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가노이드
장기유사체 또는 미니 장기로도 불리는 오가노이드는 줄기세포나 장기 기원세포로부터 분리한 세포를 3차원 배양법으로 다시 응집·재조합하여 만든 장기 특이적 세포 집합체이며, 오가노이드는 자가 조직화(Self-organization)가 가능해 일반적인 배양 세포보다 복잡한 생체의 장기를 모방할 수 있어 신약 개발, 인공 장기 및 질병 치료 등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Collection
오가노이드
개념
오가노이드 연구는 2009년 Hans Clevers 연구팀의 연구성과 발표 이후 급격히 발전하여 암 연구를 위한 암 오가노이드 및 장, 간, 폐, 위, 신장, 뇌, 심장에 이르는 다양한 장기의 오가노이드 개발에 성공하였다. 하지만 현재의 오가노이드 기술로는 실제 장기의 복잡한 환경을 반영하지 못하며, 재현성 및 고비용 등 해결과제가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여기에서는 바이오인에서 담고 있는 오가노이드에 관련된 다양한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오가노이드 연구 동향
|
|
|||||||||||||||||||||||||||
오가노이드 활용 분야
|
|
|||||||||||||||||||||||||||
글로벌 시장 동향
|
|
|||||||||||||||||||||||||||
내용 출처 |
|
지식
더보기-
BioINwatch오가노이드의 복합체, 어셈블로이드(assembloid)
오가노이드의 복합체, 어셈블로이드(assembloid) BioINwatch(BioIN+Issue+Watch): 25-56 ◇ 단일 오가노이드로는 서로 다른 뇌 영역 간의 상호작용이나 장거리 축삭 (axon) 연결을 연구하는 데 한계가 있는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여러 개의 오가노이드를 조합하여 조직 간 상호작용을 모델링하는 '어셈블로이드(assembloid)'를 개발. 향후 동물모델 중심의 연구 패러다임을 벗어나 어셈블로이드와 같은 인간모델이 점차 중심적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 ▸주요 출처 : Science, Midline assembloids reveal regulators of human axon guidance, 2025.7.17 ◆︎ 인체 줄기세포를 이용한 어셈블로이드(assembloids)로 인간 특이적 신경생물학과 질병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 ○ 인간의 뇌가 어떻게 발달하고 복잡한 신경회로를 형성하는지에 대한 이해는 신경과학의 핵심 과제 중 하나 - 특히
2025-08-27
-
BioINwatch맞춤형 ASO 치료제 개발에 유연성과 확장성을 제공하는 오가노이드 플랫폼
맞춤형 ASO 치료제 개발에 유연성과 확장성을 제공하는 오가노이드 플랫폼 BioINwatch(BioIN+Issue+Watch): 25-9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ASO, antisense oligonucleotides) 치료제는 유전자 수준에서 특정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혁신적인 치료법으로, 희귀 유전질환, 암, 감염질환 등에 대한 새로운 치료 가능성을 주목. 최근 연구에서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를 사용하여 맞춤형 ASO 치료제 개발을 가속화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 신속하면서도 확장 가능한 오가노이드 기반 ASO 스크리닝 플랫폼은 개인 맞춤형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주요 출처 : Nature News, A scalable system using mini-organs to test personalized RNA therapy, 2025.1.22. Nature, Rapid and scalable personalized ASO screening in p
2025-02-06
-
BioINpro[KRIBB 워킹그룹] 첨단의약품 개발을 위한 오가노이드 기술
첨단의약품 개발을 위한 오가노이드 기술 2024년도 KRIBB 워킹그룹 이슈페이퍼 제8호 ◈ 목차 1.개요 2.주요 동향 및 이슈 2.1 오가노이드 활용 기술 동향 2.2 '23-24 생명(연) 오가노이드 최신 기술개발 성과 2.3 글로벌 오가노이드 기술 동향 2.4 오가노이드 특허 최신 동향 3.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 1.개요 ■동물실험 대체 ‘오가노이드’ 기술 ○오가노이드 기반 신약 평가 기술 -︎오가노이드(organoid, 유사장기)는 인체 발달과정과 질환기전을 이해하기 위한 가장 진보된 장기 모사 생체모델로, 약물의 독성 평가, 효능 평가, 대체시험법 개발, 조직 재생치료제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음 -︎인간-동물 간 불일치는 임상시험 실패 주요 요인으로, 오가노이드를 이용한 고효율, 저비용으로 신약의 효능 및 독성 평가가 가능함 -︎“Quick win, Fast fail" 전략을 통해, 신약 후보물질의 임상시험 진입을 빠르게 검증할 수 있으며, 이는 신약
