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차세대진단기술

차세대 진단기술은 임상면역·화학적진단, 분자진단(MDx)과 현장진단(POCT)으로 구분되며 임상면역·화학적진단은 기존 임상화학과 면역 분석이라는 단일 플랫폼이 통합된 형태로 질병의 조기 발견, 정확한 진단, 개인 맞춤형 치료를 가능하게 하며, 의료 분야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이끌고 있습니다.

차세대진단기술

개념

카드뉴스 이미지
카드뉴스 이미지
카드뉴스 이미지
카드뉴스 이미지
카드뉴스 이미지
카드뉴스 이미지
카드뉴스 이미지

기술 동향

• 차세대 진단 기술의 구분

임상 면역·화학적 진단 : 항원-항체 면역반응을 이용하는 것으로 기존 면역 분석과 임상화학이라는 단일 플랫폼이 통합된 형태

- 암표지자 검사를 위한 종양 진단이 가장 유망한 분야

- 심혈관 질환 위험도 평가 검사(hsCRP, 호모시스테인, 지방산 결합단백질 등의 생체지표 검출)

분자진단 : 인체나 바이러스 등의 유전자 정보를 담고 있는 핵산(DNA, RNA)을 검사하는 방법으로 진단의 정확도가 99%로 매우 높음

- 기술에 따라 액체생검, 마이크로어레이, PCR, 실시간 RT-PCR, 등온핵산증폭,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 현장혼성화 등으로 분류됨

- 최근 액체생검을 통한 파킨슨병, 암 조기 진단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

현장진단 : 환자가 있는 장소에서 진단을 수행하는 현장 검사 방법

- 랩온어칩: 미세유체기술과 바이오센서가 지원하는 장치로 휴대 가능한 솔루션을 제공하여 현장진단에 이상적 플랫폼으로 부상

- QUASR*-RT-LAMP 진단기기: 역전사 루프매개 등온 증폭기술로 유전자를 증폭

•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면서 감염병의 진단 기술이 발전

• 질병 진단에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이 증가하는 추세

정책 동향

• [한국] 제3차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기술개발 추진전략 (2022-2026)

- 진단능력 향상을 통해 선제적 대응기술 확보에 기여하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한 전방위 방역체계 구축이 주요 목표

• [한국] 제5차 과학기술 기본계획 (2023-2027)

- 과학기술발전에 따라 질적 성장을 위한 과학기술 체계 고도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진단 기술의 혁신 및 고도화도 포함

• [미국] ‘캔서 문샷(Cancer Moonshot)’ 혈액으로 암을 조기에 진단하는 국가 차원의 대규모 임상시험 예정(2022.09)

• [미국] ‘캔서 문샷(Cancer Moonshot)’ 신규 조치 발표(2023.09)

산업 동향

• 글로벌 차세대 진단시장 전체 매출은 2021년 기준 992.2억 달러 연평균 6.9% 성장하여 2026년 1,383억 달러 규모를 전망

• 2021∼2026년 차세대 진단시장은 임상 면역·화학적 진단, 분자진단, 현장진단 순으로 시장을 형성하고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

• 주요 기업: 지멘스헬티니어스, 애벗다이어그노스틱스, 벡만콜터, 오르소클리니컬 다이어그노스틱스, 로슈, 일루미나, 써모 피셔, 큐아젠, 옥스포드 나노포어 테크놀로지, 애질런트 테크놀로지, 퍼킨엘머, 마크로젠 등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3차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기술개발 추진전략(안)(2022~2026), 2021.10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글로벌 ICT 주간동향리포트, 인공지능 기술 질병 진단 분야 활용 증가, 2022.09

•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BioINwatch 22-72, 미국의 캔서 문샷(Cancer Moonshot), 혈액으로 암을 조기에 진단하는 국가 차원의 대규모 임상시험 예정, 2022.10

•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BioINdustry No. 176, 차세대 진단시장 현황 및 전망, 2022.11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23~’27)(안), 2022.1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48호 과학기술&ICT동향, 미국, ‘캔서 문샷(Cancer Moonshot)’ 신규 조치 발표, 2023.10

• BRIC, 동향리포트, 액체생검은 과연 환자 곁으로 다가왔는가?, 2024.03

• 한국바이오협회, 이슈브리핑, 혈액검사를 통해 7년까지 파킨슨병 조기 진단 가능, 2024.06

지식

더보기
  • BioINdustry조직진단(Tissue Diagnostics) 산업의 글로벌 성장 기회

        조직진단(Tissue Diagnostics) 산업의 글로벌 성장 기회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이유림 연구원 ※︎본 보고서는 프로스트앤설리번에서 발간한 ’Growth Opportunities in the Tissue Diagnostics Industry, Global, 2024–2029 (2024.8)’ 보고서 등을 참고로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 재구성한 것임   ◈ 목차 1.개요 2.조직진단 산업 분석 3.조직진단산업의 수익 동향 분석(2023-2029) 4.성장 기회     ◈본문 [요약문] <2024년 글로벌 조직진단 산업 예측> ○암과 같은 질병의 조기 발견 및 정확한 진단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개인 맞춤형 치료 등 정밀의학이 확산되면서 조직진단 기술이 필수 의료 도구로서 주목받음 ○조직진단 산업은 AI와 디지털 병리학, 실험실 관리 시스템의 자동화, 신규 바이오마커 발견과 같은 기술적 혁신을 통해 성장 촉진 ○클라우드와 AI 기반 기술의 통합을 통해 기존 시스템과의

