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2022년 국내 바이오 산업 역대 최대 규모
- 등록일2023-12-08
- 조회수2812
- 분류종합 > 종합, 서비스 > 바이오서비스
-
발간일
2023-12-07
-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 원문링크
-
키워드
#바이오산업#국내#실태조사
- 첨부파일
2022년 국내 바이오 산업 역대 최대 규모
- 「2022년 기준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결과 발표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방문규, 이하 산업부)와 한국바이오협회(회장 고한승)는 바이오기술을 이용한 제품 및 서비스의 생산, 수출입, 고용 및 투자 현황 등을 조사한‘2022년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결과를 발표했다.
동 조사는 통계법 제3조에 따라 실시하며 산업부가 한국바이오협회를 통해전년도 바이오산업 실적을 기준으로 매년 발표하는 국가통계이다. 바이오 기술이 기존 의약품 및 식품 분야 이외에도 화학 및 에너지 분야 등 우리의 일상생활 곳곳에 스며드는 바이오경제 시대가 도래하고 있으며, 이번 조사는 바이오 기술 기반 국내 경제의 규모를 가늠할 수 있다.
실태조사 결과 국내 바이오산업 생산 규모는 23조 4,657억 원으로 전년 대비 9.7% 증가하였으며 지속적인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바이오 수출도 위탁생산(CMO) 및 사료첨가제, 바이오시밀러, 기타 바이오의약제품(보툴리눔 톡신)의 지속적인 수출 증가에 힘입어 전년 대비 12.5% 성장하였으며, 바이오 분야 인력과 투자 규모도 전년 대비 각각 7.8%, 26.2% 증가하였다.
이용필 첨단산업정책국장은 “2022년 바이오산업은 코로나19의 선제적 대응을 계기로 생산규모가 역대 최고액를 기록하였으며, 수출도 13.5조원을 돌파하는 등 크게 도약하였다”면서“앞으로도 지속적이고 미래지향적인 바이오산업의 발전을 위해 기존 산업뿐만 아니라 디지털 치료제, 첨단바이오, 합성생물학과 같은 미래 먹거리에 대한 투자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붙임1 ‘22년도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분야별 세부 결과
<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개요 (‘22년 기준) >
‧ (조사근거) 통계법 제18조에 의한 조사통계 (통계청 승인 제115015호, 2003년)
‧ (조사대상) 국내 1,089개 바이오기업
‧ (조사내용) 생산, 수출입, 고용, 투자 등 설문조사
‧ (대상기간) ‘22.1월 ∼ 12월 (1년간)
‧ (수행기관) 한국바이오협회, 코데이터솔루션
➊ (생산) ‘22년 기준 23조 4,657억원으로 전년 대비 9.7% 증가하였으며 최근 5년간 연평균 22%의 높은 성장세를 시현함
* 연도별 생산규모 : (‘18) 10조 6,067억원 → (’19) 12조 6,586억원 → (‘20) 17조 1,983억원 → (‘21) 21조 3,971억원 → (‘22) 23조 4,657억원
- 바이오의료기기(체외진단 등) 비중이 24.2%로 가장 크며, 바이오의약(바이오시밀러 등)의 비중은 24%로 그 뒤를 따름
- 이외에도 바이오서비스(CMO 등)와 바이오화학·에너지(바이오연료 등)가 각각 전년대비 32.6%, 24.2% 증가하여 생산 확대 견인
➋ (수출입) ‘22년 기준 △수출은 13조 5,189억원으로 전년 대비 12.5% 증가하였으며, △수입은 4조 2,466억원으로 전년대비 11% 감소함
- (수출) 체외진단기기 수출 감소에도 불구하고 바이오의료기기(12.9%↓)가 전체 수출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고, 바이오서비스와 바이오식품, 바이오의약 분야 수출이 각각 전년대비 93%, 20.1%, 8.6% 증가하며 수출 증가 견인
- (수입) 전체 수입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바이오의약이 코로나19 엔데믹 영향으로 감소(15.4%↓)하였으나, 바이오화학·에너지와 바이오장비및기기 분야는 전년대비 각각 17.4%, 28.2% 증가
➌ (인력) ‘22년 기준 61,152명으로 전년대비 7.8% 증가하였으며, 최근 5년간 7.1%의 지속적인 증가세를 시현함
- 직무별로는 △연구직 7.9% △생산직 5.6% △영업‧관리 등 기타직 9.7% 증가하였으며, 석‧박사급 비중이 25.1%로 고급인력 비중이 높은 편임
* 박사 6.0%, 석사 19.1%, 학사 이하 75.0%
➍ (투자) 총투자는 4조 1,255억원으로 전년대비 26.2% 증가하였고, 특히 시설투자비는 72.8% 증가함
붙임2 ‘22년도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주요결과 (요약)
□ 바이오산업 분류코드[KS J 1009]
□ 바이오산업분야별 생산 및 투자 현황(원화기준)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