2024-11-07
-
BioINwatch양수(amniotic fluids) 유래 오가노이드의 가능성
양수(amniotic fluids) 유래 오가노이드의 가능성 BioINwatch(BioIN+Issue+Watch): 24-17 ◇ 엄마의 양수에서 분리한 태아의 상피 줄기세포로부터 신장, 소장, 폐 오가노이드 배양에 최초로 성공한 연구결과가 발표. 양수 유래 줄기세포는 만능/유도만능 줄기세포와 달리, 이미 특정 장기의 특성을 가져 별도의 조작 없이 4∼6주 만에 오가노이드 형성이 가능. 향후 태아 발달, 선천성 질환에 대한 조기진단 및 맞춤치료를 위한 체외모델로 유용할 것으로 기대 ▸주요 출처 : Nature News, Organoids grown from amniotic fluid could shed light on rare diseases, 2024.3.4 ■ 엄마의 양수로부터 태아의 상피 줄기세포를 분리해 신장, 소장, 폐 오가노이드 배양에 최초로 성공한 연구결과가 발표 ○ 영국의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연구팀은 양수(AF, amniotic fluids)*에 3
2024-03-14
-
BioINwatch바이오컴퓨터, ‘오가노이드 지능(OI)’ 시대 도래
바이오컴퓨터, ‘오가노이드 지능(OI)’ 시대 도래 BioINwatch(BioIN+Issue+Watch): 23-86 ◇ 최근 실험실에서 배양한 인간 두뇌 모델에서 학습, 감각 처리 같은 인지 기능을 재현하는 이른바 ‘바이오컴퓨터’를 개발하려는 움직임이 포착되면서 생물과 사물, 아날로그와 디지털 융합의 새로운 사례로 주목 ▸주요 출처: Neuron, In vitro neurons learn and exhibit sentience when embodied in a simulated game-world, 2022.12.7, Nature electronics, Brain organoid reservoir computing for artificial intelligence, 2023.10.13, Frontiers in Science, The Baltimore declaration toward the exploration of organoid intelligence, 2023.2.28
2023-12-28
-
BioINpro[KRIBB 워킹그룹]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오가노이드 기술 현황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오가노이드 기술 현황 2023년도 KRIBB 워킹그룹 이슈페이퍼 제7호 ◈ 목차 1. 서론 2. 국내외 연구개발 동향 2.1 국내외 연구현황 및 전망 2.2 국내외 특허동향 2.3 국내외 정책 동향 3. 결론 및 시사점 3.1 생명(연) 역량 3.2 생명(연) 오가노이드 기술 발전방안 제안 ◈본문 1. 서론 □ 개요 ○동물실험을 대체할 시험법으로 오가노이드 기반 평가 플랫폼 기술 ╶︎지난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식품의약국 현대화법 2.0(FDA Modernization Act 2.0)에 서명함에 따라 비임상 단계에서 동물실험 결과 없이도 의약품 허가 신청을 할 수 있도록 의무 조항이 완화되면서 동물실험을 대체할 시험법으로 오가노이드 기반 약물 평가 플랫폼이 각광을 받고 있음 ╶︎스위스 다국적 제약회사인 로슈(Roche)는 2023년 5월 4일 오가노이드를 이용한 인간 모델 시스템 분야 연구 발전을 위해 ‘인체생물학 연구소(In
2023-10-18
-
BioIN4P오가노이드 분야 4P분석
오가노이드 분야 4P분석 - Paper(논문), Patent(특허), Product(산업), Portfolio(투자) - Paper(논문) 글로벌 국내 연도별 발표현황 연도별 발표현황 주요 국가 주요 국가(공동연구 현황) 주요 연구기관 주요 연구기관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2022-06-20
-
BioINpro오가노이드 재생치료제 산업 현황 및 전망
오가노이드 재생치료제 산업 현황 및 전망 오가노이드사이언스 주식회사(CEO)/차의과학대학교(교수) 유종만 1. 개요와 현황 가. 오가노이드(Organoid)의 개념 오가노이드(Organoid)는 ‘장기’를 뜻하는 ‘Organ’과 ‘유사함’을 뜻하는 접미사 ‘-oid’가 합쳐진 ‘기관을 닮은 유기체’를 의미한다. 기존 생물학 영역에서의 오가노이드는 3차원 세포 응집체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되었으며, 이는 실제 장기를 모사한다는 개념을 포함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지난 수십 년간 발생 생물학 및 줄기세포 생물학 분야의 발전을 통해 장기 특이적 줄기세포의 생성 및 분화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규명할 수 있게 되었고, 이에 조직 공학 기술의 발전이 더해져 줄기세포의 자가 조직화를 통한 조직 또는 장기 유사체를 만들어낼 수 있게 되었다. 최근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작된 장기 유사체를 오가노이드로 규정하고 있으며, 좀 더 엄격한 의미의 오가노이드가 되기 위해서는 다음의 3
2021-08-31
발간
더보기-
