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줄기세포

줄기세포의 분화 및 운명 결정 등에 대한 우리의 이해가 높아짐에 따라 생명과학의 기초연구에서부터 질병 모델링, 약물 스크리닝 및 조직공학·장기 개발까지 다양한 응용분야의 in vitro 및 in vivo에서 줄기세포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줄기세포

개념

줄기세포의 분화 및 운명 결정 등에 대한 우리의 이해가 높아짐에 따라 생명과학의 기초연구에서부터 질병 모델링, 약물 스크리닝 및 조직공학·장기 개발까지 다양한 응용분야의 in vitro 및 in vivo에서 줄기세포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는 기존의 치료법으로 치료가 불가능했던 여러 난치 질환에 근본적인 치료법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나, 아직 기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많이 남아있고 윤리적인 문제도 남아있다.


바이오인(BioIN)에서는 줄기세포에 관련된 다양한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줄기세포 연구 중요성

연구개발 동향









줄기세포란 조직분화 과정에서 볼 수 있는 ‘미분화 세포’로서 인체를 구성하는 다양한 조직으로 분화 가능한 세포로, 체내의 손상받은 부위의 세포를



재생할 수 있는 능력으로 인해 다른 의학적 수단이 없는 퇴행성 질환이나 심한 외상으로 인한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으로 부상되었다.





줄기세포의 다양한 분화 가능성을 반영하듯 줄기세포에 관한 광범위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분화, 발달, 다능성 상태,



유전 및 후성유전적 변화 등에 대한 기초연구를 비롯하여 신장·폐·근육·혈액·암 등 질병 발생에 대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또한 황반변성 및 파킨슨병 등 치료를 위한 유도만능줄기세포(iPS cells) 임상연구가 진행이며, 오가노이드(organoids) 생성 및 활용 연구도 진행 중이다.








주요국 및 국내 규제

동향,

윤리·안전성 이슈






주요국들은 줄기세포 등 첨단제제의 의학적 가능성과 시장 가능성을 전망하여 기초연구부터 제품개발에 이르는 단계에 다양한 지원정책을 펼치고 있다.



미국은 21세기 치료법(21st Century Cures Act 법)을 제정하여 첨단재생의료치료제에 대한 신속한 승인을 허용, 유럽은 첨단의약품의 특성을 고려한 특별법 제정 및 신속한 개발을 지원하는 PRIME(PRiority MEdicine) 제도를 적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20년 8월,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이 본격 시행되면서 첨단바이오의약품 개발이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된다.





줄기세포 연구는 재생의료분야의 혁신적인 치료법으로 자리잡고 있으나 생명윤리 및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남아있다. 인간의 배아에서 유래되는



배아줄기세포 연구는 생명윤리적인 문제의 논란의 중심에 있으며,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암 유발 가능성 등 우려가 남아 있다.





줄기세포 관련

시장동향 및 전망






글로벌 줄기세포 시장은 2019년 137.8억달러(약 15.6조원)에서 연평균 10.2%로 성장하여 2025년 239.5억달러(약 27.1조원)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출처: Mordor Intelligence, 2020)





다양한 질병 치료를 위해 줄기세포 치료제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로 관련 R&D 및 임상시험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임상 3상 단계에 있는 제품들도 다수 있어 줄기세포 시장의 확대가 기대된다. 최근에는 코로나19 치료제로써 효능 평가를 위한 임상 시험 진행중이다.




내용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BioINdustry 158호, 글로벌 줄기세포 시장 현황 및 전망, 2021.4





국가미래연구원, 줄기세포 기술발전의 최근 동향과 시장전망, 2019.3.12.





Nature Collection, Stem cells from development to the clinic, 2018.6.15.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BioINwatch 19-59, ISSCR 2019를 통해 본 줄기세포 R&D 트렌드, 2019.8.29.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BioINwatch 19-65, 첨단재생바이오법으로 임상연구 활성화 및 안전관리 강화 기대, 2019.9.24








지식

더보기
  • BioINwatch정교하고 안전한 방식으로 진화하는 줄기세포 치료

        정교하고 안전한 방식으로 진화하는 줄기세포 치료 BioINwatch(BioIN+Issue+Watch): 25-5   ◇︎줄기세포 치료는 과거의 기술적·윤리적 한계를 극복하고, 대량생산, 맞춤형 치료, 안전성 개선 등 실질적 진전을 이루는 중. 특히 초기 임상시험의 성공적인 결과가 쌓이면서 줄기세포 치료가 실용적인 치료 옵션으로 부상하면서 향후 5∼10년 내 일부 줄기세포 치료가 의료 현장에 도입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추세 ▸주요 출처 : Nature, Stem cells head to the clinic: treatments for cancer, diabetes and Parkinson’s disease could soon be here, 2024.12.20.; Nature News, Stem cells reverse woman’s diabetes - a world first, 2024.11.26 ◆︎ 줄기세포 치료는 과거의 한계와 실패를 극복하며 더 정교하고 안전한 방식으로

    2025-01-16

    썸네일 이미지
  • BioINpro[줄기세포 연구동향] 줄기세포를 활용한 인공자궁 개발 동향

        줄기세포를 활용한 인공자궁 개발 동향 줄기세포 연구동향   홍인선 /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 목차 서론 1.저출산 문제와 인공자궁 개발의 중요성 2.자궁내막 재생에 활용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자궁 줄기세포 및 특징 2-1. 상피 유사 자궁내막 줄기세포 2-2. 자궁내막의 간질 유사 줄기세포 2-3. 혈관 주위 자궁내막 줄기세포 3.자궁줄기세포를 이용한 자궁내막의 재생 4.조직공학적 접근 5.결론 및 향후 전망   ◈본문 서론 (abstract)    저출산 문제와 난임 치료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자궁내막 재생을 목표로 한 재생 의학 기술, 특히 줄기세포를 활용한 인공 자궁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음. 자궁내막은 임신과 월경 주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손상된 자궁내막은 불임, 유산 및 자궁내 유착 등의 생식 문제를 유발할 수 있음. 자궁내막 줄기세포는 자가 재생 및 다양한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이를 활용한 자궁내막 재생 기술은 다양한 임상

    홍인선/가천대학교 의과대학

    2024-10-04

    썸네일 이미지
  • BioINpro[줄기세포 연구동향] off-the-shelf용 저면역원성  유도만능 줄기세포주 확립

      off-the-shelf용 저면역원성  유도만능 줄기세포주 확립 줄기세포 연구동향 주지현 교수/ 가톨릭대학교 유도만능 줄기세포 연구소   ◈ 목차 1.개요 가. 유도만능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 유래 치료제 나.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세포치료제 개발 현황 다. 면역거부반응에 따른 만능유도줄기세포를 이용한 세포치료제 개발의 한계 라. off-the-shelf용 저면역원성 유도만능줄기세포주 제작(Universal iPSC) 기술을 통한 한계 극복 2.‘CRISPR-Cas9’을 이용한 off-the-shelf용 저면역원성 유도만능 줄기세포치료제 가. ‘CRISPR-Cas9’을 이용한 임상 허가 사례 나. off-the-shelf용 저면역원성 유도만능줄기세포주(Universal iPSC)의 제작 전략 3.유전자편집 기술을 이용한 유전자 치료제의 규제학적 업데이트 가. 식품의약품 안전처의 ‘유전자편집 기술을 이용한 첨단바이오의약품 품질 평가

    주지현/가톨릭대학교 유도만능 줄기세포 연구소

    2024-09-24

    썸네일 이미지
  • BioINpro[줄기세포 연구동향] 세포 전달용 마이크로/나노로봇

     세포 전달용 말이크로/나노로봇 줄기세포 연구동향   최홍수 / DGIST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교수 ◈ 목차 1.서론 2.세포 전달 또는 세포 기반 마이크로/나노로봇 가. IN Vitro 세포 전달 마이크로/나노로봇 나. 세포 기반 마이크로/나노로봇 3.마이크로/나노로봇 정밀 제어 기술 가.자기장 기반 마이크로/나노로봇 제어 나. 자기장 기반 마이크로로봇 제어를 위한 자기장 제어 시스템 다. 자기장 제어시스템을 이용한 마이크로/나노로봇 제어 기술 4.향후 과제와 연구개발 방향 5.참고문헌     ◈본문 1. 서론  마이크로/나노로봇은 인간이 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개발되고 있는 첨단로봇으로서, 일반적으로 크기는 수 밀리미터(mm: 1×10-3m)에서 수 나노미터(nm: 1×10-9m)에 이른다. 그러나 이러한 크기로만 마이크로/나노로봇을 정의하기보다는 이러한 크기의 첨단로봇을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학문적 분야를 의미한다. 넓은 의미에서 마이크로/나노로봇은 이러한

