지기능을 위한 유전적, 분자적, 세포적, 환경적 요인의 상호작용 이해

4. 학습, 주의, 기억, 언어, 유추, 판단 등 인지에 대한 증진

노인인구 사이의 건강 불균형 감소

소수민족그룹 노인의 활동적인 수명 증가와 건강상태 향상

1. 소수민족그룹에서의 질병 발생율 및 발생과정 분석

2. 연구에서 소수민족그룹 포함 증가

3. 다양한 인구에 적합한 건강한 노화를 위한 예방법 개발

4. 문화적으로 적합한 건강관리 방법 향상

5. 정보확산을 위한 방법 개발

6. 건강한 생할습관과 건강증진 방법 향상

인종, 민족, 성별, 환경, 사회경제, 지역, 문화에 따른 건강 차이 이해

1. 특정 집단에서의 정상 노화과정 연구

2. 성인건강에 대한 초기수명 인자의 효과 연구

3. 건강차이와 원인 관련 필요 데이터 개발

4. 인종, 문화, 민족의 기능적 정의 증진

5. 인종, 민족, 경제상태, 교육 및 경력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연구

노인의 건강, 경제상태 및 삶의 질 모니터링 및 정책 반영

1. 노인건강 및 기능변화 및 요인 연구

2. 정책에 유용한 정보 제공

3. 질환비용, 건강수명, 장수에 대한 비용 및 경제적 부담 데이터 생산

4. 노인인구 및 질환에 대한 전세계 부담 모니터

노화 연구를 지원하는 자원 확대

노화연구에 필요한 다양한 연구인력 확보 및 훈련

연구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NIA 연구력과 전문적 연구환경 조성

대중, 과학단체 및 보건의료 전문가들에게 정확한 정보 제공

연구자원의 개발 및 공급

[2013 생명공학백서 | 표 4-8-4] NIA의 노화과학 연구 주요내용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정부의 강력한 과학기술 투자 의지

노화 연구의 기반이 되는 BT에 대한 연구 역량 확보 및 정부의 지속적인 투자

·제도 정비를 통해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육성 정책 강화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IT,NT 등 기술과의 융합연구로 시너지 확보 용이

노화의 최근 연구 트렌드에 부합하는 국내 연구 성과의 증가

정부의 노화 대책이 대부분 노화 복지 정책에 편중되어 있음

노화 R&D 분야의 절대적 투자 규모가 선진국에 비해 부족하고, 부처간 칸막이 현상으로 인해 통합적인 연구가 불가능

노화 R&D에 대한 중장기 전략의 부재로 정부투자 분야와 실제 수요 간의 괴리 발생

노화를 전문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연구 그룹 및 인력 양성 미흡

국내 노화관련 산업체는 대부분 영세한 중소기업으로 구성되어 산업기반이 약함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

저출산, 고령화 사회의 도래로 노인문제 해결을 위한 각국 정부의 노화 R&D 수요 확대

세계 최고의 고령화 속도로 말미암아 노화연구 및 산업에 대한 국민적 관심 증가

노화 연구에 대한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분야로 연구 범위 확장 가능

노화 관련 산업이 대부분 성장기에 있고 향후에 높은 성장이 예상되어, 시장 진입 기회 증대

노화에 대한 사회적 이해도 및 고령화 문제에 대한 능동적 대처 미흡

최근 주요 선진국들이 노화 R&D에 대한 정책 강화 및 투자 비중 증가

선행 기술 보유국들의 연합 체계 및 배타적 권리 주장 발효

세계 고령화 산업의 급속 성장으로 거대 다국적 기업의 관련 산업 진출 증가

[2015 생명공학백서 | 표 4-1-20] 국내 노화 관련 R&D의 SWOT 분석 매트릭스


Glycolytic shift

NAD+ 감소

mTOR 활성화

주요특성

노화세포 특이적으로 염증유발인자, 성장인자, 단백질분해 효소를 분비하는 특성인 SASP (senescence-associated secretory phenotype) 발현에 관여함. SASP는 조직미세환경을 변화시키고 만성, 기저, 비감염성의 inflammaging을 유도함.