이슈 보고서2019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 제6화 “암 오가노이드 연계 면역세포 치료기술” 편
[바이오로 열어가는 2035 미래사회 – “암 오가노이드 연계 면역세포 치료기술”편] 제6화 “험난한 여름휴가 일정”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 지난 1월에 발표한 '2019 10대 바이오 미래유망기술(클릭)' 에 대해서 10화의 소설을 연재하고자 합니다. 바이오가 열어가는 행복하고 희망찬 미래상 제시를 통해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을 공감하고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여름 휴가철을 맞아 강현과 권하선, 두 사람은 고민 끝에 나란히 휴가원을 내기로 작심했다. 업무가 과중하다 보니 같은 연구실에서 일하는 두 사람이 동시에 휴가를 내는 건 동료 연구자들의 질책을 한몸에 받을 만한 일이었다. 하지만 얼마 전 ‘1000일 기념일’마저(2019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1화 참조) 야근으로 보내야 했던 두 사람은 일만 계속하다간 몸보다 정신이 먼저 망가질 것 같다는 불안감이
2019-07-29
동향
더보기-
기술동향
FDA, 동물실험 대체 계획 발표 ‘오가노이드·AI’ 전환 공식화2025.07.22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
-
기술동향
-
기술동향
오가노이드 감염모델 개발 동향2024.06.24
BRIC
-
제도동향
[생물의약품] 오가노이드 재생치료제 국내외 기술 개발 및 규제 동향2024.05.09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기술동향
오가노이드를 이용한 감염질환연구동향2024.04.08
BRIC
-
기술동향
[이슈 브리핑] 임신부 양수에서 유래된 오가노이드 배양 성공2024.03.13
한국바이오협회
-
제도동향
[첨단바이오포커스 제33호] - Key Issue 오가노이드 개발 동향2023.09.26
첨단바이오의약품 규제과학센터
-
기술동향
췌장암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 기반 항암제 감수성 검사2023.09.18
NECA 신의료기술평가사업본부
-
산업동향
로슈, 오가노이드 연구소(인체생물학연구소) 설립2023.06.09
한국바이오협회
-
산업동향
식의약 R&D 이슈보고서(오가노이드)2023.04.20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기술동향
환자 맞춤형 오가노이드 기반 정밀 의료 플랫폼2023.01.03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기술동향
뇌 오가노이드 연구동향과 비즈니스 전망2022.11.07
생물학연구정보센터
-
기술동향
[독성] 장기 유형별 오가노이드 구축 및 활용 사례집2022.05.30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정책동향
줄기세포 및 오가노이드_기초연구본부 선정 R&D 이슈 연구동향2021.11.22
한국연구재단
-
기술동향
신약개발 과정에서의 오가노이드 활용 현황 및 전망2020.05.20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기술동향
환자 유래 대장암 오가노이드의 특성 분석 정보집2020.01.06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
산업동향
오가노이드(Organoids) 시장현황2019.12.10
한국바이오협회 한국바이오경제연구센터
-
기술동향
암 연구를 위한 오가노이드(Organoids) 모델2018.10.30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기술동향
오가노이드를 활용한 치료제 개발 동향2018.02.19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
기술동향
사람의 발생과 질병에 대한 생체 외 모델로서 오가노이드(Organoid)2017.10.26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차트+
더보기뉴스
더보기-
R&D
오가노이드 성장 동력 되려면 국제 표준 선점·특허 회피가 관건2025.08.27
서울경제
-
R&D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 알츠하이머병 오가노이드 모델 글로벌 협력 체결2025.08.14
한국경제
-
R&D
K-오가노이드 컨소시엄 출범…27개 기업·18개 기관 뭉쳤다2025.08.14
연합뉴스
-
R&D
美 동물실험 금지...오가노이드·오간온어칩 등 대체기술 뜬다2025.08.14
매일경제
-
R&D
두경부암, 오가노이드로 맞춤 치료 길 열린다…치료 내성 유전자 규명2025.08.13
뉴스1
-
R&D
셀인셀즈 "오가노이드 신기술 개발…재생의료 글로벌 리더 되겠다"2025.08.05
한국경제
-
R&D
바이오 분야 대세 ‘오가노이드'…한국은 고가 설비·인력난·규제 공백 '삼중고'2025.07.24
동아사이언스
-
R&D
미니 장기 오가노이드, 혈관 생겼다…동물실험 대체, 세포 치료도 기대2025.07.17
조선비즈
-
R&D
생명연, 여러 오가노이드 연결 기술 구현...'나노코리아'서 공개한다2025.07.02