    최홍수/DIGIST 로봇 및 기계전자공학과

    2024-09-19

    썸네일 이미지
  • BioINwatch종양 형성 과정에서의 줄기세포 상태 변화를 활용한 새로운 암 치료 전략

    종양 형성 과정에서의 줄기세포 상태 변화를 활용한 새로운 암 치료 전략 BioINwatch(BioIN+Issue+Watch): 24-41 ◇ 최근 ‘세포기반 차단의학(cell-based interceptive medicine)’ 개념과 연관된 연구결과가 발표. 종양 형성 과정에서 줄기세포의 상태 변화를 분석한 연구팀은 빠른 세포 주기(상위 스파이크, low-가소성)와 느린 세포 주기(하위 스파이크, high-가소성)를 나타내는 2가지 세포 상태를 알게 되었고, 이러한 세포 상태의 전환을 조작함으로써 암 치료의 새로운 전략을 개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     ▸주요 출처 : Science, Stem-cell states converge in multistage cutaneous squamous cell carcinoma development, 2024.1 ■ EU의 LifeTime 이니셔티브*에서는 ‘세포기반 차단의학(cell-based interceptive medicine)’

    2024-06-25

    썸네일 이미지
  • BioINwatch특정 줄기세포에 대한 항체로 노화된 면역체계의 회춘 가능성 제시

     특정 줄기세포에 대한 항체로 노화된 면역체계의 회춘 가능성 제시 BioINwatch(BioIN+Issue+Watch): 24-30        ◇ 노화에 따른 면역력 저하로 감염에 취약해지고 만성 염증 질환이 증가하는데, 이런 면역노화의 주요 원인이 비정상적인 조혈줄기세포군의 증가 때문임을 발견. 연구팀은 마우스 모델에서 비정상적인 조혈줄기세포를 표적으로 제거하는 항체를 이용하여 노화된 면역시스템을 젊게 되돌릴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 향후 항체 치료로 노화된 면역체계를 젊게 유지할 수 있을지 기대 ▸주요 출처: Naure News, How to make an old immune system young again, 2024.3.27., Nature, depleting myeloid-biased haematopoietic stem cells rejuvenates aged immunity, 2024.3.27    ■노령(Aged) 쥐에서 증가된 비정상 조혈줄기세포를 표적으로 공격하는

    2024-05-09

    썸네일 이미지
  • BioINdustry글로벌 줄기세포 시장 현황 및 전망

    [BioINdustry No.189] 글로벌 줄기세포 시장 현황 및 전망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연구원 서순원 ※ 본 보고서는 FORTUNE BUSINESS INSIGHTS에서 발간한 ‘Stem Cells Global Market Analysis, Insights and Forecast, 2023-2030 (2023.9)’ 보고서를 참고로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 재구성한 것임 ◈ 목차 ●요약 ●본문 1.줄기세포 정의 및 시장 분석 범위 2.줄기세포 시장 영향 요인 1.시장 성장 요인 2.시장 저해 요인 3.줄기세포 시장 분석 1.세포 유형별 분석 2.응용 분야별 3.최종 사용자별 4.지역별 분서 4.줄기세포 시장의 주요 기업 [요약] □︎글로벌 줄기세포 시장 규모는 2022년 137억 840만 달러에서 연평균 14.9%로 성장하여 2030년 399억 3,560만 달러로 확대 전망 ○세포 유형별로는 중간엽줄기세포, 응용 분야별로는 연구 부문, 최종 사용자별로는 제약 및 생명공학 기

    2024-02-05

    썸네일 이미지
  • BioINwatch암 전이와 관련된 새로운 유형의 줄기세포 발견

        암 전이와 관련된 새로운 유형의 줄기세포 발견 BioINwatch(BioIN+Issue+Watch): 23-69 ◇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척추골격줄기세포(vertebral skeletal stem cells, vSSCs)가 새롭게 발견. 새로운 유형의 줄기세포는 척추 형성에 기여할 뿐 만 아니라 종양이 척추로 이동하여 성장하는 데에도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규명. vSSCs에 대한 추가 연구를 통해 암을 넘어서 척추측만증, 관절염과 같은 질환 극복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 ▸주요 출처 : Nature News, Breast cancer often spreads to the spine - newfound stem cell can explain why, 2023.9.13.; Nature, A vertebral skeletal stem cell lineage driving metastasis, 2023.9.13 ■ 유방암, 전립선암, 폐암이 척추로 전이되는 것을 촉진하는 새로

    2023-10-05

    썸네일 이미지

발간

더보기
  • 썸네일 이미지 정책/기획보고서2015년도 생명공학육성시행계획, 2015년도 줄기세포연구시행계획

    2015년도 생명공학육성시행계획 (2015년도 줄기세포연구시행계획 포함)   (생명공학육성시행계획) 미래창조과학부, 교육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환경부, 해양수산부, 식품의약품안전처 (줄기세포연구시행계획) 미래창조과학부, 교육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미래창조과학부 등 관계 부처는 ‘제2차 2단계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Bio-Vision 2016)’의 체계적 추진과 및 산업화 촉진을 위해 각 관계부처의 이행실적 및 2015년도 세부 추진계획을 종합, 조사·분석한 ‘2015년도 생명공학육성시행계획’과 ‘줄기세포연구종합추진계획(’07~’15)’에 따른 ‘2015년도 줄기세포연구시행계획’을 수립(2015. 9.)하였습니다. 특히, 2015년 생명공학육성시행계획은 ‘제2차 2단계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의 4대 전략에 따른 15대 실천과제의 효율적 이행 및 추진을 위해, 금년부터 4대 전략에 따른 세부추진과제를 설정하고

    정책기획2015-2

    2015-11-17

  • 썸네일 이미지 정책/기획보고서2014년도 생명공학육성시행계획(줄기세포연구시행계획 포함)

      (생명공학육성시행계획) 미래창조과학부, 교육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환경부, 해양수산부, 식품의약품안전처 (줄기세포연구시행계획) 미래창조과학부, 교육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미래창조과학부 등 관계 부처는 ‘제2차 2단계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Bio-Vision 2016)’의 효과적 추진을 위해 2013년 부처/관계기관별 실적을 점검하고, 대내외적 환경변화를 반영하여 2014년도 추진계획을 수립한 ‘2014년도 생명공학육성시행계획’ 및 ‘줄기세포연구종합추진계획(’07~’15)’에 따른 ‘2014년도 줄기세포연구시행계획’을 수립(2014. 4.)하였습니다.    

    정책기획2014-3

    2014-07-04

  • 썸네일 이미지 연구 보고서줄기세포 연구 및 활용기술

    1. 줄기세포 연구 개요 가. 줄기세포란? 1) 줄기세포 정의 및 종류 □ 줄기세포(Stem cell)란 조직분화 과정에서 볼 수 있는 ‘미분화 세포’로, 인체를 구성하는 다양한 조직으로 분화 가능한 세포를 의미함 ○ 줄기세포는 분화능력(Differentiation), 자가복제능력(Self-Renewal), 호밍효과(Homing Effect) 등의 고유한 특성을 지님 -­ 줄기세포는 이론적으로 모든 종류의 기능세포로 분화 가능하며(분화능) 스스로 자기와 동일한 형태와 능력을 가진 세포를 만들어낼 수 있고 (자가복제능력) 정맥 내 투여 시 손상된 부위를 스스로 찾아가는 능력 (호밍 효과)을 가짐   ◆ 줄기세포 분화 기전을 이해하고 이러한 특성을 활용한다면, 손상된 각종 장기 기능의 근본적인 재생(regeneration)이 가능하며 난치병 치료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음 ○줄기세포는 분화 가능성을 기준으로 210여개의 모든 인체세포로 분화 가능한 ‘만능성(전분화능) 줄기세

    기술동향2013-2(총서 제 213권)

    2013-10-30

  • 썸네일 이미지 정책/기획보고서2013년도 줄기세포연구시행계획

    Ⅰ 개 요 1. 계획수립의 근거 및 경위 □ 근 거 ◈ 舊과학기술부 주관으로 범정부 차원의「줄기세포연구 종합추진계획」수립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 ʼ06. 5. 29) - 관계부처는 종합추진계획에 따라 줄기세포연구의 연차별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시행 ※ 관계부처 : 미래창조과학부, 교육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 추진 경위 ○ 2006. 5월 줄기세포연구 종합추진계획(‘07~’15) 수립 - 2007. 3월 2007년도 줄기세포연구 시행계획 수립 - 2008. 6월 2008년도 줄기세포연구 시행계획 수립 - 2009. 7월 2009년도 줄기세포연구 시행계획 수립 - 2010. 6월 2010년도 줄기세포연구 시행계획 수립 - 2011. 6월 2011년도 줄기세포연구 시행계획 수립 - 2012. 5월 2012년도 줄기세포연구 시행계획 수립 - 2013. 6월 2013년도 줄기세포연구 시행계획 수립 ○ 2009. 7월 줄기세포연구 활성화 방