다양한 대사산물 생산을 증가시켜 대사체 활용이 변화되고 redox stress를 유발함. 이는 추가적 면역 대사리프로그래밍 및 epigenetic modification에 직접 관여함.

생산과정에 관여하는 tryptophan 대사가 억제됨과 동시에 NAD+가 소비되는 주요경로인 poly (ADP-ribose) polymerases (PARP) 매개 DNA 복구 필요성이 매우 증가하기 때문임.

그 결과 NAD+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대사경로에 손상이 일어나고. NAD+ 의존적 deacetylasesirtuin 전사활성화 기능을 저하함.

영양물질, 성장인자 및 여타 환경적 요인을 감지하는 mTOR(특히 mTORC1)은 동화작용을 강화시켜 SASP 발현에 관여함.

mTORC1 활성화는 glycolytic shift와 유발하며 특히 NLRP3 inflammasome 활성화를 촉진시켜 만성염증성 질환 증가와 관련됨.

mTOR 특이적 저해제는 노화면역세포에서 관찰되는 주요 대사과정 이상을 회복시켜 SASP 발현을 포함하는 inflammaging 유도를 억제함. 동물모델에서 수명연장 효과를 관찰함.

Autophagy의 감소, nutrient-sensing insulin/insulin-like growth factor (IGF)-1 signaling (IIS) pathway의 변화, 미토콘드리아 기능손상, 증가한 redox stress 등이 공통으로 관여



노화 면역세포에서 관찰되는 주요 대사 과정의 변화


기관명

기관종류

주요 연구내용

한국생명공학

연구원

노화제어전문연구단

정부출연연구소

근골격계 중심 기초, 실용화 연구

노화/운동 마우스 혈액의 노화 조절 인자 발굴

실험동물자원센터

노령 마우스 공급 (3 ~ 30개월)

광주과학기술원 생명노화연구소

대학

퇴행성 관절염 분자적 조절 기전

노인성 질환 모델동물 개발

부산대학교 노화조직은행

대학

노화조직 은행 구축

활성산소에 의한 염증 유도 기전

영남대학교 스마트에이징융복합연구센터

대학

혈관노화 제어 인자 규명

기초/임상 연계 혈관 노화 제어 물질 개발

경상대학교 바이오항노화의과학연구센터

대학

질환 모델 활용 노화 촉진 기전 규명

염증 및 산화스트레스 초점 연구

DGIST 웰에이징연구센터

대학

노화 세포 회복기전 연구

노인성 질환 세포/동물 모델 활용 질환 개선 물질 기전 연구

한국식품연구원 천연물대사연구단

정부출연연구소

식품의 노인성 근감소 제어기전 연구

퇴행성 노인질환 조절 식품 기능 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약융합연구부

정부출연연구소

노인성 질환 치료를 위한 한약제제 및 한약 기반 소재 개발

피부노화 개선 효능 물질 발굴

부산대학교 건강노화한의과학연구센터

대학

한의학적 노화질환 치료법 확립

한의약을 통한 면역, 대사, 뇌혈관 질환 기능 개선 연구

국가마우스표현형분석사업단
노화 표현형 분석

사업단

(대학, 출연연)

국가 마우스 표현형 인프라 구축

노령 마우스 오믹스 분석을 통해 전신 및 주요 장기별 노화 마커 발굴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고령동물생육시설

정부출연연구소

노령 마우스 공급 (3 ~ 30개월)



국내 노화연구기관 및 주요 연구내용


#

회사명

설립일

본사

수익

(백만달러)

특징

31

Mesoblast

2004

호주

<$10Mn

(2019)

