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세포·유전자치료제

세포·유전자 치료제(Cell and Gene Therapy, CGT)는 유전자 또는 세포를 조작해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첨단 바이오의약품을 의미합니다.

세포·유전자치료제

개념

카드뉴스 이미지
카드뉴스 이미지
카드뉴스 이미지
카드뉴스 이미지
카드뉴스 이미지
카드뉴스 이미지
카드뉴스 이미지

세포치료제 (Cell Therapy)

  • 정의 : 체외에서 배양하거나 조작된 살아있는 세포를 환자에게 투여해 손상된 조직이나 장기를 복구하거나 면역력을 증강시키는 치료제

  • 종류 : ( 자가 세포치료제 ) 환자 자신의 세포를 사용하여 거부 반응을 최소화
    ( 동종 세포치료제 ) 다른 사람의 세포를 사용해 대량 생산이 가능하나 , 거부 반응 관리가 필요
    ( 이종 세포치료제 ) 다른 종 ( 동물 등 ) 에서 유래한 세포를 사용하며 , 제한적 사용이 가능

유전자치료제 (Gene Therapy)

  • 정의 : 결함이 있는 유전자를 교정하거나 특정 유전자를 삽입해 질병을 치료하는 의약품으로 , 특히 유전병 및 암 치료에 많이 적용

  • 예시 : 대표적인 사례로 CAR-T 세포치료제가 있으며 , 환자에게서 채취한 T 세포에 암세포를 인식할 수 있도록 유전자를 삽입하여 항암 효과를 극대화

유전자 변형 세포치료제 (Gene-Modified Cell Therapy)

  • 정의 : 체외에서 환자의 세포에 특정 유전자를 삽입 , 삭제 , 교정한 뒤 다시 체내에 주입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

기술 동향

  • (첨단 치료 기술의 발전) CAR-T 와 같은 유전자 변형 세포치료제는 현재 고형암과 혈액암 치료에 적용 중이며 , CRISPR/Cas9 기술을 활용해 면역세포의 기능을 강화

  • (융복합 치료제 연구) 오가노이드와 3D 프린팅을 활용한 조직공학 치료제 개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 조직공학 기술의 발전이 지속

  • (제조 자동화 및 품질 관리) 자동화 시스템과 분산형 제조 공정의 도입을 통해 비용 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목표로 한 연구가 진행 중

산업 동향

  • (시장 성장과 주요 기업의 동향) 글로벌 CGT 시장은 연평균 약 44.1% 성장률을 보이며 암과 희귀질환 관련 파이프라인이 빠르게 확장
    주요 기업들은 기술 인수와 M&A CGT 관련 파이프라인을 확대하고 있으며 , 특히 북미와 아시아 - 태평양 지역에서 활발한 성장이 예상

  • (CDMO 와 플랫폼 기술의 확산) CGT 의 연구개발을 효율화하기 위해 CDMO 와 플러그 앤 플레이 플랫폼을 활용한 협업이 늘고 있으며 , 전반적인 공급망과 벨류체인 형성이 주요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음

  • (국내 산업 정책과 규제 혁신 특구) 한국은 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 지원 확대 및 규제 혁신 특구를 통해 CGT 산업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으며 , 이로써 기업의 연구 및 상업화 속도를 높이기 위한 인프라를 강화

기대 효과

  • (근본적 치료 가능성) 세포와 유전자 수준에서 질병의 원인을 교정하기 때문에 기존 약물로는 해결이 어려운 암 , 유전 질환 , 신경퇴행성 질환 등 난치성 질환에 혁신적인 치료법을 제공

  • (맞춤형 치료) 개인의 유전적 특성과 질병 상태에 따라 맞춤형으로 치료할 수 있어 효과적이고 장기적인 치료가 가능

  • CGT " 원샷 치료 " 라는 목표로 한 번의 치료로 장기적인 효과를 기대하며 , 의료계에서 질병의 근본적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혁신적 접근법으로 주목