    정책기획2013-3(총서 제206권)

    2013-08-08

  • 썸네일 이미지 정책/기획보고서2012년 줄기세포연구시행계획

    [계획수립의 근거 및 경위]   ● 근거   舊과학기술부 주관으로 범정부 차원의 「줄기세포연구 종합추진계획」수립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 '06.5.29) -관계부처는 종합추진계획에 따라 줄기세포연구의 연차별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시행 ※ 관계부처 : 교육과학기술부, 농림수산식품부, 지식경제부, 보건복지부   ● 추진 경위   ○ 2006. 1월 범부처 종합계획 수립 계획 발표(국정현안조정회의)     - 2006. 2~5월 종합추진계획 수립을 위한 기획연구 추진     ○ 2006. 5월 줄기세포연구 종합추진계획(‘07~’15) 수립     - 2007. 3월 2007년도 줄기세포연구 시행계획 수립     - 2008. 6월 2008년도 줄기세포연구 시행계획 수립     - 2009. 7월 2009년도 줄기세포연구 시행계획 수립     - 2010. 6월 2010년도 줄기세포연구 시행계획 수립     - 2011. 6월 2011년도 줄기세포연구 시행계획 수립     - 2012

    정책기획 2012-5(총서 제184권)

    2012-06-29

  • 썸네일 이미지 정책/기획보고서2011년 줄기세포연구시행계획

     2011년 줄기세포연구시행계획   교육과학기술부 등 4개 부처는 “줄기세포연구 종합추진계획(’06.5)"의 효율적 추진과 향후 줄기세포 연구분야 선진국 도약을 위해 연구개발, 인프라, 인력양성 등 분야별 2011년 계획을 마련하여 “2011년도 줄기세포연구시행계획”을 수립(2011.6) 하였습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활용을 부탁드립니다.      

    정책기획 2011-4(총서 제154권)

    2011-08-11

  • 썸네일 이미지 정책/기획보고서2010년도 줄기세포연구시행계획

    1. 계획수립의 근거 및 경위 􀂆 근 거 ◈ 과학기술부 주관으로 정부차원의 「줄기세포연구 종합추진계획」수립(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 ‘06. 5. 29) - 관계부처는 종합추진계획에 따라 줄기세포연구의 연차별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시행 ※ 관계부처 : 교육과학기술부, 농림수산식품부, 지식경제부, 보건복지부 􀂆 추진 경위 ● 2006. 1월 범부처적 종합계획 수립 계획 발표 (국정현안조정회의) ‑ 2006. 2~5월 종합추진계획 수립을 위한 기획연구 추진 ● 2006. 5월 줄기세포연구 종합추진계획(ʼ07〜ʼ15) 수립 ‑ 2007. 3월 2007년도 줄기세포연구 시행계획 수립 ‑ 2008. 5월 2008년도 줄기세포연구 시행계획 수립 ‑ 2009. 5월 2009년도 줄기세포연구 시행계획 수립 ● 2009. 7월 줄기세포 연구 활성화 방안 수립 ‑ 2010. 5월 2010년도 줄기세포연구 시행계획 수립   2. 줄기세포연구 종합추진계획(ʼ06〜ʼ15) 요약 􀁻 종합추진계획 중점

    정책기획2010-4(총서 제129권)

    2010-08-24

  • 썸네일 이미지 정책/기획보고서2009년도 줄기세포연구시행계획

    Ⅰ. 개 요   1. 계획수립의 근거 및 경위   □ 근 거 ◈ 과학기술부 주관으로 정부차원의 「줄기세포연구 종합추진계획」수립(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 ’06. 5. 29)    - 관계부처는 종합추진계획에 따라 줄기세포연구의 연차별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시행      ※ 관계부처 : 교육과학기술부, 농림수산식품부, 지식경제부, 보건복지가족부   □ 추진 경위   ○ 2006. 1월 범부처적 종합계획 수립 계획 발표 (국정현안조정회의)     - 2006. 2~5월 종합추진계획 수립을 위한 기획연구 추진   ○ 2006. 5월 줄기세포연구 종합추진계획(’06~’15) 수립     - 2007. 3월 2007년도 줄기세포연구 시행계획 수립     - 2008. 5월 2008년도 줄기세포연구 시행계획 수립     - 2009. 5월 2009년도 줄기세포연구 시행계획 수립     2. 줄기세포연구 종합추진계획(’06~’15) 개요     ○ 종합추진계획 중점추진 방향    - 체계적이고

    정책기획2009-4(총서 제107권)

    2009-09-23

동향

더보기

차트+

더보기


사례

세부 내용

파미셀’, ‘유타대학교’, 차세대 줄기세포치료제 공동 개발 계약

파미셀유타대학교가 차세대 줄기세포치료제 공동개발을 위한 계약 체결

파미셀이 생산하는 줄기세포를 이용해 양측이 다양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으로 투여방법과 상관없이 줄기세포의 생착률 및 효과증진 방법 개발을 중점적으로 다룰 전망

* 출처 : 한국경제, 파미셀, 유타대와 차세대 줄기세포치료제 공동개발 계약, 15.3.13

인하대병원’, ‘SCM생명과학()’, 차세대 줄기세포 MOU 체결

- ‘인하대병원‘SCM생명과학()’가 차세대 줄기세포 치료기술 개발과 임상적용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양 기관은 임상연구 활성화, 첨단의료기술 정보 공유, 시설 및 장비활용 지원 등 다양한 분야의 공동 발전 및 차세대 성체줄기세포 치료기술의 임상적용 등을 위한 다각적 연구활동 협력 합의

* 출처 : 메디칼 타임즈, 인하대병원-SCM생명과학, 차세대 줄기세포 MOU 체결, 15.3.31

다케다약품’, ‘교토대 iPSC 연구소’, iPSC 이용 신약 공동연구

- 교토대 iPSC연구소다케다약품iPSC 기술을 활용, 심부전과 당뇨병 등 새로운 치료제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착수

심부전과 당뇨병, 정신질환 등 환자로부터 제작한 iPSC이용해 다케다가 보유한 신약후보물질의 치료효과 및 부작용 등을 조사하고 새로운 약물개발과 연결시킬 계획

이번 공동연구는 실용화를 목표로 한 포괄적 신약연구 추진에 중점을 두고 있어 향후 iPSC 활용에 큰 진전을 보일 것으로 기대

* 출처 : 메디파나, 다케다, 교토대와 iPS세포 이용 신약 공동연구, 15.4.20

차병원그룹’, ‘오츠보카이그룹’, 세포치료술 교류

차병원그룹의료그룹인 오츠보카이가 줄기세포와 면역세포 등 재생의료에 대한 공동연구협약 체결

양사는 BT 인력 및 수련의, 전문의, 교수 등 상호 인력 교류와 한일간 교환 세미나, 심포지엄 개최 등에 협력할 계획이며 향후 불임치료기술도 교류하기로 합의

* 출처 : 국민일보, 차병원그룹, 일본 오츠보카이그룹과 세포치료술 교류한다, 15.4.23



줄기세포 분야의 산학연 협력 사례


법안명

세부 내용

재생의료

추진법

재생의료 추진법은 재생의료의 실용화를 위해 연구개발과 보급을 촉진하기 위한 국가의 책무를 명기한 의원 입법으로 20134월 성립

- 뛰어난 재생의료의 창출과 개발을 통해 임상 응용 및 일반적인 치료의 보급을 신속하게 실현하고자 하는데 의의를 두고 이를 위해 고속화 전략을 추진

- 재생의료 실현화 고속화 전략은 사회적으로 니즈가 강한 분야 및 난치병 극복과 국제 경쟁력 강화를 통한 성장 실현이 목표

- 문부과학성은 새로운 재생의학기술에 관한 기초연구 및 비임상 연구를 추진하고, 후생노동성은 재생의료의 임상연구를 추진하여 기초연구에서 임상연구로 신속하고 원활하게 전환 가능한 체계 구축

재생의료등

안전성확보법

재생의료등안전성확보법은 특정 세포 가공물의 제조 허가 등의 제도를 결정함으로 재생의료 등의 빠르고 안전한 제공 및 보급 촉진을 도모하는 목적으로 201411월 시행