전자신문
-
R&D
유한양행·JW중외도…'오가노이드' 활용 신약 개발 박차2025.06.27
연합뉴스
-
R&D
삼성바이오도 뛰어든 '오가노이드' 신약개발 게임체인저 부상2025.06.18
파이낸셜뉴스
-
R&D
식약처, 오가노이드 시험법 국제표준화 추진위원회 발족2025.06.17
헬스조선
-
R&D
‘아바타 피부’로 약물 효능·부작용 예측…오가노이드 기술이 가져다줄 놀라운 미래2025.06.16
경향신문
-
R&D
생명연, 미니 장기 '휴먼 오가노이드' 활용 신약개발 논의2025.06.05
뉴스1
-
R&D
“동물실험 완벽대체” 휴먼 오가노이드…‘감염병 치료제’ 개발 도전2025.06.04
헤럴드경제
-
R&D
팬데믹 막는다…韓연구팀, 대규모 박쥐 인공장기 '오가노이드' 구축2025.05.16
연합뉴스
-
R&D
줄기세포·유전자치료·오가노이드… 재생의료로 승부수 던진 K-바이오, 글로벌 도약 견인2025.05.09
바이오타임즈
-
R&D
美, 동물실험 폐지 수순…한국 과학자, 오가노이드로 감각신경회로 구현2025.04.28
동아사이언스
-
R&D
'오가노이드'로 동물실험 대체… 신약 개발기간·비용 줄인다2025.04.24
조선일보
-
R&D
동물실험 없앤다는 FDA…오가노이드·AI 신약개발 기업 `화색`2025.04.16
디지털타임스
부처보도자료
더보기-
식약처, K-오가노이드 규제혁신 실현을 위한 첫걸음 기대
식품의약품안전처
2025-08-14
-
농촌진흥청, 돼지 오가노이드 기술로 산업체 협력 연구 착수
농촌진흥청
2025-07-17
-
농촌진흥청, 돼지 오가노이드 기술로 산업체 협력 연구 착수
농촌진흥청
2025-07-17
-
식약처, 오가노이드 시험법 국제표준화 위한 추진위원회 발족
식품의약품안전처
2025-06-17
-
‘박쥐 유사장기(오가노이드)’로 미래 감염병 세계적 대유행(팬데믹) 막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5-05-16
-
농촌진흥청, 오가노이드 활용 가축 질병 연구 민관 협력 논의
농촌진흥청
2025-02-27
-
농촌진흥청, 오가노이드 활용 가축 질병 연구 민관 협력 논의
농촌진흥청
2025-02-27
-
오가노이드 활용 곰팡이 분석… 유산균 배양액 처리로 독성 저감 확인
농촌진흥청
2025-02-19
-
오가노이드 활용 곰팡이 분석… 유산균 배양액 처리로 독성 저감 확인
농촌진흥청
2025-02-19
-
동물 실험 대체 오가노이드 기술 확대 ‘연구 협력 강화’
농촌진흥청
2025-02-14
-
동물 실험 대체 오가노이드 기술 확대 ‘연구 협력 강화’
농촌진흥청
2025-02-14
-
돼지 소장 오가노이드(미니장기) 개발, 영양분 흡수 실험 쉬워질 듯
농촌진흥청
2024-11-18
-
돼지 소장 오가노이드(미니장기) 개발, 영양분 흡수 실험 쉬워질 듯
농촌진흥청
2024-11-18
-
국가기술표준원·식품의약품안전처, 오가노이드 국제표준 선점을 위해 함께 뛰다
산업통상자원부
2024-09-25
-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국가기술표준원과 함께 오가노이드 국제 표준화 선도
식품의약품안전처
2024-09-23
-
식약처, OECD와 함께 세계 최초 간(肝) 오가노이드 활용 독성시험법 개발
식품의약품안전처
2024-05-10
-
식약처, 오가노이드 활용 독성평가 표준화에 앞장
식품의약품안전처
2023-04-20
-
식약처, 오가노이드 활용 독성평가법 연구 진행
식품의약품안전처
2022-02-17
성과
더보기-
‘박쥐 유사장기(오가노이드)’로 미래 팬데믹 막는다
2025-05-20
-
고품질 오가노이드의 대량 생산 기반 기술 확보
2024-11-21
-
심장 미세환경까지 구현한 미니 장기 ‘오가노이드’ 나왔다
2024-04-25
-
오가노이드가 상처 재생을 돕는다
2024-04-17
-
오가노이드에서 고순도 줄기세포를 대량 배양하는 기술 개발
2024-03-07
연계정보BICS는 바이오 R&D에서 산업화까지 다양한 정보 자료를 수집하여
이용자들이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더보기
-
기술혁신암 오가노이드 연계 면역세포 치료기술
암환자 세포 유래 암 오가노이드를 이용하여 환자 맞춤형 면역세포치료제를 생산하고, 이를 항암치료에 활용하는 기술
2024-11-25
-
기술혁신오가노이드 기반 생체모사기술
줄기세포, 3D 프린팅기술 융합 등을 통해 제작된 오가노이드를 이용하여 복잡한 생체시스템(순환계, 신경계, 소화계, 개체 전체 등)을 모사하는 기술
2024-11-25
연계정보
-
연구보고서
더보기
-
ntis고 투과성 나노섬유 마이크로웰 기반 균일하고 높은 재현성을 가지는 오가노이드 배양 자동화 시스템 개발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고 투과성 나노섬유 마이크로웰 기반 균일하고 높은 재현성을 가지는 오가노이드 배양 자동화 시스템 개발/Development of an automated organoid culture system with uniform and high reproducibility based on highly permeable nanofibrous microwell
사업 : 2024 중소벤처기업부 TIPS과제과제 : 2420011187 셀로이드(주) 고 투과성 나노섬유 마이크로웰 기반 균일하고 높은 재현성을 가지는 오가노이드 배양 자동화 시스템 개발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406 발행기관명 셀로이드(주)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 ntis오가노이드 배양 매트릭스 개발