출처



지식

더보기
  • BioINwatch유전자세포치료제(GCT) 비용 절감을 위한 모델

        유전자세포치료제(GCT) 비용 절감을 위한 모델 BioINwatch(BioIN+Issue+Watch): 24-62   ◇︎미제니퍼 다우드나 교수(2020년 크리스퍼 유전자편집기술로 노벨 화학상 수상)를 비롯한 동료들은 고가의 치료 비용으로 환자의 접근이 매우 제한적인 유전자세포치료제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한 모델(가격 책정, 조직 간 협력)을 제안    ▸︎주요 출처 : Nature, A roadmap for affordable genetic medicines, 2024.7.17   ∎︎바이오의약품 시장의 중심축으로 자리 잡고 있는 유전자세포치료제(GCT, Gene and Cell Therapy)에 대한 환자 접근성 제고를 위한 모델을 제안 ◯︎유전자세포치료제(GCT)는 유전적인 변이를 수정하거나 손상된 세포를 대체하는 방식을 통해 기존의 치료법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질병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어 현대 의학의 혁신적인 치료기술로 부상 - 암, 유전질환, 희귀질환 등을 치

    2024-09-24

    썸네일 이미지
  • BioINwatch고형암 치료를 위한 새로운 면역세포치료제

     고형암 치료를 위한 새로운 면역세포치료제 BioINwatch(BioIN+Issue+Watch): 24-57 ◇ 세계 최초의 고형암 세포치료제 ‘리필류셀’의 승인을 계기로 살아 있는 치료제(living drug)로서 종양 침윤 림프구(Tumor infiltrating lymphocytes, TILs)를 이용한 항암 면역세포치료제를 주목. 전체 암의 90%에 달하며 미충족 수요가 높았던 고형암 치료에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  ▸주요 출처 : Science, Lymphocytes as a living drug for cancer, 2024.7.5 1. 개요 ■ 미국 FDA는 세계 최초의 고형암 면역세포치료제인 ‘리필류셀(lifileucel, 상품명: 암타그비)’을 가속 승인 ○ 리필류셀은 전이성 흑색종*을 치료하는 종양 침윤 림프구(Tumor infiltrating lymphocytes, TILs)**로, 가속 승인으로 판매 허가를 획득(2024.2.16.)      * 멜라닌 세포

    2024-08-30

    썸네일 이미지
  • BioINpro[바이오 신약] 세포·유전자치료제(CGT) 개발 동향

     바이오 신약(Biologics) 세포·유전자치료제(CGT) 개발 동향   서형석 /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교수 ◈ 목차 1.바이오의약품(항체·단백질 의약품) 개발의 시작 2.첨단 바이오의약품(세포치료제·유전자치료제) 개발 3.Chimeric Antigen Receptor(CAR) T 세포치료제 기술: 항암면역치료제 4.대한민국에서 CAR-T 세포치료제 허가 및 임상 현황 5.세포·유전자 치료의 미래 ◈본문 1. 바이오의약품(항체·단백질 의약품) 개발의 시작 바이오의약품 산업은 1990년대 초부터 급격히 성장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는 항체와 재조합 단백질 기반의 면역치료제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고 시장에 출시되었다. 특히, 프로류킨(Proleukin)과 같이 인터류킨-2(IL-2)를 이용한 재조합 단백질이나, 백혈구 감소증을 치료하는 류코맥스(Leukomax)와 같은 의약품이 개발되어 생체 내 존재하는 단백질을 체외에서 합성하고 이를 의약품으로 활용하는 길을 열었다(

    서형석/서울대학교 약학대학

    2024-08-23

    썸네일 이미지
  • BioINglobalAI 활용을 통한 세포 및 유전자 치료제(CGT) R&D의 가속화 방안

        [BioINglobal No.72] AI 활용을 통한 세포 및 유전자 치료제(CGT) R&D의 가속화 방안 작성자 : 김지예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출처: McKinsey & Company. 2022. 11. ※ 본 원고는 원본 원고의 내용을 중개하여 각색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원제 : How AI can accelerate R&D for cell and gene therapies), https://www.mckinsey.com/industries/life-sciences/our-insights/how-ai-can-accelerate-r-and-d-for-cell-and-gene-therapies ◈ 목차 1. 세포 유전자 치료제 신규 모달리티 전망 2. 신규 치료제 모달리티 R&D에 AI 적용 시 발생하는 3가지 주요 과제 3. 신규 치료제 모달리티 R&D 관련 AI 사용 사례 4. 새로운 AI 기회의 올바른 활용: 파트너십과 내부화의 균형 조정 5. 앞으로