- 자유 진료로 실시되는 재생의료에 대한 첫 규제로 등장한 이 법안은 의약품, 의료기기 등에 관련된 안전 대책을 강화하고 의료기구 및 재생의료 등의 제품 특성을 고려한 규칙 구축

의약품

의료기기법

(, 약사법)

개정된 의약품의료기기법은 의약품, 의료기기 등의 안전과 신속한 제공을 확보하기 위해 약사법의 일부를 개정하는 법률 개요로 201411월 시행

- 의료기기 특성에 따른 규제를 구축하기 위해 의료기기 제조업 제조 판매업에 관해서는 의료품과 구분지어 규정하고 신속한 실용화를 위해 규제나 제도 간소화

- 재생의료 등 제품의 특성에 따른 규제 구축을 위해 의약품이나 의료기기와는 따로 관리하기 쉬운 재생의료 등 제품으로 새롭게 정의

- 안전성 및 유효성이 확인되면 조건 및 기한부로 조기승인 체계 도입



일본의 재생의료 및 줄기세포 관련 새로운 3가지 법안

연번

제품명(업체명)

특징

대상질환

품목허가 일자

1

콘드론(세원셀론텍)

자가유래 연골세포

연골이식 및 재생

20011

2

홀로덤(테고사이언스)

자가유래 피부각질세포

피부화상치료

200212

3

칼로덤(테고사이언스)

동종유래 피부각질세포

피부화상치료

20053

4

케라힐(엠씨티티)

자가유래 피부각질세포

피부화상치료

20065

5

크레아박스-알씨씨

(크레아젠)

자가유래 수지상세포

전이성신세포암

20075

6

이뮨셀엘씨주(이노셀)

자가유래 활성화T림프구

간세포암

20078

7

알엠에스오스론

(세원셀론텍)

자가유래 뼈세포

국소 골형성 촉진

20098

8

퀸셀(안트로젠)

자가유래 최소조작지방세포

피하지방 결손

20103

9

큐어스킨

(에스바이오메딕스)

자가유래 섬유아세포

여드름 치유과정에 수반된 함몰 흉터개선

20105

10

하티셀그램-에이엠아이

(에프씨비파미셀)

자가유래 골수 중간엽줄기세포

급성심근경색환자에서 좌심실구혈율 개선

20117

11

카티스템

(메디포스트)

동종유래 제대혈 중간엽줄기세포

퇴행성관절염

20121

12

큐피스템

(안트로젠)

자가유래 지방 중간엽줄기세포

크론병으로 인한 누공치료

20121

13

뉴로나타-알주

(코아스템)

자가유래 골수

중간엽줄기세포

루게릭병 환자의 질환진행 속도 완화

20147

[2015 생명공학백서 | 표 5-4-3] 세포치료제 허가현황(2015.6월 현재, 줄기세포치료제 4건 포함)


회사

지원금액

(단위:달러)

기술

투자자

캘리포니아

Cytori Therapeutics

2.6

실시간 셀루션 시스템

공개 주식 상장

Olympus, GE Healthcare 등기업 벤처 투자기금

iPerian

2,800

세포 리프로그래밍 및 분화 기술 응용

(만능유도줄기세포를 이용한 신약개발)

Kleiner, Perkins, Caufield, Byers, Highland Capital Partners,MPM Capital, Google Ventures, Mitsubishi UFJ Capital

Stemgent

1,400

만능유도줄기세포라인 및 보조 제품 생산을 위한 체세포 리프로그래밍

(cytokines, 항체, 바이러스 전달 시스템 등)

HealthCare Ventures,

Morganthaler Ventures

VistaGen Therapeutics

’09년까지

1,800

(만능유도줄기세포 분화 기반의) 통합적인 줄기세포 생물학 플랫폼

(신약개발 및 독성 예측 어세이 등)

NIH, CIRM

Geron Corporation

6.05

(마켓캐피탈)

배아줄기세포를 활용하여 이식치료개발

UK 줄기세포연구재단

($5.89 million)

NeuroGeneration

160

태아 줄기세포 치료

(척추손상, 다운증후군 및 간질)

현재 NIHCIRM으로 펀드를 받고 있으며 향후 투자 파트너십 형성 기대

StemCells Inc.

1.05

(마켓캐피탈)

인간 신경 줄기세포 기반의 치료

공개 주식 상장

자본경영(Equity financing)

매릴랜드

Neuralstem

9.70

특허화된 인간 신경 줄기세포 기술을 활용하여 중추신경계 질환(루게릭병 등) 치료법/약품 개발

공개 주식 상장

기관 투자 방식

Osiris Therapeutics

193.04

골수에서 추출된 성체 만능유도줄기세포로

이식편대숙주반응, 심장질환, 폐조직, 크론씨병 등을 치료

Friedli Corporate Finance

공개 주식 상장

기타

Aldagen

8,050

(’09IPO 타겟)

성체줄기세포 추출하여 높은 수준의 ALDH 발현

사지허혈 및 관련 심장질환, 뇌졸중, 심혈관 질환 관련 제품 파이프라인 보유

Phase I & Phase II

Stemina

200

줄기세포를 대사체학 툴로 연구하여 약물 독성 스크리닝 개발

국립암연구소(NCI)



미국내 줄기세포관련 주요 벤처케피탈(VC) 현황


국가

미국

영국

캐나다

기관명

CIRM 2.0

(California Institute for Regenerative Medicine)

CGTC

(The Cell and Gene Therapy Catapult)

CCRM

(Centre for Commercialization of Regenerative Medicine)

목적

캘리포니아주 내 줄기세포 관련 연구기반시설에 대한 투자부터 최근 중개 임상연구까지 지원

영국을 세포치료제(cell therapy) 분야에 있어서 제조부터 상업화까지 총괄, 글로벌 리더로 육성

지식과 최첨단의 과학적 발견들을 시장출시를 위한 상업화 제품으로 전환하기 위함

설립

2015(2.0)

2012

2011

지원규모*

2020년까지 $890million

(178억 원)

20183월까지 £70million

(1,042억 원) 확보

20112017 $15million

(169억 원) 투자

연구 및

산업화 추진

및 지원

Accelerating Center, Translating Center 설립 예정

기초연구 중심에서 임상연구에 대한 비중이 높아짐

공동 연구기관UK stem cell initiative(UKSCI), MRC(Medical Research Council), BBSRC(Biotechnology andBiological Sciences Research Council)

45개 회사와 산업 컨소시엄 구축

비고

Alpha Stem Cell Clinic**: 2013년 시작되었으며, 환자에게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접근가능한 치료기회 제공 및 치료법을 확립하기 위한 통합 임상연구 인프라 및 지원 역할 수행

총예산에서 임상연구비중이 50%를 차지 함

연구자, 연구기관과 네트워크

비임상/임상시험 지원

투자연결

제품개발 및 기업설립

보건경제성시장조사

제품개발 및 기업설립

(기업설립)CAR-T세포 치료제 개발 위한 신생기업 Chimeric Therapeutics Ltd 설립

임상 지원

기술 및 IP 확보 플랫폼 구축

GMP 시설 보유 및 운영

기술 및 상업화 전략 수행

투자자-스타트업 기업 연계 시스템 마련/창업 지원

-산 컨소시엄 구축

투자네트워크 구축

기술개발평가/사업화 컨설팅

제조 솔루션 개발



[2019 생명공학백서 | 표 3-7] 국가별 재생의료연구개발 촉진 기관현황


내역사업

사업개요

신약개발

신약타깃검증 및 신약 기초물질 개발에서부터 신약 R&D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기반기술개발에 이르기까지 글로벌 신약 개발 지원

차세대의료
기술개발

국민건강 이슈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의료현장의 수요를 반영, 헬스케어의료기기 등 차세대의료기술 개발

줄기세포/조직재생

난치성 질환치료제 개발에 응용 가능한 줄기세포 요소기술(세포재생, 장기조직재생 기술 등) 개발

차세대바이오

생명현상 발현 관련 질환 제어 및 시스템생물학적 생체정보 해석 등 국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미래유망 차세대 바이오기술 개발

바이오인프라

생명연구자원(동물, 식물, 미생물 등)을 효율적으로 확보등록활용하고 활용분야 확대 등 생명연구자원 가치 제고

국가마우스표현형
분석기반구축사업

국내 바이오 연구 및 신약개발 분야 실험에 필수적인 유전자변형마우스(GEM) 자원의 생산 및 이를 활용한 질환 분석

전통천연물기반
유전자동의보감사업

전통천연물 기반으로 천연물 신약, 기능성 소재 등 개발을 위한 융복합원천기술개발

미래감염병

국가경제 및 국민건강에 위협이 되는 신변종 및 해외유입 감염병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핵심기술개발