-
ntis오가노이드 기반 인간 뇌발달 4D 이미징 연구실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오가노이드 기반 인간 뇌발달 4D 이미징 연구실/Laboratory of 4D imaging for human brain development
사업 : 202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집단연구지원과제 : 1711182958 가톨릭대학교 오가노이드 기반 인간 뇌발달 4D 이미징 연구실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408 발행기관명 가톨릭대학교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연구개발 목표인간 대뇌발달의 주요 세포인 신경세포와 사이신경세포 별아교세포 희소돌기아교세포 등 다양한 세포 유형 간 상호 발달을 대뇌 오가노이드로 모사하고 이를 적응광학 고속스캐닝 현미경으로 4D 이미징 및 인공지능 기반 이미지 개선 정량분석법 개발을 통해 복잡한 초기 뇌발달 과정을 시각화함으로써 뇌발달의 생리학적 기전을 규명하고 뇌발달장애의 병인 기반 치료표적을 발굴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함 연구개발 내용 다종의 대뇌 오가노이드 제작 흥분성 신경세포 억제성 신경세포 희소돌기아교세포가 포함된 대뇌 오가노이드를 제작하고 이를 뇌발달 연구의 모델로 활용함 고역가 바이러스를 이용한 형광 표지 및 검증 오가노이드 내 주요 세포를 고역가 렌티바이러스 또는 아데노 연관 바이러스로 형광 표지하고 이를 면역조직화학염색법으로 각 세포를 검증함 다중파장 고속스캐닝 현미경 개발 개발한 다중파장 선형 고속스캐닝 현미경 시스템은 초당 100장의 영상을 300 nm 해상도로 획득함으로써 다양한 형광 표지 세포를 고해상도로 시각화하고 대면적 볼륨 이미징이 가능함 4D 영상 속도 및 해상도 최적화 압축센싱과 디컨볼루션 기법을 효율적으로 통합하여 이미징 속도를 크게 개선하고 1 um 수준의 공간 해상도를 획득함으로써 광독성 없이 고해상도 대면적 볼륨 이미징이 가능함 신경세포와 희소돌기아교세포 발달의 장기 추적 정상 대뇌 오가노이드의 형광 표지 신경세포와 희소돌기아교세포 발달 과정을 약 두 달 간 광독성 없이 장기 추적하였음 이를 통해 시간에 따른 인간 뇌발달 변화 및 각 세포 간의 상호작용을 추적 관찰함 비표지 영상 기술 개발 생쥐 뇌를 양성 대조군으로 활용하여 수초화된 세포를 표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고 희소돌기아교세포가 포함된 뇌 오가노이드에서도 비표지 영상 획득에 성공함 뇌발달장애 기전 연구 및 딥러닝 기반 정량 분석법 개발 뇌발달장애 환자의 말초혈액으로부터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수립하고 대뇌 오가노이드를 제작하여 정상에 비해 초기 뇌발달 이상을 확인하였고 전사체 분석으로 신경줄기세포의 세포분열 및 사포사멸 관련 경로의 변화를 확인함 뇌 오가노이드의 조직학적 분석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딥러닝 기반 정량 분석법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데이터 분석을 수행함 GCaMP 기반 뇌 오가노이드 신경세포 활성의 실시간 시각화 및 정량 분석 Light field 현미경과 산란행렬 분석 적응광학 기술을 결합하여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형광 표지 신경세포 칼슘 신호 활동 패턴을 시각화하고 이를 정량분석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음 활용 계획 및 기대 효과 고심도 초고속 고해상도 비침습 광학기술 및 영상 정량분석법을 이용한 오가노이드 기반 뇌발달 발생학적 원리를 제시하여 앞으로 뇌발달장애 기전 탐구를 비롯한 뇌과학 연구 전반에 중요한 초석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본 과제에서 개발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융합된 새로운 4D 영상 획득 현미경은 다양한 종류의 오가노이드 조직 이미징에 범용적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더 나아가 살아있는 조직시료의 실시간 고해상도 심층 관찰이 필요한 광범위한 의생명융합 연구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본 기술은 반도체 정밀 검사 컴퓨터 비젼 자율주행용 영상 처리 등 4차 산업에 파급이 큰 광공학 융합 기술로의 활용을 위한 기반 기술이 될 수 있음 오가노이드 모델을 이용한 뇌발달 모사 고역가 바이러스 제작 및 감염 등의 생물학적 기술 뿐만 아니라 딥러닝 기반 이미지 개선 광공학을 이용한 비침습 정밀 영상 시스템 개발 등 다양한 분야의 협업을 추구하는 본 연구과제는 양질의 연구인력 양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며 우수 인력양성은 앞으로 국내 신경생물학 의생명공학 및 인공지능 분야 연구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출처 국문 요약문 2p -
