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러시아 동물의약품 시장, 어떻게 공략할까

  • 등록일2020-08-13
  • 조회수4823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러시아 동물의약품 시장, 어떻게 공략할까

최진형 (러시아 모스크바무역관)

- 동물용 살충제, 백신 개발 등을 공략해야 -
- 축산 및 낙농업 발전 프로젝트 참여, 수의학 인력 교류 및 기술 협력으로 진출 다변화 -
 
러시아 동물의약품 시장은 진단용, 치료용, 백신(예방)으로 구분하고 있다. 러시아 동물의약품 시장은 수입의존도가 여전히 높고 고품질 제품과 백신 제품 시장 세그먼트 발전도가 유럽 수준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러시아 동물의약품 시장은 최근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이와 관련 축산 및 낙농업 발전 인프라 프로젝트 참여, 수의학 인력 교류 및 기술 협력, 동물의약품 현지화 프로그램 참여 등으로 진출 방법을 다변화할 필요가 있다.
 
 
러시아 동물의약품 일반 개요
 
대표적인 동물의약품으로는 살충제, 복용 및 주사 백신약, 항생제를 포함한 치료제 등이다. RNC(러시아 동물의약 전문분석기관)에 따르면 2019년 기준 러시아 동물의약품 판매 규모는 206억 루블(약 3억2000만 달러)이며, 패키지 기준으로 1억1000만 패키지가 판매됐다.

 

 

 

아이템

HS Code

설명

이미지

살충제

380891

동물의 체내외에 기생하는 곤충을 죽이기 위한 살충제

1.png

수의학 백신 및

주사제

300230

백신의 범위는 소, 돼지, 토끼, 말 등의

각종 질병에 대한 대항성분 포함

 

주사는 렙토스피라병, 대장균속, 파라티푸스열, 단독(erysipelas) 등의 예방을 목적으로 사용

2.png

항생제 함유 약품

300420

동물 및 조류용 항바이러스제 및 동물 체내외 사용을 위해 동물조직에서 추출된 생리활성제를 함유한 생물제제

3.png

일정투여량 의약품

300490

4.png

 

러시아 관구별로 동물의약품의 최대 도매 유통 지역은 중앙시베리아이며 2018년 5월~2019년 4월 57억 루블(약 9040만 달러) 규모로 유통됐고 러시아 전체 도매 유통의 38%를 차지하고 있다. 러시아 전 지역 기준으로 살충제와 구충제가 가장 큰 규모로 유통되고 있으나 극동 지역은 백신 판매 규모가 살충제 및 구충제를 앞서고 있다.

 

5.png

자료: GMP news

 

러시아 동물의약품 시장의 수입 의존도는 아직까지 높은 편으로 약 62%이다. 러시아로 수출 중인 동물의약품 제조사는 총 92개 사이며 국가별로는 미국 제조사 비중이 가장 높다. 러시아 현지 제조사는 94개 사로 파악되며, 현지산 보급률은 약 38%이다. 2020년 1~5월 러시아 동물의약품 수입 규모는 113억 루블(2020년 상반기 평균환율 적용, 약 1억6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3%가 감소했다. 한편 러시아는 동물의약품 수입이 소폭 감소한 반면 동물사료첨가제는 증가 추세로 2020년 1~5월 169억 루블(약 2억4000만 달러)를 기록했고 전년 동기 대비 12.9% 증가했다.

 


6.png

 자료: GMP news

 
2016 - 2020년 5월, 러시아 수의약품 및 사료 첨가물 수입규모 역학관계(EAEU 국가 출하 제외)

 


7.png

 자료: RNC Pharma

 

최근 러시아 루블화 가치 절하로 수입의존도가 높은 상품은 가격이 올랐거나 시장 규모가 축소됐으나 축산업 의약품 시장 규모는 오히려 증가했다. 다만 애완동물용 의약품 시장은 2020년 상반기 동안 전년 동기 대비 21% 감소했다. 축산업 의약품 시장은 해당 기간 4.2% 성장했고 수입은 축산업과 애완동물용 모두 증가했다. 한편 러시아 동물의약품 제조사를 포함한 유통기업 수는 2020년 초에 103개사까지 증가했고 상위 20대 사의 유통 규모도 상승했다. 예를 들어 라트비아 기업인 Gigi사의 유통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9.2배 증가했고 인도 기업 Ashish Life Science사의 유통 규모는 5.1배 증가했다.

