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농업생명공학 이야기
- 등록일2012-03-28
- 조회수11988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식품
-
자료발간일
2012-02-01
-
출처
농촌진흥청/김도선 박사외
- 원문링크
-
키워드
#농업생명공학
- 첨부파일
Bioin스페셜 WebZine 2012년 27호
농업생명공학 이야기
- 생명의 신비로 인간을 풍요롭게 -
농촌진흥청 김도선 박사
목차
요약
Ⅰ. 생명공학의 시대
Ⅱ. 미래농업에 대한 도전
Ⅲ. 시사점
≪ 요 약 ≫
생명공학은 자연의 속성을 탐구하던 생물학에서 시작되어, 시대의 발전에 따라 여러 분야의 기술이 융·복합되면서 발달되어 왔다. 최근에는 고령화와 환경, 에너지, 식량위기 등 인류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할 유망한 기술로 평가받으며, 의약 등의 보건 분야를 비롯, 에너지, 농업, 전자, 환경 등으로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농업 생명공학기술은 식량 확보라는 농업 본연의 가치 외에 농업의 외연확대와 고부가가치 산업화를 이루는 원동력으로, 세계 각국은 생명공학 산업화를 위한 노력을 활발히 진행 중이다.
생명공학기술은 의약 분야의 Red Bio-Tech, 농식품 분야의 Green Bio-Tech, 바이오 에너지 등의 White Bio-Tech로 분류될 수 있다. 우선 《Red Bio-Tech》① 동물 바이오 장기·신약은 사람의 장기를 대체하는 바이오 장기의 생산과 동물의 몸에서 유용 물질을 생산해내는 바이오의약품 산업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② 동물 유전체 육종 분야는 인간에게 유용한 형질을 지닌 맞춤형 가축을 단기간에 육성하는 방향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곤충을 이용한 신물질 소재산업으로도 발전하고 있다. ≪ Green Bio-Tech》③ 전통육종에 생명공학기술을 적용한 식물 분자육종은 무궁한 가치를 지닌 종자산업의 발전을 가속화하는 기술로 부각되고 있으며, ④ 형질전환 작물의 실용화 분야는 특정 유전자를 도입하여 유용형질을 나타내는 GM작물의 개발을 통해 고부가가치 창출에 기여할 전망이다. ⑤ 세계시장의 웰빙 트랜드에 맞추어 농생명 공학을 이용한 식의약 소재의 활용이 증가되고, 식사만으로도 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패러다임이 도래하고 있다. 《White Bio-Tech》⑥ 차세대 유전체(게놈) 분야에서는 DNA 염기서열을 파악하여 생명의 기본 설계도를 밝히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⑦ 시스템 합성 생물학은 체내 기능의 연관관계를 밝히기 위하여, 통합적이고 체계적 접근을 통해 개별 유전자 수준이 아닌 집합 시스템 수준의 생명 현상을 설명하고자 한다.
현대 인류의 난제를 해결할 핵심 기술이자 농업의 고부가가치 산업화를 이루어낼 생명공학기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1) 바이오 경제 시대에 대비한 인식의 전환을 통해 농업의 새로운 가치를 파악하고, (2) 100년 먹을거리를 만들 10년 대계(大計)라는 개념 으로서 기후변화와 시장개방 등으로 위협받고 있는 식량을 확보하기 위한 체계적인 육성계획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3) 바이오 산업과 관련, 국민 정서를 고려한 신중한 접근을 통해 국민안전과 경제적 가치창출을 조화롭게 이루어낼 수 있는 지원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4) 국가 중심의 생명공학 육성 추진전략을 강화하여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기술 개발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동향
- 제도동향 국가별 바이오안전성 동향: 아프리카 지역 2021 2021-11-24
- 정책동향 Independent Assessment of the Agricultural Technical Cooperation Working Group and High Level Policy Dialogue on Agricultural Biotechnology 2012-09-10
- 산업동향 식물공장·빌딩농장 등 ‘눈에 띄네’ : 세계는 지금 농업 비즈니스 ‘열풍’ 2009-10-01
- 산업동향 ‘식량안보·녹색성장’ 다목적 카드 : ‘한국판 카길’을 꿈꾸는 농업 기업들 2009-10-01
- 제도동향 2008년, 농업생명공학의 다양한 발전 2009-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