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과기정통부 소관 생명연구자원 책임기관 및 기탁등록보존기관 지정

  • 등록일2022-04-25
  • 조회수1541
  • 발간일
    2022-04-22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생명연구자원
  • 첨부파일
    • hwpx 220423 조간 (보도) 과기정통부 소관 생명연구자원 책임기관 및 ... (다운로드 66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바이오 소재 자원 인프라의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 과기정통부 소관 생명연구자원 책임기관 및 기탁등록보존기관 지정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이하‘과기정통부’)는 (재)국가마우스표현형분석사업단과 한국화학연구원 한국화합물은행을 각각 생명연구자원 책임기관과 기탁등록보존기관으로 추가 지정했다고 밝혔다.


 ㅇ 이번 책임기관으로 지정된‘(재)국가마우스표현형분석사업단’은 생명연구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의 관리, 국내외 생명연구자원 관련 기관 및 국제기구와의 정보교류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ㅇ 기탁등록보존기관으로 지정된‘한국화학연구원 한국화합물은행’은 합성화합물 자원의 기탁‧등록 및 보존관리, 관련자원 정보시스템의 구축 및 운영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 과기정통부 소관 책임기관 총 2개, 기탁등록보존기관 총 8개 [붙임3 참조] 

□ 정부는 바이오 연구‧산업 혁신을 뒷받침할 인프라 조성을 위해「국가생명연구자원 관리·활용 기본계획(3차)」을 수립(‘20.5월)하여 바이오 소재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수요맞춤형으로 육성 중이다.

 ㅇ 범부처 소재자원은행을 14대 클러스터*로 재편하여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소재‧정보** 확보와 품질관리를 강화에 힘쓰고 있다
    * 배양세포, 모델동물, 뇌, 미생물, 천연물, 합성화합물, 인체유래물, 줄기세포, 병원체, 축산, 종자, 해양생물, 수산생물, 야생생물
     ** 소재 특성정보 및 파생정보(효능, 활성, 약리, 유전체 정보 등)
 
 ㅇ 또한, 수요자 접근성‧편의성 제고를 위해, 클러스터별 전문포털 연계를 통해 통합 지식검색부터 분양신청 과정이 일괄로 이뤄지는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바이오소재.JPG


□ 과기정통부 김영혜 생명연구자원과장은“세계 생명공학 산업의 급격한 성장에 발맞춰 양질의 자원을 확보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인프라 조성이 시급하다.”고 말하고,
 
 ㅇ “그런 취지에서 이번 생명연구자원 관리 전담기관 추가 지정을 통해 연구‧산업 현장에서 필요한 고품질 바이오 소재를 신속히 확보하고 활용을 촉진할 수 있도록 바이오 연구 소재 인프라를 강화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붙임1│(재)국가마우스표현형 사업단
│붙임2│한국화학연구원 한국화합물은행
│붙임3│과기정통부 소관 책임기관 및 생명연구자원 기탁등록기관 현황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