    2024-11-25

    썸네일 이미지
  • BioINpro[바이오 신약] tRNA-derived small RNA의 유전자 조절 기전의 이해와 진단/치료제 개발에 대한 전망

        바이오 신약(Biologics) tRNA-derived small RNA의 유전자 조절 기전의 이해와 진단/치료제 개발에 대한 전망 김학균 / 중앙대학교 생명과학과 교수 이새별 / 중앙대학교 생명과학과 박사과정 학생 ◈ 목차 1.시작하며 2.tsRNA의 생성 및 유형 3.tsRNA의 기능적 역할 4.RNA modifications 5.Potential biomarkers and therapeutic targets in cancers 6.Extracelluar tsRNAs 7.글을 마치며   ◈본문 1. 시작하며 지난 몇 십 년 동안 유전체의 90% 이상이 단백질을 만들어낼 수 있는 mRNA가 아닌 비번역 RNA(noncodingRNA, ncRNA)로 전사되며 이들이 중요한 유전자 발현 조절 분자라는 것이 밝혀져 왔다. 이러한 비번역 RNA에 의한 유전자 발현 조절 기능에 대한 연구는 18–25 뉴클레오타이드(nt) 길이의 작은 간섭 RNA(siRNA)와 miRNA(miRNA)

    김학균, 이새별/중앙대학교 생명과학과

    2024-08-21

    썸네일 이미지
  • BioINdustry차세대 진단시장 현황 및 전망

     [BiolNdustry No.176] 차세대 진단시장 현황 및 전망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연구원 이현희, 책임연구원 김무웅 ※ 본 보고서는 프로스트앤드설리번에서 발간한 ’Next generation Diagnostics Outlook, 2022, (2022.3) 보고서 등을 참고로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 재구성한 것임    [ 목차 ] 1. 차세대 진단시장의 정의와 범위   1) 진단시장   2) 차세대 진단시장   2. 차세대 진단시장 현황 및 전망   1) 2021~2022년 시장 현황 및 전망   2) 2021~2026년 시장 현황 및 전망 3. 차세대 진단시장의 패러다임을 주도할 5대 주요 전망      [ 요약문 ]  □ 의료 패러다임이 치료에서 진단과 예방으로, 예방과 치료를 위한 개인맞춤형정밀의료로 전환되면서 임상 면역·화학적진단, 분자진단, 현장진단 부문의 차세대 진단 시장이 급격히 성장 ○ 글로벌 차세대 진단시장 전체 매출은 2021년 기준 992.2억 달러 연평균

    2023-01-03

    썸네일 이미지
  • BioINwatch탄소나노튜브와 머신러닝을 활용한 혈액검사로 난소암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디지털바이오기술

        탄소나노튜브와 머신러닝을 활용한 혈액검사로 난소암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디지털바이오기술 BioINwatch(BioIN+Issue+Watch): 22-76   ◇ 미국 바이든 대통령이 혈액검사를 통한 각종 암 조기 진단법 개발이 ‘캔서 문샷(Cancer Moonshot)’의 핵심이라고 강조한 상황에서 조기 진단용 바이오마커가 없는 경우, 나노입자의 형광 데이터 활용기술을 대안으로 제시 ▸주요 출처 : Nature Biomedical Engineering, Detection of ovarian cancer via the spectral fingerprinting of quantum-defect-modified carbon nanotubes in serum by machine learning, 2022.3.17   ❏ 최근까지 혈액검사로 암을 조기에 진단하려는 시도가 많았으나, FDA 승인을 받은 진단기술은 없는 상황 ○ 특히, 지난 9월 21일 미국 바이든 대통령은 ‘캔서 문

    2022-11-03

    썸네일 이미지
  • BioINwatch미국의 캔서 문샷(Cancer Moonshot), 혈액으로 암을 조기에 진단하는 국가 차원의 대규모 임상시험 예정

         미국의 캔서 문샷(Cancer Moonshot), 혈액으로 암을 조기에 진단하는 국가 차원의 대규모 임상시험 예정 BioINwatch(BioIN+Issue+Watch): 22-72   ◇ 지금까지 혈액검사를 통해서 암을 조기에 진단하려는 시도가 많았으나, FDA 승인을 받은 진단기술은 없는 상황. 이에 미국에서는 암 사망자를 절반으로 줄이겠다는 목표하에 암 조기 진단 혈액검사가 얼마나 효과적인지 확인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대규모 임상시험을 계획 ▸주요 출처 : MIT Technology Review, The US is launching a trial for blood tests that promise to catch cancers earlier, 2022.9.12   ■ 미국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9월 12일 ‘캔서 문샷(Cancer Moonshot)*’ 관련 연설에서 혈액검사를 통한 각종 암 조기 진단법 개발이 캔서 문샷의 핵심이라고 강조 * 캔서 문샷은 향후 25년 동안