•︎ 동종세포치료제를 개발하고 상용화하는 회사

•︎ 조직복구, 면역반응 제어를 목적으로 중간엽 계통의 세포를 기반으로하는 치료제 개발

32

Minovia Therapeutics

2011

미국

$6Mn

(2019)

•︎ 미토콘드리아 장애 관련 치료법을 제공하는 임상단계의 생명공학 회사

•︎ 미토콘드리아 세포치료 전략을 최초로 채택한 선도기업

•︎ (주력분야) 희귀질환, 노화 관련 질병 완화를 위한 미토콘드리아 기반의 치료제 개발

33

Mitobridge

2013

미국

$5Mn

(2019)

•︎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향상시키는 저분자 조절제를 찾고 생성하는 생명공학 회사

•︎ (주력분야) 미토콘드리아 기능향상 및 기능장애 치료를 위한 약물 식별 및 평가

34

Navitor Pharmaceuticals

2009

미국

$83.1Mn

(2019)

•︎ mTORC1 플랫폼 개발의 선두 기업

•︎ (주력분야) 우울증, 심부전, 만성 신장질환, 다낭성 신장 질환 등의 표적 치료제

35

NeuroTrack

2012

미국

-

•︎ 인간의 인지건강 평가, 개선, 추적을 위한 플랫폼을 개발 중인 회사

•︎ (주력분야) 디지털 인지 테스트

36

Nuchido

2017

미국

-

•︎ 노화를 늦추고 건강수명을 연장하기위한 기능성 식품 회사

•︎ (주력분야) 세포 건강 강화 및 건강한 노화를 지원하는 보충제

37

NuSirt

2007

미국

<$5Mn

(2019)

•︎ 천연 화합물을 다양한 약제와 결합하는 기술 플랫폼을 보유한 임상단계의 회사

•︎ (주력분야) 당뇨병, 비만, 동맥경화증 및 고지혈증과 같은 대사 질환 치료제

38

OneSkin Technologies

2016

포르투갈

$19.6Mn

(2019)

•︎ 피부 노화의 근본 원인을 표적으로 삼는 국소 피부 보조제 제조업체

•︎ (주력분야) 노화세포 축적을 줄이고 표피 피부 장벽을 강화하는 보조제

39

BHB Therapeutics

2019

영국

•︎ 희귀질환 치료제 개발 실적을 보유한 숙련된 생명공학 회사

•︎ (주력분야) 노화과정을 늦추기 위한 베타-하이드록시부티르산에서 파생된 치료제

40

Genome Protection

2018

미국

•︎ 건강한 수명 연장을 해 DNA 복구 경로를 표적으로 하는 저분자 치료제 개발 회사

•︎ (주력분야)retroelements를 중화하여 암 및 노화 관련 질병을 예방



항노화 치료제 시장 주요 플레이어 현황 5


#

회사명

설립일

본사

수익

(백만달러)

특징

23

Biosplice

2008

미국

$26Mn

(2019)

•︎ 저분자 치료제 개발 주력 회사

•︎ (주력분야) 알츠하이머, 다양항 퇴행성 질환, 조직 재생

24

Cyclo Therapeutics

1990

미국

-

•︎ 희귀 유전질병 치료법에 주력하는 임상단계의 생명공학회사

•︎ (주력분야) C1형 니만-피크병(희귀 퇴행성 뇌질환)

25

Denali Therapeutics

2013

미국

$82.9Mn

(2019)

•︎ 신경계 질환 관리를 위한 치료법 개발 전문 회사

•︎ (주력분야) 신경변성, 근위축성측색경화증, 파킨슨병, 루이소체 치매, 다계통 위축, 리소좀 축적장애 등

26

Elysium Health

2000

영국

$110.9Mn

(2019)

•︎ 노화 연구의 과학적 발견을 건강제품 및 기술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임상단계의 회사

•︎ 우수 과학자, 임상의, 임상기관과 협력하여 노화 문제 해결

•︎ (주력분야) 세포노화, 두뇌노화, 대사노화 관련 보충제

27

GenSight Biologics

2012

프랑스

$8.1Mn

(2019)

