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제4기 국가나노기술지도 공청회 개최

  • 등록일2023-05-30
  • 조회수1212
  • 분류종합 > 종합,  기타 > 기타
  • 발간일
    2023-05-26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국가나노기술지도# 국가나노기술지도 공청회 #나노기술
  • 첨부파일

 

 

도전적 질문에 대한 나노기술의 응답, 국가나노기술지도 수립을 위한 대국민 의견 수렴

- 제4기 국가나노기술지도(’23~’32) 공청회 개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5월 26일(금),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제4기 국가나노기술지도(’23~’32)」수립을 위한 공청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국가나노기술지도(이하 ‘나노기술지도’)는 「나노기술개발촉진법 제6조 및 동법 시행령 제5조」에 의거하여 기술개발 전략의 수립, 연구개발 투자방향의 설정 등을 위해 ’08년부터 5년마다 수립하고 있는 법정계획이다.


’08년 제1기 나노기술지도 이후 나노기술은 기반기술(나노소재, 공정·분석·장비, 나노안전성)로부터 정보전자, 에너지, 환경, 바이오 등 수요분야의 범위를 확장해가며 점진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예를 들어, 탄소나노튜브(CNT)는 ’00년대 초반 반도체, 디스플레이, 복합소재 등 다양한 수요 잠재 분야에 시도되어 왔으며, 결과적으로 리튬이온전지 전극 도전재로 상용화되어 성장 중이다.


이번 제4기에서는 나노기술이 딥테크(Deep Technology)*라는 특장점을 살려서 그간 축적한 나노기술 R&D역량 활용을 극대화하고자 한다.

* 첨단 과학·공학 기반을 두고, 오랜 연구와 상업화 시간에 따른 대규모 투자가 소요되나, 주요 산업분야 및 사회 문제해결 등에 활용되어 파급력이 매우 높은 기술


이를 위해 과기정통부는 2022년 4월부터 과기정통부를 주관부처로 하여 관계부처·유관기관·나노기술전문가들로 구성된 수립위원회와 나노기술 분야 산·학·연 전문가들로 구성된 5개 기술분과위원회*를 운영하며 나노기술지도(안)을 마련하였다.

* 나노정보전자, 나노에너지, 나노환경, 나노바이오, 나노기반


특히 국내외 주요 정책동향과 빅데이터 분석 기반 글로벌 이슈 탐색을 기반으로 하여 전문가 검토를 통해 국가 현안 및 미래 선도를 위한 도전적 질문(Big Questions)을 선정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나노기술의 역할(NANOtech Challenge) 도출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또한 주요 나노기술분야 지원역량 강화 및 전문인력 양성, 관련 법·제도 정비 추진 등을 통해 나노인프라 혁신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이번 공청회는 나노기술지도(안)에 대한 산·학·연 전문가 의견을 폭넓게 반영하기 위해 마련하였다. 이번에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관계부처 의견 수렴 등을 통해 나노기술지도(안)을 수정·보완한 후, 6월 중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운영위원회* 심의를 거쳐 확정할 예정이다.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법」 제7조에 근거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의 산하 위원회로서, 심의회의 안건의 사전검토, 위임안건의 심의 등을 수행


과기정통부 구혁채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기술패권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시대에서, 도전적 질문을 통해 국가 연구개발의 임무를 명확히 하는 기술개발 전략의 수립이 필요한 시점이다.”라며, “본 공청회을 통해 나노분야에서 성과 창출을 가속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발전방향이 논의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