 

 

러시아 동물의약품 수입 분석

 

러시아 동물의약품 관련 품목 수입 HS 코드는 380891(살충제), 3002230(동물용 백신), 300420(동물 치료제 및 항생제),300490(동물 복용 약품) 등이다. 러시아의 최대 살충제 수입국은 중국(2020년 기준 16% 수입 점유)이고 두 번째 규모 수입국은 독일(15.55% 점유)이다. 한국은 해당 기간 1.84%를 점유했고 전년 동기 대비 수입 증가율은 0.53%이다. 러시아의 전체 살충제 수입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0.47% 감소했다.

 

러시아 동물의약품 수입 품목 중 2019년 크게 수입이 증가한 품목은 동물 백신류로 증가율은 25.39%이었다. 2020년 1~5월 중에는 다소 감소했으나 수입국 중 점유율이 가장 큰 국가는 네덜란드로 2020년 1~5월 26.82% 비중을 보였다. 두 번째 점유 국가는 미국(14.09%)이고 한국은 1.02% 점유율로 순위는 14위였다. 다만 한국의 전년 동기 대비 수입 증가율은 212.79%을 기록했다. 동물 치료제와 복용 의약품의 한국 수입은 매우 미미한 수준으로 2020년 1~5월 동안 수입국 순위는 24위와 49위였다. 그러나 동물 치료제 수입 증가율은 23.86%로 러시아 전체 수입이 33.34% 감소했다는 점에서 긍정적 수치를 보였다.

 

 

표.PNG

자료: 러시아 연방 관세청, Global Trade Atlas
 
러시아의 상위 10대 동물의약품 제조사 중 오직 3개사만이 순수 러시아 기업으로 알려져 있다. 2019년 기준 러시아 제조사 중 AVZ사가 선도 기업이며, 시장 점유율은 8.9%, 상위 10대에서 2위를 기록했다. AVZ사가 유통업까지 포함하면 러시아 전체 유통 규모의 16%를 차지하고 있다. 제조업으로 AVZ사 다음으로 규모있는 러시아 기업은 Apicenna(6위)와 Skiff사(10위) 이다.
 
러시아의 외국계 벤더 기업으로 미국 기업들이 전체 시장의 31.5%(금액 기준)를 차지하고 있고 패키지 기준으로는 16.1%를 차지하고 있다. 해당 미국 기업들 중 MSD가 2019년 기준 시장점유율이 가장 크며, 금액 기준으로 16.9% 비중이고 패키지 기준으로 6%를 차지하고 있다. 다음으로 큰 규모의 미국 기업은 Zeotis로 금액 기준 시장 점유율은 8.5%이며, 패키지 기준으로는 6.4%를 점유하고 있다. 상위 3위와 4위, 8위는 독일 기업(Bayer Animal Health, Boehringer Ingelheim, Neoterica)이고 8위는 슬로베니아 Krka사도 러시아 시장에서 잘 알려진 기업이다.
 
 
러시아 동물의약품 시장 상위 10대 기업 및 시장 점유율 러시아 동물용 의약품 생산 상위 10개 기업
(단위: %)

표2.PNG

 

자료: RNC Pharma, 각 기업 웹사이트
 
러시아 주요 현지 벤더

표3.PNG

자료: 기업 웹사이트, Spark-Interfax
 
 
러시아 주요 외국계 벤더
(단위: 달러)

표4.PNG

자료: 기업 웹사이트, Spark-Interfax
 
 
러시아 동물의약품 유통 구조
 
러시아 동물의약품 시장의 일반적인 유통 구조는 현지 대형 유통사를 통한 유통뿐만 아니라 마케팅 홍보를 병행하는 방식이다. 이런 경우는 현지 대형 유통망과 딜러망이 잘 연결돼 있는 경우이다. 다음으로 선호되는 유통 구조는 러시아에 대표 사무소를 설립해 직접 마케팅 홍보를 병행하고 현지 유통망을 구축하거나 직접 유통하는 방법이다. 이런 경우는 현지의 다수 유통 거래선을 구축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나 EAEU 인증을 직접 취득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글로벌 동물의약품 제조사들은 러시아 수입대체화 정책에 부응하는 진출 방식을 선택하고 있다. Merck & Co.사의 진출이 대표적인 사례이며, 투자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최근 러시아 현지 기업의 M&A로 진출하거나 현지 공장을 임대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예를 들어 독일의 Neoterica GmbH는 러시아 현지 기업 Ekoprom사의 공장을 장기 임대해 일부 동물의약품을 현지에서 생산하고 있다.
 
유통 구조

untitled.png

 

 

 
시사점
 
Zoetis사의 Christina Garlaite 대표에 따르면 러시아 동물의약품 시장은 수입의존도가 여전히 높고 고품질 제품과 백신 제품 시장 세그먼트 발전도가 유럽 수준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러시아 동물의약품 시장은 최근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고 축산업 생산성 제고와 애완동물 시장 확대가 그 배경임을 강조하고 있다. 한편 인간뿐만 아니라 동물도 여러 차례 팬데믹을 경험하면서 백신 수요가 급증하고 있고 Zoetis사는 가금류와 양돈(돼지) 시장을 타깃으로 제품 생산을 주력하고 있다.
 