•︎ 망막 및 중추 신경계 질환에 대한 유전자 치료제를 개발하고 판매하는 임상단계의 바이오 제약회사

•︎ (주력분야) 망막 질환 환자의 시력회복을 지원하는 치료제

28

Intervene Immune

2013

미국

$5Mn

(2019)

•︎ 흉선 재생 및 노화 면역 체계 저하 치료법 개발에 주력하는 회사

•︎ (주력분야) 흉선 조직 재생 기술(퇴화 및 노화 역전)

29

Khondrian

2012

네덜란드

$5Mn

(2019)

•︎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이상으로 발생되는 질병 치료법을 연구개발하는 임상단계의 바이오 제약회사

•︎ (주력분야) 미토콘드리아 장애 관련 원인치료제

30

Lygenesis

2017

미국

<$5Mn

(2019)

•︎ 환자의 림프절을 사용한 이소성 장기 생성에 주력하는 세포치료 분야 임상단계의 회사

•︎ (주력분야) 말기 간질환 환자의 간 재생



항노화 치료제 시장 주요 플레이어 현황 4


#

회사명

설립일

본사

수익

(백만달러)

특징

15

PharmatrophiX

2015

미국

-

•︎ 저분자 질병 경로변경 약물을 개발하는 제약 회사

•︎ (주력분야) 저렴한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16

Retrotope Inc.

2006

미국

-

•︎ 독성 지질 대사물질이 퇴행성 질환의 진행에 미치는 역할에 대한 고유한 이해를 바탕으로 질병의 근본적인 원인 해결을 위해 노력하는 임상단계의 회사

•︎ (주력분야) 퇴행성 질환 치료제

17

Stealth BioTherapeutics

2007

미국

-

•︎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 치료법 개발에 주력하는 힘상단계의 생명공학 회사

•︎ (주력분야) 신경 퇴행성 질환, 노화 관련 질환, 안과 질환

18

T.A. Sciences, Inc.

2002

미국

-

•︎ 노화과정에서 텔로미어의 역할 이해 및 길이 유지를 통해 건강한 노화를 지원하는 제품개발 및 마케팅을 전문 생명공학 회사

•︎ (주력분야) 텔로미어 길이 및 노화, 텔로머라제 활성화, 임상시험

19

UNITY Biotechnology

2009

미국

-

•︎ 노화세포를 표적으로하는 세놀리틱 치료제 개발 회사

•︎ (주력분야) 근골격계 질환, 신경퇴행성 질환, 심혈관 질환

20

Younger Phenotype Inc.

2017

미국

-

•︎ 노화관리 시스템을 통해 개인이 직접 자신의 노화를 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회사

•︎ (주력분야) 근육 및 관절 통증 완화, 항노화 치료제

21

Alkahest

2014

미국

$18.1Mn

(2021)

•︎ 노화된 플라즈마 프로테옴을 표적으로 하는 변형 요법으로 신경퇴행성 및 노화 관련 질병에 대한 치료법을 발견하고 개발하는 임상 단계 바이오 제약회사

•︎ (주력분야) 신경성 퇴행 장애 (인지기능 저하, 알츠하이머 등)

22

Athersys Inc

1995

미국

$8.46Mn

(2020)

•︎ 인간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줄기세포 기반 치료제 개발 회사

•︎ (주력분야) 심혈관, 신경계, 염증 및 면역계 질환 치료 효과가 있는 줄기세포 제품



항노화 치료제 시장 주요 플레이어 현황 3


#

회사명

설립일

본사

수익

(백만달러)