바이오융복합

바이오 기술과 ITNT 등 타 분야와의 융합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바이오 융복합 핵심원천기술 확보

미래의료혁신

의료현장을 중심으로 한 혁신형 공동연구 지원을 통해 개방형 혁신을 촉진하고 시장으로 연계되는 혁신기술 개발

첨단GW바이오

천연물장내미생물바이오에너지 등 향후 빠른 성장이 예상되는 그린화이트바이오 분야 핵심기술 개발



[2019 생명공학백서 | 표 2-3]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내역별 개요


소재 클러스터

발전 목표

책임부처

(클러스터 중앙은행)

인체유래물

질환 중심의 인체유래물 확보 및 바이오 헬스 산업 활용 촉진

복지부/질병청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줄기세포

줄기세포 개발 연구기관들과 연계하여 줄기세포 신속 확보·제공

복지부/질병청

(국가줄기세포은행)

병원체

다양한 병원체자원 확보를 통한 활용 촉진 및 네트워크 체계화

복지부/질병청

(국가병원체자원은행)

배양세포

세포주에서 오가노이드까지 공급 범위 확대 및 맞춤 서비스 보강

과기정통부

(한국세포주은행)

모델동물

초파리, 제브라피쉬, 마우스 등 모델동물 이어달리기 제공

실험동물 사용 최소화를 위해 동물 대체시험법 개발도 병행

과기정통부

(()KMPC/

생명연 실험동물자원센터)

규제 개선을 통한 뇌연구자원의 확보 및 연구 저변 확대

과기정통부

(한국뇌연구원 한국뇌은행)

미생물

규제 개선, 인력 양성, 안전중복보존 등에 대한 공동대응 체계 구축

과기정통부

(생명연 KCTC/
농진청 미생물은행)

천연물

천연물 자원 관리 특화 모델 마련 및 종자 클러스터와 협력 추진

과기정통부

(생명연 천연물중앙은행)

합성화합물

공공-대학-민간(국내 제약사 등) 및 해외 등 개방형 협력 확대

과기정통부

(한국화합물은행)

축산

가축생명자원을 활용한 축산업 미래 발전 영역확보

농식품부/농진청

(가축유전자원센터)

종자

종자산업 육성을 위한 농업유전자원의 전략적 확보 및 활용 확대

농식품부/농진청

(농업유전자원센터)

해양생물

해양생명자원 확보 및 해양바이오뱅크를 통한 산업적 활용 확대

해수부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수산생물

수산 현장 중심 수산생명자원 확보 및 활용 강화

해수부

(국립수산과학원)

야생생물

야생생물의 다양성 보전과 지속가능한 활용 확대

환경부

(야생생물소재은행)



[2021 생명공학백서 | 표 3-60] 14대 소재 클러스터별 발전목표 및 책임부처·중앙은행


국가

미국

영국

캐나다

기관명

CIRM 2.0

(California Institute for Regenerative Medicine)

CGTC

(The Cell and Gene Therapy Catapult)

CCRM

(Centre for Commercialization of Regenerative Medicine)

목적

캘리포니아주 내 줄기세포 관련 연구기반시설에 대한 투자부터 최근 중개 임상연구까지 지원

영국을 세포치료제(cell therapy) 분야에 있어서 제조부터 상업화까지 총괄, 글로벌 리더로 육성

지식과 최첨단의 과학적 발견들을 시장 출시를 위한 상업화 제품으로 전환하기 위함

설립

2015(2.0)

2012

2011

지원 규모*

2020년까지

$ 890million

(178억 원)

20183월까지 £ 70million

(1,042억 원) 확보

20112017년 동안

$15million

(169억 원) 투자

연구 및

산업화 추진

및 지원

-Accelerating Center, Translating Center 설립 예정

-기초연구 중심에서 임상연구에 대한 비중이 높아짐

공동 연구기관- UK stem cell initiative(UKSCI), MRC
(Medical Research Council),
BBSRC(Biotechnology and Biological Sciences Research Council)

45개 회사와 산업 컨소시엄 구축

비고

-Alpha Stem Cell Clinic** : 2013년 시작되었으며, 환자에게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접근 가능한 치료 기회 제공 및 치료법을 확립하기 위한 통합 임상연구 인프라 및 지원 역할 수행

-총 예산에서 임상연구비중이 50%를 차지함

-연구자, 연구기관과 네트워크

-비임상/임상시험 지원

-투자연결

-제품개발 및 기업설립

-보건경제성·시장조사

-제품개발 및 기업설립

(기업설립)CAR-T세포 치료제 개발 위한 신생기업 Chimeric Therapeutics Ltd 설립

-임상 지원

-기술 및 IP확보 플랫폼 구축

-GMP 시설 보유 및 운영

-기술 및 상업화 전략 수행

-투자-스타트업 기업 연계 시스템 마련/창업 지원

--산 컨소시엄 구축

-투자네트워크 구축

-기술개발·평가/사업화 컨설팅

-제조 솔루션 개발



[2021 생명공학백서 | 표 3-8] 국가별 재생의료연구개발 촉진 기관 현황


연월

계획/방안/로드맵/전략명

내용

2006. 5

줄기세포연구 종합 추진계획
(20072015)

줄기세포연구의 글로벌 Top 3 진입을 목표로 원천기술 확보, 체계적인 임상연구, 인프라 구축, 생명윤리 정착의 4대 추진전략

2009. 7

줄기세포 연구 활성화 방안

교육과학기술부, 지식경제부,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획재정부 등 5개 부처가 함께 줄기세포분야 글로벌 Top 5 진입을 목표. 줄기세포 R&D 투자확대 및 국제협력을 통한 기술경쟁력 제고, 세계 수준 연구팀 집중육성, 줄기세포연구임상 산업화 기반구축, 생명윤리 제도 선진화 및 사회·문화적 기반확충 등 4대 추진방안 제시

2012. 1

줄기세포 R&D 투자 효율화 방안

줄기세포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범부처 차원의 전략적 투자 방향 및 사업체계 개편. 줄기세포 R&D 투자 포트폴리오의 전략적 안배, 부처별 역할분담 및 상호 연계성 강화, 사업추진체계 개편 등

2014. 4

국가중점과학기술 전략로드맵

신성장동력 창출과 삶의 질 향상 등에 필요한 5대 분야 30개 기술에 대한 국가 차원의 종합전략. 줄기세포기술은 30개 기술 중 건강 장수시대 구현을 위한 기술에 포함

2014. 7

성장과 복지를 위한 바이오미래전략

세포치료, 유전자치료 등 바이오 태동기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국가 전략을 수립. 의료기기·서비스 분야까지 확대한 종합적인 바이오산업 육성방안 제시

2015. 3

바이오·헬스 미래 신산업 육성 전략

래창조과학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4개 부처 공동 발표. 2015년 한해 총 3,400억 원을 투자. 2017년까지 줄기세포와 유전자치료제 분야에서 세계 최초로 내세울 만한 의약품 5개 출시 목표

2016. 9

바이오·헬스 7대 강국 진입을 위한 보건산업종합발전전략

정밀·재생의료 등 첨단의료 전략적 투자 강화의 일환으로 제도 개선 및 연구개발 선제적 투자 등을 추진



[2021 생명공학백서 | 표 1-13] 재생의료기술 관련 정부 종합계획(2006년~문재인정부 출범전)


줄기세포기술 및 산업 전망

분야

내용

줄기세포 이용한

세포치료제 개발

· 환자에게서 추출한 줄기세포를 특정 환경에서 분화/증식하고 그 환자에게 다시 주입하여 손상된 세포 및 조직의 기능 대체

· 줄기세포의 만능성으로 심혈관계, 신경계, 혈액 및 면역계, 골 및 연골계, 피부 등 의학의 모든 영역에서 혁신 기대

줄기세포를 이용한

신약개발의 효율화

· 줄기세포를 특정 질환세포로 분화하여 신약 후보물질 발굴 및 효능검증을 빠른 시간 안에 대량으로 수행하여 신약개발 효율성 향상

· 신약개발 중 임상시험 과정에서 줄기세포를 각종 세포 및 조직으로 분화시켜 신약후보물질의 독성을 보다 쉽고 빠르게 검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암줄기세포는 항암제 개발과 암발생 초기 진단기술개발을 위한원천 재료로서 새로운 항암제 및 진단제개발에 활용될 전망