Zoetis사에 따르면 러시아 동물의약품 시장의 백신 개발은 다소 부진한데 특히 가금류 중 조류 혈우병 및 빈혈 전염병 백신, 양돈 위축비염 백신, 돼지 유행성 폐렴 백신, 돼지 장독소혈증 예방 백신, 젖소 유방염 백신 등이 현지에서 생산되지 않는다. 한편 러시아 수의사 훈련 과정과 과학 연구원 양성 과정 프로그램도 필요한 상황으로 혁신기술개발 인프라 구축을 위해 교육 과정은 필수라고 강조했다.
 
경제적 어려움에도 애완동물 관리 및 치료를 매우 중요시하는 러시아 문화 특성상 애완용 동물의약품 시장을 공략해 볼 만한 상황이다. 그리고 축산 및 낙농업 발전 인프라 프로젝트 참여, 수의학 인력 교류 및 기술 협력, 동물의약품 현지화 프로그램 참여 등으로 진출 방법을 다변화할 필요가 있다.
 
  ㅇ 수입관세 및 인증

아이템

HS Code

수입관세

인증

살충제

380891

5%

-농림부 허가증(EAEU와의 살충제 수출입 시 필수 문서)

수의학 백신 및

주사제

300230

3%

- 러시아 연방 정부령 489(2019424)

· '수의학용 백신 및 변성독소' 항목은 의무인증 대상 제품에서 제외

항생제 함유 약품

300420

3%

- Roszdravnadzor(러시아 연방 보건서비스 관리감독청)의 허가증(의약품, 향정신성 물질의 EAEU와의 수출입을 위한 필수 문서)

일정투여량 의약품

300490

3%

자료: IFCG Analytics & Legislation (https://www.ifcg.ru/en/)
 
 
  ㅇ 관련 유망 전시회

전시회명

2021 AGROFARM 가축 사육 및 번식 국제 전시회

아이템

· 동물 혈통

· 동물용 기계 및 장비

· 사료 및 사료 첨가제

· 가축 사육 제품 처리용 장비 및 기술

· 동물 의약품 스마트팜

장소 및 도시

모스크바, VDNH(Exhibition of Achievements of National Economy),

Pavilion 75, st. Prospekt Mira 119

기간

202133~5

주최

VDNH(Exhibition of Achievements of National Economy)

웹사이트

http://agrofarm.vdnh.ru/en/


 

전시회명

2020 SEYMARTEC 우유, 낙농업 경제 및 기술 효율성 전시회

아이템

· 낙농업 디지털 및 로봇화

· 생산 현대화

· 스마트 사료공급 및 사료 수확기

· 유전자 기술, 번식기술, 건강관리

· 소 가축 관리 및 동물 의약품

장소 및 도시

모스크바, Renaissance Moscow Monarch Centre hotel

기간

202099

주최

Seymartec LLC

웹사이트

https://seymartec.ru/en/milk-2020/

 

자료 : 러시아 동물의약품 관련 보고서 및 언론(The DairyNews, Zoetis Company in the Russian market https://www.dairynews.ru/interview/intervyu-s-kristinoy-garlayte-generalnym-direktoro.html / 37.7% is the share of Russian veterinary drugs in the total volume of purchases by households in 2019 /https://gmpnews.ru/2020/02/377-sostavlyaet-dolya-rossijskix-vetpreparatov-v-obshhem-obyome-zakupok-domoxozyajstvami-v-2019-godu/
Veterinary medicine imports in May showed double-digit growth rates for the first time since early 2020 https://gmpnews.ru/2020/07/import-vetpreparatov-v-mae-pokazal-dvuznachnye-tempy-rosta-vpervye-s-nachala-2020-goda/), GMP news (https://gmpnews.ru/tag/veterinarnye-preparaty/page/2/) https://gmpnews.ru/2020/05/roznichnyj-rynok-vetpreparatov-pokazyvaet-minimalnuyu-dinamiku-prodazh/), 러시아 연방 통계청 정보(https://www.gks.ru/folder/210/document/12994), RNC Pharma (https://gmpnews.ru/2020/02/377-sostavlyaet-dolya-rossijskix-vetpreparatov-v-obshhem-obyome-zakupok-domoxozyajstvami-v-2019-godu/), Spark Interfax(기업정보 유료서비스), 러시아 통계청(http://static.government.ru), Global Trade Atlas (www.gtis.com),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기업 인터뷰 및 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