특징

8

CytoMed Therapeutics Pre Ltd

2018

싱가포르

-

•︎ 암치료제 개발을 위한 위한 세포 면역요법 줄기세포 연구회사

•︎ T 세포를 위한 기증자 혈액 기반 플랫폼, iPSC 유래 NK 세포 플랫폼 및 iPSC 유래 T 세포 플랫폼의 세 가지 플랫폼 보유

•︎ Series A ($1.5 Mn) 단계

•︎ (주력분야)고형 종양 치료를 위한 CAR-T 세포 치료제

9

Gero.ai

2015

싱가포르

-

•︎ AI를 활용한 개인의 건강과 사망위험을 평가하는 생명공학 회사

•︎ Series A 펀딩(USD2.2Mn) 단계

•︎ (주력분야) AI를 활용한 노화관련 새로운 표적 발견, 항노화 의약품 개발, 개인의 질병 및 사망 위험 계산

10

Rejuvenate Bio

2019

미국

-

•︎ 유전자 발현을 조작하여 노화 및 노화 관련 장애의 주요 원인 치료에 강점이 있는 전임상 단계의 생명공학회사

•︎ (주력분야) 인간과 개를 위한 심혈관 및 대사 질환 치료제 파이프라인 개발

•︎ Series A 편딩($10 Mn) 단계

11

Rejenevie Therapeutics

2012

미국

-

•︎ 노화 관련 질병 치료를 위한 줄기세포복원 솔루션을 개발하는 임상단계의 생명공학 회사

•︎ (주력분야) 조혈모세포활성을 향상시키는 이질세포배양하야 노화세포에 공급해 재생 촉진, 면역체계 제공에 중점

12

MyMD Pharmaceuticals

2014

미국

-

•︎ 노화 관련 자가면역질환, 만성통증, 불안 및 수면장애를 치료하는 약물을 만드는 임상단계의 제약회사

•︎ (주력분야) 노화관련 근감소증, 안과질환

13

Longeveron Inc.

2014

미국

-

•︎ 중간엽줄기세포(MSCs)를 활용한 치료제 개발회사

•︎ (주력분야) 노쇠증후군, 알츠하이며 등을 포함한 노화 관련 MSCs 치료제

14

CohBar, Inc.

2017

미국

-

•︎ 미토콘드리아 유래 펩타이드 기반 치료제에 주력하는 임상단계 생명공학 회사

•︎ (주력분야) 알츠하이머, 심혈관 질환 및 암과 같은 노화관련 새로운 치료법 발견 및 개발



항노화 치료제 시장 주요 플레이어 현황 2


#

회사명

설립일

본사

수익

(백만달러)

특징

1

AgelessRx

2017

미국

-

•︎ 항노화를 위한 온라인 플랫폼을 운영, 상담부터 장수 의약품 배송까지 원스톱 서비스 제공

•︎ (주력분야) 노화방지치료, 생물학적 연령 테스트/모니터링, 체중관리, 자가면역 지원, 장수지원(상담, 암검사 등 노화 추적)

2

ANOVA IRM GmbH

2016

독일

-

•︎ 재생의학 및 실험의학에 강점

•︎ 영상, 실험실 및 유전자검사가 가능한 진단센터와 최신 장비를 갖춘 개인병원을 보유하여 맞춤형 의료서비스 제공

•︎ (주력분야) 줄기세포 세크리튬 치료제

3

Betterhumans

2013

미국

-

•︎ 중개생물노화학 전문 의료연구센터

•︎ 설치동물 사육장, 클린룸 등 실험실과 임상시험을 위한 의료사무실 보유

•︎ (주력분야) 임상시험, 노화방지를 위한 줄기세포 연구 및 유전자 편집 실험

4

BioAgeLabs

2015

미국

-

•︎ 노화 및 노화관련 질병 치료 약물을 개발하는 임상 단계의 생명공학회사

•︎ eriesB 펀딩($23Mn+$90Mn) 단계

•︎ (주력분야) 오믹스데이터,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분자 경로 매핑을 위한 시스템 생물학 플랫폼, 약물재배치를 통한 노화 면역 강화제

