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2017년 사망원인 통계자료

  • 등록일2019-02-18
  • 조회수7031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9-02-18
  • 출처
    국가항암신약개발사업단
  • 원문링크
  • 키워드
    #사망원인#통계자료#국가항암신약개발사업단
  • 첨부파일

 

 

 2017년 사망원인 통계자료

 

 

□ 사망원인통계

 

   ○ 이 자료는 통계법과 가족관계의 등록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전국의 읍·면·동사무소 및 시·구청(재외국민은 재외공관)에 접수된 사망신고서를 주민등록지 기준으로 집계한 결과임.

     - 2017년에 발생한 사망 사건에 대하여 당해년도 1월부터 익년 4월까지(16개월간) 신고된 자료를 집계한 결과임.

   ○ 지난 2월에 발표한 「2017년 사망통계(잠정)」은 2018년 4월까지의 지연신고분을 추정하여 작성한 결과로 본 확정통계 결과와는 차이가 있음.

   ○ 사망원인통계는 세계보건기구(WHO)의 사인분류 지침에 따라 원사인(사망에 이르게 한 근원 요인)을 기준으로 집계함.

   ○ 공표방법
     - 보도자료: 자료배포 및 통계청 홈페이지(http://kostat.go.kr)에 게시함.
     - 통계자료: 국가통계포털 KOSIS(http://kosis.kr)에 게시함.

 

 □ 이용 상 주의사항

   ○ 지연신고 반영(‘97~’07년), 과거 자료 보정 등의 시계열정비 실시로 1982년 이후 시계열 자료가 변경되어 기존 공표자료와는 차이가 있음.

   ○ 일부 통계표의 수치는 반올림한 값으로 하위분류의 합이 상위분류의 값과 일치하지 않거나, 원자료로 계산한 값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

   ○ 자살에 대한 내용은『자살보도 권고기준 3.0』(보건복지부, 2018년)에 따라 보도 시 세심한 주의를 요함.

 

 

□ 2017년 사망원인통계 요약  

 

□ 2017년 사망원인통계 결과   
  1. 사망자 수, 조(粗)사망률   
  2. 성ㆍ연령별 사망  
  3. 사망원인 순위   
  4. 주요 사망원인별 사망률 추이   
     가. 사망원인별 사망률   
     나. 악성신생물(암) 사망률   
     다. 순환계통 질환 사망률  
     라. 사망의 외인(사고사 등)에 의한 사망률  
  5. 영아 사망  
  6. 출생전후기 사망  
  7. 모성 사망  
  8. 알코올 관련 사망  
  9. 치매 사망  
  10. 시도별 사망자 수, 조사망률, 연령표준화 사망률  
  11. 시도ㆍ사망원인별 연령표준화 사망률  

 

□ 통 계 표  
  1. 103항목에 의한 성ㆍ연령별 사망률, 2017년 
  2. 주요 사망원인별 사망자 수 및 사망원인 구성비, 2017년  
  3. 주요 사망원인별 사망률 추이, 2007년-2017년  
  4. 연령별 사망원인 순위, 2017년  
  5. 연도별 사망원인 순위, 2007년-2017년  
  6. OECD국가의 연령표준화 사망률  

 

◇ 부   록
◎ 사망원인통계 작성 개요 

 

국내 사망원인 암 동향 자료

 

국내외 암 환자 발생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항암제 개발을 위한 전세계의 투자 규모와 항암제 시장은 계속 증가하고 있음

여전히 우리나라 사망원인 1위가 암으로 인한 사망 (전체의 27.6%, 2017년 10만명당 153.9명으로 2016년 10만명당 153명보다 약간 증가, 참고: 2015년 150.8명)
? 폐암(35.1명), 간암(20.9명), 대장암(17.1명), 위암(15.7명), 췌장암(11.3명) 순으로 높음

(비교) 2위인 심장질환 : 인구 10만명당 60.2명 (2016년 : 58.2명, 2015년 : 55.6명)

 

 

사망원인.jpg

참조 : 통계청 자료 첨부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