    2023-11-16

    썸네일 이미지
  • BioINpro[바이오신약] 고형암 치료의 게임 체인저: CAR-M 세포치료제의 연구 및 임상 동향

        [바이오신약] 고형암 치료의 게임 체인저: CAR-M 세포치료제의 연구 및 임상 동향 박희호 / 한양대학교 생명공학과 부교수   ◈ 목차 1. 개요 2. CAR의 구조 및 CAR-T 치료의 문제점   가. CAR의 구조   나. CAR-T의 세대(1st~4th generation)와 임상 결과 3. CAR-Macrophage 연구 동향   가. CAR-M의 고형암 적용 가능성   나. CAR-M 임상 현황   다. 연구동향 4. 결론 및 시사점     ◈본문 1. 개요    최근, 생명공학 기술의 비약적 발전으로 불치병으로 여겨지던 고형암을 치료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Nivolumab(제품명:OPDIVO®), Pembroblizumab(제품명: KEYTRUDA®)으로 대표되는 ICI(Immune Checkpoint Inhibitor)의 개발은 체내 면역계를 이용한 면역항암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1], 이후 CAR-T, CAR-NK 등 직접적인 유전자 개

    박희호/한양대학교 생명공학과 부교수

    2023-08-14

    썸네일 이미지
  • BioINdustry글로벌 세포·유전자치료제(CGT) 시장 전망

        [BioINdustry No.182] 글로벌 세포·유전자치료제(CGT) 시장 전망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연구원 김서희, 연구원 김민정 ※ 본 보고서는 Frost and Sullivan에서 발간한 ’Global Cell and Gene Therapy(CGT) Growth Opportunities (2022.8)’ 보고서 등을 참고로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 재구성한 것임   ◈ 목차 1. 개요  1) 세포·유전자치료제의 정의  2) 세포·유전자치료제 기술의 특징 2. 시장환경 분석  1) 세포·유전자치료제 시장생태계  2) 세포·유전자치료제 관련 정책 현황 3. 시장 규모 및 전망  1) 글로벌 시장현황 및 전망  2) 주요 기업 동향 4. 세포·유전자치료제 성장전략  1) 성장동인 및 저해요인  2) CGT 시장 성공 전략   【요약문】 □ 세포·유전자치료제(Cell and Gene Therapy, CGT)는 시장 내 미충족 수요를 해결하고 개인 맞춤의 정밀 치료를 가능하

    2023-07-03

    썸네일 이미지
  • BioINwatch미국 FDA, CAR-T 세포치료제 등 제품 개발을 위한 지침 초안 발표

        BioINwatch(BioIN+Issue+Watch): 22-43 미국 FDA, CAR-T 세포치료제 등 제품 개발을 위한 지침 초안 발표 ■ FDA는 산업계를 위한 “CAR-T 세포 제품 개발에 대한 고려사항”이라는 포괄적인 지침 초안을 발표(2022.3.16.)  ○ CAR-T 세포는 암세포에 존재하는 특정 항원에 대한 수용체를 발현하도록 외인성 유전자가 도입된 T 세포    - 지침 권장 사항은 CAR-T 세포 제품에 중점을 두고 있으나 유전자 변형 림프구(CAR-NK; 키메릭 항원 수용체 발현 자연살해세포, TCR-modified T; T 세포 수용체 변형 T 세포 등) 제품 대부분 적용 가능    ※ 지침에서 권장하는 것 이상의 고려사항을 논의하기 위해서는 IND 제출 전 생물의약품평가연구센터(Center for Biologics Evaluation and Research, CBER) 조직·첨단치료부서(Office of Tissues and Advanced Thera

