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블록체인 기술과 헬스케어 데이터 혁신

  • 등록일2018-05-08
  • 조회수4700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8-04-27
  • 출처
    한국바이오협회 한국바이오경제연구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헬스케어 데이터
  • 첨부파일

 

블록체인 기술과 헬스케어 데이터 혁신

 

 

[목 차]

 

 

- 들어가는 말 
- 블록체인의 등장으로 신뢰에 대시 다시 생각하다
- 30년 암호 통화 역사의 이정표, Bitcoin
- 암호와 블록, 그리고 합의 방식으로 산업 생태계 혁신에 도전장
- 헬스케어의 오랜 숙제: 데이터, 유통
- 헬스케어 혁신을 꿈꾸는 기업들
- 헬스케어 분야에서 블록체인 기술의 가능성과 한계


 

 

 

들어가는 말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자산에 자금이 몰리면서 블록체인 기술은 우리에게 익숙한 이름이 됐다. 최근에는 블록체인 기술의 헬스케어 분야에 대한 적용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기도 하다. 지난 리포트1)에서 블록체인 기술이 바이오헬스산업에 접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봤다. 이번 호에서는 블록체인 기술이 헬스케어 생태계를 혁신하기 위한 문제의식과 기술적인 과제들을 살펴보고 헬스케어 산업에서 블록체인 기술의 가능성과 한계를 가늠해보고자 한다.

 

 

 

 

 


블록체인의 등장으로 신뢰에 대시 다시 생각하다

 

 

 

신뢰는 현대 사회를 유지하는 근간이 되는 개념이다. 신용카드 없이 보내는 하루를 상상하기 힘들 정도로 우리의 경제 활동의 대부분은 디지털 기술과 신뢰를 바탕으로 구축되어 있다. 그러나 인간이 신뢰할 만한 존재인가에 대한 답은 저마다 다르기 때문에 신뢰를 토대로 구축한 체제는 비용을 동반한다. 불완전한 신뢰로 인한 불확실성을 통제하기 위해 “믿을 수 있는” 제삼자를 동원하는 것이 가장 손쉬운 해결책이고 대부분의 상황에서 인류가 지금까지 선택해 온 방식이다. 우리는 은행을 신뢰하고, 은행이 스마트폰 뱅킹 어플리케이션에 보여주는 계좌 잔고 숫자를 신뢰한다. 화폐를 사용하지 않고 앨리스가 밥에게 256만원을 주고 싶다면 앨리스는 은행에게 밥의 계좌로 256만원을 송금하라는 메시지를 보내고, 은행은 앨리스의 계좌 잔고를 확인한 후 256만원을 차감하고 밥의 계좌 잔고에 256만원을 더해준다.2) 앨리스와 밥이 은행을 신뢰하는 한 이들의 거래는 전자적으로 무결하고, 그 무결성을 은행이 담보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