5

Biophytis

2006

프랑스

-

•︎ 연령관련 질병 치료를 위한 약물 개발을 전문으로하는 임상단계의 생명공학회사

•︎ SeriesB 펀딩($2.6Mn) 단계

•︎ (주력분야) 노화에따른 근감소증 등 신경근질환, 황반병성 관련 질환 치료제

6

bioXcellerator

2015

미국

-

•︎ 정형외과부상 및 미용에서부터 알츠하이머, 당뇨병 백혈병과 같은 광범위한 치료법 및 제품 개발회사

•︎ (주력분야) 자가면역질환 줄기세포치료, 피부미용 줄기세포치료(주름감소, 콜라겐 생성)

7

Cambrian Biopharma, Inc

2019

미국

-

•︎ 노화 관련 장애의 근본적 원인(세포내 기능장애 등) 해결을 위한 다양한 약물 개발

•︎ SeriesC 펀딩($100Mn) 단계

•︎ (주력분야) 소아 근이영양증의 희귀 암변종에 대한 근육줄기세포 치료법



항노화 치료제 시장 주요 플레이어 현황 1



본 기업

대상 기업

활동형태

주요내용

전통적인 의약품(Conventional Medicine)

Google

Senosis

Health

인수

2017, 디지털 스타트업인 Senosis HealthFDA 리뷰 중이었던 골다공증 진단 앱을 제공

Mitsubishi Tanabe

Neuroderm

인수

2017, Mitsubishi 제약은 중추신경계(CNS) 질환에 초점을 맞춘 제약회사인 이스라엘의 Neuroderm11억 달러에 인수

Neuroderm의 특허받은 액상형 파킨슨병 치료제는 지속적인 피하 투여가 가능

Collidion

Plex Pharma

인수

2017, CollidionPlex Pharma의 지분 80%를 취득하였고, Collidion은 이에 따라 파킨슨병, 교모세포종, 백내장 등에 대한 Plex Pharma의 신약 프로그램 경영 및 운영 지원

Amgen

GSK

마켓팅 권리

2016, AmgenGSK로부터 호주, 아시아, 남미, 유럽 등 48개국에서 골다공증 치료제 Prolia에 대한 판매권을 재취득

주요 개발도상국 시장에서 더 많은 환자를 직접 치료하는 것을 목표

Allergan

Chase Pharma

인수

2016, Chase Pharma는 알츠하이머를 포함한 신경퇴행성 질환의 치료제 개발에 중점

AllerganChase Pharma의 선도물질인 CPC-201 보를 위해 판매를 포함하여 1.25억 달러의 선불금 지급

Aspen Park Pharma

The Female Health Company

합병

2016, The Female Health CompanyVeru Healthcare라는 회사를 설립하기 위해 Aspen Park Pharma와 최종 합병 계약을 체결

Veru Healthcare의 주요 기술은 약물의 확장방출이 가능한 분말제형으로, 알약 복용의 어려움을 개선하는 기술

미용(Asthetics)

Hologic

Cynosure

인수

2017, Hologic은 의학적 미용사업에서의 입지를 다지기기 위해 의학적 미용시스템 제조업체인 Cynoosure를 약 16.5억 달러로 인수

Bloomage BioTech

Vivacy

Laboratoires

전략적 투자

2015, 중국 Bloomage BioTech는 유럽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Vivacy Lab6,700만 달러를 투자

Bloomage BioTech

Medytox

협력

2015, 중국에서 보툴리눔 독소 사업을 구축하기 위해 한국의 Medytox와 합작법인을 설립

Actavis

Allergan

인수

2015, Actavis705억 달러로 Alergen을 인수했고, Alergan을 새로운 글로벌 이름으로 채택

식이보조제(Dietry Supplements)