    2022-06-28

    썸네일 이미지
  • BioINwatch항암세포치료제 파이프라인의 지속 확대

      BioINwatch(BioIN+Issue+Watch): 21-62  항암세포치료제 파이프라인의 지속 확대 ◇  전 세계 2,073개의 항암세포치료제 R&D 파이프라인(2021. 4월 기준)이 있으며, R&D 및 임상 파이프라인의 꾸준한 증가로 암 극복을 위한 세포치료제의 가능성 제고     ▸주요 출처 : Nature Reviews Drug Discovery, The clinical pipeline for cancer cell therapies, 2021.6.4  ▣ 올해 초, 미국 FDA는 새로운 타겟을 항암 표적으로 하는 CAR-T (키메라항원수용체) 세포치료제를 승인(2021.3.5)  ○ BMS의 Abecma(Idecabtagene vicleucel)는 다발성골수종치료를 위한 BCMA(B cell maturation antigen)을 타겟으로 하는 CAR-T 치료제로,   - 이전에 FDA 승인을 받은 CAR-T 치료제 4개*는 모두 CD19을 표적으로 하는 항암세포치료제

    2021-09-07

    썸네일 이미지

발간

더보기
  • 썸네일 이미지 연구 보고서바이오의약품 기술개발 동향(유전자치료제를 중심으로)

    1. 유전자치료제 기술개요 유전자치료제의 적용범위는 넓고 치료법의 한계에 도달한 암 및 심혈관질환 등의 난치성 질환 분야에 가능성이 높은 치료법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유전자치료제 산업은 이러한 각종 난치성 질병을 근원적으로 치료하는 신산업으로서 유전자 지도가 완성되고 각종 유전자의 기능이 밝혀지면서 더욱 활성화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가. 유전자치료제란? 1) 유전자치료제의 정의 및 특징 □ "유전자 치료"란 고전적인 의미에서 유전자 이상에 기인하는 질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정상유전자를 환자의 체내에 도입하여 치료하는 기술을 말하며, 보다 광범위하게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음 ○ "유전자 치료"란 세포에 유전자를 도입하여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방법을 의미하며, 암 심혈관질환, 선천성 유전병 등의 소위 난치성 질환으로 분류되는 대부분의 질환이 치료대상이 됨.......계속       ★ 첨부파일 다운로드가 안되시는 이용자께서는 아래 링크를 클릭하세요~!   바이오의약품 기술

    기술동향2009-2(총서 제120권)

    2010-03-02

  • 썸네일 이미지 연구 보고서세포치료제 관련 국내 미진입 특허 분석을 통한 국내 공백기술에 관한 연구(성체줄기세포를 중심으로)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세포치료제’ 관련 국내․해외특허를 검색 및 분석하여 ‘세포치료제’ 관련 기술에 대한 국내의 기술 실시권 및 특허권을 확보하여 국내의 ‘세포치료제’ 관련 기술시장을 보호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함 [목적설정의 배경] ○ 세포치료제는 직접적으로 인체에 적용하는 특성으로 인해 상용화 및 상품화하는데 가장 중요한 과정은 바이오안전성을 평가하는 부분임 ○ 세포치료제는 배아줄기세포를 포함하여 수정란 생산 및 이식 등 생명윤리에 대한 제도적․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중요한 부분임 ○ FDA와 같은 해외의 엄격한 규정․제도의 제약 속에서 세포치료제 산업화를 위한 수출보다는 국내에서 치료환경을 형성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수 있음        

    특허맵2006-3(총서 제32권)

    2006-03-30

  • 썸네일 이미지 연구 보고서세포치료제

    가. 정의 ○ 세포치료제란 자가(autologous), 동종(allogenic) 또는 이종(xenogenic)으로부터 얻은 조직이나 세포를 조작, 분리배양, 분화시켜 질환으로 손상된 장기나 인체부위에 이식 또는 대체하는 기술 ○ 직접적인 세포 주입으로 손상된 세포의 기능이나 조직을 회복하는 기술과 수지상세포(Dentritic cell) 또는 자연살해세포(Natural killer cell) 등을 주입하는 항암치료법으로 분류

    기술동향2005-3(총서 제16권)