ntis콩팥 오가노이드 기반 콩팥 질환 모델링 및 신약 평가 플랫폼 구축
연계정보(NTIS)
연구보고서콩팥 오가노이드 기반 콩팥 질환 모델링 및 신약 평가 플랫폼 구축/Modeling kidney diseases and establishing platform for drug screening based on kidney organoids derived from human pluripotent stem cells
사업 : 202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바이오의료기술개발과제 : 1711201262 가톨릭대학교 콩팥 오가노이드 기반 콩팥 질환 모델링 및 신약 평가 플랫폼 구축등록번호,발행년월,발행기관명, 발행국가/사용언어,키워드 등록번호 발행년월 202312 발행기관명 가톨릭대학교 발행국가 대한민국 초록 연구개발 목표 최종목표 2세부 연구의 최종 목표는 인간 유도 만능 줄기 세포에서 분화 유도된 콩팥 오가노이드 kidney organoids를 이용하여 난치성 유전성 콩팥 질환과 콩팥 종양 모델 및 비유전성 콩팥 질환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표준화하고 대량 생산 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여 신약 개발의 유효성 평가 플랫폼을 구축하는데 있음 연구개발 내용 1단계19 21 유도 만능 줄기 세포에 CRISPRCas9 유전자 편집 기술을 적용하여 난치성 유전성 콩팥 질환 모델링 및 검증 콩팥 오가노이드 기반 콩팥 세포암등 콩팥 종양 질환 모델링 및 검증 콩팥 오가노이드 배양 조건 변화를 통해 비유전성 질환이지만 가장 흔한 콩팥질환인 당뇨병성 콩팥병등의 비유전성 콩팥 질환 모델링 및 검증 콩팥 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유도 만능 줄기세포를 제작하고 이를 콩팥 오가노이드로 분화시켜 약제 유효성을 평가하는 환자 질병 기반 질환 콩팥 질환 모델링시스템 구축 1세부에서 개발된 콩팥 오가노이드 내 잔존 미분화 및 이상분화 세포 탐지 기술을 이용하여 기존 프로토콜보다 더 성숙한 콩팥 오가노이드 분화 기술 개발 콩팥 오가노이드 대량생산 및 표준화 기술 개발 2단계22 23 콩팥 오가노이드를 이용한 고효율 약물 평가 시스템 High throughput screening system 구축 콩팥 오가노이드 기반 신약 유효성 평가 및 약제 콩팥 독성 시험 플랫폼 비임상 완료 개발된 플랫폼의 실용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 활용계획 및 기대효과응용분야 및 활용범위 포함 기존 콩팥 질환의 in vitro in vivo 모델의 한계점 극복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질환 모델링된 콩팥 오가노이드는 기존의 배양과는 달리 실제 콩팥과 유사한 세포들의 구조체로 구성되어 약제 유효성 평가 및 독성 평가 시세포들 간의 상호 작용을 구현 할 수 있으며 사람에서 유래된 유도 만능 줄기세포를 이용함으로써 동물 세포를 이용하던 기존 in vitro 배양 기술 혹은 in vivo 실험의 종간 차이라는 한계점을 극복함 효과적인 신약 개발의 유효성 평가 및 약제의 콩팥 독성 시험 플랫폼 제공자동화된 Highthroughput 기술과 접목하여 modeling된 콩팥 오가노이드의 대량 생산하고 표준화함으로써 플랫폼 구축에 활용 될 수 있음 환자 맞춤형 치료personal medicine에 활용환자의 세포에서 직접 유도 만능 줄기세포를 제작 후 콩팥 오가노이드 분화를 유도하여 환자의 질환 modeling이 가능함 이를 통해 환자 개개인의 특성에 따라 가장 효과적이며 가장 부작용이 적은 약제 선택이 가능하여 맞춤식 치료가 가능함출처 요약문 2p
-
ntis고 투과성 나노섬유 마이크로웰 기반 균일하고 높은 재현성을 가지는 오가노이드 배양 자동화 시스템 개발
-
과제
더보기
-
ntis조직칩 및 오가노이드 기반 ex vivo 심근병증 질환모델의 신약개발지원 플랫폼 구축 및 임상 적용 연구: Data-to-Chip-to-Clinic
연계정보(NTIS)
과제조직칩 및 오가노이드 기반 ex vivo 심근병증 질환모델의 신약개발지원 플랫폼 구축 및 임상 적용 연구: Data-to-Chip-to-Clinic
서울아산병원 정부투자연구비 1,400,000,000원 총연구비 1,400,000,000원 보건의료 임상의학 심장/혈관학-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이상언
- 참여연구자김용환;김수영;유영옥;이미경;현준호;황미현;이현주;이규현;박관현;정수민
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460004764 기준년도 2025 연구책임자 이상언 과제수행기관 서울아산병원 정부투자연구비 1,400,000,000 총연구비 1,400,000,000 - - 환자 맞춤형 유전자 치료 임상 근거 확보: Barth syndrome, LMNA-DCM, CPVT, ACM 등 다양한 유전성·특발성 심근병증 환자 유래의 임상·multi-omics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작한 3차원 심장 조직칩 및 오가노이드 모델(Microphysiological System, MPS)에서 미국 공동연구팀(Harvard, BCH 등)이 선...