    2022-10-20

    썸네일 이미지
  • BioINwatch미국 감사원, FDA의 COVID-19 진단 테스트에 대한 성과감사보고서 발간

      미국 감사원, FDA의 COVID-19 진단 테스트에 대한 성과감사보고서 발간 BioINwatch(BioIN+Issue+Watch): 22-71   ◇ 2022년 5월, 미국 감사원은 FDA가 향후 공중보건 위기 발생 시 허가 받지 않은 검사에 대한 집행재량(enforcement discretion)을 행사하기 위한 정책을 개발할 것을 권장. 정책은 집행재량 발휘의 시작과 종료 시점 등의 조건을 포함해야 하며 미국 보건복지부는 이에 동의 ▸주요 출처 : GOA, COVID-19: FDA Took Steps to Help Make Tests Available; Policy for Future Public Health Emergencies Needed, GAO-22-104266, 2022.5.12. ■ 미국 감사원(GOA, Government Accountability Office, 감사원)은 연방의회 요청에 따라 코로나19 진단 테스트에 대한 FDA의 감독사항 검토 ○ FDA는 긴

    2022-10-18

    썸네일 이미지
  • BioINdustry글로벌 체외진단 시장 현황 및 전망

       [BiolNdustry No.165] 글로벌 체외진단 시장 현황 및 전망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이지연 연구원   ※ 본 보고서는 프로스트앤설리번에서 발간한 ’Global In Vitro Diagnostics Market Outlook, 2021, (2021. 9)’ 보고서 등을 참고로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 재구성한 것임   [ 목차 ] 1. 개요  1) 정의 및 분류  2) 분석 범위 2. 글로벌 체외진단 시장 현황 및 전망  1) 전체 시장 현황 및 전망  2) 지역별 현황 및 전망  3) 워크플로우별 현황 및 전망  4) 기술별 현황 및 전망 3. 글로벌 체외진단 시장 영향 요인 분석  1) 성장 요인  2) 저해 요인 4. 글로벌 체외진단 시장 주요 기업 현황 [요약문]   □ 글로벌 체외진단 시장 매출은 2020년 기준 859억 1천만 달러로, 연평균 6.7%로 증가하여, 2025년 1,188억 9천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 프로스트앤설리번, Global In Vitr

    2021-12-16

    썸네일 이미지
  • BioINwatch크리스퍼 유전자가위 기반의 다양한 진단기술

      BioINwatch(BioIN+Issue+Watch): 21-59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기반의 다양한 진단기술 ◇ 감염병 진단을 위해 연구실 외 가정, 진료소 등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CRISPR 기반 진단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한 추세로, 미래에는 가정 및 진료소에서 CRISPR-dx(diagnostics) 기반의 질병 진단이 보편화될 것으로 기대     ▸주요 출처 : Science, CRISPR diagnostics, 2021.5.28. Genetic Engineering & Biotechnology News, COVID-19 Drives CRISPR Diagnostics, 2021.4.20 ▣ 코로나19 바이러스 등 감염병 진단을 위해 기존 핵산 기반 테스트 보다 사용 범위가 확장될 수 있는 CRISPR 기반 진단 연구 필요성 제기  ○ 현재까지 핵산 기반 테스트는 병원성 감염을 포함한 많은 질병의 민감한 검출을 위한 최적의 표준(gold standard)으로 인

    2021-08-26

    썸네일 이미지

동향

더보기

뉴스

더보기

연계정보

  • 연구보고서 더보기
    • ntis차세대 반도체 소자의 Progressive Failure 해석 기술 및 AI 기반 내구성 예측 자가진단 시스템 개발
    • ntis차세대 전력망 EMS 탑재를 위한 인공지능 융합 예측진단 기술개발
    • ntis차세대 망막단층영상진단기술의 개발
    • ntis수퍼 그리드 구현을 위한 차세대 전력망 진단 및 모니터링 기술 개발
  • 과제 더보기
    • ntis차세대염기서열분석 기반의 결핵균 및 비결핵 항산균 신속 다중진단 기술개발
    • ntis인공지능 분석법과 차세대 말디토프 질량분석기(MALDI-TOF MS) 기반 결핵균(MTB)과 비결핵항산균(NTM)의 정밀 진단 분석기술 개발
    • ntis차세대 반도체 공정을 위한 낮은 GWP를 갖는 Precursor를 이용한 식각공정 및 진단기술 개발
    • ntisCRISPR 기반 항생제 내성 검출 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분자진단 키트 개발
  • 논문 더보기
    • ntisIoT 고장 진단을 위한 복합 컨텍스트-기반 오프로딩 기법
    • ntis크리스퍼 유전자가위 기반 차세대 감염병 분자진단기술
    • ntis차세대 유전체 분석기술을 활용한 한타바이러스의 진단 연구
  • 특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