Clorox

Nutranext

인수

2018, Clorox는 건강과 웰빙 포트폴리오로 빠르게 성장하는 Nutranext7억 달러로 인수

Nestle

Atrium Innovations

인수

2017, 네슬레는 캐나다의 혁신 식이 보조제 제업체인 Atrium Innovations23억 달러에 인수



항노화 치료제 및 서비스 기업들의 주요 M&A, 파트너쉽 현황(2015∼2018년)


구 분

특 징

미국과

유럽

유럽(특히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영국)에 이어 미국은 높은 인지도, 폭넓은 시장 접근성 및 비교적 높은 소득 수준에 의해 운영되는 항노화 제품과 솔루션의 최대 시장

급격하게 증가하는 고령 인구의 존재는 미국과 유럽을 수익성 있는 시장으로 만듬

알츠하이머, BPH, 골다공증과 같은 노령 관련 질병의 증가로 이어지며, 이로 인해 알츠하이머, 골다공증 등 수익성이 높은 전통직인 치료 시장이 됨

잘 개발된 치료 보상 시스템의 존재는 시장의 성장에 도움이 됨

미국에서 1인당 식이요법 보충제 소비량은 전반적인 소비자 인식과 시장 접근에 대한 규제 수용으로 인해 EU의 두 배

일본과

한국

높은 수입과 교육 수준, 높은 도시화 덕분에 일본과 한국은 노화 방지 제품을 위한 수익성이 높은 시장

인구 중 4분의 1 이상이 65세 이상인 일본은 노화방지 제품과 솔루션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시장을 제공

한국은 미용 솔루션에 대해 노출되어있고 이에 대해 수용할 수 있음. 한국은 휴젤(HUGEL)과 메디톡스(Medytox)와 같은 저명한 미용 솔루션 제공업체들의 본고장으로서, 미용 제품의 국내 대형 시장을 부각하고 있음

아시아-

태평양 외

성장하는 고령인구, 소득수준 증가, 빠른 도시화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매력적인 미래시장으로 만들고 있음

노화와 관련된 질병에 대한 임상적 해결책에 대한 높은 필요성은 의약품/치료제에 대한 수요를 촉진

, 인도와 같은 국가는 항노화 제품 및 솔루션의 잠재적 시장

아시아-태평양의 소득 수준과 함께 교육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소비자들은 건강한 노화를 위한 요법을 적극적으로 추구하기 위한 인식을 발전시킬 가능성이 있음

호주와 뉴질랜드 또한 소득과 교육 수준이 높은 잠재적인 지역으로, 건강한 노화의 혜택이 노출되도록 돕고 있음

2016년 브라질은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미용 시술량을 보유해 미용 솔루션의 핵심 시장으로 자리매김했으며, 멕시코도 미용 솔루션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음



지역별 성장 분석


구 분

정 의

특 징




지식
경제부

노화 및 노인성질환의 예방, 치료 및 개선을 위한 의약품, 식품, 화장품, 의료기기, 건강프로그램 및 연관된 바이오기술 등을 개발하고 만들어내는 첨단바이오기술이 접목된 새로운 신기술산업



부산
광역시

노화 및 노인성 질환을 예방, 치료하거나 개선을 위한 의약품, 식품, 화장품, 의료기기, 건강프로그램 등의 제품이나 서비스와 관련된 신성장산업

전국 광역단체 중 최초로 항노화산업을 정의한 조례를 제정

제주특별
자치도

노화의 예방·지연 및 노화과정에서 발생하는 노인성 질환의 진단·예방·억제·치료와 재생 등을 통해 건강한 삶과 관련된 제품을 생산하는 고부가가치 첨단융합산업으로서 의약품, 식품, 화장품, 의료기기, 건강프로그램, 유헬스(U-health) 등의 제품이나 서비스와 관련된 신성장산업

제주특별자치도 미래전략산업과에 조례를 추진




삼성
경제연구소

노화를 늦추거나 노화증상을 완화하는 기술·상품·비지니스라는 목적 지향적인 개념으로 정의

산업적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 항노화의 목적을 노화 예방, 증상완화 등 임상적 효능 추구로 구체화