- 본 연구개발과제는 유전성 심근병증과 기타 심장 유전질환을 대상으로 유전자 치료제의 기능과 임상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하버드 의대/보스턴 아동병원 연구팀이 확보한 (a) AAV(adeno-associated virus) 벡터와 ASO(antisense oligonucleotide) 기반 유전자 치료 후보물질들을 활용해, (b) 생체외(ex vivo...
-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된 'AIDE 2.0(심근병증-MPS?유전자치료 모듈)' 플랫폼은 환자별 임상?유전체 정보와 MPS 모델을 결합해, 개인 맞춤형 치료제의 효과를 ex vivo에서 미리 예측할 수 있는 혁신적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연구중심병원(서울아산병원 등)에서는 희귀 심근병증뿐 아니라 다양한 심장질환에 즉시 적용 가능하며, 고해상도의 환자 맞춤형 치...
- 6T관련효과
- 난치성 질환 치료기술
-
ntis간 이식 대체 세포치료제용 차세대 간 오가노이드 제작기술 개발
연계정보(NTIS)
과제간 이식 대체 세포치료제용 차세대 간 오가노이드 제작기술 개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정부투자연구비 176,848,000원 총연구비 176,848,000원 생명과학 발생/신경생물학 줄기세포생물학-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손명진
- 참여연구자이재서;문선주;신용보;전현결;심현지
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710090168 기준년도 2025 연구책임자 손명진 과제수행기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정부투자연구비 176,848,000 총연구비 176,848,000 - 간 이식을 대체할 세포치료제 개발을 위하여,현재 해결해야할 공백 기술인 생착 및 기능 유지 향상을 목표로① 혈관, 혈구세포 포함, 혈관, 담관이 연결된 간 오가노이드 제작기술을 개발하고② 이를 세포치료제로 적용하기 위해 중요한 균일화, 대형화 시킨 후③ 구조적 정밀성, 고기능성 획득 및 유지의 특성분석을 완료하여④ 첨단바이오 분야 국가아젠다 해결을 위한 핵...
- ○ 1차년도 (2025)◆ 혈관 및 담관이 포함된 간 오가노이드 제작기술 개발- 간 발생과정을 모사하여 간 오가노이드 내 혈관 및 혈구세포 형성을 유도하는 단계별 분화인자 선별- 중배엽 유도(mesodermal induction) - 기관형성(morphogenesis) - 성숙화(maturation) 단계별 분화 조건 확립- 단계별 morphology 변화...
- ○ 예상되는 연구성과- 간 오가노이드 기반 차세대 세포치료제 제작 원천기술 확보(특허)- 혈관·담관이 포함된 대형화 간 오가노이드 제작 세계최초 기술확보(우수 논문)- 첨단바이오분야 글로벌 기술 선점 및 이식 적용(실용화) ○ 활용분야 및 활용방안- 현재 증상완화, 간 이식 외 치료법이 없는 중증도 이상의 간 질환 환자 대상 세포치료제 적용- 선천성 난치 ...