줄기세포를 이용한 생체조직공학 및 바이오장기

· 줄기세포의 재생능력을 이용하여 줄기세포와 지지세포들을 배양하고 다양하게 분화된 조직 및 장기는 질병으로 훼손된 조직이나 장기의 기능을 재생시켜 질병 치료 가능

· 줄기세포를 이용한 생체조직은 인체 적합성이 높고 면역적거부반응이 적어 조직 공학적 제품으로서 큰 장점 보유 기대

자료: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 신한금융투자



줄기세포기술 및 산업 전망


구분

주요내용

1

인간배아줄기세포 연구

- 체세포복제배아 줄기세포연구 시, ‘생명윤리법에 따라 연구용 난자 기증이 금지되어 배아생성을 위해서는 동결보존된 난자 중 폐기 예정인 난자 등을 이용

- (미국) 줄기세포연구향상법(Stem Cell Research Impovement Act of 2009)’에 의해 기증된 난자를 이용한 연구가 가능

기증에 앞서, 배아는 여성에게 이식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결정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폐기되어야 함

불임치료를 구하는 개인들이 서면으로 작성된 충분한 정보에 의한 동의로 배아를 기증하고 금전상의 이득은 금지(()의 별도지침에 따라 오리건 주, 캘리포니아 주, 뉴욕 주 등은 난자 매매 가능)

2

줄기세포치료제 품목허가

- 줄기세포치료제의 제품화 지원을 위해 식약처에서 줄기세포 관련 가이드라인 발간

- 줄기세포치료제 관련 별도의 품목허가제도는 없으며 일반적인 의약품의 경우와 같이 임상시험을 거쳐 약사법상 품목허가 규정 적용

예외적으로 품목허가 이전에 임상시험 등을 위해 제조된 줄기세포 치료제를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의 승인을 받아 치료목적 내지 응급임상이라는 명분으로 사용 가능

식약처로부터 개발 단계 희귀의약품으로 지정 받은 경우, 시판 후 제3상 임상시험을 실시하는 조건으로 제2상 임상시험 완료 후 조기 품목허가 승인 가능

- (일본) 201311월 개정(201411월 시행)의약품, 의료기기 등의 품질, 유효성 및 안전성확보 등에 관한 법률(의약품 의료기기 등 법, 구 약사법)’에 의해 재생의료 등 제품에 조건과 기한을 붙여 제품판매를 조기승인 및 시판 후 지속적인 안전성, 유효성 검증을 통해 승인취하 여부 결정

조기 승인 전 안전성이 확인되면 유효성은 추정함

<재생의료제품 조기 실용화를 위한 제도 변화>


출처: 후생노동성 후생과학심의회(과학기술부회 재생의료의 안전성 확보와 추진에 관한 위원회) 자료

3

줄기세포 시술/치료

의료기관 내에서 의사가 자가 또는 동종세포를 수술 및 처치과정에서 최소한의 조작만을 한 줄기세포치료의 경우엔 의약품으로 규율되지 않아 의료행위로 취급

- 의료행위로 취급되는 최소한의 조작을 거친 줄기세포 치료는 의료법신의료기술평가제도의 적용을 받아 안전성·유효성 검토

신의료기술평가란? 의료인이 행하는 의료기술(의약품, 의료기기를 이용한 의료기술 포함)에 대해 환자 대상으로 실제 임상현장에서 이뤄진 시술의 안전성 및 유효성을 기존기술과 비교하여 평가(2007428일 도입)

신의료기술평가는 새로운 의료기술이 국민건강보험에 적용되기 위한 신의료기술 등의 요양급여 결정신청의 필수 전단계로 요양급여 목록에 등재되지 않은 의료기술로 시술했을 시 비용청구 금지(치료목적이 아닌 미용 목적의 시술 및 안전성·유효성 검증이 어려운 일부 시술은 신의료기술평가와 관계없이 시술 및 비용청구 가능)

- (일본) 선진의료제도에 따라 신의료기술을 실시할 수 있는 의료기관을 지정하여 보험진료 가능

- ‘선진의료는 위험성 정도에 따라 두 가지로 구분

선진의료A’는 약사법상 승인을 받지 않은 의약품·의료기기가 포함되지 않은 기술이나, 승인을 받지 않은 체외진단시약 등을 사용하여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극미한 기술실시 가능한 의료기관의 시설기준 규정

선진의료B’약사법상 승인을 받지 않은 의약품·의료기기가 포함된 기술이거나, 승인 받지 않은 의약품·의료기기를 포함하지 않지만 중점적인 관찰과 평가가 필요한 기술로써 선진의료B’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해당기술에 대한 선진의료제도회의의 심사 필요 해당기술의 진료보수 등재를 위해 실시기관의 정기적 보고

- 선진의료제도는 연구단계의 기술을 의료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제도로, 줄기세포치료제의 경우 임상연구단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해외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슨한 일본 규제로 인해 해외원정 시술 증가 및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은 줄기세포 치료 발생으로 재생의료 등의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한 법적 제도인 재생의료 등 안전성 확보 등에 관한 법률(재생의료안전확보법)’ 201311월 공포(201411월 시행)

재생의료안전확보법의 적용대상은 일반 의약품이나 의료기기와 달리 세포특유의 확인되지 않은 위험성이 있고, 장기간 인체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등 특징을 가진 세포를 이용한 의료치료뿐 아니라 미용목적 등으로 유사한 기술을 이용하는 의료도 포함

재생의료 등에 대해 인간의 생명 및 건강에 미치는 영향 정도에 따라 1종 재생의료 등’, ‘2종 재생의료 등’, ‘3종 재생의료 등으로 분류하여 재생의료의 안전성 검증 후 의료 제공

- (중국) 20095, 줄기세포치료를 매우 위험이 높은것으로 정의되는 카테고리 3의료기술로 분류하여 사용 전 기술위원회의 허가를 받아 시술 가능

정부규정에도 불구하고 중국 의료업계는 허가되지 않은 치료를 수행하고 있어 외국으로부터 의료관광객이 몰리는 상황



줄기세포 관련 국내 및 해외의 법/제도 비교


기업명

(국가)

주요 활동

연매출

(기준년도)

Thermo Fisher Scientific Inc.

(미국)

미국, 중국, 독일, 영국 등 50개국에 진출해 있으며 줄기세포분야를 포함한 제약 및 생명공학 제품의 연구 및 제조에 대한 분석 기구, 시약 및 소모품,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를 제공

20195, CDMO업체인 Brammer Bio를 인수, 20203, 분자 진단분야의 세계적인 공급업체인 Qiagen 인수

$25,542 million

(2019)

BD

(미국)

의료용품, 기기, 실험실 장비 및 진단 제품을 발굴, 개발, 제조 및 판매하는 기업으로 유도만능줄기세포 분석 및 키트 제품 보유

전 세계 약 190개국에서 판매되고 있으며 최근 신흥시장의 판매와 유통채널을 강화

20187, 신장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을 위한 최소 침습성 혈관 솔루션을 개발하는 TVA Medical Inc.의 인수

$17,290 million

(2019)

Smith&

Nephew PLC

(영국)

상처관리 제품의 제조사 중 하나로 100개 이상의 국가에서 유통 채널을 운영

피부, 관절연골 대체제, 뼈이식제 등 재생의학 제품 연구, 개발, 제조, 상용화에 주력하는 Osiris Therapeutics 2019년 인수

2020, 말레이시아에 새로운 첨단 기술 제조 시설 구축 시작

$5,138 million

(2019)

Qiagen NV

(독일)

분자진단, 신약개발, 생명과학 연구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며 25개국 이상에 35개 정도의 자회사를 두고 있으며 60여 개국에 글로벌 유통 파트너 네트워크를 보유. 130여 개국에서 제품을 판매

최근 신흥시장에서 더욱 입지를 굳히고 있으며, 순매출의 16%를 기여

QiagenIllumina는 환자 관리를 위해 동반 진단을 포함한 NGS 기반 체외 진단(IVD) 키트의 가용성과 사용을 확대하기 위한 15년 파트너십을 발표(2019.10)

$1,526 million

(2019)

MERCH KGAA

(SIGMA ALDRICH)

(독일)

Sigma AldrichMerck KGA의 자회사로 화학, 제약, 생명과학 분야의 4개 부문을 운영. 67개국에 72개 제조 시설 보유

줄기세포, 조혈모세포, 중간엽줄기세포 라인 등의 제품 존재

201810, 브라질 상파울루에 M Lab 협업센터 개설 완료

$215 million

(2019)

International Stem Cell Corporation

(미국)

기술 솔루션을 개발하는 임상 단계 생명공학 회사로 배아줄기세포, 중간엽줄기세포, 유도만능줄기세포, 단성생식 기반 줄기세포를 제공

, 신경계, 간 등의 중증질환 치료제에 중점

$9.5 million

(2019)

Pluristem Therapeutics Inc.