건강하고 행복한상태를 목적으로 하는 헬스케어(healthcare)산업의 한분야로 예방 및 관리를 통한 라이프케어(lifecare)에 중점

산업
연구원

항노화를 노화 현상과 과정을 예방하거나 관련 질병 또는 노화로 인한 신체의 기능 저하를 탐지, 관리, 치료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항노화산업을 노화기전에 대한 예방·관리·치료하는 모든 제품 및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

경남
발전
연구원

노화 및 노인성질환을 예방 치료 및 개선을 통해 건강한 삶을 살아가기 위한 것으로써, 의약품, 식품, 화장품, 의료기기, 건강프로그램 및 첨단바이오기술이 접목된 고부가가치 첨단산업

부산
테크노파크 정책기획단

노화 및 노인성 질환을 예방, 치료 및 개선을 위한 의약품, 식품, 화장품, 의료기기, 건강프로그램, 연관된 바이오기술 등을 개발하고 만들어내는 첨단바이오기술이 접목된 새로운 신기술산업

신체의 노화가 진행되기 시작하는 30세 전후반부터, 장년층, 노년층

까지의 수요자를 대상으로 하는 산업



국내 다양한 기관의 항노화산업 정의

뉴스

더보기

연계정보BICS는 바이오 R&D에서 산업화까지 다양한 정보 자료를 수집하여
이용자들이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더보기
  • 기술혁신항노화 항체치료제

    노화 과정에서 증가하며 혈관을 통해 전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세포와 인자를 표적으로 제어하는 항체 기반 치료제

    2025-01-21

  • 기술혁신퍼스널 노화속도계

    노인성질환 발병 후 진단이 아닌, 발병 전 예방을 위한 노화속도 측정 기술 (정확한 노인성질환 발병 시기 예측을 통한 예방)

    2024-12-03

  • 기술혁신세포 역노화

    세포 리프로그래밍 등을 통해 세포의 건강을 유지하고, 세포의 재생 능력을 복원

    2024-11-25

  • 기술혁신조직 내 노화세포 제거기술

    조직의 노화 및 기능 이상을 유발하는 노화세포를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조직 항상성을 유지하고 질병을 치료하는 기술

    2024-11-25

  • 기술혁신역노화성 운동모방 약물

    실제 운동을 하지 않아도 운동효과를 나타내어 근육노쇠 등 노인성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약물

    2024-11-25

연계정보

  • 연구보고서 더보기
    • ntis생체유래 역노화 효능 물질 기반 노화제어 원천기술 개발
    • ntis노화제어 근육유래 인자 발굴 및 효능 검증 연구
    • ntis신장노화에서 레독스의 기능 연구
    • ntis노화임상코호트를 이용한 근육유래인자의 생리적 효능 분석
  • 과제 더보기
    • ntis저분자 화합물을 이용한 노화세포운명 조절방법 개발
    • ntis젊은세포 유래 역노화인자 발굴을 통한 중간노화세포의 기능역노화 기술 개발
    • ntis골대사 정밀의료 구현을 위한 디지털 근골격 노화 바이오마커 개발 및 검증
    • ntis수용체 인간화 생쥐 및 호흡기 오가노이드 모델을 이용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폐 병리의 면역노화 상관성 연구
  • 논문 더보기
    • ntis베이비부머 세대의 성격특성이 건강행동습관을 매개로 성공적 노화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ntis재생첨가제 함량에 따른 노화된 바인더의 물성 변화 기초 연구
    • ntis트레드밀 운동이 D-galactose로 유도된 노화 쥐 심장근육에서 미토콘드리아 품질관리에 미치는 영향
    • ntis초고령부모와 노인자녀의 노화에 대한 인식
  • 특허 더보기

영상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는 바이오 분야의 전문 지식을 영상 콘텐츠로 제공하여,
바이오 분야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있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