- 6T관련효과
- 생체조직 재생기술
-
ntis섬유-수핵세포 이중 레이어 오가노이드 질환 모델을 이용한 추간판성 신경염증의 전기 생리학적 조절 기전 연구
연계정보(NTIS)
과제섬유-수핵세포 이중 레이어 오가노이드 질환 모델을 이용한 추간판성 신경염증의 전기 생리학적 조절 기전 연구
고려대학교 정부투자연구비 63,433,000원 총연구비 63,433,000원 생명과학 생물공학 세포/조직공학-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최혁
- 참여연구자김안기
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710090511 기준년도 2025 연구책임자 최혁 과제수행기관 고려대학교 정부투자연구비 63,433,000 총연구비 63,433,000 - 오가노이드 질환 모델을 활용한 추간판-신경염증 기초 병리 규명 및 electro-modulation(전기생리학적 조절) 기전 연구
- 핵심 목표) 추간판을 이루는 핵심 세포종 및 세포외기질로 구성된 생체 모사 오가노이드 모델을 기반으로, 추간판 퇴행 과정에서 신경계 면역과 연관된 마이크로글리아의 역할과 퇴행 유발 원리를 종합적으로 규명함. 해당 플랫폼에 Electro-modulation 기술을 접목하여 조절 효과 및 분자 수준에서의 염증 조절능을 심층 분석함으로써 중개연구로 확장 가능한 ...
- [학술적 측면] 추간판 퇴행 및 신경염증성 요통에 관한 본 연구는 고도화된 질환 모델 수립 및 추간판 퇴행 병리 연구의 기반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음. 또한, 3차원 오가노이드 및 electro-modulation 병합 플랫폼은 다종의 세포 간 상호작용 및 실시간 동역학적 변화 정보를 제공하여 다양한 질환 및 조직에서 병리학적 현상을 구현하고 연구하는데 활...
- 6T관련효과
- 의과학·의공학 기술
-
ntis내이 질환 연구를 위한 삼중 리포터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오가노이드 분석 플랫폼 개발
연계정보(NTIS)
과제내이 질환 연구를 위한 삼중 리포터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오가노이드 분석 플랫폼 개발
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산학협력단 정부투자연구비 12,500,000원 총연구비 12,500,000원 보건의료 신약·의약품개발 세포/조직치료제- 본 과제에 참여한 연구자
- 연구책임자이슬기
- 참여연구자
연계정보 과제고유번호 2340048390 기준년도 2025 연구책임자 이슬기 과제수행기관 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산학협력단 정부투자연구비 12,500,000 총연구비 12,500,000 - 내이 모세포 발달의 단계별 유전자 Atoh1, Pou4f3, Myo7a에서 상이한 형광 유전자를 발현하는 삼중 형광 리포터 hiPSCs Line으로 내이 오가노이드 모델을 제작하여 내이 질환 연구를 위한 새로운 플랫폼 구축
- 1. 단일 형광 리포터 hiPSCs line 확립 (1차년도 - 2차년도) - 내이 모세포 분화 과정에서 단계적인 시간차 발현을 보인 Atoh1, Pou4f3, Myo7a 핵심 유전자 마커 선정- hiPSCs에서 도입 효율이 가장 좋은 CRISPR-Cas9 RNP(단백질과 가이드 RNA의 복합체)를 적용하여 Atoh1-GFP 리포터 카세트를 knock-in...
- 1.연구개발성과의 활용방안 (재생 치료와 약물 개발 기반 마련 및 융합 연구 확장)- 유전자 치료 효능 평가 플랫폼 제공- 새로운 감각세포 재생 전략 개발 기여- 혁신적인 약물 스크리닝 시스템 구축- 난청 진단 및 치료 전략 개발 토대 마련- 내이-뇌 오가노이드 융합 연구를 통한 신경 연결성 및 기능적 특성 분석 등 학문적 선도 기여2. 연구개발성과의 기대...
- 6T관련효과
- 난치성 질환 치료기술
-
ntis조직칩 및 오가노이드 기반 ex vivo 심근병증 질환모델의 신약개발지원 플랫폼 구축 및 임상 적용 연구: Data-to-Chip-to-Clinic
- 논문 더보기
-
특허
더보기
- ntis기도 오가노이드 제조용 배지 조성물
- ntis망막 오가노이드 유래 엑소좀을 포함하는 안구 질환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ntis뇌암 환자의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뇌오가노이드와 환자 뇌암 오가노이드 공배양을 통한 뇌암-뇌오가노이드 복합체를 제작하는 방법
-
ntis뇌암 환자의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뇌오가노이드와 환자 뇌암 오가노이드 공배양을 통한 뇌암-뇌오가노이드 복합체를 제작하는 방법
외부자료(NTIS)
특허뇌암 환자의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뇌오가노이드와 환자 뇌암 오가노이드 공배양을 통한 뇌암-뇌오가노이드 복합체를 제작하는 방법
사업 : 202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과제 : 1711159070 가톨릭대학교(성의교정) 교모세포종 환자 유래 뇌 오가노이드를 이용한 뇌교종 친화적 미세환경 규명 및 암세포 공배양을 통한 새로운 질병모델 구축등록번호, 등록일,출원인,출원/등록 국가 출원번호 10-2023-0144118 출원일 2023 출원인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출원/등록 국가 대한민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