(이스라엘)

태반기반 세포치료 제품 개발 업체로 태반 세포와 3D 기술 플랫폼 활용. 중증혈액, 심혈관, 자가면역, 염증, 허혈, 근육 손상, 혈액학적 장애, 기타 질환을 치료하는 세포 치료제 개발에 중점

유럽, 일본, 한국, 이스라엘, 미국 FDA에서 제조 시설의 승인 받음

수익의 74%R&D에 투자하고 있으며 매년 연구개발비가 증가 추세

한국의 차바이오텍과 전략적 제휴를 맺었으며, 2013년 라이센스 계약을 통해 태반유래 간엽유사줄기세포(PLX)의 국내 판권 확보

$54,000

(2019)

STEMCELL

Technologies

(캐나다)

생명과학 연구를 위한 전문 세포 배양 매체, 세포 격리 시스템, 액세서리 제품을 개발하며, 혈액학 관련 제품, 만능 줄기세포, 중간엽줄기세포를 이용한 연구를 지원하는 제품 등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장시키는 중

비공개

ALL CELLS

LLC

(미국)

줄기세포를 포함한 다양한 연구 분야의 연구개발 활동에 필요한 세포주 공급, 세포 검사 서비스 등을 제공

약개발, 독성시험, 세포치료, 개인 맞춤형 의약품 등에 활용

, 유럽 및 아시아 지역의 연구소, 회사 등에 서비스 제공

비공개

MILTENYI BIOTEC

(독일)

임상용 세포 라벨링 시약, 세포 분리 및 분석 장치 및 시스템을 개발 및 제조하며 임상연구, 면역치료, 조직재생 등의 제품을 보유

연구분야는 면역학, 줄기세포연구, 신경과학, 심혈관, 암연구 등

비공개



줄기세포 시장의 혁신 기업들


구분

요인

세부 분석 내용

시장 성장 촉진 요인

탯줄 유래 줄기세포

(unbilical stem cell) 대한 인식 증가

- 각종 질병 및 질환의 치료를 위한 조혈모세포의 비침습적이고 효과적인 대체원으로써 탯줄 줄기세포에 대한 인식이 증가 추세이며, 이에 제대혈 저장을 위한 줄기세포 은행 증가 중

미국에는 200개 이상의 관련 임상시험 진행 중이며, 최근 코로나19 치료제로써 효능 평가를 위한 임상 시험 진행중

줄기세포 치료제 연구개발 추진 및 임상시험 승인 확대

- 호주는 난치병 치료제 개발을 위하여 9년 동안 15천만 달러를 줄기세포 연구에 투자 발표(2019)

캘리포니아 줄기세포 연구, 치료 및 이니셔티브202055억 달러의 정부 자금 지원 발표(2019)

전 세계줄기세포 연구는 약 6,000, 임상 3상 이상200여건에 달하며, 이는 향후 줄기세포 기반 제품의 수요를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WHO, 2018)

재생 의료에 대한

수요 증가

- 조직공학 및 소재 과학 등 재생의료에 대한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치료법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연구개발 협업 증가

- 치료의 성공률과 상업적 및 규제적 요인이 시장 성장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

시장 성장 저해요인

고가의 치료비

- 미국의 클리닉은 시술당 1만 달러의 비용을 청구, 국 외의 나라에서는 2만달러-10만달러 치료비용 부과

- 또한 승인 되지 않은 치료법도 환자들은 받고 있으며, 이는 보험 적용이 되지 않아 더 높은 가격을 받음

관련 규제 문제

줄기세포 치료제 관련 보험 문제, 실무 가이드라인, 개인정보 처리 등 각 나라별로 다양한 규제 이슈 직면

영국은 HFEA(Human Fetrilization and Embryo Authority)를 통하여 줄기세포 제품을 엄격하게 규제하며 인도에서는 줄기세포 임상시험 승인에 1년 소요

윤리 및 도덕적 프레임워크

- 인간 복제, 유전자 조작, 종양 생성 가능성 등 윤리적 문제가 제기 되었으며 특히, 인간 배아 줄기세포 연구는 인간 배아 파괴로 인한 이슈 제기

줄기세포 활용의 관점에 따라 종교적, 사회적 논의가 다양하며 이는 시장 형성에 저해 요인으로 작용



글로벌 줄기세포 시장의 시장 성장 및 저해 요인


업체명(국가)

주요내용

DiscGenics

(미국)

척추질환에 중점을 두고 동종 줄기세포 배양 제조 플랫폼 개발 및 특허권 확보

차별화된 줄기세포를 사용하여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으며, 일반의약품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세포치료제 개발에 노력

세계적으로 24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IDCT* 프로그램에 대한 민간자금으로 2,170만 달러의 강력한 특허 지원

* DiscGenics의 첫번째 세포치료제 제품 후보

Cynata Therapeutics

(호주)

저비용으로 상업적 규모의 중간엽 줄기세포를 포함한 세포치료제 제조를 지원하는 최첨단 기술 플랫폼인 Cymerus 를 개발

이 기업의 선도제품인 CYP-001*은 미국 FDA로부터 희귀의약품으로 지정 받음

* 이식편대숙주병 줄기세포치료제

Tigenix

(벨기에)

독점적인 기술 플랫폼을 통하여 안정적인 세포주 제공과 동시에 기증자로부터 지방 유래 줄기세포를 보다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기술 보유

선도제품인 Alofisel(2018년 유럽승인)은 크론병에 대해여 기존 치료제에 비해 효율성이 증진되었으며, 질병 재발율도 감소된 것으로 평가

JCR

Pharmaceuticals

(일본)

1975년 설립된 제약회사로, 재생의약 시장에서 위상을 강화하고자 노력급성 이식편대숙주병에 대한 TEMCELL의 일본출시를 위해 Mesoblast*와 라이센스 계약을 체결

* 호주의 재생의약회사

Medipost

(한국)

근골격계, 신경계 등 광범위한 치료 영역에 강력한 파이프라인을 갖춘 한국을 대표하는 줄기세포치료제 개발 기업

CARTISTEM은 식약처에서 상업적 용도로 승인한 세계 최초의 동종 줄기세포치료제



주요 줄기세포치료제 혁신기업 사례


업체명

유형

주요내용

CRISPR Therapeutics & Viacyte, Inc.

전략적

협업

Viacyte가 개발한 유전자조작 동종이형 줄기세포치료제의 개발, 상용화 협력에 초점

췌장 계통 줄기세포치료제를 개발하여 환자에게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목표

Cellect

Biotechnology &

Cell2in

동의

Cellect Biotechnology는 자사의 기술 플랫폼인 ApoGraftCell2in의 독점기술인 FreSHtracer를 결합하여 과학적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Cell2in과 계약을 체결

협력연구는 형광염료를 사용하여 줄기세포 품질을 모니터링하여 산화 스트레스 상태를 분석하는 것을목표로 추진

Sanofi & Evotec

R&D

협상

당뇨병 줄기세포치료제 개발을 위한 두 번째 협업으로써 두 기업은 당뇨병 환자를 위한 베타세포 대체치료 연구의 선두주자로 부상

SanofiEvotec에게 300만 유로 지급

Cynata Therapeutics &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연구협업

CynataNSW 대학과 공동으로 관상 동맥질환을 목표로 하는 줄기세포치료제를 개발할 예정

독점적인 Cymerus 기술 플랫폼을 사용하여 중간엽 줄기세포 기반 치료제 개발을 목표

Athersys & Healios

라이센싱

협상

Athersys2,000만 달러의 라이센스 비용 외 로열티를 받고 MultiStem®*을 개발하고 상용화할 권리를 Healios에 부여

* 심혈관계, 신경계, 염증 및 면역질환 영역에서 여러 가지 개별 질병 및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독점적인 줄기세포치료제

Mesoblast &

Tigenix

라이센싱

협상

MesoblastTigenix에게 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치료제인 CX601의 사용 및 전세계 상용화에 대한 글로벌 특허 라이센스를 부여

Tigenix는 개발을 위해 계열사 및 제 3 자에게 하위 라이센스 부여 가능

AstraZeneca

& SWIBCo

전략적

협업

AstraZenecaProcella Therapeutics와 함께 Smartwise의 카테터 주입방법과 줄기세포 기술을 사용하여 심혈관계 질환에 대한 새로운 카테터* 기반 치료법을 개발할 예정