    2005-05-21

  • 썸네일 이미지 연구 보고서항암 세포치료제

    [특허맵작성배경및필요성]   ● “세포치료제제조기술개발”은 생명공학분야의 차세대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한 대상으로, ● 생명공학기술 발달과 더불어 현재까지 효과적인 치료법이 개발되지 않은 난치질환에 대한 새로운치료기술로서 세포치료법이 개발되고 있음. ● 세포치료와 관련된 세계시장 규모는 기술의 보편적인 상용화 단계라고 할 수 없는 단계로서 2000년 1억달러 미만의 시장이 형성된 것으로 추정될 정도의 시장형성의 초기단계이지만, ● 세계적인수요가막대할것으로예상되어매우급속한속도의기술발달이이루어지는분야로서, 2010년에는약150억달러 규모의 세계시장이 형성되어 연평균66.7%의 고속성장이 일어나는 시장이 형성될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특허맵2004-3(총서 제3권)

    2005-01-20

동향

더보기

차트+

더보기

거래일

인수기업

피인수기업

거래가치(M)

세부내용

2022128

Oxford Biomedica

Homology Medicine’s

175.0

미국내 AAV 제조 혁신사업

2022203

Intellia Therapeutics

Rewrite Therapeutics

200.0

Rewrite TherapeuticsDNA쓰기 플랫폼 추가를 통한 Intellia의 게놈편집 기능 확장

20211222

Novartis

Gyroscope Therapeutics

1,500.0

망막 질환 및 유전자 치료 전문성강화를 위한 Vedere Bio Arctos Medical 인수

2021702

Sartorius

CellGenix

118.5

성장인자, 사이토카인을 포함한 세포배양 배지 관련 포트폴리오 확장

2021504

Athenex

Kuur Therapeutics

185.0

CAR-NKT플랫폼을 기성품으로 세포치료제 개발 확대

2021517

Charles River Laboratories

Vigene Biosciences

350.0

유전자 치료제 기술 인수

2021622

uniQure

Corlieve Therapeutics

298.3

측두엽간질 치료를 위한 유전자치료제

2021617

Danaher

Aldevron

9,600.0

CRISPR 기반 유전자치료, Plasmid DNA, 단백질, mRNA 포트폴리오 추가

2021309

Takeda Pharmaceutical

Maverick Therapeutics

Inc.

525.0

조건부 활성 이중특이성 T세포 플랫폼 확보를 통한 면역항암제 포트폴리오 확장

2021323

Beam Therapeutics

Guide Therapeutics

440.0

LNP스크리닝 기술과 지질 라이브러리 유전자편집의 생체내전달을 우히나 다양한 조직의 확장 타겟팅을 지원

2021217

Charles River Laboratories

Cognate BioServices

875.0

CDMO 기업인수를 통한 CGT제조 능력 확보

세포·유전자치료제 주요 M&A 사례(‘21년~’22년 1분기)

뉴스

더보기

연계정보

  • 연구보고서 더보기
    • ntis난치성 류마티스관절염 특이 면역조절 기능성 줄기세포치료제 개발 및 최적 공여유전자 마커 발굴
    • ntis세포 오가노이드 기반 요소 회로 결핍 질환 ex-vivo 유전자 치료제 개발
    • ntis혈중종양세포기반-다중유전자 패널을 통한 전립선암의 스크리닝, 위험도분류, 항암치료제의 약물 저항성 및 예후를 예측하는 바이오마커 발굴
    • ntis유전자 교정을 통한 A형 혈우병 환자 유래 역분화줄기세포 (iPSC)의 세포치료제 비임상 연구
  • 과제 더보기
    • ntis편평세포암의 단계적 발전에 따른 연속적 유전체 분석을 통한 질환 연관 바이오 마커 발굴과 유전자 기반 국소 치료제 개발
    • ntis고형암 치료목적의 유전자세포치료제 후보물질 확보
    • ntis난치성 혈액암, 고형암 타겟 유전자 세포치료제 개발을 위한 고기능성 CAR-T 플랫폼 기술 개발
    • ntis면역세포치료제 개발/생산을 위한 고처리(1,000만개/분) 세포유전자 전달 미세유체 시스템 개발
  • 논문 더보기
    • ntisComparison of Xeno and Xeno-free Culture Condition on Human MSCs and iPSCs
    • ntisPlasmid DNA 기반 유전자 치료제 순도 분석 시험법 확립에 관한 연구
    • ntisAdenovirus Vector 기반 유전자치료제 순도분석 시험법 확립에 관한 연구
    • ntis신기술 이용 유전자 치료제 개발/평가
  • 특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