* 병을 다루거나 수술을 할 때 인체에 삽입하는 의료용 기구

ProcellaSmartwiseSWIB Holdings의 자회사

Anika Therapeutics & Institute of Integrative biology

연구협업

Anika Therapeutics는 골관절염 치료를 위한 주사용 중간엽 줄기세포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Institute of Integrative Biology3년간의 연구협력을 진행할 예정



최근 주요기업 M&A 및 파트너쉽 체결 사례(2018년)


구분

요인

세부내용

시장

도전

요인

고가의 치료비용

KymriahYescarta에서 출시된 줄기세포치료제는 30-50만 달러 사이의 가격으로 적절한 상환 없이 판매되어 많은 환자의 접근을 제한

기증자 부족

동종 줄기세포 유래의 치료제 개발이 추진되면서 충분한 기증자 부족으로 세포 배양 및 후속 치료제 개발에 제약

종양에 치중된 펀딩

종양에 치중된 자금지원으로, 심혈관계, 신경계 및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전반적인 임상시험 자금 조달이 부족

까다로운 제조 프로세스

제조 타임 라인 준수가 중요한 세포치료제 개발에서 제조 프로세스에 대한 충분한 실시간 정보가 부족하면 생산이 지연되고, 제품 변동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시장

기회

요인

기술 혁신

인간 배아를 파괴하지 않고 피부세포를 배아줄기세포와 유사하게 리프로그래밍하는 유도만능줄기세포(iPS) 제작기술의 진보

세포 선별 및 세포 배양기술의 최근 개선으로 줄기세포 생존 및 생체 이용률 향상과 성체줄기세포의 대량 생산 가능

신약 개발 분야에 활용 확대

목표질환 확인, 질병기작 및 대사경로 등의 연구개발에 활용

줄기세포 유래 간세포는 독성학 및 신진대사 연구에 활용

줄기세포 기반 신약개발 플랫폼은 신약 후보물질 스크리닝의 신기술로 부상되고 있으며, 이를 통한 새로운 수익 창출 기대

기타 유망한 응용 분야 확대

(오가노이드) 하버드 줄기세포연구소는 쥐 배아줄기세포를 심근세포로 분화하여 전기 충격에 반응하는 심장조직 생산

(희귀질환) 줄기세포치료법을 통해 Alport syndrome*으로 인한 신장 결함 치료 가능성 제시

* 알포트증후군: 유전성 신장질환으로 신장 증상 외에도 난청, 눈 이상 등 다른 장기의 이상을 동반하는 증후군



줄기세포치료제 산업의 도전 및 기회 요인


구분

요인

세부내용

성장 촉진 요인

신흥 시장의 등장

중국, 한국과 같은 신흥시장의 등장은 의료관광을 촉진시키고 새로운 치료 솔루션을 제공

배아줄기세포와 골수이식 분야는 가장 각광받고 있는 분야

R&D 지원 증가

R&D에 대한 정부투자 및 민간펀딩이 초기 및 후기 임상시험을 지원 가능

전 세계 8개 주요 줄기세포 연구기관 중 4개가 줄기세포치료제 연구의 선도국가인 미국에 존재

인구 고령화

줄기세포치료제는 오래되고 손상된 세포 및 조직 대체, 항노화 등의 효과로 인해 건강노화에 기여

성장 저해 요인

엄격한 규제

새로운 줄기세포치료제를 생물학적 제제로 분류하는 FDA의 엄격한 규제는 전반적인 제품 출시를 지연시키는 요인

미국을 제외한 그 외 국가들의 불명확하고 정의되지 않은 엄격한 규제로 연구 및 제품 출시를 방해

안전성 이슈

줄기세포치료제는 장기적인 안전성과 효능에 관한 자료가 부족하여 다양한 질환치료 잠재력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암 유발 가능성 내포

한국과 같이 승인되지 않은 미용관련 일부 줄기세포시술이 기존의 줄기세포치료제 제품에 부정적 영향

윤리적 문제

배아줄기세포의 사용은 배반포의 파괴를 수반하며, 이는 인권 침해 등의 윤리적 문제 초래

시장은 인권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인간배아줄기세포를 생산하기 위한 혁신적 기술개발 요구



줄기세포치료제 산업의 성장 촉진 및 저해 요인


기업명

협약 형태

주요 내용

협약일

시장 영향요인

Stem Cell Therapeutics Corp.(SCT)/ Trillium Therapeutics Inc.(TTI)

합병

암 치료를 위해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는 면역-종양 기업인 SCT가 자회사인 TTI를 합병, 합병 기업의 상호는 'Trillium'로 결정

2013. 2.

SCT가 암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영역에 서의 입지를 확고히 할 것을 기대

BioTime Inc./ Geron Corporation

인수

BioTime과 자회사인 BioTime Acquisition Corporation(BAC)Geron과 특허나, hESC 프로그램과 같은 다른 자산을 취득하기 위하여 최종 자산공헌 계약을 체결

2013. 1.

BioTimeGeron4가지 보류된 세포주 (OPC1, VAC1, 관절염 및 심장질환 대상 전임상 후보물질 등)에 대한 재연구 추진

Living Cell Technologies Limited(LCT)/ Otsuka Pharmaceutical Factory Inc.(OPF)

협력

LCTOPF와 함께 파킨슨병을 포함한 신경계 질환 치료를 위한 NTCELL를 공동 개발하는 계약 체결

2012. 12.

LCT는 본 협력을 통해 NTCELL의 임상 1상 추진을 위한 자금 확보, OPFNTCELL의 공동개발 및 상용화에 대한 독점권을 획득

Smith & Nephew plc/ Healthpoint Biotherapeutics

인수

Smith & Nephew가 생물작용 상처치료제 업체인 Healthpoint7.82억달러에 인수

2012. 11.

Smith & Nephew는 본 인수를 통해 상처 치료 시장의 글로벌 입지 강화 노력 추진

AxoGen Inc./ PDL BioPharma Inc.

구조적 금융계약

PDL은 말초신경의 수술적 치료에 대한 연구 및 상용화를 진행하기 위해 AxoGen2,080만달러 승인

2012. 10.

AxoGen의 신규 파이프 라인 기회 모색, 판매 및 마케팅 강화에 기여

Kensey Nash/ Royal DSM

인수합병

DSM은 재생의료 중점적 의료기기 기업인 Kensey Nash를 자회사로 합병한 후 일반 주식을 현금 공개 매수를 통해 모두 인수

2012. 5.

DSM3가지 중점 사업 중 하나인 바이오메디컬 사업 보완·강화 예상

Shire plc/ Pervasis Therapeutics

인수

ShirePervasis Therapeutics의 모든 자산을 인수, Shire의 임상활동, 규제 및 판매 목표를 기반의 예상 비용을 선불로 제공

2012. 4.

Shire는 재생의료 제품에 대한 신기술 플랫폼 및 임상 2상 제품후보군 구축 추진

Cytomedix Inc./ Aldagen

인수

Cytomedix는 북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기업인 주가 4천만달러의 Aldagen를 인수

2012. 2.

CytomedixAldagen의 독점적 세포 셀렉션 기술과 파이프라인을 포함해 혁신적 재생치료에 대한 포트폴리오 확대



주요 기업간 인수·합병·협력 현황(미국기업 중심으로)

뉴스

더보기

부처보도자료

더보기

성과

더보기

연계정보BICS는 바이오 R&D에서 산업화까지 다양한 정보 자료를 수집하여
이용자들이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더보기

연계정보

  • 연구보고서 더보기
    • ntis줄기세포 유래 치아형성 세포원 확보 및 분화 고도화 기술 개발
    • ntis손상된 자궁의 상처 회복에 관여하는 인자 및 월경혈 유래 줄기세포의 효능 분석
    • ntis난치성 류마티스관절염 특이 면역조절 기능성 줄기세포치료제 개발 및 최적 공여유전자 마커 발굴
    • ntis치주인대줄기세포 치근 국소부 밀집화 및 분화모델을 이용한 치주조직재생 기전 규명 및 최적화
  • 과제 더보기
    • ntis사람 시상하부 줄기세포 및 엑소좀을 이용한 항노화 기술 개발
    • ntis전분화능 줄기세포 유래 혈소판 대량생산 기술개발
    • ntis인공 적혈구 생산용 무혈청 화학조성 기반 유도만능줄기세포 증식 및 적혈구 분화배지 개발
    • ntis인간 줄기세포 기반 인공혈소판 대량생산공정 기술 개발 및 고도화
  • 논문 더보기
  • 특허 더보기

영상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는 바이오 분야의 전문 지식을 영상 콘텐츠로 제공하여,
바이오 분야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있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